KR20150055153A -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153A
KR20150055153A KR1020130136220A KR20130136220A KR20150055153A KR 20150055153 A KR20150055153 A KR 20150055153A KR 1020130136220 A KR1020130136220 A KR 1020130136220A KR 20130136220 A KR20130136220 A KR 20130136220A KR 20150055153 A KR20150055153 A KR 2015005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osition sensor
fuel
cylinder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3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153A/ko
Publication of KR2015005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02D41/1498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measuring engine rough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5Engines misf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방법은 크랭크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는 의심 분사기통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분사하여 엔진 시동을 거는 단계; 엔진 시동 후 캠 위치 센서 고장 발생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순차적으로 분사하고,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동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during CMPS trouble}
본 발명은 연료 분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고압 연료 펌프는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고압으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대개 자동차 하부의 구동축 측방에 형성되어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종래의 고압 연료 펌프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고압 연료 펌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엔진(10)의 크랭크 샤프트(20)가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20)와 벨트(30;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캠 샤프트(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 샤프트(40)에 형성된 캠(50)에 의해 고압 연료 펌프(100)의 피스톤(120)이 상승하고, 리턴 스프링(170)에 의해 피스톤(120)이 하강하여 챔버(180)에 주입된 연료를 고압으로 형성한 후에 배출구(160)로 배출하여 고압의 연료를 엔진(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고압 연료 펌프(100)의 주입구(140)에는 연료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설치된다.
한편,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된 고압의 연료는 고압 레귤레이터(미도시)에서 연료압 제어 과정을 거친 후, 연료 레일로 공급되어 연료분사노즐을 통해 엔진으로 분사된다. 이때, 연료압 제어는 고압 연료 펌프에 대한 하드웨어적 변형 없이 단순한 피드백 제어 과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하지만, 하드웨어적 변형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낮은 연료압을 형성할 때에도 엔진(10)과, 크랭프 샤프트(20), 벨트(30)와 캠 샤프트(40)와 같은 구동력 전달 수단에 큰 마찰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는 곧 차량의 토크 손실로 연결되고, 차량의 연비, 성능, 환경 오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고압펌프는 캠 축과 일체형으로 제작된 펌프로브에 의해 구동되므로, 펌프로브의 가공편차에 의해 고압펌프의 TDC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동일한 유량을 토출하기 위한 제어밸브의 닫힘 시기가 변화되어 학습값 또한 변화된다.
그리고, 펌프로브가 있는 캠축이 타이밍 벨트나 체인의 마모 혹은 조립 불량이 있는 경우 고압펌프의 TDC가 비정상적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제어밸브의 닫힘 시기 역시 변화되어 학습값 또한 변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표 연료 압력값을 유지하기 위해, 엔진제어장치에서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제어값을 모니터링하여 고압 연료 펌프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캠 위치 센서 고장 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은 엔진제어장치가 캠 위치 센서 고장 발생시, 실린더에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크랭크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는 의심 분사기통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분사하여 엔진 시동을 거는 단계; 엔진 시동 후 캠 위치 센서 고장 발생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순차적으로 분사하고,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동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실린더 내 흡입 공기량은 40% 이상, 분당 엔진회전수는 2000 이상, 현재 차속은 50Km/h 이하의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에서 상기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순차적으로 분사하는 단계는 제1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분사한 후, 내연기관의 행정 결과 발생하는 엔진의 제1 러프니스(roughness)를 상기 크랭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되는 각속도 변화량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단계와, 제2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분사한 후, 엔진의 제2 러프니스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러프니스 및 상기 제2 러프니스를 불연소 진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불연소 진단 기준값 미만의 러프니스를 갖는 기통을 분사기통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제어장치에서 캠 위치 센서가 고장 시에도 현재 분사기통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판별된 분사기통에만 연료를 분사하게 되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크랭크 위치 센서가 동작하는 내연 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인덕티브 방식의 크랭크 위치 센서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크랭크 위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캠 위치 센서가 동작하는 내연 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각 행정 별 피스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크랭크 위치 센서 및 캠 위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캠 위치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분사 기통을 판별하지 못하게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 꺼짐, 가속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확한 분사 기통을 판별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차량에서 분사 기통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크랭크 위치 센서 및 캠 위치 센서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엔진제어장치는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에 속하는 액츄에이터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수집한다. 엔진제어장치에서 연료의 기본분사량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부하이다. 이를 주제어 변수라 하고 흡입공기량, 스로틀밸브의 개도, 흡기매니폴드의 압력, 엔진의 회전속도 등을 계측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료의 기본분사량을 계산하게 된다.
엔진제어장치는 엔진의 사용 환경이나 운전 조건에 따라 혼합기의 공연비를 변화시켜서 연소 상태를 최적화시켜야 하므로 기본분사량 외에 추가적인 다수의 정보를 다른 센서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들을 보정변수라 하고 냉각수의 온도, 흡기 온도, 대기압, 배기가스의 공기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연료의 기본분사량을 결정하는 주제어 변수 중에는 엔진 회전속도가 있는데, 크랭크 위치 센서가 엔진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크랭크 위치 센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크랭크 위치 센서
도 1은 크랭크 위치 센서가 동작하는 내연 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크랭크 위치 센서는 크랭크 각 센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라고도 하며, 약어로는 CAS, CPS, CKPS 등을 사용한다. 크랭크 위치 센서는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기능 외에 피스톤의 상사점을 인식하고, 크랭크의 회전각도에 따른 피스톤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검출된 엔진의 회전속도는 연료의 기본분사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피스톤의 위치는 연료분사시기와 점화시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크랭크 위치 센서의 종류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한 옵티컬(Optical) 방식, 자석을 이용한 인덕티브(Inductive) 방식, 홀 소자(Hall IC)를 이용한 홀 센서 방식 등이 있다.
예컨대, 인덕티브 방식의 크랭크 위치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과 구리코일이 감긴 철심으로 구성되며, 크랭크 축에는 철-자성체 센서 휠이 고정된다.
크랭크축과 함께 센서 휠이 회전하면 센서 코일의 자속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교류 전압이 유도된다. 센서 휠은 제어 시스템에 따라 돌기가 20~60개 정도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피스톤의 상사점을 표시하기 위해 돌기 중 1~2개 생략된다. 이와 같이 돌기가 생략된 부분을 미싱투스(Missing tooth)라고 하고, 센서 휠 회전 중 미싱투스를 만나게 되면 인덕티브 센서에서 유도되는 전압 파형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된다. 센서 휠의 간극이 큰 부분이 인덕티브 센서 앞을 지나갈 때는 간극이 작은 부분에 비해 자속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큰 펄스(전압)이 유도된다. 이 큰 펄스의 전압신호는 회전속도 계측을 위한 신호에 비해 주파수는 작다. 이 큰 펄스 신호가 크랭크 축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엔진제어장치에 연료분사 시기 및 점화시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크랭크 위치 센서는 연료분사량 및 분사시기 그리고 점화시기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이 센서가 고장이 나면 엔진 작동에 기본적인 데이터 값을 받아 올 수 없으므로 시동이 꺼지고, 재시동 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캠 위치 센서
캠 샤프트 앵클(Cam shaft angle) 센서를 줄여서 흔히 캠 위치 센서라고 한다. 또 캠 각 센서나 캠 포지션 센서라고도 하며, 피스톤의 상사점을 감지한다고 하여 상사점 센서 또는 TDC 센서라고도 한다. 약어로는 주로 CMPS를 사용한다. 캠 위치 센서는 캠 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로, 크랭크 위치 센서와 동일한 기준점으로 하여 크랭크 위치 센서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개별 피스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캠 위치 센서가 동작하는 내연 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1개의 실린더헤드에 하나의 캠 위치 센서가 설치되지만, 가변밸브타이밍(VVT) 시스템에서는 흡배기 캠축에 하나씩 2개가 설치되기도 한다. 캠축에 별도의 센서 휠을 두거나 캠 기어 자체를 기준점으로 두어, 센서에 의해 캠 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종전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활용한 옵티컬 방식의 캠 위치 센서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홀 효과를 이용한 홀 센서 방식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
한편, 크랭크 위치 센서로 각 실린더 별 피스톤의 위치는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피스톤이 어느 행정 중이냐는 알 수 없다. 예컨대, 4행정 1 사이클 엔진에서 1, 4번 실린더의 피스톤과 2, 3번 피스톤은 항상 동일한 높이(위치)에서 움직인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피스톤이 압축행정에서 상사점의 위치에 있는지 배기행정에서 상사점에 위치에 있는지는 알 수 없는 것이다.
이 때, 캠 위치 센서가 1번 실린더의 현재 위치가 압축행정에서의 상사점이라고 표시해주면 자동적으로 4번 실린더의 피스톤은 배기행정에서의 상사점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므로 엔진제어장치는 비로소 실린더별 피스톤의 정확한 행정과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엔진제어장치는 캠 위치 센서와 크랭크 위치 센서의 신호를 비교해서 1번 실린더의 압축 상사점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해당 실린더의 점화코일 또는 인젝터를 정확하게 트리거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캠 위치 센서는 크랭크 위치 센서를 통해 엔진제어장치가 점화시기 및 분사시기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캠 위치 센서에서의 신호가 어떻게 크랭크 위치 센서 신호를 보조하는 참조점 역할을 하는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크랭크 위치 센서 및 캠 위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크랭크 축이 2회전하는 동안 캠 축은 1회전한다고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위치 센서의 미싱 투스가 2번 나올 때, 캠 위치 센서의 파형은 Low에서 High로, 또는 High에서 Low로 1회 변화하게 된다.
엔진제어장치는 캠 위치 센서 신호가 Low에서 High로 변화한 직후 나오는 미싱투스를 1번 실린더의 압축 상사점의 기준으로 인식하고, 이 신호를 기준으로 운전조건에 맞게 연료분사 시기 및 점화시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음에 나오는 미싱투스, 즉 캠 위치 센서 신호가 High에서 Low로 변화한 직후 나오는 크랭크 위치 센서의 미싱투스는 배기 상사점의 기준이 된다. 이런 기준을 정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엔진과 엔진의 제어를 설계하는 설계자의 몫이다. 다시 말해, 앞쪽의 미싱투스를 배기 상사점의 기준으로 정했다면, 뒤쪽의 미싱투스는 압축 상사점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한편, 캠 위치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엔진제어장치가 압축 상사점 또는 배기 상사점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각 실린더에서 점화시기 및 분사시기를 결정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시동 불량, 시동꺼짐, 가속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캠 위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까지, 엔진제어장치는 분사 기통으로 의심되는 두 개의 실린더(즉,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한 2개의 실린더)에 동시에 분사를 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실제 압축 행정에 있지 않은 기통에도 지속적으로 연료를 분사하게 되므로 연비가 떨어지고 배기가스의 양도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더블 분사 대비, 배기가스의 양을 저감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료분사 제어방법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제어장치는 캠 위치 센서의 고장 유무를 챔 위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참고하여 판단한다. 캠 위치 센서에서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대한 정확한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 실린더 내에서 연료 분사시기 및 점화시기를 엔진제어장치는 결정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시동 꺼짐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엔진제어장치는 캠 위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정상적인지 않은 경우에 연료 분사 및 점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적인 프로세스 모드에 진입한다 (S10).
S10 단계에서 진입한 보조적인 프로세스 모드에서 엔진제어장치는 크랭크 위치 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의심 분사기통(예컨대, 4기통 실린더의 경우,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한 2개의 기통을 의미함)에 연료를 동시 분사하여 엔진 시동이 걸리게 한다(S20).
엔진 시동이 걸린 후, 엔진제어장치는 내연기관 시스템이 보조적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혹시나 모를 시동 꺼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드진입 조건이 인에이블(enable)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예컨대, 모드진입 조건은 실린더 내 흡입 공기량, 분당 엔진회전수, 현재 차속 등의 측정 값이 일정 수치 이상 또는 이하일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적인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내 흡입 공기량은 40% 이상, 분당 엔진회전수는 2000 이상, 현재 차속은 50Km/h 이하의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전술한 각각의 조건은 동시에 모두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어 실시될 필요는 없다. 즉, 전술한 각각의 조건 중 과반수 이사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보조적인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모드진입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제어장치는 의심 분사기통에 순차적으로 연료를 분사한다(S41). 예컨대, 4기통 내연 시스템에서 1번 기통과 4번 기통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1번 기통과 4번 기통에 순차적으로 연료를 분사한다.
반면, S30 단계에서 모드진입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엔진제어장치는 시동 꺼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든 의심 분사기통에 동시에 연료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S43).
이후, 엔진제어장치는 크랭크 위치 센서로부터 각속도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속도 변화량을 이용하여 엔진 러프니스(roughness)를 계산하여, 정확한 분사기통을 결정한다(S5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엔진제어장치는 의심 분사기통에 순차적으로 연료를 분사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의 행정 결과 발생하는 엔진의 러프니스를 해당 실린더 별로 크랭크 위치 센서로부터 계산한다. 예컨대, 4행정의 1 Cycle에서는 1번 기통에 연료를 분사 후, 1번 기통에서의 엔진 러프니스를 계산하고, 2 Cycle에서는 4번 기통에 연료를 분사 후, 4번 기통에서의 엔진 러프니스를 계산한다.
각각의 기통에서 계산된 엔진 러프니스는 불연소 진단 기준값과 비교되고, 그 결과 불연소 진단 기준값 미만의 엔진 러프니스를 갖는 기통이 분사기통으로 결정된다.
이후, 엔진제어장치는 연료 분사 시점에 결정된 분사기통에만 연료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1번 기통이 분사 기통으로 결정된다면, 해당 타이밍에서는 1번 기통에만 연료가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1번 기통이 배기행정인 경우에는 4번 기통에만 연료가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캠 위치 센서가 지속적으로 고장 상태에서 추후에 엔진 러프니스 값이 불연소 진단 기준값을 초과하게 된다면(S60),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다시 S41 단계부터 재귀적으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Claims (3)

  1. 엔진제어장치가 캠 위치 센서 고장 발생시, 실린더에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크랭크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는 의심 분사기통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분사하여 엔진 시동을 거는 단계;
    엔진 시동 후 캠 위치 센서 고장 발생시, 연료 분사 및 점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순차적으로 분사하고, 상기 보조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의심 분사기통 전부에 연료를 동시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캠 위치 센서 고장 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실린더 내 흡입 공기량은 40% 이상, 분당 엔진회전수는 2000 이상, 현재 차속은 50Km/h 이하의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캠 위치 센서 고장 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에서 상기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순차적으로 분사하는 단계는,
    제1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분사한 후, 내연기관의 행정 결과 발생하는 엔진의 제1 러프니스(roughness)를 상기 크랭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되는 각속도 변화량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단계와,
    제2 의심 분사기통에 연료를 분사한 후, 엔진의 제2 러프니스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러프니스 및 상기 제2 러프니스를 불연소 진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불연소 진단 기준값 미만의 러프니스를 갖는 기통을 분사기통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캠 위치 센서 고장 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KR1020130136220A 2013-11-11 2013-11-11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KR20150055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20A KR20150055153A (ko) 2013-11-11 2013-11-11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20A KR20150055153A (ko) 2013-11-11 2013-11-11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153A true KR20150055153A (ko) 2015-05-21

Family

ID=5339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220A KR20150055153A (ko) 2013-11-11 2013-11-11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1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8690B2 (en) 2016-10-07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Starting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KR20190028086A (ko) * 2017-09-08 2019-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 샤프트 위치 센서 고장 시의 차량 시동 제어 방법
CN114704682A (zh) * 2022-03-31 2022-07-05 无锡威孚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控阀驱系统及电控阀驱系统的控制方法
US20220307440A1 (en) * 2021-03-29 2022-09-29 Hyundai Kefico Corporation Start-up method and apparatus for cam angle sensor error of mild hybrid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8690B2 (en) 2016-10-07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Starting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KR20190028086A (ko) * 2017-09-08 2019-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 샤프트 위치 센서 고장 시의 차량 시동 제어 방법
US20220307440A1 (en) * 2021-03-29 2022-09-29 Hyundai Kefico Corporation Start-up method and apparatus for cam angle sensor error of mild hybrid system
US11873777B2 (en) * 2021-03-29 2024-01-16 Hyundai Kefico Corporation Start-up method and apparatus for cam angle sensor error of mild hybrid system
CN114704682A (zh) * 2022-03-31 2022-07-05 无锡威孚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控阀驱系统及电控阀驱系统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8681B2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ポンプ制御装置
US7363143B2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67794B2 (en)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048729A1 (en) Method for diagnos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variable valve actuation (vva) device using a knock signal
KR101795306B1 (ko) 차량 시동 제어 방법
KR101775387B1 (ko) 내연 기관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 유닛
JP2005307747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20070235009A1 (en) Control apparatus for direct injection type spark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50055153A (ko) 캠 위치 센서 고장시, 연료 분사 제어방법
KR102323407B1 (ko) 캠 샤프트 위치 센서 고장 시의 차량 시동 제어 방법
JP2002122037A (ja) 多気筒内燃機関の異常気筒検出装置
US64846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nfluencing the phase posi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2229623A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供給装置
US20080228342A1 (en) Vehicle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6170462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83045B2 (ja) 燃料噴射弁の異常診断装置
US20160281672A1 (en) Ignition device of engine
US8397692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injection with the engine phase in an electric injector controlled engine
US20040011122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engine
JP4615004B2 (ja) 回転体の回転方向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用いた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556572B2 (ja) 燃料圧力センサ診断装置
JP5617517B2 (ja) 燃料圧力センサ診断装置
JP200812803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929363B2 (ja) エンジン用の検査装置
JP2001295691A (ja)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