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269A -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269A
KR20150053269A KR1020157008446A KR20157008446A KR20150053269A KR 20150053269 A KR20150053269 A KR 20150053269A KR 1020157008446 A KR1020157008446 A KR 1020157008446A KR 20157008446 A KR20157008446 A KR 20157008446A KR 20150053269 A KR20150053269 A KR 20150053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slab
thermoelectric generator
temperatu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6038B1 (en
Inventor
타카시 구로키
카즈히사 가베야
아키오 후지바야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설비열(facility line)에, 열전(thermoelectric) 발전 유닛을 갖는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을, 상기 열원에 대치(face)시켜, 추가로 당해 열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함으로써, 열원이 이동하는 제조 설비열에 있어서, 방출 상태가 변동하는 열원의 열에너지를, 효율 좋게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할 수 있는, 제조 설비열을 얻을 수 있다.A thermoelectric gen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provided in a facility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faced to the heat source so that the heat source is further heated by the heat sourc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vert the thermal energy of the heat source, whose emission state varies in the heat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the heat source moves, , And the heat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can be obtained.

Figure P1020157008446
Figure P1020157008446

Description

제조 설비열 및 열전 발전 방법{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facility thermal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이동하는 열원(heat source)을 갖는 제철소의 제조 설비열(facility line)에 관한 것으로서,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슬래브(slab), 조바아(rough bar) 및 열연 강대(steel strip)의 복사(輻射)에 의한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는 열전(thermoelectric) 발전 장치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 및 그것을 이용한 열전 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line of a steelworks having a moving heat source and a slab, a rough bar and a steel strip in a hot rolling process, And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또한, 상기 제조 설비열이, 주조 및 압연을 연속하여 행하는 강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간 슬래브 혹은 열연판의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는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한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이고, 또한 그것을 이용한 열전 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for casting and rolling with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heat energy of the hot slab or hot rolled steel sheet into electrical energy and recovering the heat energy in 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is continuously cast and rolled Heat, and a method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using the same.

이종(different type)의 도체 또는 반도체에 온도차를 부여하면, 고온부와 저온부와의 사이에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이 발생하는 것은, 제베크 효과(Seebeck effect)로서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고,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열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It has long been known as a Seebeck effect that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a high temperature part and a low temperature part when a temperature difference is given to a different type conductor or semiconductor, It is also known to convert heat directly into electric power us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최근, 제철 공장 등의 제조 설비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한 발전에 의해, 지금까지 폐열로서 버려 왔던 에너지, 예를 들면,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등의 강재의 복사에 의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대처가 추진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n a manufacturing facility such as a steelmaking plant, energy generated as waste heat by power gener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thermoelectric generator, for example, energy of copying of steel materials such as slabs, And the use of thermal energy by the public is being promoted.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수열 장치(heat receiving device)를 고온 물체에 대치(face)하여 배치하고, 고온 물체의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As a method of using heat energy,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disposing a heat receiving device on the face of a hot object, converting the thermal energy of the hot object into electric energy, .

특허문헌 2에는, 폐열로서 처리되고 있는 열에너지에, 열전 소자 모듈을 접촉시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rmal energy being treated as waste heat to convert it into electrical energy and recover it.

특허문헌 3에는, 냉각 바닥에 있어서 냉각 재료로부터 대기 중으로 방산되는 열량을 전력으로서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escribes a method of recovering the amount of heat dissipated from the cooling material to the atmosphere in the cooling floor as electric power.

특허문헌 4에는, 레이크(rake)의 열전도에 의해 고온 재료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열회수 방법 및 냉각 바닥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escribes a heat recovery method and a cooling floor which can efficiently convert thermal energy of a high-temperature material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rmal conduction of rake.

특허문헌 5에는, 열간 압연 라인에 있어서의 금속 재료의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전력으로서 저장하는 열회수 장치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5 describes a heat recovery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generated by a treatment of a metal material in a hot rolling line and storing the recovered heat as electric power.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9-19888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98883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3408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34084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96319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96319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6378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6378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62727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62727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슬래브 연주 라인(slab continuous casting line)에 적용할 수 있는 취지의 기재가 있기는 하지만, 실조업에 있어서의 슬래브의 온도 변화나, 슬래브량의 변동에 의한 방출 열량(열에너지)의 변동 등, 조업 조건의 변동에 의한 열원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description of a slab continuous casting line that can be applied to a slab, but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lab in the actual operation, the amount of heat released due to the variation of the slab amount ) Of the heat source temperature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operating conditions.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모듈을, 열원에 대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열간 압연 설비 등과 같이, 이동하는 열원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module needs to be fixed to a heat sou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ique can not be applied to a moving heat source such as a hot rolling facility.

특허문헌 3에는, 중·고온부의 재료 온도가 300℃ 이상이고, 그 복사열과 재료를 냉각한 후의 대류열을 이용한다는 기재가 있기는 하지만, 실조업에 있어서의 고온 재료의 온도 변화나, 고온 재료의 변동에 의한 방출 열량(열에너지)의 변동 등, 조업 조건의 변동에 의한 열원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that the material temperature of the middle and high temperature portions is 300 占 폚 or higher and uses the convection heat after cooling the material and the radiant heat therefrom. However,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igh temperature material, (Heat energy) due to the variation of the heat source temperature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heat source temperature.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기술은, 열전도에 의한 열회수에만 특화된 것으로, 실조업에 있어서의 고온 재료의 온도 변화나, 고온 재료의 변동에 의한 방출 열량(열에너지)의 변동 등, 조업 조건의 변동에 의한 열원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is specialized only for heat recovery by heat conduction, and is a heat source that changes the temperature of a high-temperature material in a yarn manufacturing operation, the amount of emitted heat (heat energy) The change in temperature is not considered.

특허문헌 5에 기재된 기술은, 상기 실조업상의 고려가 없는 것에 더하여, 동(同) 문헌 중에 기재되어 있는 전력 저장 수단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5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practical operation, and the power storage means described in the same documen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현상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열원이 이동(유동)하는 열간 압연 설비나,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에 있어서, 방출 상태가 변동하는 슬래브, 조바아, 열연 강대, 열간 슬래브 및 열연판의 열에너지를, 효율 좋게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할 수 있는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과,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을, 그들을 이용한 열전 발전 방법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rolling mill in which a heat source moves (flows), a steel strip manufacturing facility for casting and rolling, Hot rolling equipment heat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generator capable of efficiently converting thermal energy of hot slabs and hot rolled steel sheets into electric energy and recovered, and heat of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for casting and rolling are provided together with a thermoelectric generating method using them .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열에너지의 방출 상태에 따라서, 열원과 열전 발전 유닛의 거리 등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고효율인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하고, 새로운 제철소에 있어서의 열이용이 가능한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과,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을, 그들을 이용한 열전 발전 방법과 함께 개발했다.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cognized tha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efficiency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ot rolling equipment heat with a thermoelectric generator capable of utilizing heat in a new steel mill and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heat for casting and rolling have been developed together with a thermoelectric generating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상기 인식에 입각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recognition.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That i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이동하는 열원을 갖는 제철소의 제조 설비열에 있어서,1. In a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of a steelworks having a moving heat source,

상기 제조 설비열은, 열전 발전 유닛을 갖는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은, 상기 열원에 대치하고, 또한 당해 열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제조 설비열.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n such a manner that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heat sources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he heat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2. 상기 제조 설비열이, 가열된 슬래브를 조압연하여 조바아로 하는 조압연기와, 조바아를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 강대로 하는 마무리 압연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로서,2. The hot-rolling equipment array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is a hot-rolling equipment line including a roughing mill in which hot slabs are roughly rolled to make a rough bar and a finish rolling mill in which hot-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은, 조압연기 앞에서 열연 강대 반송로에 이르기까지의 어느 위치에서,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에 대치하고, 또한 당해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상기 1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from the front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the hot rolled steel strip conveying route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 rolled steel strip, and also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described in 1 above, which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3.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에 대하여 저온부에서는 근접하게 설치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3. Th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according to the above 2, where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close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at a low temperature part,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bar and the hot rolled steel strip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4. 상기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저온부에 대하여 고온부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4.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3 above, wherei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is dens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bar and the hot- Manufacturing plant heat.

5.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측정하여 구한 온도 및/또는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과 당해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와의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5.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rolled coil,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a mo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from at least one of the hot-rolled steel strip.

6.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열 반사재를 구비하는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6.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as described in any of 2 to 5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heat reflecting material.

7.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7. Th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as described in any of 2 to 6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shaped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bar, and the hot-rolled steel strip.

8. 상기 열전 발전 장치는, 적어도 1개소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2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8.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7,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9. 상기 이동 수단이, 열전 발전 유닛의 일체 이동을 행하는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9. Th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as described in any of 2 to 8 above, wherein the moving means performs the integral movemen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10.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 비(非)가동을 판단하는 가동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0.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9,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judging means for judging, based on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 operation ratio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en.

11. 상기 2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을 이용하여,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수열하여 열전 발전을 행하는 열전 발전 방법.11. A method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in which at least one heat of a slab, a joining bar, and a hot-rolled steel strip is heat-treated using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described in any one of 2 to 10 above to conduc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12. 상기 제조 설비열의 가동 판단 수단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을 제어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열전 발전 방법.12.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11 above,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controlled by using the operation judging means of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13. 상기 제조 설비열이, 슬래브 주조기 및, 압연 라인을 구비하는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로서,13. A steel plat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for casting and rolling comprising the slab casting machine and the rolling line,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은, 상기 슬래브 주조기의 슬래브 냉각 장치 및 슬래브 절단 장치에 있어서의, 슬래브 냉각 장치 출측, 슬래브 절단 장치 내 및 슬래브 절단 장치 출측, 그리고, 상기 압연 라인의 유지로(holding furnace), 유도로(induction furnace), 압연기 및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의 유지로의 앞, 유지로의 뒤, 유도로의 앞, 유도로의 뒤, 압연기의 앞, 압연기의 뒤, 롤러 테이블 상 및 롤러 테이블 사이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슬래브 및/또는 열연판에 대치하고, 또한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상기 1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b cooling device and the slab cutting device of the slab casting machine are provided with a slab cooling device exit side, a slab cutting device inside and a slab cutting device exit side, and a holding furnace of the rolling line, In the induction furnace, in front of the retaining furnace in the rolling mill and roller table, behind the retaining furnace, in front of the induction furnace, behind the induction furnace, in front of the rolling mill, behind the rolling mill,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as set forth in 1 above,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position is replaced by a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 or the hot-rolled plate and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unit.

14.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에 대하여 저온부에서는 근접하게 설치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4. Th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as set forth in 13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close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in the low temperature par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 rolled steel sheet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15. 상기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저온부에 대하여 고온부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5.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13 to 14 above, wherein the high temperature section is dens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low temperature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 .

16.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측정하여 구한 온도 및/또는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과 당해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와의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 상기 13 내지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6.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slab and the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 or the output obtain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 And a moving means for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the heating means and the heating means.

17.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열 반사재를 구비하는 상기 13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7.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described in any one of 13 to 16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heat reflecting material.

18.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8.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described in any one of 13 to 17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has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rolled steel sheet.

19. 상기 열전 발전 장치는, 적어도 1개소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13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19.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13 to 18,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20. 상기 이동 수단이, 열전 발전 유닛의 일체 이동을 행하는 상기 13 내지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20. Th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according to any one of 13 to 19, wherein the moving means performs the integral movemen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21.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 비가동을 판단하는 가동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13 내지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21. The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as set forth in any one of 13 to 20 above,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judging means for judging, based on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 operation ratio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22. 상기 13 내지 2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을 이용하여,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수열하여 열전 발전을 행하는 열전 발전 방법.22. A thermoelectric generating method for thermally generating electricity by receiving at least one heat of a slab and a hot-rolled sheet by using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described in any one of 13 to 21 above.

23. 상기 제조 설비열의 가동 판단 수단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을 제어하는 상기 22에 기재된 열전 발전 방법.23.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22 above,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controlled by using the operation judging means of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본 발명에 따름으로써, 열전 발전 유닛과 열원(슬래브, 조바아, 열연 강대 및 열연판)을, 발전 효율이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열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높은 레벨에서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heat source (the slab, the bar, the hot-rolled coil, and the hot-rolled plate)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goo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effectively improved. As a result, the heat energy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can be recovered at a high lev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장치의 설치 장소(열간 압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장치의 설치 장소(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강재와 열전 발전 유닛과의 거리에 대한 발전 출력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재가 부착된 열전 발전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lace (hot rolling facility)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lace (a steel plate manufacturing facility for casting and rolling)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tion output ratio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with a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views showing other examples of install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열전 발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 중, 1은 열전 발전 유닛 및 2는 열원이다.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2 denotes a heat source.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전 발전 장치는, 열원(2)에 대치하여, 열원(2)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배치된 열전 발전 유닛(1)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provided with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1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2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n place of the heat source 2.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원은, 열간 압연 장치에 있어서의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이하, 단순히 슬래브 등이라고도 호칭함)나, 주조 및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슬래브 혹은 열연판(처리 공정에 의해 조바아, 열강판, 열연판, 강판, 열강대, 강대, 스트립, 후판 등으로 부르는 방법이 바뀌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열원에 포함하여 슬래브 등이라고 호칭함)이다.The heat sourc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lab, a hot bar, a hot ba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lab or the like) in a hot rolling apparatus, a slab or a hot rolled plate in a casting and rolling process Bar, heat steel plate, hot-rolled steel plate, steel plate, steel bar, steel strip, strip, plate, and the like are chang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referred to as slab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열전 발전 장치는, 슬래브 등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열전 발전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열전 발전 유닛은, 슬래브 등에 대치하는 수열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열전 발전 모듈과, 방열 수단을 갖는다.Further,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has hydrothermal means, such as a slab, at least on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means.

수열 수단은, 재질에도 따르지만, 열전 소자의 고온측 온도 플러스 수도(several degrees)에서 수십도, 경우에 따라서는 수백도 정도의 온도가 된다. 그 때문에, 수열 수단은, 그 온도에서, 내열성이나,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세라믹 외에, 일반적인 철강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The hydrothermal means, depending on the material, may be several tens degrees, sometimes hundreds of degrees,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refore, the hydrothermal means may be any one having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at that temperature. For example, in addition to copper, a copper alloy, aluminum, an aluminum alloy, and ceramics, general steel materials can be used.

또한, 알루미늄은 융점이 낮기 때문에, 열원에 따라서 열설계를 행하고, 열에 견딜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스는, 열전도율이 작기 때문에, 수열 수단 중에서 온도차가 생겨 버리지만, 슬래브 등과 슬래브 등의 사이에 열원이 없는 상태가 발생하는 개소에 있어서는, 축열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aluminum has a low melting point, it can be used in a case where thermal desig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heat source and it can withstand heat. In addition, since the ceramics have a low thermal conductivity, a temperature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heat receiving means, but in a place where a heat source is not present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or the like, heat storage effect can be expected.

다른 한편, 방열 수단은, 종래 공지의 것이라도 좋고,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핀(fin)을 구비한 냉각 디바이스나, 접촉 열전달을 활용한 수냉 디바이스, 비등열전달(boiling heat transfer)을 활용한 히트 싱크, 냉매 유로를 가진 수냉판(water-cooling sheet) 등이 바람직한 형태로서 예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ng means may be a conventionally known one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but a cooling device having a fin, a water-cooling device utilizing contact heat transfer, a heat sink utilizing boiling heat transfer, A water-cooling sheet having a refrigerant passage,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as preferred forms.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저온측을 스프레이 냉각 등으로 수냉해도, 저온측은 효율 좋게 냉각된다. 특히, 열전 발전 유닛을 열원보다 하방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냉각을 적용해도, 스프레이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잔수(residual water)는 테이블 아래로 낙하하고, 열전 발전 유닛의 고온측을 냉각하는 일 없이, 열전 발전 유닛의 저온측은 효율 좋게 냉각된다. 스프레이 냉각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냉매가 접촉하여 냉각되는 측이 방열 수단이 된다.Further, even if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water-cooled by spray cooling or the like, the low temperature side is cooled efficiently. Particularly, wh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installed below the heat source, even if spray cooling is applied, if the spray is appropriately disposed, the residual water falls down the table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cooled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efficiently cooled. In the case of performing spray cooling, the side on which the spray coolant contacts and is cooled becomes the heat dissipating means.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열전 발전 모듈(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 소자(3)인 P형 및 N형의 반도체를 수십∼수백쌍의 전극(4)으로 접속한 열전 소자군이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그 양(兩)측에 배치한 절연재(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전 발전 모듈(5)은, 양측 또는 편측(片側)에 열전도 시트나 보호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그 보호판이 각각, 수열 수단(7)이나 방열 수단(8)을 겸비하고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 2, the thermoelectric module 5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oelectric element group in which p-type and n-type semiconductors 3, which are thermoelectric elements 3, are connected by tens to hundreds of pairs of electrodes 4 And an insulating material 6 arranged two-dimensionally and arranged on both sides thereof.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5 may be provid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or a shield plate on both sides or on one side. Further, the protective plate may have the heat receiving means 7 and the heat radiating means 8, respectively.

수열 수단(7) 및/또는 방열 수단(8)인 냉각판 자체가 절연재이거나, 표면에 절연재가 피복되거나 한 경우는, 절연재의 대체로 해도 좋다. 도면 중, 1은 열전 발전 유닛, 3은 열전 소자, 4는 전극, 6은 절연재, 5는 열전 발전 모듈, 7은 수열 수단 및 8은 방열 수단이다.In the case where the cooling plate itself, which is the heat receiving means 7 and / or the heat dissipating means 8, is an insulating material or an insulating material is coated on the surface, it may be replac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3 denotes a thermoelectric element, 4 denotes an electrode, 6 denotes an insulating material, 5 denotes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odule, 7 denotes a hydrothermal means and 8 denotes a heat dissipating means.

본 발명에서는, 수열 수단과 열전 발전 모듈의 사이나, 방열 수단과 열전 발전 모듈의 사이, 그리고 절연재와 보호판의 사이 등에, 부재끼리의 열접촉 저항을 저감하고, 열전 발전 효율의 한층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전술한 열전도 시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열전도 시트는, 소정의 열전도율을 갖고 있고, 열전 발전 모듈의 사용 환경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그래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 등이 예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between members such as the hydrothermal means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means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between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shield plate can be reduc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The above-mentioned heat conductive sheet can be provided. This heat conductiv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predetermined thermal conductivity and can be used under the use environ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but a graphite sheet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모듈의 크기는, 1×10-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의 크기를 전술 정도로 함으로써 열전 발전 모듈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3㎡ 이하이다.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x 10 -2 m 2 or less. This is because deform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can be suppressed by making the size of the modul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re preferably, it is 2.5 x 10 -3 m 2 or less.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크기는,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닛을 1㎡ 이하로 함으로써 열전 발전 모듈의 상호 간이나, 열전 발전 유닛 자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1㎡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열전 발전 유닛을 복수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preferably 1 m2 or less. By setting the unit to 1 m < 2 > or less, deforma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or deforma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tself can be suppressed. More preferably, it is 2.5 x 10 < -1 >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thermoelectric generator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는, 열원으로서, 열간 압연 라인에 있어서의 슬래브 등의 복사에 의한 열에너지를 이용한다. 열간 압연 라인이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열로, 조압연기, 마무리 압연기, 권취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간 압연 공정이란, 열간 압연 라인의 전(前) 공정 또는 가열로에 있어서 1000∼1200℃ 정도로 가열된 약 20∼30ton의 강괴(슬래브)를, 조압연기로 조바아로 하고, 추가로 마무리 압연기로, 판두께: 1.2∼25㎜ 정도의 열연 강대로 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 내의 강재는, 열연 강대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at source, thermal energy due to radiation of a slab or the like in the hot rolling line is used. The hot rolling line is composed of a furnace, a roughing mill, a finishing mill, and a winding machine as shown in Fig. In the hot rolling step, a steel ingot (slab) of about 20 to 30 tons heated to about 1000 to 1200 占 폚 in the previous step or the heating furnace of the hot rolling mill is subjected to a roughing with a roughing mill, This is a rolling machine with a hot-rolled steel sheet with a thickness of about 1.2 to 25 m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material in the finishing mill is referred to as a hot-rolled steel band.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열전 발전 유닛이 대치한 위치 및 온도 측정에 적합한 근방을 포함함)의 온도(이하, 단순히 슬래브 등의 온도라고 함)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열전 발전 유닛을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열전 발전 유닛을, 조압연기 앞에서 마무리 압연기를 거쳐 열연 강대 반송로까지의 어느 위치(도면 중 A 내지 E)에,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함으로써, 실조업에 있어서의 열원의 온도 변동 등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rolled steel strip (in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located and the vicinity suitable fo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nd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provided along the output of the unit. As shown in Fig. 3, these thermoelectric generators are placed at any position (A to E in the figure) from the front of the roughing mill to the hot-rolled steel strip conveying route via the finishing mill, at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Accordingly, efficient generation can be achieved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heat source in the actual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장치(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는, 슬래브 등의 상방에 한정되지 않고 하방에도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개소도 1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소라도 좋다.Further,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ab and the like, but it can also be installed downwar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not limited to one site but may be plural sites.

도 4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주조 및 압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우선, 슬래브를 주조하기 위해, 턴디시(tundish;9)와 주형(10)을 구비하는 주조기(11)가 배치되고, 이어서 유지로(12), 유도로(13), 조압연기(14), 마무리 압연기(15), 수냉 장치(16) 및 코일러(17)가 배치되어 있다.Fig. 4 shows a structural example of a casting and rolling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casting machine 11 having a tundish 9 and a mold 10 is disposed for casting a slab, and then the casting machine 10 is mounted on a holding furnace 12, an induction furnace 13, a roughing mill 14, A finish rolling machine 15, a water cooling device 16 and a coiler 17 are disposed.

주조기의 뒤에 배치된 유지로는, 통상의 가스 버너로로 할 수 있다. 유지로와 유도로의 배치는 순서가 바뀌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배치 압연(batch rolling)의 경우에 사용하는 가열로를 이용해도 좋다.The furnace disposed behind the casting machine may be a conventional gas burner. The arrangement of the holding furnace and the induction furnace may be changed in order. Also, a heating furnace used in the case of batch rolling may be used.

또한, 주조기(11)와 유지로(12)의 사이에는 시어(shearing machine;18)가, 그리고 조압연기(14)의 뒤에는 시어(19)가 배치되고, 마무리 압연기(15)의 뒤에는 스트립 시어(strip shearing machine;20)가 배치되어 있다.A shearing machine 18 is disposed between the casting machine 11 and the holding furnace 12 and a shear 19 is disposed behind the roughing machine 14. A strip sheer a strip shearing machine 20 is disposed.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주조기의 슬래브 냉각 장치 및 슬래브 절단 장치에 있어서의 슬래브 냉각 장치 출측, 슬래브 절단 장치 내 및 슬래브 절단 장치 출측(도 4F), 그리고, 압연 라인의 유지로, 유도로(도 4G), 조압연기(도 4H), 마무리 압연 전의 디스켈링 장치(descaling device)보다 상류측(도 4I), 마무리 압연기 내(도 4J) 및 열연판 반송로 상(도 4K)의 어느 위치에,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함으로써, 실조업에 있어서의 열원의 온도 변동 등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uch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can be used in a slab cooling apparatus and a slab cutting apparatus of a slab casting machine, such as a slab cooling apparatus exit, a slab cutting apparatus exit and a slab cutting apparatus exit (Fig. 4F) (Fig. 4G), a roughing mill (Fig. 4H), a descaling device before finishing rolling (Fig. 4I), a finishing mill (Fig. 4J) (FIG. 4K)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generate electric power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heat source in the actual operation.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장치(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는, 슬래브 등의 상방에 한정되지 않고 하방에도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개소도 1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소라도 좋다. 또한, 상기 열전 발전 장치는, 수냉 장치(16) 부근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install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rmoelectric gener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ab or the like, but may be provided downwardl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not limited to one location but may be plural site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cooling device 16. [

열전 발전 유닛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슬래브 등에 근접하는 시간이 긴 장소에, 열전 발전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intain a high operation rat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n a place where the time close to the slab or the like is long.

예를 들면, 가열로로부터 나온 슬래브가 조압연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반송 테이블 상(도 3A)에서, 가열시 등에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oxide scale)을 제거하는 디스켈링 장치의 입측 혹은 출측이나, 슬래브의 폭 조정을 행하는 사이징 프레스(size press) 부근, 조압연기 부근(도 3B), 또는 마무리 압연기 전에 조바아가 비교적 장시간 체류하는 마무리 압연 전의 디스켈링 장치보다 상류측(도 3C), 마무리 압연기 내(도 3D), 열연 강대 반송로 상(도 3E) 등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conveying table (FIG. 3A) until the slab from the heating furnace reaches the roughing mill, the ingress or egress of the descaling device, which removes the oxide scale produced on the surface, (Fig. 3B), or in the vicinity of the roughing mill (Fig. 3B)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slab, or upstream of the descaling apparatus before finish rolling in which the coarse bar stays relatively long before the finish rolling (Fig. 3D), a hot rolled steel strip conveying furnace (Fig. 3E), and the like.

또한,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의 경우, 가열로로부터 나온 슬래브가 조압연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반송 테이블 상(도 4G-H 사이)에서, 가열시 등에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켈링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입측 혹은 출측이나, 슬래브의 폭 조정을 행하는 사이징 프레스 부근(도시하지 않음), 조압연기 부근(도 4H), 또는 마무리 압연기 전에 조바아가 비교적 장시간 체류하는 마무리 압연 전의 디스켈링 장치보다 상류측(도 4I), 마무리 압연기 내(도 4J), 열연판 반송로 상(도 4K) 등을 들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line for casting and rolling, the oxide scale generated on the surface during the heating or the like is removed on the transport table (between Figs. 4G and H) until the slab from the heating furnace reaches the roughing mill (Not shown)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slab, a roughing mill near the roughing mill (FIG. 4H), or a finishing mill in which the roughing bar stays relatively long before the finishing mill (Fig. 4I), a finishing mill (Fig. 4J), a hot rolled sheet conveying route (Fig. 4K), and the like are more preferable than the descaling apparatus before rolling.

또한, 마무리 압연기 전의, 조압연기로부터 마무리 압연기에 조바아를 반송하는 사이에는, 조바아의 온도 저하 억제를 위해, 커버로 반송 테이블을 덮는 장소가 있다. 이 커버는, 개폐 가능하고, 온도 저하를 억제하는 경우는 커버를 닫고, 압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커버를 여는 바와 같은 사용 방법이 상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lace to cover the conveyance table with a cover in order to suppress the temperature drop of the bar bar during conveyance of the bar from the roughing mill to the finishing mill before the finishing mill. This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e cover is closed, and when the rolling mill is not used, the cover is opened.

상기의 커버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을 부착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cover.

여기에서의 조바아의 온도는, 대체로 1100℃ 전후이지만, 편측을 냉각하여 발전에 필요한 온도차를 확보하기 위해, 방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열전 유닛의 발전 효율은 효과적으로 향상된다.Here,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bar is approximately 1100 캜, but by installing the heat dissipating means in order to cool the one side and secu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required for the power generation,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unit is effectively improved.

열원인 슬래브 등이 열전 발전 장치와 약간의 공간을 유지하여 통과할 때에는 전기가 발생하고, 열전 발전 장치 근방에 열원이 없을 때에는 열에서 전기로의 변환 효율이 악화되지만, 그러한 경우는, 파워 컨디셔너(power conditioner) 등을 통하여, 계통 전력과 연계시키면, 발생한 전기를 효율 좋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독립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태양광 발전과 동일하게, 축전지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한 전력의 변동을 흡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a slab or the like serving as a heat source passes through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while keeping a small space therebetween. When there is no heat source in the vicinity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heat to the electric furnace is deteriorated. conditioner, etc., the generated electricity can be efficiently used in connection with the grid power. Further, when the solar cell is used 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absorb fluctuations in generated electric power by using a battery as in the case of solar power generation.

또한, 열전 발전 장치의 상류측에 온도계를 설치하고, 이 온도계의 측정값에 따라서,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품 로트(production lot)의 전환 등, 슬래브 등의 온도에 변동 등이 있었던 경우라도, 그 온도 변동 등에 적격하게 대응하여,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열전 발전의 효율이 향상된다.Further, a thermometer can b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can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meter. By having such a functio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fluctuates, such as a change in the production lot, etc., The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상기한 온도계는, 방사 온도계 등의 비접촉형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thermometer is preferably a non-contact type such as a radiation thermometer.

그리고, 슬래브 등의 온도와 가장 열전 발전의 효율이 좋은 거리와의 관계를 미리 구해 두면, 상기의 온도계의 측정값에 따라서, 상기한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그 온도 변동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is good is obtained in adv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etc., .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 등의 사이즈나 품종에 따라서, 미리 열전 발전 유닛의 위치를 설정해 두어도 좋다. 또한, 사이즈나 품종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마다의 출력 전력 실적으로부터, 미리,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위치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마다의 출력 전력 실적으로부터 및/또는, 온도 등으로부터 예측되는 출력 전력 예측으로부터, 사이즈, 품종에 따라서 미리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장소를 설정해도 좋다. 게다가, 설비 도입시에, 열전 발전 유닛과 열원인 슬래브 등과의 거리나,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결정해 두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set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r type of the slab or the like. Furth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set in advance from the output power results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s for each size and type. Furthe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from the output power performance of each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 or the output power prediction predicted from the temperature or the like. Further, at the introduction of the facility,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as the heat source, or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determined.

예를 들면,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 간격을 60㎜로 하고, 슬래브의 사이즈가 폭: 900㎜이고, 온도가 1200℃의 경우는,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또한 슬래브의 사이즈가 폭: 900㎜이고, 온도가 1100℃의 경우는, 상기 거리를 530㎜로 제어하면, 가장 효율이 좋은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terval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60 mm, the size of the slab is 900 mm, and the temperature is 12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720 mm When the slab has a width of 900 mm and a temperature of 1100 캜, controlling the distance to 530 mm enables the most efficien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또한, 상기 열전 발전 모듈 간격에서, 열연 강대나 열연판의 온도가 1000℃인 경우는, 열전 발전 유닛과 열연 강대와의 거리를 280㎜로, 또한 열연 강대의 온도가 950℃의 경우는, 상기 거리를 90㎜로 제어하면, 가장 효율이 좋은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rolled steel strip or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10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and the hot-rolled steel strip is 280 mm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By controlling the distance to 90 mm, the most efficien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강재에서 열전 발전 유닛까지의 거리와, 정격 출력시의 발전 출력비를 1로 한 경우의 발전 출력비와의 관계를,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 간격을 70㎜, 강재의 온도를 850, 900 및 950℃로 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can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steel material to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power generation output ratio when the power generation output ratio at the rated output is 1 is set to 70 mm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 900 ° C and 950 ° C, respectively.

상기 게재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를 구함으로써,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강재와 열전 발전 유닛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강재 대신에 열원을 슬래브 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이 커지도록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조정한다. 그 때, 실측 출력을 이용해도 좋고, 슬래브 등의 온도 등으로부터 예측되는 출력값을 이용해도 좋다.5,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ource is made of a slab or the like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steel materi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is adjusted so that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becomes large. At that time, actual output may be used, or an output value predicted from the temperature of a slab or the like may be used.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은, 정격 출력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열전 소자가 부서지지 않도록, 열전 발전 유닛의 내열 온도 상한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내열 상한을 고려한 경우는, 발전 출력비의 목표를 적절하게 낮출 수 있지만, 0.7 정도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o be a rated output.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t the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limit of the heat resistanc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not broken. When the upper limit of the heat resistanc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output ratio can be appropriately lower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generation output ratio is set to about 0.7.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전 발전 유닛(1)을, 열원(2)의 온도나, 온도 분포, 형태 계수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보다 저온부에서 근접시켜 설치한 열전 발전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에 대하여 저온부에서는 근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1 is installed close to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2,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form factor and / It is preferable to use on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is,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w temperatur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이러한 장치는, 특히, 온도의 변경이 그다지 없는 연속 라인에 적합하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슬래브 등의 폭 방향(슬래브 등의 진행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온도 분포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미리 측정하고, 상기의 거리에 반영함으로써, 단순히 평탄하게 열전 발전 유닛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 열전 발전 유닛의 발전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Such a device is particularly suited for continuous lines with little temperature change. This means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re measured in advance and reflected on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예를 들면, 도 1의 중앙 부분은, 열원이 온도: 1200℃의 슬래브나 조바아의 경우, 유닛과의 거리를 720㎜로 하여, 단부분(end portion)의 거리를 640㎜로 제어하고, 또한, 열원이 온도: 1000℃의 열연 강대의 경우, 유닛과의 거리를 280㎜로 하여, 단부분의 거리를 200㎜로 제어하면, 효율 좋게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enter portion of Fig. 1, the distance from the unit to the unit is 720 mm, the distance of the end portion is controlled to 640 mm in the case of a slab or a bar bar having a temperature of 1200 캜, Further, in the case of a hot-rolled steel strip having a temperature of 1000 ° C as the heat sourc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setting the distance from the unit to 280 mm and controlling the distance of the end portion to 200 mm.

여기에서, 폭 방향의 온도 분포는, 슬래브 등의 판단(板端)으로부터 판두께의 2배 정도의 위치에서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거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슬래브 등의 단부로서, 상기의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은, 당해 부분을 이동시키는 전력에 대하여, 얻어지는 전력이 적다는 결과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He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often lowered abruptly at a position about twice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judgment (plate edg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istance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 position as the end portion of the slab or the like is likely to result in a small amount of power obtained for the power for moving the portion.

통상, 슬래브 등의 단부는 온도가 낮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개소의 형상을, 타원을 반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열원을 감싸는 효과가 있고, 열류(heat flow)의 거동이 변화하기 때문에 보온 효과가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고, 그 결과, 열에너지의 회수 효과가 우수한 열전 발전 장치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slab or the like has a low temperature and 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can be shaped like an ellipse, And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excellent in the warming effect because the behavior of the heat flow is changed. As a resul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having the excellent heat energy recovery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이 실시 형태에 대하여,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을 추가로 부가하면, 실조업에 있어서의 열원의 온도 변동 등이 있었던 경우라도, 적절하게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하고, 한층 효율 좋게 발전할 수 있는 열전 발전 장치로 할 수 있다.Further, with this embodiment, when a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is additionally provided, even if there is a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heat source in the actual operation, The distance can be controll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n be develop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장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 밀도(arrangement density)를,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저온부에 대하여 고온부를 조밀하게 배치하거나 할 수 있다.6,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set to a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can be densely arranged.

이러한 장치도 또한, 온도의 변경이 그다지 없는 연속 라인에 적합하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슬래브 등의 폭 방향(슬래브 등의 진행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온도 분포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미리 측정하고, 상기한 배치 밀도에 반영함으로써, 단순히 일정 간격으로 열전 발전 유닛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 열전 발전 유닛의 발전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Such a device is also suitable for continuous lines with very little temperature change. This means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re measured in advance and reflected in the above arrangement density, This is becau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can be optim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ower generator unit is installed.

상기 배치 밀도를 변경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슬래브 등의 직상부(直上部)(중앙 부분), 즉 고온부에 있어서는,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슬래브 등의 단부분, 즉 저온부에 있어서는, 폭 방향의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성기게 배치하면, 개개의 열전 발전 유닛의 발전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 열전 발전 장치로 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of changing the arrangement density, thermoelectric modules in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re densely arranged in a straight upper portion (central portion) of a slab or the like, that is, in a high temperature portion, In this case,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arranged to effectively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individual thermoelectric generators.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열원이 온도: 1200℃의 슬래브나 조바아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나 조바아와의 거리를 640㎜로 하고, 유닛 중앙 부분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55㎜ 간격으로, 단부분은 60㎜ 간격으로 하고, 또한, 열원이 온도: 1000℃의 열연 강대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열연 강대와의 거리를 280㎜로 하고, 유닛 중앙 부분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60㎜ 간격으로, 단부분은 63㎜ 간격으로 하면, 효율 좋게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재된 도 5에 나타낸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 간격을 파라미터로서,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조사하고, 조사한 결과를, 본 발명의 열전 발전 모듈 간격 설정 데이터로서 이용해도 좋다.For example, in Fig. 6, when the heat source is a slab or a bar having a temperature of 1200 DEG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bar is 640 mm,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center of the un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the hot-rolled steel strip was 28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at the center of the unit and the hot-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60 mm and the end portion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63 mm,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Furthe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may be inspected with the interval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shown in FIG. 5 shown above as a parameter, an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may be used a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interval setting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는,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소밀하게(varied in density) 해도 좋고, 유닛 자체를 소밀하게 설치해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unit may be varied in density, or the unit itself may be arranged in a compact manner.

또한, 상기 배치 밀도의 변경은, 특히, 슬래브 등의 상방향에 설비의 설치 여유가 없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도,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을 추가로 부가하면, 실조업에 있어서의 열원의 온도 변동 등이 있었던 경우에, 적절하게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하고, 한층 효율 좋게 발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hange in the arrangement density is suitable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facility installation margin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This embodiment can also be realized by adding a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는, 슬래브 등의 온도에 대응하여 열전 발전 유닛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열전 발전 모듈의 소밀도(density)를 변경하거나 하는 경우가 포함되지만, 열전 발전 유닛을 초기 위치에 설치했을 때 등에, 유닛 간의 출력차가 있었던 경우, 출력이 작은 유닛을 출력이 커지도록 움직이는, 즉, 슬래브 등에 대하여 근접하게 설치한다는 대응도 포함된다. 또한, 온도에 따른다는 것은, 단순히 슬래브 등의 온도를 기준으로 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 등의 온도 분포나 형태 계수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or the density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is changed.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installed at an initial position, there is a correspondence that, when there is an output difference between the units, the unit with a small output is moved so as to increase the output, that is, close to the slab or the like. The temperature dependence can be based not only on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but also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form factor of the slab.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장치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열을 집약하는 열 반사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 중, 21은 열 반사재이다. 이러한 열 반사재를 이용함으로써, 개개의 열전 발전 유닛에 대한 집열 효과가 높아지고, 효율이 좋은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reflecting material for collecting heat.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heat reflecting material. By using such a heat reflecting material, the heat collecting effect for each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enhanced, and efficien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열 반사재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등 (열원(2))의 양편(도면 중, 슬래브 등의 진행 방향은, 도면 안쪽에서 앞쪽임)에, 설치하는 것이 집열 효율의 점에서 바람직하다.7 (A),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ab or the like (the heat source 2) (in the draw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lab or the like is the front side in the drawing) .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 반사재의 형상은, 평면이나, 곡면, 또한 V자나 U자의 단면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열 반사재는 평면∼오목면을 갖는 것이 좋지만, 오목면의 열 반사재로의 입사각에 의해 초점에 있어서의 수차(aberration)가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의 입사각에 대하여 가장 수차가 적어지도록 최적인 열 반사재 형상(곡률)을 가지도록, 하나의 열 반사재 또는 복수의 열 반사재 면군(a group of plurality of heat reflector surfaces)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ane, a curved surface, or a V-shaped or U-shaped cross-section.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preferably has a flat surface to a concave surface. However, since the aberration at the focal point varies depending on the incident angle of the concave surface to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heat reflector or a plurality of heat reflecting reflector surfaces so as to have a reflector shape (curvature).

이 실시 형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유닛의 임의의 개소에 집열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장치의 설치 유도가 한층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since heat can be collected at an arbitrary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further improved as described below.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유닛에 밸런스 좋게 열을 모음으로써, 열전 발전 유닛을 종래 공지의 설치 위치로 한 열전 발전 장치를 이용해도, 개개의 열전 발전 유닛의 발전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개소에 집약한 열에너지를, 열전 발전 유닛에 조사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이점은,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나, 대면적의 열전 발전 유닛이 입수되지 않는 경우, 열전 발전 유닛을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 등이라도, 열 반사재(21)를 적절하게 움직임으로써 효율이 좋은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는 데에 있다. 또한, 열 반사재(21)는, 구동부를 설치하고, 외부 신호에 의해 각도를 바꿈으로써, 상기의 집열 개소를 변경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even when a thermoelectric gen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s a conventionally known installation position is used by collecting heat in a well-balanced manner to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Efficiency can be optimized. Further, as shown in Fig. 7 (B), it is possible to irradiat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ith the heat energy concentrated at an arbitrary point. The advantage of this embodiment is that even whe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limited, when a large-are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not available, or wh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can not be moved up and down, )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can be appropriately moved to perform efficien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Further,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21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section, and by changing an angle by an external signal, the above-mentioned heat collecting portion can be changed.

또한, 열 반사재(21)의 설치 장소는, 상기 게재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슬래브 등의 양 사이드를 생각할 수 있지만,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슬래브 등의 하부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7 (A) and 7 (B),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21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such as a slab. Howev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t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 반사재로서는, 열에너지(적외선)를 반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규정은 없고, 경면(鏡面) 마무리를 한 철 등의 금속이나 내열 타일 등에 주석 도금을 행한 것 등, 설치 장소, 물품의 조달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The heat reflecting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reflecting heat energy (infrared rays). Examples of the heat reflecting material include a metal such as iron having a mirror finish and tin plating on a heat- , The procurement cost of the goods, and the like.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열전 발전 유닛이란, 유닛 자신의 거리 설정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열 반사재의 거리나 각도의 변경을 행한 유닛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not only the distance of the unit itself but also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thermal reflector, .

도 8(A) 및 도 8(B)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예를 나타낸다.8 (A) and 8 (B) show examples of the install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 발전 유닛은,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등 (열원(2))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 slab or the like (heat source 2) as shown in Figs. 8 (A) and 8 (B).

또한, 도 8(A)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장치는, 적어도 1개소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8 (A),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t least one opening.

본 발명에서, 슬래브 등의 측면이나 하면에 열전 발전 유닛을 설치하는 경우는, 슬래브 등에서의 열에 의한 대류 영향으로부터, 열전 발전 장치와 슬래브 등과의 거리: ds를, 그 상면의 거리: du와 비교하여, ds≤du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or the like, the distance ds from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o the slab or the like is compared with the distance du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from the influence of convection caused by heat in the slab or the like , and ds ≤ du.

따라서, 도면 중 예시한, 거리: a 및 c는, 전술한 거리: du에 상당하는 것이라고 하면, 거리: b 및 d는, 전술한 거리: ds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또한, 도면 중 동일한 기호로 나타낸 b는, 각각이 상이한 거리라도 좋지만, 각각의 거리가 상기 du 및 ds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distances a and c exemplified in the figure correspond to the above-mentioned distance: du, distances b and d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distance ds. In the drawings, the same symbol b may be a different distance,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respective distances satisfy the relationship du and d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원과 열전 발전 유닛과의 거리를, 동일 장치 내라도,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even in the same apparatus.

열전 발전 유닛을 전체면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열원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도록 판(보온판)을 설치하면, 효율적인 열전 발전을 행할 수 있다. 보온판의 재질은, 철이나 인코넬(Inconel) 등의 금속(합금)이나 세라믹스 등, 일반적으로 고온물의 보온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치 장소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판의 방사율은 작은 것으로 하고, 열원으로부터의 방사열이, 판에 흡수되는 것을 저감하여, 열전 발전 유닛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is not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efficient heat genera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plate (insulating plate) so as not to radiate the heat of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as a heat insulating plate of a high temperature material such as iron or Inconel (metal alloy) or ceramics and is capable of withstanding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pl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emissivity is small so that the radiated heat from the heat source is absorbed by the plate and is directed towar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본 발명은, 열전 발전 유닛의 일체 이동을 행하는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이동 수단에 의해,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 등과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거리 제어는, 파워 실린더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thermoelectric power unit in one piece. By this moving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or the like can be controlled. The distance control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power cylinder.

상기의 이동하는 수단으로서는, 열전 발전 유닛을 일체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도, 특별히 문제는 없어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oving means include thos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can be moved up and down integrally. In addition, even if it can move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and can be used.

또한, 온도 변동이 적은 곳에서는, 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열전 발전 유닛 등을, 철판에 볼트로 고정하고, 열전 발전 유닛의 이동시에는, 당해 볼트를 느슨하게 하여 적절하게 이동시키고, 재차, 당해 볼트로 고정하는 등의 수단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열전 발전 유닛을 갖는 열전 발전 장치로 해도 좋고, 이와 같이 복수의 열전 발전 유닛을 갖는 경우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발전 유닛에 이동 수단을 갖고 있으면 좋다.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in a place where the temperature fluctuation is small, for example,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r the like is fixed to an iron plate by a bolt. Wh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moved, the bolt is loosened,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means such as fixing with a bolt again.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electric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generators may be used. In the case of hav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generators in this way, at least one thermoelectric generator may have a moving means.

또한, 제조 개시 또는 종료시 등의 비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슬래브 등의 높이 변동 등에 기인하는 장치의 파손을 막기 위해, 발전 영역으로부터 비발전 영역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재차 발전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Further, in an abnormal state such as at the start or end of manufacturing,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apparatus due to height fluctuation of the slab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the power generation region to the retreat position of the non- .

본 발명에서는, 열전 발전 유닛의 거리의 조정, 또는 온도계를 동작시키기 위해, 열전 발전 장치에 의해 변환된 전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해도 좋다. 열전 발전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과, 열전 발전 유닛을 가동시키는 소비 전력을, 각각 예측하는 전력 예측 수단을 구비하고, 생성 전력과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열전 발전 유닛을 가동시킬지, 시키지 않을지를 판단하는 가동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ome or all of the power converted b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ay be used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r to operate the thermometer. And a power predicting means for predic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 power consumed for operating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respectively, and judging whether or not to activate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based on the generated power and the power consumption And an operation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ault.

즉, 생성되는 전력 예측에 의해, 열전 발전 유닛을 가동시키는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작다고 예측되는 경우는, 열전 발전 유닛을 동작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한, 열전 소자의 내열 온도를 초과하는 것이 예측되는 경우는, 열전 발전 유닛을, 적어도 내열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퇴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smaller than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by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predic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may not be operated. Further,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heat-resistant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exceeded, it is preferable to retrac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until at least the heat-resistant temperature is reached.

또한, 상기 가동 판단 수단은,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발전 영역에서 비발전 영역으로의 이동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judging means can judge whether or not to move from the power generating region to the non-generating reg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상기한 각각의 실시 형태는, 각각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의 변경만으로 최적인 열전 발전 효율을 얻으려고 하면, 극단적으로 큰 곡률의 타원호 형상의 설치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등에는, 열 반사재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를 조합하여, 그 곡률을 느슨하게 할 수도 있다.The respectiv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rbitrarily combi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obtain an optimum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nly by changing the distance, in a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lliptical arc shape with an extremely large curvature, an embodiment using a heat reflecting material is combined, It may be loose.

물론, 본 발명은, 모든 실시 형태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the functions of all embodiment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방법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브를 조압연하여 조바아로 하는 조압연기와, 조바아를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 강대로 하는 마무리 압연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에 있어서, 조압연기 앞에서 마무리 압연기를 거쳐 열연 강대 반송로까지의 어느 위치에,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열전 발전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거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래브 주조기 및, 압연 라인을 구비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에 있어서, 슬래브 주조기의 슬래브 냉각 장치 및, 슬래브 절단 장치에 있어서의 슬래브 냉각 장치 출측, 슬래브 절단 장치 내 및 슬래브 절단 장치 출측, 그리고, 압연 라인의 유지로, 유도로, 압연기 및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의 유지로의 앞, 유지로의 뒤, 유도로의 앞, 유도로의 뒤, 압연기의 앞, 압연기의 뒤, 롤러 테이블 상 및 롤러 테이블 사이의 어느 위치에, 슬래브 등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열전 발전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거나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hot rolling equipment heat treatment furnace having a roughing mill in which a slab is roughly rolled into a rough bar and a finishing mill in which the hot-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stalled at any position from the front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the hot rolling belt conveying path via the finishing rolling mill and at the temperature of the slab or the lik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may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cooling apparatus for a slab casting machine, a slab cooling apparatus for slab cooling apparatus, a slab cooling apparatus for slab cooling apparatus, a slab cutting apparatus, and a rolling apparatus, In front of a holding furnace in an induction furnace, a rolling mill and a roller table, behind a holding furnace, in front of an induction furnace,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rolling mill, after the rolling mill, to any position between the roller table and the roller table, line by using a thermal developing apparatus install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 or the output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of the slab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 방법은,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거나, 열 반사재를 구비하도록 한 열전 발전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 그 때, 전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열전 발전 장치를 아울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가동 판단 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안정적인 라인 조업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Further, as shown in Figs. 1 and 6 to 8,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mode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r us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equipped with a heat reflecting material. ,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embodiments can be used as well. Particularly, the use of the operation judgment means effectively works for stable line opera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도 2에 기재된 구성의 열전 발전 유닛으로서, 1㎡의 면적을 갖는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발명예 1로서, 열간 슬래브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열간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열간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 상기 거리를 530㎜로, 각각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1은, 발명예 1과 동일한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720㎜로 고정했다. 또한, 열간 슬래브(이하, 단순히 슬래브라고 함)는 폭: 900㎜, 두께: 250㎜로 했다.2,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having an area of 1 m < 2 > was used.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1, when the hot slab temperature was 1200 DEG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the hot slab was 720 mm , And when the hot slab temperature was 1100 DEG C,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530 mm.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sam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s in Inventive Example 1 was used and the distance was fixed at 720 mm. The hot slab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lab) has a width of 900 mm and a thickness of 250 mm.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슬래브 온도로 한 경우는, 강판의 중앙 부분의 온도를 의미함)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3에 기재된 장치의 설치 장소 A에 있어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performed for 0.5 hours at the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t the slab temperature of 1100 ° C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simply referred to as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plat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installation place A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그 결과, 발명예 1에서는, 5㎾의 발전을 할 수 있던 것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슬래브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발전량이 저하되어, 2㎾의 발전량이 되었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 it was possible to generate 5 kW,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 when the slab temperature change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decreased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2][Example 2]

발명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중앙 부분은,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그 외, 폭 단부(슬래브의 폭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대략 80㎜ 이내의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단순히 폭 단부라고 한 경우는, 그 범위를 의미함)는 그 거리를 640㎜로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is used. In the central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720 mm,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width end, means the range), the distance is controlled to 640 mm.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2,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mbodiment 1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dispos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2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2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2,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3][Example 3]

발명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640㎜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도 6의 중앙 부분에서 55㎜ 간격으로 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60㎜ 간격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6,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was 640 mm,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was 6 mm, and 55 mm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Fig. 6, and 60 mm apart from the width end por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3,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xample 1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was simply dispos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3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3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3,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4][Example 4]

발명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7(A)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하여, 추가로 열을 집약하는 열 반사재를 설치했다. 한편,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fourth embodiment,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as used to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A),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provided in a planar manner to further heat-collect the heat.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4,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mbodiment 1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placed in a plane.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4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4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4,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maintained.

[실시예 5][Example 5]

발명예 5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슬래브의 바로 위에 있어서의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하고, 상기 온도가 1100℃의 경우, 그 거리를 530㎜로 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상기 거리를, 각각, 640㎜, 43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5,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mbodiment 1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immediately above the slab was 12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was 720 mm, ° C., the distance was set to 530 mm. Further, at the edg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distances were controlled to be 640 mm and 430 mm,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상기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5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the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s and at the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s, in Example 5,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6][Example 6]

발명예 6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에서는 55㎜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60㎜ 간격으로 했다. 또한, 슬래브 온도가 1200℃의 경우,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640㎜로, 또한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는, 그 거리를 43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6,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of the same size as in Example 1 were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central portion, 60 mm intervals.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12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and the slab was controlled to 640 mm, and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1100 ° C,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430 mm.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6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 slab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 in Example 6,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7][Example 7]

발명예 7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슬래브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580㎜로,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 그 거리를 35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를, 각각, 540㎜, 300㎜로 제어했다. 게다가,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은 52㎜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55㎜ 간격으로 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ventive example 7 uses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hen the slab temperature is 12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580 mm. When the slab temperature is 1100 占 폚, Was controlled to 350 mm. The distances at the end portion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controlled to 540 mm and 300 m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2 mm at the center portion an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width end portions.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7에서는, 7㎾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 slab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 in Example 7,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7 kW was realized.

[실시예 8][Example 8]

발명예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조바아 온도가 950℃의 경우, 상기 거리를 90㎜로, 각각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5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280㎜로 고정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8,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bar was 10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furnace bar was 280 mm, , And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distance was fixed at 280 mm by using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3에 기재된 장치의 설치 장소 C에 있어서 실시했다. 또한, 조바아는, 폭: 900㎜, 두께: 40㎜로 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95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UBAR,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installation site C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The width of the bar was 900 mm and the thickness was 40 mm.

그 결과, 발명예 8에서는, 5㎾의 발전을 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하여, 비교예 5에서는, 조바아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발전량이 저하되고, 2㎾의 발전량이 되었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8, it was possible to generate 5 kW,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power generation amount decreased when the crude bar temperature changed,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9][Example 9]

발명예 9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중앙 부분은,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그 외, 강재 폭 단부(조바아의 폭 단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대략 80㎜ 이내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하, 단순히 강재 폭 단부라고 한 경우는, 동일한 범위를 의미함)는 그 거리를 200㎜로 제어한 한편, 비교예 6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9,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 was used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was us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jar was 280 mm, (The range is approximately 80 mm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end face of the rough ba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steel width end means the same range), the distance is controlled to be 200 mm,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as simply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install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9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6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9,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6,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10][Example 10]

발명예 10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00㎜로,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도 6의 중앙 부분에서 58㎜ 간격으로 하고, 그 외, 강재 폭 단부에서 60㎜ 간격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 7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고,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6,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and the bar bar was set to 200 mm,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was set to be 200 mm.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of Example 1, , 58 mm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Fig. 6, and 60 mm apart from the end of the steel material width.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7,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mbodiment 1 was used, and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installed in a planar manner using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10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7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0,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7,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maintained.

[실시예 11][Example 11]

발명예 1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7(A)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하고, 추가로 열을 집약하는 열 반사재를 설치했다. 한편, 비교예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eleventh embodiment,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as used to hav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A),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provided in a planar manner and a heat reflecting material for further heat gathering wa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8,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mbodiment 1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was simply placed in a plane.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11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8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1,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8,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12][Example 12]

발명예 1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의 바로 위에 있어서의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상기 온도가 950℃의 경우, 그 거리를 9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상기 거리를, 각각, 200㎜, 4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12,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immediately above the bar was 10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bar was 280 mm, In the case of 950 占 폚,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Further, at the edge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distances were controlled to 200 mm and 40 mm,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12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conductin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95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rbax, in Example 12,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13][Example 13]

발명예 1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에서는 58㎜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강재 폭 단부에서는 60㎜ 간격 배치로 하고, 또한,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00㎜로, 또한 조바아 온도가 950℃의 경우는, 그 거리를 4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6, the thermoelectric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were disposed at intervals of 58 mm in the central portion, and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and the bar bar was controlled to be 200 mm when the bar bar temperature was 1000 DEG C and the distance was set to 40 mm when the bar bar temperature was 950 DEG C .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13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conductin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95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rbacher, in Example 13,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14][Example 14]

발명예 1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100㎜로, 조바아 온도가 1050℃의 경우, 그 거리를 9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를, 각각, 90㎜, 80㎜로 제어했다. 게다가,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중앙 부분은 55㎜ 간격으로 배치하고, 강재 폭 단부는 58㎜ 간격으로 배치하고, 조바아 온도가 1050℃의 경우, 중앙 부분은 50㎜ 간격으로 배치하고, 강재 폭 단부는 52㎜ 간격으로 배치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8과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14,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bar bar was 100 mm, , And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The distances at the end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controlled to be 90 mm and 80 mm, respectively. Furthe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central portion and 58 mm apart at the steel material end portion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00 占 폚.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50 占 폚, The center portion was arranged at intervals of 50 mm, and the steel width end portion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2 mm. The present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10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14에서는, 7㎾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conductin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1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UBAR, in Example 14, 7 kW of electric power was generated.

[실시예 15][Example 15]

도 2에 기재된 구성의 열전 발전 유닛으로서, 1㎡의 면적을 갖는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발명예 15로서, 열간 슬래브(이하, 단순히 슬래브라고 함)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 상기 거리를 530㎜로, 각각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9는, 발명예 15와 동일한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720㎜로 고정했다. 또한, 슬래브는 폭: 900㎜, 두께: 250㎜로 했다.2, when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having an area of 1 m 2 is u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slab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lab) is 1200 ° C. as the description 15,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he distance to the slab was 720 mm, and the distance was 530 mm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1100 ° C.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9, the sam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s in Inventive Example 15 was used and the distance was fixed at 720 mm. The slab was 900 mm wide and 250 mm thick.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슬래브 온도라고 한 경우는, 슬래브의 중앙 부분의 온도를 의미함)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4에 기재된 장치의 설치 장소 F에 있어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performed for 0.5 hour at the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t the slab temperature of 1100 ° C (in the present embodiment, simply referred to as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ab if the slab temperature was simply referr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installation site F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그 결과, 발명예 15에서는, 5㎾의 발전을 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하여, 비교예 9에서는, 슬래브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발전량이 저하되어, 2㎾의 발전량이 되었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5, the power generation of 5 kW was possible,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9, the power generation amount decreased when the slab temperature changed,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obtained.

[실시예 16][Example 16]

발명예 16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중앙 부분은,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그 외, 폭 단부(슬래브의 폭 단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대략 80㎜ 이내의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단순히 폭 단부라고 한 경우는, 그 범위를 의미함)는 그 거리를 640㎜로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10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16th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15th embodiment is used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is used. In the central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720 mm,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end to the widthwise direc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width end, means the range), the distance is controlled to 640 mm.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0,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placed in a plane.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16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0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6,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0,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17][Example 17]

발명예 17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도 6의 중앙 부분에서 55㎜ 간격으로 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60㎜ 간격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 11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seventeenth preferred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re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55 mm in the central portion of FIG. 6, And 60 mm intervals at the end of the width.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1,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was simply dispos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17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1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7,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1,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maintained.

[실시예 18][Example 18]

발명예 18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7(A)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하고, 추가로 열을 집약하는 열 반사재를 설치했다. 한편, 비교예 12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18th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15th embodiment was used to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A),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was provided in a planar manner and a heat reflecting material for further heat gathering wa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2,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disposed in a plane.

각각,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Each of them was subjected to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DEG C for 1 hour.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18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2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18,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12,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maintained.

[실시예 19][Example 19]

발명예 19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슬래브의 바로 위에 있어서의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720㎜로 하고, 상기 온도가 1100℃의 경우, 그 거리를 530㎜로 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상기 거리를, 각각, 640㎜, 43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ventive Example 19 uses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Embodiment 15 and assum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720 mm when the temperature immediately above the slab is 1200 ° C and the temperature is 1100 ° C., the distance was set to 530 mm. Further, at the edge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distances were controlled to be 640 mm and 430 mm,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상기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상기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19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the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s and the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s, in Example 19, 6 kW of power generation was realized.

[실시예 20][Example 20]

발명예 20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에서는 55㎜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60㎜ 간격으로 했다. 또한, 슬래브 온도가 1200℃의 경우,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640㎜로, 또한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는, 그 거리를 43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0,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s of the same size as in Example 15 were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central portion, 60 mm intervals.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12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and the slab was controlled to 640 mm, and when the slab temperature was 1100 ° C,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430 mm.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20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 slab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 in Inventive Example 20,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21][Example 21]

발명예 21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슬래브 온도가 12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슬래브와의 거리를 580㎜로, 슬래브 온도가 1100℃의 경우, 그 거리를 35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를, 각각, 540㎜, 300㎜로 제어했다. 게다가,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은 52㎜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폭 단부에서 55㎜ 간격으로 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슬래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1,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5 is used. When the slab temperature is 12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slab is 580 mm. When the slab temperature is 1100 ° C, Was controlled to 350 mm. The distances at the end portion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controlled to 540 mm and 300 m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2 mm at the center portion an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width end portions.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place using the slab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슬래브 온도가 1200℃에서 0.5시간, 슬래브 온도가 110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21에서는, 7㎾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slab temperature of 1200 ° C for 0.5 hour and a slab temperature of 1100 ° C for 0.5 hour, in Inventive Example 21,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7 kW was realized.

[실시예 22][Example 22]

발명예 22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조바아 온도가 950℃의 경우, 상기 거리를 90㎜로, 각각 제어했다. 한편, 비교예 13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280㎜로 고정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2,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5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bar bar was 280 mm, , And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3, the distance was fixed at 280 mm by us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5.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4에 기재된 장치의 설치 장소 H에 있어서 실시했다. 또한, 조바아는, 폭: 900㎜, 두께: 40㎜로 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95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UBAR,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at the installation place H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The width of the bar was 900 mm and the thickness was 40 mm.

그 결과, 발명예 22에서는, 5㎾의 발전을 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하여, 비교예 13에서는, 조바아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발전량이 저하되고, 2㎾의 발전량이 되었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22, 5 kW of power could be generated,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3, the power generation amount decreased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genera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arse bar was changed.

[실시예 23][Example 23]

발명예 23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중앙 부분은,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그 외, 강재 폭 단부(조바아의 폭 단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대략 80㎜ 이내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하, 단순히 강재 폭 단부라고 한 경우는, 동일한 범위를 의미함)는 그 거리를 200㎜로 제어한 한편, 비교예 14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inventive example 23,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is used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is used. In the central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oughing bar is 280 mm, (The range is approximately 80 mm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width end face of the rough bar. Hereinafter, when the steel width end portion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steel width end portion, the same range) means that the distance is controlled to 200 mm,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install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23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4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23,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4,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was 2 kW.

[실시예 24][Example 24]

발명예 24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의 배치를, 도 6의 중앙 부분에서 58㎜ 간격으로 하고, 그 외, 강재 폭 단부로 60㎜ 간격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 15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6,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was 58 mm at the center of Fig. 6,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Except for the width of the steel material at the width of 60 mm.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5,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simply install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24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5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Inventive Example 24,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ile in Comparative Example 15,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2 kW was maintained.

[실시예 25][Example 25]

발명예 25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7(A)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하고, 추가로 열을 집약하는 열 반사재를 설치했다. 한편, 비교예 16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단순히 열전 발전 유닛을 평면적으로 설치했다.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5,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to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A),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as provided in a planar manner and further heat reflecting material for collecting heat wa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6,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fteenth embodiment was used,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was simply installed in a planar manner.

각각,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1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1 hour at a bar-bar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그 결과, 발명예 25에서는, 5㎾의 발전량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비교예 16에서는, 2㎾의 발전량에 머물렀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5,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5 kW was achieved, whereas in the comparison example 16, the power generation amount was 2 kW.

[실시예 26][Example 26]

발명예 26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의 바로 위에 있어서의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80㎜로, 상기 온도가 950℃의 경우, 그 거리를 9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상기 거리를, 각각, 200㎜, 4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Example 26, the thermoelectric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Example 15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immediately above the bar was 1000 ° C,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 bar was 280 mm, In the case of 950 占 폚,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Further, at the edge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the distances were controlled to 200 mm and 40 mm, respectively.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26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0 bar and a temperature of 950 deg. C for 0.5 hour and 0.5 bar, respectively. As a result, in Example 26,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6 kW was realized.

[실시예 27][Example 27]

발명예 27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중앙 부분에서는 58㎜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외, 강재 폭 단부에서는 60㎜ 간격 배치로 하고, 또한,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200㎜로, 또한 조바아 온도가 950℃의 경우는, 그 거리를 40㎜로 제어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27th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of the same size as thos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are used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58 mm in the central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and the bar bar was controlled to be 200 mm when the bar bar temperature was 1000 DEG C and the distance was set to 40 mm when the bar bar temperature was 950 DEG C .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9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27에서는, 6㎾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95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UBAR, in Example 27, 6 kW of electric power was generated.

[실시예 28][Example 28]

발명예 28은, 실시예 15와 동일한 크기의 열전 발전 유닛을 이용하여,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열전 발전 유닛과 조바아와의 거리를 100㎜로, 조바아 온도가 1050℃의 경우, 그 거리를 90㎜로 제어했다. 또한, 열전 발전 유닛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를, 각각, 90㎜, 80㎜로 제어했다. 게다가,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조바아 온도가 1000℃의 경우, 중앙 부분은 55㎜ 간격으로 배치하고, 강재 폭 단부는 58㎜ 간격으로 배치하고, 조바아 온도가 1050℃의 경우, 중앙 부분은 50㎜ 간격으로 배치하고, 강재 폭 단부는 52㎜ 간격으로 배치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크기의 조바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했다.In the case of Example 28,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the same size as in Example 15 was us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00 占 폚,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bar bar was 100 mm, , And the distance was controlled to 90 mm. The distances at the ends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controlled to be 90 mm and 80 mm, respectively. Furthe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modules 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5 mm at the central portion and 58 mm apart at the steel material end portion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00 占 폚.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r bar was 1050 占 폚, The center portion was arranged at intervals of 50 mm, and the steel width end portions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52 mm. The present embod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lace using a rough bar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조바아 온도가 1000℃에서 0.5시간, 조바아 온도가 1050℃에서 0.5시간의 열전 발전을 행한 결과, 발명예 28에서는, 7㎾의 발전량을 실현했다.As a result of conductin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C for 0.5 hour and a temperature of 10 ° C for 0.5 hour at the temperature of the ZOUBAR, in Example 28, 7 kW of electric power was generated.

상기한 발명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이용한 열간 압연 설비열이나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이 우수한 발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슬래브 및 조바아의 온도나 설치 장소 근방의 온도에 따라서 열전 발전 유닛의 설치 장소 등을 변경했지만, 열연 강대의 온도나, 슬래브 주조기의 슬래브 냉각 장치 출측의 슬래브나, 열연판 등의 다른 열원의 온도나,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 장소나 설치 형태 등을 변경해도, 본 발명에 따르는 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described inventive and comparativ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ot rolling facility hea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 of the steel plate making facility for casting and rolling are excellent.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lab and the rough bar, and the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installation site.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e hot-rolled steel strip and the slab on the slab cooling device exit side of the slab casting machin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as long a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if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installation form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another heat source such as a plate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장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화에 공헌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eat generated from a slab or the like can be effectively converted into electric power, it contributes to energy saving in a manufacturing factory.

1 : 열전 발전 유닛
2 : 열원
3 : 열전 소자
4 : 전극
5 : 열전 발전 모듈
6 : 절연재
7 : 수열 수단(heat receiving means)
8 : 방열 수단
9 : 턴디시(tundish)
10 : 주형
11 : 주조기
12 : 유지로(holding furnace)
13 : 유도로(induction furnace)
14 : 조압연기(rougher)
15 : 마무리 압연기(finisher)
16 : 수냉 장치
17 : 코일러
18, 19 : 시어(shearing machine)
20 : 스트립 시어(strip shearing machine)
21 : 열 반사재
1: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2: heat source
3: Thermoelectric element
4: Electrode
5: Thermoelectric module
6: Insulation material
7: heat receiving means
8: Heat dissipation means
9: Tundish
10: Mold
11: casting machine
12: Holding furnace
13: induction furnace
14: rougher
15: finisher
16: Water cooling device
17: Coiler
18, 19: shearing machine
20: strip shearing machine
21: Heat reflector

Claims (23)

이동하는 열원을 갖는 제철소의 제조 설비열(facility line)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열은, 열전(thermoelectric) 발전 유닛을 갖는 열전 발전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은, 상기 열원에 대치(face)하고, 또한 당해 열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제조 설비열.
In a facility line of a steelworks having a moving heat source,
Wherein said manufacturing facility array comprises a thermoelectric gen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and wherein said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faces said heat source and further comprises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said heat sources and / And the heat of the manufacturing equipment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열이, 가열된 슬래브를 조압연하여(rough-rolling) 조바아(rough bar)로 하는 조압연기와, 조바아를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 강대로 하는 마무리 압연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열로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은, 조압연기 앞에서 열연 강대 반송로에 이르기까지의 어느 위치에서,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에 대치하고, 또한 당해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제조 설비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facturing equipment row is a hot rolling equipment column comprising a roughing mill in which rough slabs are roughly rolled and a rough bar in a heated slab, and a finishing mill in which the hot rolling mill is finely rolled into a hot- ,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from the front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the hot rolled steel strip conveying route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 rolled steel strip, and also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eat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installed along with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에 대하여 저온부에서는 근접하게 설치하는 제조 설비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close to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at a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 rolled steel strip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저온부에 대하여 고온부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제조 설비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densely arranged at a high temperatur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the bar and the hot-rolled coil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측정하여 구한 온도 및/또는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과 당해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와의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 제조 설비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for heating the slab, the rough bar and the hot rolled steel strip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and / or the output obtain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having moving means for controlling a distance to at least one of the steel strips.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열 반사재를 구비하는 제조 설비열.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thermal reflector.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는 제조 설비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shap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at least one of a slab, a bar, and a hot-rolled steel strip.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는, 적어도 1개소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조 설비열.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pening.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열전 발전 유닛의 일체 이동을 행하는 제조 설비열.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Wherein the moving means performs the integral movemen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 비(非)가동을 판단하는 가동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제조 설비열.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judging means for judging, based on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the operation ratio non-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을 이용하여, 슬래브, 조바아 및 열연 강대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수열(受熱)하여 열전 발전을 행하는 열전 발전 방법.A method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in which at least one heat of a slab, a bar, and a hot-rolled steel strip is heat-received (heat-received) by using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2 to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열의 가동 판단 수단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을 제어하는 열전 발전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by using the operation judging means of the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열이, 슬래브 주조기 및, 압연 라인을 구비하는 주조 및 압연을 행하는 강판 제조 설비열로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은, 상기 슬래브 주조기의 슬래브 냉각 장치 및 슬래브 절단 장치에 있어서의, 슬래브 냉각 장치 출측, 슬래브 절단 장치 내 및 슬래브 절단 장치 출측, 그리고, 상기 압연 라인의 유지로(holiding furnace), 유도로(induction furnace), 압연기 및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의 유지로의 앞, 유지로의 뒤, 유도로의 앞, 유도로의 뒤, 압연기의 앞, 압연기의 뒤, 롤러 테이블 상 및 롤러 테이블 사이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슬래브 및/또는 열연판에 대치하고, 또한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설치된 제조 설비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is a steel plate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 for casting and rolling including a slab casting machine and a rolling line,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b cooling apparatus and the slab cutting apparatus of the slab casting machine are arranged such that the slab cooling apparatus output side, the slab cutting apparatus output side, and the slab cutting apparatus output side, and the rolling line holiding furnace, In the induction furnace, in front of the retaining furnace in the rolling mill and roller table, behind the retaining furnace, in front of the induction furnace, behind the induction furnace, in front of the rolling mill, behind the rolling mill, And at least one of the slabs and / or the hot-rolled sheet, and / or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rolled sheet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을,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고온부에 대하여 저온부에서는 근접하게 설치하는 제조 설비열.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close to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at a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 rolled plate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유닛 중의 열전 발전 모듈을,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저온부에 대하여 고온부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제조 설비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is densely arranged at a high temperatur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 temperatur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 rolled plate and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또는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을 측정하여 구한 온도 및/또는 출력에 따라서, 당해 열전 발전 유닛과 당해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와의 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 제조 설비열.
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arrang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rolled sheet and / or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Manufacturing facility columns having mo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열 반사재를 구비하는 제조 설비열.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thermal reflector.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는 제조 설비열.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7,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shaped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slab and the hot-rolled plate.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는, 적어도 1개소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조 설비열.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8,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pening.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열전 발전 유닛의 일체 이동을 행하는 제조 설비열.
2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9,
Wherein the moving means performs the integral movemen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 장치가, 추가로, 상기 열전 발전 유닛의 출력에 따라서,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 비가동을 판단하는 가동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제조 설비열.
2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0,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judging means for judging, based on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 operation ratio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설비열을 이용하여, 슬래브 및 열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수열하여 열전 발전을 행하는 열전 발전 방법.A method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in which at least one heat of a slab and a hot-rolled sheet is subjected to heat generation by using the manufacturing facility heat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13 to 2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열의 가동 판단 수단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 유닛의 가동을 제어하는 열전 발전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unit by using the operation judging means of the manufacturing equipment column.

KR1020157008446A 2012-09-27 2013-09-26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KR1016860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4934 2012-09-27
JPJP-P-2012-214934 2012-09-27
JPJP-P-2012-227418 2012-10-12
JP2012227418 2012-10-12
PCT/JP2013/005747 WO2014050126A1 (en) 2012-09-27 2013-09-26 Production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69A true KR20150053269A (en) 2015-05-15
KR101686038B1 KR101686038B1 (en) 2016-12-13

Family

ID=5038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446A KR101686038B1 (en) 2012-09-27 2013-09-26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5958547B2 (en)
KR (1) KR101686038B1 (en)
CN (2) CN106925611A (en)
IN (1) IN2015DN01327A (en)
TW (2) TWI600869B (en)
WO (1) WO20140501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4373B1 (en) * 2016-10-04 2020-02-26 JFE Steel Corporation Cutting mach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883A (en) 1983-04-21 1984-11-10 Nippon Steel Corp Recovering method of high temperature article surface radiation heat
JPS6034084A (en) 1983-08-05 1985-02-21 Nippon Steel Corp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JPH10296319A (en) 1997-04-25 1998-11-10 Nippon Steel Corp Waste heat utilizing method in cooing floor
JP2006263783A (en) 2005-03-24 2006-10-05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for recovering exhaust heat and cooling bed
JP2008034700A (en) * 2006-07-31 2008-02-14 Ihi Corp Heat treatment device
JP2011062727A (en) 2009-09-17 2011-03-3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Heat recovery device
JP2012039756A (en) * 2010-08-06 2012-02-23 Sintokogio Lt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4850U (en) * 1991-07-12 1992-01-29 李亚平 Thermocouple relay protective electronic ballast
AU3273399A (en) * 1999-02-26 2000-09-14 Giovanni Arvedi In-line continuous cast-rolling process for thin slabs
US6297441B1 (en) * 2000-03-24 2001-10-02 Chris Macris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959555B2 (en) * 2001-02-09 2005-11-01 Bsst Llc High power density thermoelectric systems
JP3704557B2 (en) * 2001-10-29 2005-10-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Sintered body of compound comprising zinc, antimony and cadm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914343B2 (en) * 2001-12-12 2005-07-05 Hi-Z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power from environmental temperature cycles
JP4366114B2 (en) * 2003-05-15 2009-11-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Thermoelectric generator
GB2437996B (en) * 2004-05-19 2009-02-11 Central Res Inst Elect Thermoelectric conversion system and efficiency improving method of thermoelectric conversion system
CN1773190B (en) * 2004-11-12 2010-05-05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Solar energy thermoelectric co-supply system
DE102006040576B4 (en) * 2006-08-30 2009-10-08 Angaris Gmbh Method for producing a thin-film thermogenerator
CN101517765B (en) * 2006-09-28 2011-03-23 罗斯蒙德公司 Industrial thermoelectric assembly and method for recovering waste heat of process system
EP2131406A1 (en) * 2008-06-02 2009-12-09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a wear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garment comprising the same
JP2010200520A (en) * 2009-02-26 2010-09-09 Toshiba Corp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CN101576244B (en) * 2009-06-16 2010-12-01 张戈 Process and device for recovering waste heat from hot rolled steel
JP5523769B2 (en) * 2009-08-28 2014-06-18 株式会社Kelk Thermoelectric module
JP2011176131A (en) * 2010-02-24 2011-09-08 Toshiba Corp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CN201680735U (en) * 2010-04-08 2010-12-22 张淑强 Power generation boiler with steel cooling and waste heat recovery functions during steelmaking and steel rolling process
CN102647117A (en) * 2011-02-22 2012-08-22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Composite power gene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883A (en) 1983-04-21 1984-11-10 Nippon Steel Corp Recovering method of high temperature article surface radiation heat
JPS6034084A (en) 1983-08-05 1985-02-21 Nippon Steel Corp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JPH10296319A (en) 1997-04-25 1998-11-10 Nippon Steel Corp Waste heat utilizing method in cooing floor
JP2006263783A (en) 2005-03-24 2006-10-05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for recovering exhaust heat and cooling bed
JP2008034700A (en) * 2006-07-31 2008-02-14 Ihi Corp Heat treatment device
JP2011062727A (en) 2009-09-17 2011-03-3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Heat recovery device
JP2012039756A (en) * 2010-08-06 2012-02-23 Sintokogio Lt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0126A1 (en) 2014-04-03
TW201423013A (en) 2014-06-16
CN104703720A (en) 2015-06-10
JP2016144830A (en) 2016-08-12
CN106925611A (en) 2017-07-07
TW201706551A (en) 2017-02-16
TWI629443B (en) 2018-07-11
KR101686038B1 (en) 2016-12-13
JP6217776B2 (en) 2017-10-25
JP5958547B2 (en) 2016-08-02
TWI600869B (en) 2017-10-01
CN104703720B (en) 2017-05-24
WO2014050126A8 (en) 2015-01-22
JPWO2014050126A1 (en) 2016-08-22
IN2015DN01327A (en)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698B2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JP5920208B2 (e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991131B2 (en) Forged pipe installation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832697B2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686038B1 (en)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WO2014050127A1 (en) Manufactur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KR101686034B1 (en) Manufacturing facility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JP5958433B2 (en) Steel plate manufacturing equipment row for casting and rolling,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998983B2 (e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957843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JP6011208B2 (en) Hot roll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112154B2 (en) Steelworks manufactur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JP6311805B2 (en) Steelworks manufactur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JP6011221B2 (en) Forged pipe installation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107989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JP6873193B2 (en) Manufacturing equipment line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