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843A -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843A
KR20150051843A KR1020130133857A KR20130133857A KR20150051843A KR 20150051843 A KR20150051843 A KR 20150051843A KR 1020130133857 A KR1020130133857 A KR 1020130133857A KR 20130133857 A KR20130133857 A KR 20130133857A KR 20150051843 A KR20150051843 A KR 2015005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eck
fasten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철
Original Assignee
(주)파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슨텍 filed Critical (주)파슨텍
Priority to KR102013013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843A/ko
Publication of KR2015005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못과 같이 고정되는 면을 훼손하지 않고도 원하는 장비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고정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킷 형태의 결합 부재를 한 쌍으로 하여 양목의 상단과 하단에 마주 배치하고 이들을 나사막대로 관통하여 조여줌으로써 양목에 고정부착시키고, 브라킷 정면부에 CCTV, 또는 각종 센서 등의 물품이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FITTING MEMBER FOR WOODEN CONSTRUCTION}
본 발명은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옥, 고궁, 사찰, 문화재 등의 목조건조물의 벽체나 천정, 서까래 등에 각종 센서, CCTV 등을 설치할 때 필요로 하는 고정 부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옥, 고궁, 사찰, 문화재 등의 목조건조물은 일반적인 시멘트 벽이 아닌 나무벽체나 토벽으로 구성되고, 천정이 높은 편이며 일반 가옥이 아닌 경우, 화려한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목조 고 건축물에 대해 화재감지센서나 CCTV 등을 설치할 경우, 못으로 고정하면 고 건축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나 현재로는 도 1과 같이 못이나 나사못으로 벽체 또는 천정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못과 같은 고정부재는 목조 기둥이나 벽에 낸 구멍을 부식시켜 건물 자체를 훼손함은 물론 고정설비의 안전성도 약화시키며 토벽의 경우 균열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목조건조물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등록특허 10-1118522의 경우,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 부재를 부착하고 부착 부재로부터 뻗어나온 걸이 부재에 물품을 걸어둘 수 있게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물품의 위치 변경 등에 제약을 가져오며, 문화재와 같은 건조물에 대한 훼손의 여지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못과 같이 고정되는 면을 훼손하지 않고도 원하는 장비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고정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2 체의 별도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들이 고정될 구조물의 몸체를 서로 마주하여 감싸게 하고, 2 체의 와이어가 서로 다시 만나는 지점인 와이어 단부에는 와이어들을 한데 고정할 수 있는 나사 또는 못을 포함하고, 와이어 단부에 물품이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체의 와이어를 양목에 돌려 묶어 못으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와 이로부터 구부러진 정면부를 구비한 한 쌍의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를 연결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 중 하나는 양목의 상단에, 다른 하나는 하단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며,
상기 결합 부재의 정면부는 속이 빈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정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나사홀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막대가 양목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결합부재의 정면부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다른 결합부재의 정면부 하단의 나사홀을 통과하여 고정됨으로써 양목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 정면부에는 물품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이 설치 고정되는 면은 와이어 단부이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건조물의 구조물 몸체를 묶듯이 배치됨에 따라 구조물에 못을 박지 않아 구조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물품의 위치 변경 등은 와이어를 묶듯 고정한 나사못을 풀어 와이어를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접착제 등에 의한 고정에 비해 위치 변경이 자유롭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킷 형태의 고정 부재를 적용하여 매우 견고하게 양목에 결합 될 수 있으며, 브라킷 형태의 결합부재의 정면부에 CCTV 등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목조건조물에 필요설비를 못과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통해 필요설비를 고정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통해 필요설비를 고정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목조건축물의 벽체를 가로지르는 양목(500)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CCTV(400)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양목(500)에 못을 박거나 접착제를 바르지 않고 CCTV(400)를 고정하기 위해, 두 개의 별개로 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양목(500)을 묶듯이 설치한다. 즉, 제1 와이어(100)는 양목(500)의 윗부분을 감싸며 양목(500)의 중심부에 그 단부를 두며, 제2 와이어(200)는 양목(500)의 아랫부분을 감싸며 양목(500)의 중심부에 그 단부를 둔다. 각각의 와이어 단부가 서로 만나는 곳에서 와이어 단부들을 하나로 엮어주는 체결부(300)가 존재하며, 상기 체결부(300)는 제1 와이어(100) 단부와 제2 와이어(200) 단부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구멍이나 나사산을 구비한 구멍에 못이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두 개의 와이어를 하나로 묶는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를 양목(500)에 묶듯이 고정하므로 양목(500)은 전혀 훼손되지 않는다. 제1 와이어(100) 또는 제2 와이어(200) 둘 중 어느 한 곳에 물품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50)가 와이어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50)에 CCTV(400) 지지부(170)가 못이나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즉, 못이나 나사 못은 와이어와 고정부에 적용되고 양목(500)에는 적용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CCTV(400)가 고정되는 것으로 기술함은 일례일 뿐, 그 외 화재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다른 물품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화재감지센서(450)가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있다. 여기에서는 제1 와이어(100)와 제2 와이어(200)가 양목(500) 둘레 전체를 충분히 감싸도록 하고 와이어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300)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 부재로 체결하여 와이어를 안정되게 고정한다. 화재감지센서(450)를 부착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에 비해 면적이 좀 더 넓은 별도의 고정부를 제1 와이어(100) 또는 제2 와이어(200) 일단에 형성할 수 있으나, 특별히 면적을 넓히지 않은 와이어 단부 자체를 고정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처럼 제1 와이어(100)의 단부에 브라켓에 고정된 화재감지센서(450)의 브라켓을 체결 부재로 고정할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서는 제1 와이어(100)와 제 2와이어(200)의 체결부(300)는 양목(500) 상단에 두고, 제2 와이어(200)를 양목(500)의 중심부 정도까지 감싸고, 제1와이어(100)의 아래 단부를 충분히 내려 화재감지센서(450)를 여기에 고정하였으며, 이러한 배열은 화재감지센서(450)가 양목(500) 아래 공간에 놓여지므로 공간 효율을 높인다.
또한, 도 3의 우측에서는 제1 와이어(100)와 제2 와이어(200)는 실질상 하나의 동일한 와이어로 구성되며, 와이어로 양목(500) 둘레 전체를 감싸 제2 와이어(200) 단부가 제1 와이어(100)와 양목(500) 저면에서 만나는 지점에서 체결부(300)를 두어 체결 부재로 체결하고, 제1 와이어(100)의 한쪽 단부를 아래로 길게 내려뜨려 화재감지센서(450)를 그 단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화재감지센서(450)의 설치를 좀 더 안정되게 할 수 있다. 고정되는 물체는 화재감지센서 외에 다른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목조건조물에 단턱이 있는 구조체(600)가 있는 경우, 상기 구조체(600) 수평한 턱 부분에 적절한 자중을 갖는 정지 부재(700)를 배치하고, 상기 정지 부재(700)에 체결부(300)를 형성한다. CCTV(400)는 지지부(170)에 나사못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정지 부재(700)에 고정된다. 정지 부재(700)의 하중은 구조체(600)의 위치를 위협하지 않으면서 고정되는 CCTV(400)의 하중을 충분히 안정감 있게 지탱할 수 있는 정도로 선택한다. CCTV외에 다른 센서를 고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지 부재(700)의 하중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정지 부재의 하중은 물품 무게보다 크고 구조체의 모멘텀 보다 작은 모멘텀을 갖는 수준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와이어의 재질은 유연성 내지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US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도 5에는 더욱 바람직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양목(500)에 와이어보다 좀 더 견고한, 브라킷 형태로 된 한 쌍의 결합 부재(800, 850)를 양목(500)의 상단과 하단에 마주하게 끼우고, 양목(500)의 폭에 따라 양 결합 부재(800, 85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나사막대(870)를 이용하여 양 결합 부재(800, 850)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작돠는, 브라킷 형태의 결합부재(800)는 양목(500)의 상면과 정면에 맞추어지도록 'ㄱ'자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고, 센서나 CCTV(400)가 고정되는 면적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진 판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800)과 마주하여 양목(500)의 저면과 정면에 맞추어지는 하단의 결합 부재(850) 역시 상단의 결합 부재(800)와 대칭을 이루며, 그와 동일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하면서 양목(500)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 양목(500)에 결합 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800, 850)는 정면에 배치되는 정면부(807)는 속이 빈 판재 형태이며, 양목 하단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800) 정면부(807)의 하단에는 길이가 긴 나사막대(870)가 들어갈 수 있는 나사 홀(810)이 있고, 이에 상응하여 결합 부재(800) 정면부(807)의 상단에는 나사막대(870)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 홀(8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목 상단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850) 정면부(807) 하단에도 나사막대(870)가 들어올 수 있는 나사 홀(815)이 형성된다. 양목(500) 하단과 상단에 각각 결합 부재(800, 850)를 마주 배치하고 하단의 결합부재(800)의 정면부(807) 하단의 나사홀(810)으로 나사막대(870)를 넣어 나사홀(815)를 관통시켜 상단의 결합 부재(850) 정면부(807) 하단의 나사홀(815)로 들어가도록 드라이버로 나사막대(870)를 조인다. 나사홀의 크기는 드라이버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 이때 볼트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양목(500)의 크기, 즉, 폭에 따라 나사막대(870)가 상부 결합 부재(850) 정면부(807)에 내장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나사막대(870)를 볼트로 조여주면 두 개의 결합 부재(800, 850)는 서로 견고히 당겨져 양목(500)에 대해 응력을 가하면서 견고히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양목(500)에 대해 결합 부재(800, 85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부재(800, 850)는 양목(500)의 상면이나 저면에 접하게 되는 수평부(805)는 정면부(807)과 수직을 이루나, 90°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각도를 이루게 한다. 예를 들면, 85 내지 89°로 하여 양목(500)에 접할 때 억지끼움 맞춤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88°로 하여 끼우는 작업에는 무리가 없으면서도 결합을 좀 더 견고히 하게 하였다.
상기 정면부(807)에는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홀(미 도시)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에 나사를 이용하여 필요한 센서나 CCTV(400) 등 필요한 물품을 고정 설치한다. 홀에 끼워진 나사는 속이 빈 정면부에 내장되지만 정면부 벽면에 닿을 뿐 양목을 훼손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나사막대를 두 개 병렬로 사용하여 양목에 결합 부재를 결합시킨 것을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좀 더 안정된 결합 부재의 조립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면 나사막대를 풀어 조립을 해체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재조립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200: 와이어
150: 고정부
170: 지지부
300: 체결부
400: CCTV
450: 화재감지센서
500: 양목
600: 구조체
700: 정지부재
800, 850: 결합 부재
805: 수평부
807: 정면부
810, 815: 나사 홀
870: 나사막대

Claims (6)

  1. 목조건조물의 벽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 양목;
    상기 양목을 감싸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 단부와 제2 와이어 단부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두 와이어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하나로 엮어 고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설치할 물품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와이어가 양목을 감싸 구부러지는 곳에서 분기되어 연직으로 뻗어나와 고정부에 물품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는 양목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는 양목을 정면에서 배면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양목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 와이어는 양목의 배면을 접하여 양목 아래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가 고정부가 되며, 제2 와이어는 양목의 정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는 하나의 동일한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제1 와이어는 양목의 저면에서부터 출발하여 양목의 정면, 상면 및 배면을 휘감아 다시 저면으로 회귀한 후 양목 아래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물품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되고, 제1 와이어가 출발한 지점인 양목 저면에 제1 와이어의 일측 단부와 회귀 된 제1 와이어 부분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4. 목조건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단턱이 있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수평한 턱 부분에 소정의 하중을 갖고 배치되는 정지 부재;및
    상기 정지 부재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정지 부재에 물품이 고정 부재로 고정되되, 정지 부재의 하중은 물품 하중보다 크고 구조체의 모멘텀 보다 작은 모멘텀을 갖는 수준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5. 수평부와 이로부터 구부러진 정면부를 구비한 한 쌍의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를 연결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 중 하나는 양목의 상단에, 다른 하나는 하단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며,
    상기 결합 부재의 정면부는 속이 빈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정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나사홀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막대가 양목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결합부재의 정면부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다른 결합부재의 정면부 하단의 나사홀을 통과하여 고정됨으로써 양목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 정면부에는 물품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수평부와 정면부가 이루는 구부러진 각도는 80°이상 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KR1020130133857A 2013-11-05 2013-11-05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KR20150051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857A KR20150051843A (ko) 2013-11-05 2013-11-05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857A KR20150051843A (ko) 2013-11-05 2013-11-05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778A Division KR20150084719A (ko) 2015-06-29 2015-06-29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843A true KR20150051843A (ko) 2015-05-13

Family

ID=5338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857A KR20150051843A (ko) 2013-11-05 2013-11-05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2357A (zh) * 2018-09-18 2020-03-2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理线紧固装置以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2357A (zh) * 2018-09-18 2020-03-2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理线紧固装置以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402B2 (en) Suspended architectural structure
US9046197B2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US6240697B1 (en) Threaded anchor for poured concrete metal deck floors and wood frame floors
US7743572B2 (en) Anti-vibration sound insulator for suspended ceiling
US9217623B2 (en) Bullet deflecting baffle system
JP5636218B2 (ja) 天井の耐震補強構造
US20150075107A1 (en) Braced truss frame and fall protection system
KR102173314B1 (ko) 경량 천장틀용 연결클립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US20150240477A1 (en) Apparatus for securing insulation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and ceiling support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6607086B1 (en) Hanger assembly
US8549810B1 (en) Clip for use in drop ceiling systems
US20160069480A1 (en) Cord support bracket
JP2014181459A (ja) 吊元金具
US8616513B2 (en) Bracket having overhanging support elements for supporting an electrical box
KR20150051843A (ko)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KR20100009385U (ko) 개량형 에이치빔 연결클램프
KR101005596B1 (ko) 와이어 모듈 및 유리패널 지지 구조
KR20150084719A (ko) 목조건조물용 고정부재
JP6530880B2 (ja) 配設体固定具
US2010027007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tecting a Utility Line from a Penetrating Object
JP5633202B2 (ja) 天井消火システム
KR101320568B1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JP2019190573A (ja) 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6001408B2 (ja) 耐震クリップ
JP6534852B2 (ja) 耐火天井下地材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