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757A -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757A
KR20150054757A KR1020157002202A KR20157002202A KR20150054757A KR 20150054757 A KR20150054757 A KR 20150054757A KR 1020157002202 A KR1020157002202 A KR 1020157002202A KR 20157002202 A KR20157002202 A KR 20157002202A KR 20150054757 A KR20150054757 A KR 2015005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tribution
plate
header
membrane wall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503B1 (ko
Inventor
칭강 엘브이
밍 가오
궈오량 송
샤오팡 왕
윤카이 순
동위 왕
뚜오 주
Original Assignee
중국과학공정열물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국과학공정열물리연구소 filed Critical 중국과학공정열물리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5005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23C10/08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 F23C10/1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the separation apparatus being locat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15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for boilers of the water tube type
    • F22B31/003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for boilers of the water tube type with tubes surrounding the bed or with water tube wal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61Constructional features of b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84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with recirculation of separated solids or with cooling of the bed particles outside the combustion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화덕 측벽(41-44); 천장(45); 화덕 하부에 설치된 공기 분배판(11); 및 공기 분배판(11)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배 추체(8)를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에 관한것이다. 공기 분배 추체(8)마다 공기 분배판(11)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8)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에는 2차 바람구(28)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과 화덕 측벽(41-44)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천장(45), 화덕 측벽(41-44), 공기 분배판(11) 및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에 둘러싸여 화덕 연소 공간이 이루어진다. 공기 분배 추체(8)의 꼭대기 부분에 확장 수열판을 설치하여 보일러내의 수열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튜브 판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LARG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IR DISTRIBUTION APPARATUS, AND AIR DISTRIBUTION APPARATUS ASSEMBLY}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2차 바람의 공기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화 및 고도의 파라미터화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기술이 발전하는 필연적인 추세로, 보일러 용량의 증가에 따라 화덕 횡단면이 점점 증가하여 2차 바람이 화덕 중앙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보일러의 증기 파라미터가 향상됨에 따라, 특히는 초임계 또는 울트라 초임계 증기 파라미터까지 향상될 때, 화덕의 방열 용적은 보일러 내의 증발 수열면보다 증가되는 속도가 더 빠른데, 방열과 흡열의 불균형적인 증가는 수열면의 배치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2차 바람의 침투와 수열면의 배치 문제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가 대형화 및 고도의 파라미터화에로 발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주요한 병목 현상으로 되었다.
2차 바람 침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US5370084에서는 바지형 화덕 구조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개시하였는데, 화덕 하부를 바지 형상과 유사한 구조로 설계하여 화덕 공기 분배판은 이와 대응되게 별도의 두개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두개의 하부는 완전히 분리되고 꼭대기 부분은 서로 연결되는 바지와 비슷한 바, 바지 내측 벽면 상에 2차 바람구를 설치하여 화덕 하부 밀집상 영역((dense-phase zones))의 2차 바람 침투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화덕 밀집상 영역의 하부는 2개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실제 운행 과정에 있어서 2개의 바지 다리 사이의 압력 파동은 쉽게 오버턴(bad-overturn) 현상의 발생을 초래하여, 보일러의 안전적 및 안정적인 운행에 큰 잠재적인 위험을 가져온다. 오버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 특허 ZL 201010159794.8에서는, 중간막식 벽을 사용하여 바지형 화덕을 세로 방향에서 완전히 대칭되는 2개 부분으로 구획하고, 중간막식 벽의 중상부에 통풍홀을 형성하여 양측의 압력을 평형시킴으로써 오버턴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개시하였다.
바지형 화덕 구조를 기초로, 수열면의 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 특허 201020147895.9에서는, 바지 꼭대기 부분에 중앙 차단벽 수냉벽 튜브 판넬을 설치하여 화덕 증발 수열면의 면적을 증가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중앙 차단벽 수냉벽을 개시하였는데, 용량 및 파라미터가 큰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화덕 높이의 증가에 따라 이러한 중앙 차단벽 수냉벽 튜브 판넬의 높이도 따라서 증가하여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튜브 판넬의 변형과 진동 문제를 피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면에 따르면, 화덕 측벽; 천장;화덕 하부에 설치된 공기 분배판; 및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배 추체(air distribution cone)를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마다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에는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고,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화덕 측벽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천장, 화덕 측벽, 공기 분배판 및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둘러싸여 화덕 연소 공간이 이루어지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제공한다.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선택 가능하게, 매개 공기 분배 추체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first inclined cone side wall)과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며,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에는 공기 분배판과 평행되는 제 1헤더(first header)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이 제 1헤더에 합류되고, 상기 제 1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와 인접하는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이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한다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제 1헤더에 수직되며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위치상에 설치된 제 2헤더에서 합류된다. 상기 제 1헤더와 제 2헤더는 서로 통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제 1헤더에 수직되며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부동한 높이 위치상에 설치된 제 2헤더에서 합류된다.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서 합류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고,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다.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2층 튜브 판넬인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T형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횡방향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어 있다.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선택 가능하게, 매개 공기 분배 추체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에는 공기 분배판과 평행되는 제 1헤더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이 제 1헤더에 합류되고, 상기 제 1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에 인접하는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이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고, 접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상부마다 제 2헤더가 설치되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은 상기 제 2헤더로 합류되고 또한 상기 제 2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다. 또한, 제 2헤더마다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위치상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 합류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고,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2층 튜브 판넬인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접한 후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Y형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V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화덕 측벽 상에는 별도로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 및 공기 분배판과 떨어져 있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 부분은 상기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하부 부분과의 접합부로부터 위로 점차 축소되는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택 가능하게, 공기 분배 추체의 공기 분배판에 평행되는 단면은 장원형 또는 변의 개수가 4보다 큰 다변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의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의 전후벽에 수직되는 제 1화덕 중간 분리면(first furnace bisecting section)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의 좌우벽에 수직되는 화덕 중간 분리면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대체로 화덕의 전후벽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분배판 상에는 복수개의 공기 분배 추체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분배 추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마다 사이즈와 구조가 서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일러는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덕 꼭대기 부분의 헤더를 더 포함하는데, 수직 위로 인출되거나 연장된 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천장을 통과한 후 대응되는 화덕 꼭대기 부분의 헤더로 합류된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이고, 화덕 연소 공간을 향하는 일면 상에는 내화 재료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일면에 따르면,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며 이 보일러의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되는 공기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공기 분배 장치는 공기 분배 추체의 형식으로서,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에는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의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는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 상기 공기 분배 장치; 및 상기 공기 분배 추체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는 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벽 수열판은 대응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과 유체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덕의 하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공기 분배 추체를 설치하여 공기 분배판이 “口”자 형상, “日”자 형상 또는 “目”자 형상 등 각 부분이 서로 통하는 형상을 이루어, 화덕 하부의 밀집상 영역과 희박상 영역의 물질 및 기체 모두가 자유로 유통하도록 하여, 종래의 2개의 독립적인 바지 가락 내부에서 압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오버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기 분배 추체는 2차 바람이 화덕 밀집상 영역 중앙으로부터 화덕으로 토출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2차 바람 침투 문제를 해결였다. 그리고, 공기 분배 추체의 꼭대기 부분에 T형 또는 Y형 확장 수열판을 설치함으로써, 보일러내의 수열면의 면적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튜브 판넬의 강도를 향상시켜, 튜브 판넬의 진동과 변형을 대폭 감소하여 튜브가 폭파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밀집상 영역은 유동 균일성이 뛰어나 오버턴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2차 바람은 화덕 중앙까지 도달할 수 있어 연소 효율을 보장하고 연소 분위기의 제어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공기 분배 추체 꼭대기 부분에 T형 또는 Y형의 확장 수열판을 설치하여, 보일러내의 수열면의 면적을 증가하고, 또 강도가 좋고 진동과 변형이 작아지므로 보일러의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아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우점들을 더욱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 1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확장 수열판(extended heating panel)과 공기 분배 추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른 확장 수열판과 공기 분배 추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또 다른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또 다른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 B-B 단면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표시되는 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취지는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아래 도 1-9를 참조하여 공기 분배 추체(air distribution cone)를 가지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화덕 측벽(41-44); 천장(45); 화덕 하부에 설치된 공기 분배판(11); 및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배 추체(air distribution cone)(8)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분배 추체(8)마다 공기 분배판(11)으로부터 우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고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8)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에는 2차 바람구(28)(도 1에서는 측벽(81, 82) 상에 2차 바람구가 설치되고, 도 8에서는 측벽(81-84) 상에 2차 바람구가 설치된다)가 설치되고,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화덕 측벽(41-44) 사이는 이격되어 있고, 천장(45), 화덕 측벽(41-44), 공기 분배판(11),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은 화덕 연소 공간을 형성한다.
공기 분배 추체의 일부 또는 전부 측벽은 위로 연장되는 동시에 안쪽으로 수축되어(즉 벽면이 공기 분배 추체 저면에 대한 투영 중앙 방향으로 경사진다), 화덕 하부의 횡단면적이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화덕 중상부의 공기 분배 추체가 없는 부위의 횡단면적과 거의 동일할 때 까지 연속적으로 증가되게 한다.
공기 분배 추체(8)은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2차 바람구(28)이 설치되므로, 2차 바람이 화덕 밀집상 영역 중앙으로부터 화덕으로 토출되는 공간을 배치하여, 2차 바람의 침투 능력을 향상시켰다.
도 1-3, 6-7을 참조하면, 공기 분배 추체(8)마다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 및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를 포함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은 공기 분배 추체(8)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며 또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과 서로 접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11)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24)는 각각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 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에서 공기 분배판(11)과 평행되는 제 1헤더(first header)(31)(도 2, 3을 참조)를 형성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은 제 1헤더(31) 중으로 합류되고(도 2를 참조), 상기 제 1헤더(31)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53, 54)이 인출된다.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확장 수열판이다.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에 인접하도록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확장 수열판은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 만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공기 분배 추체(8)의 다른 2개의 측벽(83, 84)은 단열형 벽이며 멤브레인벽이 아니다. 하지만, 공기 분배 추체(8)의 다른 2개의 측벽(83, 84)이 멤브레인벽 유형일 경우에도 다른 확장 수열판이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51, 52)을 구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은 제 2헤더(32)에서 합류되고, 상기 제 2헤더(32)는 제 1헤더(31)에 수직되고 상기 제 1헤더(3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 1헤더(31)와 제 2헤더(32)는 서로 통하는 바, 양자는 “工”자형을 이룬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제 2헤더에서 합류하고, 상기 제 2헤더는 제 1헤더에 수직되며 또한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부동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예의 변형으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 합류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고,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한다. 도 4에 이런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예시된 예의 변형으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층 튜브 판넬이다.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도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이런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53, 54)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51, 52)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T형 확장 수열면(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횡방향 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 중의 한쌍의 측벽이 수직 연장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아래 도 8-9를 참조하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이 전부 기울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분배 추체(8)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8)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 및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을 포함하는데,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과 서로 접하며,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2)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11)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28)는 각각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 상에 설치된다. 2차 바람구(28)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 상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4)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에는 공기 분배판과 평행되는 제 1헤더(33)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은 제 1헤더(33) 중으로 합류되고, 상기 제 1헤더(33)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53, 54)이 인출된다. 유사하게,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53, 54)은 확장 수열판이다.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와 인접하는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이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된다.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은 각각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82)과 서로 접하고,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상부 마다 제 2헤더(34)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은 상기 제 2헤더(34)로 합류되고, 상기 제 2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하여 대응되는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51, 52)이 인출된다. 선택 가능하게, 제 2헤더는 전부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제 1헤더와 서로 통한다.
도 8-9에 예시된 예의 변형으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 합류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며,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한다.
도 8-9에 예시된 예의 변형으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층의 튜브 판넬이다.
바람직하게, 도 8-9에 예시된 예의 변형으로,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51, 52)을 구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Y형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V를 구성한다.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될 수 있다.
도 1-3,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 측벽 상에는 별도로 2차 바람구(24)가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택 가능하게,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 및 공기 분배판과 떨어져 있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하부 부분은 상기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하부 부분과의 접합부로부터 위로 점차 축소되면서 연장된다.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가 4각추에 근접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공기 분배 추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기 분배 추체의 공기 분배판에 평행되는 단면은 장원형 또는 변의 개수가 4보다 큰 다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분배 추체 꼭대기 부분에 T형 또는 Y형 확장 수열판을 설치함으로써 보일러내의 수열면 면적을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 판넬 강도를 향상시켜 튜브 판넬의 진동과 변형을 대폭 감소하여 튜브 폭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 보일러의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는 화덕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 전후벽(43, 44)에 수직되는 제 1화덕 중간 분리면(first furnace bisecting section)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 좌우벽(41, 42)에 수직되는 화덕 중간 분리면에 대해서도 대칭되게 배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전부 화덕 전후벽에 대체로 수직되게 배치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공기 분배판 상에는 복수 개의 공기 분배 추체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분배 추체는 서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매개 공기 분배 추체의 사이즈와 구조는 서로 동일한 바, 예를 들면 도 7에 이와 같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화덕의 밀집상 영역의 유동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오버턴 위험을 해소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2, 3,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45) 상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화덕 꼭대기 부분 헤더(7)에서, 수직 위로 인출되거나 연장된 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천장(45)을 통과하여 대응되는 화덕 꼭대기 부분 헤더 중으로 합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는 보일러의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되는 공기 분배 장치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분배 장치는 공기 분배 추체의 형식이고,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에는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는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에도 관한 것으로, 상술한 공기 분배 장치 및 상기 공기 분배 추체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는 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멤브레인벽 수열판과 대응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은 유체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었다.
공기 분배 추체(8)는 하나일 수 있는데, 이때 화덕 공기 분배판은 “口”자형을 이룬다(도 1, 6, 8에 도시된 바). 공기 분배 추체(8)는 2개 또는 이보다 더 많은 수량일 수도 있는데, 이때 공기 분배판은 “日”자형 또는 “目”자형 등일 수도 있다(도 7에 도시된 바). 이처럼 화덕 하부 밀집상 영역은 서로 연통된 영역으로서 보일러 내의 물질 및 기체 유동의 균일성을 확보하고, 화덕 하부를 2개의 독립적인 바지 가락으로 구획함에 의해 야기되는 오버턴 위험을 피면할 수 있다.
공기 분배 추체 꼭대기 부분에는 확장 수열판이 설치되는데 공기 분배 추체의 형상에 의해 확장 수열판의 횡단면 형상이 결정되는바, T형일 수도 있고 Y형일 수도 있다. 공기 분배 추체에서 오직 두개의 대향하는 측벽만이 경사질 경우 확장 수열판 횡단면은 T형이고, 공기 분배 추체의 두 쌍의 대향하는 측벽이 경사질 경우 확장 수열판 횡단면은 Y형이다.
공기 분배 추체의 대향하는 일 세트의 경사진 측벽의 멤브레인벽은 공기 분배 추체 꼭대기 부분에서 하나의 모서리로 합류되고, 이 모서리로부터 보일러 정상으로 튜브 판넬이 연장되어 T형 또는 Y형 확장 수열판의 “T” 또는 “Y” 자의 종방향 부분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모서리에는 수평 헤더가 설치될 수 있는데, 공기 분배 추체의 일 세트의 경사진 측벽의 멤브레인벽 튜브가 이 헤더 중으로 합류된 후 다시 이 헤더로부터 튜브 판넬이 위로 인출되는데, 튜브 판넬 폭은 헤더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또는, 헤더 양단과 인접한 부분에서부터만 튜브 판넬이 인출되고 헤더 중간 부분에서는 튜브 판넬이 인출되지 않아, 튜브 판넬 양측을 연결하는 유동 공간을 남겨놓을 수도 있다. 또는, 공기 분배 추체의 일 세트의 경사진 측벽의 멤브레인벽 튜브는 이 모서리에서 3방향 파이프에 합류하고, 3방향 파이프중 하나의 분기관이 바로 위로 연장되는 튜브 판넬이거나, 또는 공기 분배 추체의 일 세트의 경사진 측벽의 멤브레인벽 튜브는 이 모서리에서 나란히 위로 연장되어 2층 튜브 판넬을 형성하는데 2층 사이는 빗살형 판을 통하여 서로 고정되며, 내화 재료가 충진될 수 있다. 마지막 두가지 방식을 통하여 형성된 튜브 판넬 폭은 일반적으로 공기 분배 추체 꼭대기 부분의 모서리 길이와 동일하다.
공기 분배 추체의 다른 세트의 측벽이 수직일 경우, 멤브레인벽 튜브는 보일러 정상으로 연장되어 T형 확장 수열판을 구성하는 “T”자의 횡방향 부분의 튜브 판넬을 형성하는데, 이 부분의 튜브 판넬과 T형 확장 수열판을 구성하는 “T”자 의 종방향 부분의 튜브 판넬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며, 연결 부위의 튜브 판넬의 튜브를 강도를 증가하도록 직경이 크고 벽이 두꺼운 튜브로 설계할 수 있다. 측벽 멤브레인벽 튜브가 위로 연장될 때, 먼저 수평 헤더로 합류된 후 다시 헤더로부터 튜브 판넬이 인출될 수도 있다. 헤더를 사용하면 공기 분배 추체 측벽 멤브레인벽 튜브와 튜브 판넬을 위하여 각각 최적의 튜브 직경, 튜브사이 간격 등 디자인 파리미터들을 선택하는데 유리하다.
공기 분배 추체의 다른 세트의 측벽도 경사질 경우, 위로 연장됨과 동시에 안쪽으로 수축되며 멤브레인벽 튜브 및 인접한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는데,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 즉 헤더, 3방향 파이프 또는 2층 튜브 판넬 등을 통하여 Y형 확장 수열판을 구성하는 “Y”자 상부의 “V” 튜브 판넬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헤더를 사용한다면 그 또한 Y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수평 헤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V형 튜브 판넬이 동일한 높이에서 인출되는데 유리하며, 이로써 비교적 균일한 수동력 분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V형 튜브 판넬과 Y형 확장 수열판을 구성하는 “Y”자 의 종방향 부분의 튜브 판넬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어 있다.
아래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하부에 윈드 박스(1)를 가지는 화덕(4), 사이클론 분리기 입구 통로(61)를 가지는 사이클론 분리기(6), 연료 반송 장치(미도시) 및 꼬리 부분의 연도(미도시)로 구성되는데, 6개의 사이클론 분리기(6)는 화덕의 좌측벽(41)과 우측벽(42)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덕(4)의 하부와 공기 분배판(11) 상에는 횡단면이 장방형인 공기 분배 추체(8)가 배치되어 화덕 공기 분배판(11)이 “口”자형을 이루도록 한다.
공기 분배 추체(8)의 측벽은 내화 재료가 도포된 4개의 멤브레인 수냉벽에 둘러싸여 이루어진 중공 형태이며 하부는 대기를 향하여 열려있다. 공기 분배 추체(8)의 4개의 측벽 중에서, 화덕의 좌, 우 측벽(41, 42)과 대향하는 두개의 면(81, 82)은 공기 분배 추체 저면 투영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우에는 한층 또는 여러 층의 2차 바람구(28)가 배치된다. 공기 분배 추체의 다른 두개의 화덕 의 전후벽(43, 44)과 대향하는 측벽(83, 84)은 수직으로 설치된다. 2차 바람구(28)는 공기 분배 추체(8)의 하부로부터 인입되는 2차 바람 통로와 서로 통한다. 화덕의 양 측벽(41, 42) 상에도 한층 또는 여러 층의 2차 바람구(24)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공기 분배 추체 상의 2차 바람구(28)의 높이와 일치하다.
공기 분배 추체(8)의 두개의 안쪽으로 경사지는 측벽(81, 82)은 공기 분배 추체(8)의 꼭대기 부분에서 공기 분배판(11)과 평행되는 하나의 모서리로 합류되는데, 모서리에는 가로로 세팅된 헤더(31)가 설치되어 있고, 측벽(81, 82)의 수냉벽 튜브는 헤더(31) 중으로 합류되며, 헤더(31)로부터 위로 두개의 튜브 판넬(53, 54)이 인출되어 각각 헤더(31)와 인접한 양단 끝에 설치된다. 공기 분배 추체(8)의 다른 두개의 수직 설치된 측벽(83, 84)의 수냉벽 튜브는 위로 연장되어 헤더(31) 높이와 동일한 수평 헤더(32) 중으로 합류되어(헤더(31)와 헤더(32)는 서로 통하여 ”工”자형 헤더를 구성한다), 튜브 판넬(51)과 튜브 판넬(52)을 형성한다. 튜브 판넬(51)와 튜브 판넬(52)은 각각 튜브 판넬(53, 54)과 T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각각 횡단면이 T형인 2세트의 확장 수열판(5)을 구성한다. 튜브 판넬(53)과 튜브 판넬(54)은 서로 접하지 않고 양자 사이에는 튜브 판넬 양측을 서로 통하게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화덕 내의 물질과 기체가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한다. (헤더(31)와 헤더(32)도 서로 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양자를 높이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확장 수열판(5)은 공기 분배 추체(8)의 꼭대기 부분으로부터 화덕의 높이 방향을 따라 화덕 천장(45)까지 줄곧 연장되며, 천장(45)을 통과한 후 화덕 꼭대기 부분 헤더(7)로 합류된다.
공기 분배 추체(8)의 꼭대기 부분에는 헤더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공기 분배 추체(8) 측벽(81, 82)의 수냉벽 튜브를 3방향 파이프 또는 2층 판을 사용하여 직접 위로 연장하여 튜브 판넬(53, 5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튜브 판넬(53, 54)은 하나로 이어지고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2개의 T자형 확장 수열판이 하나의 工자형 확장 수열판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3방향 파이프를 사용하는 확장 수열판의 평면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2층 판을 형성하는 확장 수열판의 평면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화덕의 전후벽(43, 44)의 하부가 경사지게 설치될 경우, 공기 분배 추체(8)의 두개의 수직 설치된 측벽 상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바람구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분배 추체(8) 측벽은 공랭(空冷)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 확장 수열판(5)도 이와 대응되게 공랭판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화덕(4)의 하부가 2개의 공기 분배 추체(8)를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이때 화덕 공기 분배판은 “日”자형을 이루고, 공기 분배 추체(8) 꼭대기 부분은 하나로 이어진 2개의 T자형 확장 수열판(5)을 가진다.
실시예 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하부에 윈드 박스(1)를 가지는 화덕(4), 사이클론 분리기 입구 통로(61)를 가지는 사이클론 분리기(6), 연료 반송 장치 (미도시), 및 꼬리 부분 연도(미도시)로 구성되는데, 6개의 사이클론 분리기(6)는 화덕의 좌측벽(41)과 우측벽(42)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덕(4)의 하부와 공기 분배판(11) 상에는 하나의 공기 분배 추체(8)가 설치되어 화덕 공기 분배판(11)이 “口”자형을 이루도록 한다.
공기 분배 추체(8)의 측벽은 내화 재료가 도포된 4개의 멤브레인 수냉벽에 둘러싸여 이루어지고, 하부는 중공 형태이며 대기와 서로 통한다. 공기 분배 추체(8)의 4개의 측벽 중에서, 화덕의 좌, 우측벽(41, 42)과 대향하는 2개의 면(81, 82)은 공기 분배 추체 저면 투영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고, 공기 분배 추체(8)의 꼭대기 부분에서 공기 분배판(11)과 평행되는 하나의 모서리를 형성하며, 모서리에는 수평 헤더(33)가 설치되고 나머지 두개의 면(83, 84)도 공기 분배 추체 저면 투영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며 또한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과 서로 만나 공기 분배판(11)과 협각을 이루는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한다.
4개의 모서리 상부에서 헤더(33)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는 각각 수평 헤더(34)가 설치된다. 헤더(33)와 헤더(34)는 서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서로 통하여 Y형 헤더를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의 중부 수냉벽 튜브는 헤더(33) 중으로 합류되고,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의 양단과 가까운 수냉벽 튜브와 공기 분배 추체 측벽(83, 84)의 수냉벽 튜브는 상술한 4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굴곡되어 위로 연장되며 헤더(34) 중으로 합류된다. 헤더(33, 34)로부터 위로 Y형 확장 수열판(5)이 인출되는데 줄곧 화덕 천장(45)까지 연장되어 천장(45)을 통과한 후 화덕 꼭대기 부분의 헤더(7)로 합류된다.
공기 분배 추체 측벽(81, 82, 83, 84) 상에는 모두 2차 바람구(28)가 설치될 수 있는데, 2차 바람구(2)와 공기 분배 추체(8)의 하부로부터 인입되는 2차 바람 통로는 서로 통한다. 화덕 양측벽(41, 42) 및 전후벽(43, 44) 상에도 2차 바람구(24)가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 및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사상을 벗아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40)

  1. 화덕 측벽;
    천장;
    화덕 하부에 설치된 공기 분배판; 및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배 추체(air distribution cone);
    를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마다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에는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고,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화덕 측벽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천장, 화덕 측벽, 공기 분배판 및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둘러싸여 화덕 연소 공간이 이루어져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매개 공기 분배 추체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first inclined cone side wall)과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며,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에는 공기 분배판과 평행되는 제 1헤더(first header)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이 제 1헤더에 합류되고, 상기 제 1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는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와 인접하는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이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보일러.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하는 보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제 1헤더에 수직되며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위치상에 설치된 제 2헤더에서 합류하는 보일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헤더와 제 2헤더가 서로 통하는 보일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제 1헤더에 수직되며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부동한 높이 위치상에 설치된 제 2헤더에서 합류하는 보일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서 합류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고,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는 보일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2층 튜브 판넬인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는 보일러.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직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하는 보일러.
  13. 제 6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T형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T형의 횡방향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어 있는 보일러.
  14. 제 1항에 있어서,
    매개 공기 분배 추체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15. 제 14항에 있어서,
    2차 바람구는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도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에는 공기 분배판과 평행되는 제 1헤더가 형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이 제 1헤더에 합류되고, 상기 제 1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는 보일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제 1헤더의 전체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보일러.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제 1헤더에 인접하는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제 1수열판부를 가지는데, 이 2개의 제 1수열판부는 상기 제 1헤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보일러.
  19.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서로 접하고, 접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상부마다 제 2헤더가 설치되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은 상기 제 2헤더로 합류되고 또한 상기 제 2헤더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이 인출되어 있는 보일러.
  20. 제 19항에 있어서,
    제 2헤더마다 상기 제 1헤더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위치상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 배치된 3방향 파이프에 합류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각각 3방향 파이프중의 2개의 분기관과 서로 통하고, 상기 3방향 파이프의 제 3분기관은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는 보일러.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접한 후 수직 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2층 튜브 판넬인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형성하고 있는 보일러.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 2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상기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과 접한 후 수직 위로 연장되어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을 구성하는 보일러.
  24. 제 19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2개의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단부에서 Y형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고,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종방향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상기 Y형의 V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 1멤브레인벽 수열판과 상기 제 2멤브레인벽 수열판은 핀을 통하여 한덩어리로 용접되어 있는 보일러.
  25. 제 1항에 있어서,
    화덕 측벽 상에는 별도로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26.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과 인접하는 하부 부분 및 공기 분배판과 떨어져 있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 부분은 상기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수직 위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하부 부분과의 접합부로부터 위로 점차 축소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보일러.
  27.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의 공기 분배판에 평행되는 단면은 장원형 또는 변의 개수가 4보다 큰 다변형으로 형성되는 보일러.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의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인 보일러.
  29.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의 전후벽에 수직되는 제 1화덕 중간 분리면(first furnace bisecting section)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보일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의 구조는 화덕의 좌우벽에 수직되는 화덕 중간 분리면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보일러.
  31. 제 29항에 있어서,
    제 1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대체로 화덕의 전후벽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는 보일러.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판 상에는 복수개의 공기 분배 추체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분배 추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보일러.
  33. 제 32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마다 사이즈와 구조가 서로 동일한 보일러.
  34. 제 3항 내지 제 13항, 제 16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덕 꼭대기 부분의 헤더를 더 포함하는데, 수직 위로 인출되거나 연장된 멤브레인벽 수열판은 천장을 통과한 후 대응되는 화덕 꼭대기 부분의 헤더로 합류되는 보일러.
  35. 제 3항 내지 제 13항, 제 16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화덕 연소 공간을 향하는 일면 상에는 내화 재료가 도포되어 있는 보일러.
  36.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며 이 보일러의 공기 분배판 상에 설치되는 공기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장치는 공기 분배 추체의 형식으로서, 공기 분배 추체는 공기 분배판으로부터 위로 화덕 내부까지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분배 추체를 형성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에는 2차 바람구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분배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하부에는 화덕 연소 공간에 속하지 않고 또한 화덕의 외부 환경과 서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2차 바람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인 공기 분배 장치.
  38. 제 36항 또는 제 37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추체는 대향 배치되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을 포함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공기 분배 추체의 톱부에서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고,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이 서로 접하거나 합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는 공기 분배판에 대체로 평행되고;
    2차 바람구는 2개의 경사 공기 분배 추체 측벽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공기 분배 장치.
  39. 제 36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은 멤브레인벽으로 구성된 공기 분배 장치.
  40.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는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39항의 공기 분배 장치; 및
    상기 공기 분배 추체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확장 수열면을 형성하는 멤브레인벽 수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벽 수열판은 대응되는 공기 분배 추체 측벽의 멤브레인벽과 유체가 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KR1020157002202A 2012-12-31 2013-12-24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KR101667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591114.9 2012-12-31
CN201210591114.9A CN102997231B (zh) 2012-12-31 2012-12-31 大型循环流化床锅炉、布风装置和布风装置组件
PCT/CN2013/090309 WO2014101746A1 (zh) 2012-12-31 2013-12-24 大型循环流化床锅炉、布风装置和布风装置组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757A true KR20150054757A (ko) 2015-05-20
KR101667503B1 KR101667503B1 (ko) 2016-10-18

Family

ID=4792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202A KR101667503B1 (ko) 2012-12-31 2013-12-24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2104B2 (ko)
EP (1) EP2940384B1 (ko)
KR (1) KR101667503B1 (ko)
CN (1) CN102997231B (ko)
IN (1) IN2014DN11233A (ko)
PL (1) PL2940384T3 (ko)
WO (1) WO2014101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7231B (zh) * 2012-12-31 2015-06-2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大型循环流化床锅炉、布风装置和布风装置组件
CN104344401B (zh) 2013-08-09 2016-09-1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带变截面水冷柱的循环流化床锅炉炉膛
CN104728856B (zh) 2013-12-20 2017-03-01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梳齿型水冷柱及具有该水冷柱的炉膛
CN106196025B (zh) * 2015-04-30 2018-03-23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带多分离器的环形炉膛循环流化床锅炉
US10288281B2 (en) * 2015-07-02 2019-05-14 David Allen Brownlee Two-part block nozzle
FI127698B (en) * 2016-04-04 2018-12-14 Amec Foster Wheeler Energia Oy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method for mounting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20170356642A1 (en) * 2016-06-13 2017-12-14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bottom-supported in-bed heat exchanger
CN106765061B (zh) * 2017-01-05 2023-07-11 东方电气集团东方锅炉股份有限公司 燃烧器区域变截面适应灵活性调峰的煤粉锅炉炉膛
CN107842850B (zh) * 2017-09-28 2019-02-22 青岛大学 一种流化床燃烧装置
CN111911918A (zh) * 2020-09-01 2020-11-1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四分离器并列布置的循环流化床锅炉及其布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084A (en) * 1994-05-26 1994-12-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Pantleg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combustion method using same
CN1166890C (zh) * 1996-12-03 2004-09-15 麦克德莫技术股份有限公司 循环式流化床加热炉或反应器
CN101718430B (zh) * 2009-12-22 2011-05-04 浙江大学 循环流化床锅炉带二次风喷射的十字受热屏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6254A (en) * 1928-01-11 1930-04-29 Henry G Lykken Fluidizer and method of fluidizing
US2055452A (en) * 1934-05-24 1936-09-22 Texas Co Furnace
US2465464A (en) * 1945-03-26 1949-03-29 Bbc Brown Boveri & Cie Apparatus for producing hot gases
DE3027517A1 (de) 1980-07-19 1982-02-25 Ferdinand Lentjes, Dampfkessel- und Maschinenbau, 4000 Düsseldorf Wirbelschichtfeuerung
US4628834A (en) * 1981-10-14 1986-12-16 Mckelvie Alastair H Vibratory fluidized bed reactor
DE3221567A1 (de) * 1982-06-08 1983-12-08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Wirbelschichtofen
US4589841A (en) * 1984-05-02 1986-05-20 Asea Stal Ab Cap for nozzles in an after combustion fluidized bed
US4702019A (en) * 1985-07-17 1987-10-27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oling high-temperature particles
FI84855C (fi) 1986-04-30 1992-01-27 Ahlstroem Oy Virvelbaeddsreaktor.
DE4005305A1 (de) 1990-02-20 1991-08-22 Metallgesellschaft Ag Wirbelschichtreaktor
FI97315C (fi) * 1990-09-26 1996-11-25 Stein Industrie Leijukerroskattilan tulipesäseinämän jäähdytyslaitteisto
US5286188A (en) * 1992-09-11 1994-02-15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Uni-directional anti-backsifting fluidization nozzle and a fluidized bed system utilizing same
US6029612A (en) * 1997-07-07 2000-02-29 Foster Wheeler Energia Oy Fluidized bed reactor
CN101614390A (zh) * 2006-12-07 2009-12-3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带水冷柱的循环流化床锅炉炉膛
CN100575782C (zh) * 2007-02-07 2009-12-3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带受热屏的循环流化床锅炉炉膛
CN201621687U (zh) * 2009-12-22 2010-11-03 浙江大学 一种循环流化床锅炉带二次风喷射的十字受热屏
CN201636837U (zh) 2010-03-31 2010-11-17 东方锅炉(集团)股份有限公司 循环流化床锅炉炉膛的中隔墙水冷壁
CN101818894B (zh) 2010-04-29 2011-10-26 清华大学 一种循环流化床锅炉
CN102226518B (zh) * 2011-02-01 2013-03-06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大型循环流化床锅炉
CN202371705U (zh) * 2011-11-10 2012-08-08 哈尔滨锅炉厂有限责任公司 用于大型循环流化床锅炉炉内受热面的加强装置
CN102997231B (zh) * 2012-12-31 2015-06-2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大型循环流化床锅炉、布风装置和布风装置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084A (en) * 1994-05-26 1994-12-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Pantleg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combustion method using same
CN1166890C (zh) * 1996-12-03 2004-09-15 麦克德莫技术股份有限公司 循环式流化床加热炉或反应器
CN101718430B (zh) * 2009-12-22 2011-05-04 浙江大学 循环流化床锅炉带二次风喷射的十字受热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97231B (zh) 2015-06-24
IN2014DN11233A (ko) 2015-10-02
US20150184847A1 (en) 2015-07-02
CN102997231A (zh) 2013-03-27
PL2940384T3 (pl) 2021-08-23
US9772104B2 (en) 2017-09-26
WO2014101746A1 (zh) 2014-07-03
KR101667503B1 (ko) 2016-10-18
EP2940384A1 (en) 2015-11-04
EP2940384A4 (en) 2016-08-17
EP2940384B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503B1 (ko)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 공기 분배 장치 및 공기 분배 장치 어셈블리
US9518730B2 (en) Large-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N102466223B (zh) 一种循环流化床锅炉
KR20100057657A (ko) 원심 분리기 조립체
CN106196025A (zh) 带多分离器的环形炉膛循环流化床锅炉
US10495298B2 (en) Comb tooth type water-cooled column and furnace having the same
RU2495712C2 (ru) Реактор с кипящим слоем
EP3045809B1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furnace having a variable cross-section water-cooled cylinder
JP6465651B2 (ja) 熱交換器
US6793013B2 (en) Polygonal heat exchange chamber including a tapered portion lined with water tube panels and method of lining a tapered portion of a polygonal heat exchange chamber with such panels
US7152537B2 (en) Fluidized bed boiler furnace comprising two hearths separated by an inside leg area
FI124376B (fi) Höyrykattila
CN103168199A (zh) 用于锅炉装置的炉壁结构
KR20140087853A (ko) 순환 유동층 연소 시스템
JP4925853B2 (ja) 反応炉
JP2010197042A (ja) 車両空調装置のための逆流熱交換器
JPH07158813A (ja) 湿分分離加熱器
JPH11182805A (ja) 水管群を有するボイラにおける水管のフィ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