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285A - 4d 의자 - Google Patents

4d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285A
KR20150053285A KR1020130134599A KR20130134599A KR20150053285A KR 20150053285 A KR20150053285 A KR 20150053285A KR 1020130134599 A KR1020130134599 A KR 1020130134599A KR 20130134599 A KR20130134599 A KR 20130134599A KR 20150053285 A KR20150053285 A KR 2015005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safety cover
accommodating portion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안정수
전창수
이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to KR102013013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285A/ko
Publication of KR2015005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착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과, 상기 좌석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좌석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4D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이 수용되는 구동수단수용부; 상기 좌석의 요동 범위에서 항상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와 상기 좌석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둘러싸는 경질의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투와 불특정인의 신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파손과 고장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4D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4D 의자{4D chair}
본 발명은 4D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투와 불특정인의 신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파손과 고장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4D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체 영상을 상영하는 영화관이 주목받으면서, 대형 스크린에서 상영되는 입체 영상에 따라 좌석이 요동하는 4D 의자의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인 4D 의자는 관람자가 앉는 좌석과, 좌석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엑츄에이터와 링크, 커넥터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구동에 의해 좌석은 롤(roll), 피치(pitch), 요(yaw), 히브(heave), 스웨이(sway), 서지(surge)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관람자에게 입체 영상이 현실적으로 느껴지도록 하는 움직임을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4D 의자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과 외부 이물 침투에 의한 파손과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은 외부와 차단되어야 하지만 좌석과 구동수단의 연결을 위한 구조적 특성에 의해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어렵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프레임과 판재를 이용하여 좌석(110)의 하부에 구동수단(120)이 지지되면서 수용되는 구동수단수용공간(130)을 형성하더라도, 구동수단(120)과 좌석(110)의 연결을 위해서 구동수단수용공간(130)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135)가 형성되어야 한다.
더군다나 좌석(110)의 움직임이 전후 좌우로 롤링하는 경우에는 좌석(110)과 구동수단(120)을 연결하는 링크나 커넥터 등 연결부재(123)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의 개구(135)가 구동수단수용공간(130)의 상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개구(135)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나 사람의 손이 구동수단(120) 내부로 충분히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과 외부 이물 침투에 의한 파손과 고장의 원인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종래 4D 의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좌석(110)의 요동에 따라 그 형태가 가변되는 자바라 형태의 자바라커버(미도시)를 마련하여 구동수단(120)을 둘러싸도록 한 4D 의자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바라커버(미도시)만으로는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 예컨대, 조명이 어두운 입체 상영관 등에서 관람자가 소지품을 4D 의자(101)의 좌석(110) 하부로 떨어트리고 이를 찾는 과정에서 자바라커버(미도시)를 임의로 들춰 올려 구동수단수용공간(130)으로 손을 집어넣게 되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투와 불특정인의 신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파손과 고장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4D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과, 상기 좌석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좌석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4D 의자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수용되는 구동수단수용부; 상기 좌석의 요동 범위에서 항상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와 상기 좌석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둘러싸는 경질의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좌석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요동 범위에서 적어도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둘레가 확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후방에는 상기 안전커버의 요동을 허용하는 간격을 두고 수직 단차벽이 위치하며, 상기 안전커버의 적어도 후방 하단부는 상기 좌석의 요동시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후면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수직 단차벽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투와 불특정인의 신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파손과 고장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4D 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4D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의 설치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의 구동 예를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4D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영상 상영관에 설치되는 4D 의자를 예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운전 시뮬레이터용 4D 의자 또는 시뮬레이션 게임기용 4D 의자 등 입체적인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는 각종 시뮬레이터에 적용되는 4D 의자일 수 있다.
도 3에 측면도(a) 및 정면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1)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10)과, 상기 좌석(10)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20)과, 구동수단(20)을 수용하는 구동수단수용부(30)와, 좌석(10)이 요동되는 상태에서도 항상 구동수단수용부(30)와 좌석(10)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는 안전커버(40)를 포함한다.
좌석(10)은 착석 공간을 형성하는 좌석본체(11)와, 좌석본체(11)를 지지하는 좌석프레임(17)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석(10)은 단일의 좌석(10)이거나 복수의 좌석(10)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좌석본체(11)는 통상적인 의자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안락한 착석 상태를 제공하는 등받이(15)와 시트(13)를 구비하며, 경우에 따라서 팔걸이와 컵홀더, 발판, 목받침 등과 같은 부수적인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시트(13)는 경우에 따라서 절접식이거나 고정식일 수 있다. 또한, 좌석(10)에는 음향수단이나 향발산수단 등과 같이 사용자의 오감 중 어느 하나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감각자극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좌석본체(11)는 4D 의자(1)의 적용분야에 따라서 등받이(15)나 팔걸이 컵홀더, 감각자극수단 등과 같은 부수적인 구성에 대한 적절한 생략이 가능하다.
좌석프레임(17)은 좌석본체(11)의 적어도 시트(13) 하부 영역을 지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좌석(10)의 요동에 따른 좌석본체(1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시트(13) 하부 및 등받이(15) 배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좌석프레임(17)의 하부면에는 구동수단(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연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연결부(19)는 힌지 형태 등과 같은 회동 연결 구조나 슬라이딩 연결 구조를 포함하여 4D 의자(1)의 요동 방향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의 연결 구조일 수 있다.
구동수단(20)은 엑츄에이터나 모터 등과 같은 구동기(미도시)와, 구동기(미도시)의 구동력을 좌석(10)으로 전달하는 링크 및 커넥트 등의 구동력전달부재(23)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력전달부재(23)는 구동기(미도시)와 좌석프레임(17)의 구동연결부(19)를 상대적인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수단(20)은 좌석(10)의 수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구동수단(20)의 구동에 의한 좌석(10)의 요동은 롤(roll), 피치(pitch), 요(yaw), 히브(heave), 스웨이(sway), 서지(surge) 형태의 요동 중 적어도 어느 한 형태의 요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좌석(10)은 요동 방향은 적어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이 관람자가 입체 영상이 현실적으로 느껴지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물론, 좌석(10)은 요동 방향은 적어도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으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20)은 좌석(10)을 원하는 형태로 요동시키기 위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수단수용부(30)는 구동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기(미도시) 등을 지지하면서 구동수단(20)이 수용될 공간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의 외측 둘레면을 외부와 차단하면서 상부 영역에 구동수단(20)의 링크 및 커넥터 등의 구동력전달부재(23)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개구(35)가 형성되는 하우징커버(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구동수단수용부(30)는 그 상단이 좌석(10)의 원활한 요동을 위해서 좌석(10)의 하부와 항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4D 의자(1)가 입체 영상 상영관(M)에 설치되는 형태를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영관(M)의 관람석들은 스크린에 인접영역에서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을 향해 오르막 계단형상으로 단차진 구조물의 수평 단차면(H)에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수용부(30)는 상영관(M)의 관람석 설치 구조물의 수평 단차면(H)에 설치되는데, 이때, 구동수단수용부(30)의 후방에는 수직 단차벽(V)이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영관(M)의 수직 단차벽(V)은 좌석(10)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구동수단수용부(30)의 후면은 수직 단차벽(V)과 좌석(10) 요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로 이격되게 위치하여야 한다.
한편, 안전커버(40)는 그 상측 둘레단부가 좌석(10)의 하측 둘레에 결합되며,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안전커버(40)의 둘레면이 좌석(10)의 요동 범위에서 항상 적어도 구동수단수용부(30)와 좌석(10)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둘러싼다.
이 안전커버(40)는 전후좌우 측면이 모두 단일의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전후좌우 측면이 각각 별도의 판재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물론, 전후좌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이 다른 측면들과 별개의 판재로 마련되는 형태일 수 도 있다. 이러한 안전커버(40)는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이나 후크 및 후크홈 등의 결합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좌석(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안전커버(40)는 임의의 외력에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경질 판재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불특정인이 안전커버(40)를 임의로 들춰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안전커버(4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둘레가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좌석(10)의 요동 과정에서 안전커버(40)가 구동수단수용부(3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낙하 접촉시 이물질이 구동수단수용부(3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질이 구동수단(2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전커버(40)의 하단부는 좌석(10)의 요동 범위에서 적어도 구동수단수용부(30)의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석(10)의 요동 과정에서 안전커버(40)의 하단부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좌석(10)의 요동에 따라서 안전커버(40)의 하단부가 최고점에 위치하더라도 안전커버(40)가 구동수단수용부(30)의 상부 영역을 둘러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좌석(10)과 구동수단수용부(30) 사이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구동수단(20)의 링크 및 커넥터 등의 구동력전달부재(23)와 구동수단수용부(30)의 상부면 연결개구(3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더불어 안전커버(4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그 후방 하단부가 좌석(10)의 요동 범위에서 구동수단수용부(30)의 후면에 인접한 영역과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직 단차벽(V)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의해 입체 영상 상영관(M) 등에서 불특정인이 구동수단수용부(30) 내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없게 된다. 이는 안전커버(40)의 하단부가 도 4와 같이, 수직 단차벽(V)에 인접하거나 도 5와 같이, 구동수단수용부(30)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경우,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좌석(10)의 요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좌석(10)이 일반적인 정위치에 위치할 때, 안전커버(40)의 하단부가 수직 단차벽(V)과 구동수단수용부(30) 사이 영역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수직 단차벽(V)과 안전커버(40) 사이 및 안전커버(40)와 구동수단수용부(30) 후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는 하지만, 이 공간을 통해 불특정인이 손을 집어넣어 구동수단수용부(30) 내부로 진입시키기는 불가능하다. 이는 복수회 굴곡이 불가능한 인체 팔관절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안전커버(40)의 형상 및 좌석(10)과의 결합구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1)는 구동수단(20)의 구동 정지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좌석이 전후좌우상하 요동이 되지 않은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좌석이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안전커버(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석(10)이 요동되는 범위에서 항상 구동수단수용부(30)와 좌석(10)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둘러싸게 된다.
이에 의해 좌석(10)의 전후좌우 측면에서 이물질이나 불특정인의 손이 구동수단수용부(30)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좌석(10)이 요동 진행 중이거나 중지된 상태에서도 불특정인이 안전커버(40) 내측으로 손을 집어넣어 구동수단수용부(30) 내부로 진입시키기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커버(40)의 구조 및 인체 팔관절의 구조적 특성 상 불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4D 의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투와 불특정인의 신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파손과 고장 및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10 : 좌석 20 : 구동수단
30 : 구동수단수용부 40 : 안전커버

Claims (4)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과, 상기 좌석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좌석을 요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4D 의자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수용되는 구동수단수용부;
    상기 좌석의 요동 범위에서 항상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와 상기 좌석 사이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둘러싸는 경질의 안전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좌석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요동 범위에서 적어도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둘레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후방에는 상기 안전커버의 요동을 허용하는 간격을 두고 수직 단차벽이 위치하며,
    상기 안전커버의 적어도 후방 하단부는 상기 좌석의 요동시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의 후면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수직 단차벽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의자.
KR1020130134599A 2013-11-07 2013-11-07 4d 의자 KR20150053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99A KR20150053285A (ko) 2013-11-07 2013-11-07 4d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99A KR20150053285A (ko) 2013-11-07 2013-11-07 4d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85A true KR20150053285A (ko) 2015-05-18

Family

ID=5338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99A KR20150053285A (ko) 2013-11-07 2013-11-07 4d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509B2 (en) 2021-02-17 2023-12-26 Falcon's Beyond Brands, Llc Interactive theater system with real-time feedback and dynamic special eff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509B2 (en) 2021-02-17 2023-12-26 Falcon's Beyond Brands, Llc Interactive theater system with real-time feedback and dynamic special eff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73B2 (en) Motion-enabled movie theater seat
KR101755128B1 (ko) 가상현실 극장 구조
CN105283616B (zh) 演出观看装置和方法
JP5016608B2 (ja) ビデオシステム用被駆動支持プラットフォーム
CN106394361A (zh) 交通工具座椅
JP4931421B2 (ja) 座席構造
KR200432342Y1 (ko) 특수효과 체감용 의자
KR20150053285A (ko) 4d 의자
KR101404114B1 (ko) 음향진동 체감의자의 마운팅장치
JP5991606B1 (ja) プロジェクタースクリーン付きベッド
KR20180044006A (ko) 입체진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180077890A (ko) 입체구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485263B1 (ko) 진동체감형 의자
JP2006189481A (ja) 地震模擬体験システム及び地震模擬体験提供方法
JP5081275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487711B1 (ko) 4d 액션 시스템
JP4815606B2 (ja) 乗り物酔い訓練装置
CN109076272A (zh) 音乐欣赏装置
JP4261882B2 (ja) 観覧車のゴンドラ
JP6547579B2 (ja) 乗物用シート
JP2020063027A (ja) イベント用の自動車
FR2915004A1 (fr) Dispositif de restitution d'images
KR200487417Y1 (ko) 4축 제어에 기반한 지진 체험장치
JP2024066854A (ja) 浴室用プロジェクタスクリーンおよび浴室構造
JP6305496B2 (ja) 旋回式ダイナミック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視聴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