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257A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257A
KR20150051257A KR1020130132000A KR20130132000A KR20150051257A KR 20150051257 A KR20150051257 A KR 20150051257A KR 1020130132000 A KR1020130132000 A KR 1020130132000A KR 20130132000 A KR20130132000 A KR 20130132000A KR 20150051257 A KR20150051257 A KR 2015005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icker
stamp
terminal
mer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덕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
Priority to KR102013013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257A/ko
Publication of KR2015005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3Method of redeeming a frequent usage rew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29Multi-merchant loyalty car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맹점별로 동일한 제1 식별정보와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 식별데이터가 기록된 식별정보제공수단과,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식별정보가 설정된 식별정보로 판독되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단말기에서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하고,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저장관리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법적인 적립을 방지하고, 정확한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COUPON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쿠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NFC와 QR코드 판독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정해진 조건내에서 태깅이 이루어질 때 정상적으로 쿠폰이 발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종이 스탬프를 대신하는 상용화된 방식으로는 크게 3 가지가 존재한다. 첫째, 매장 관계자가 대금 결제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넘겨받아 매장 고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스탬프를 적립하는 방식이다. 둘째, 매장 관계자가 대금 결제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넘겨받아 매장 고유의 QR코드를 인식시키고 스탬프를 적립하는 방식이다. 셋째, 대금 결제 시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결제 데스크에 비치된 QR코드를 인식하거나 NFC터치패드를 접촉함으로써 방문인증을 하여 스탬프를 적립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방식은 사용자가 구매한 만큼의 스탬프 혹은 마일리지를 적립 받을 수 있으나, 결제 시마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매장 관계자에게 넘겨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매장 관계자 역시 매번 다른 스마트폰을 넘겨받을 경우에는 인터페이스에 익숙하지 않아 불편하며, 이로 인해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 방식은 매장 관계자는 스탬프 적립에 관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 역시 대기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매장 관계자의 관여 없이, 사용자는 단순히 매장을 실제로 방문했다는 방문인증만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 지출한 금액보다 적은 혜택을 받는 단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매장에서 한번에 커피 2잔을 사더라도 방문은 1번이기 때문에 스탬프는 1장만 찍히게 된다. 그렇다고 인증을 여러번하도록 허용하면 사용자가 인증을 실제 지출 금액보다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즉, 세 번째 방식은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편하지만 실제 멤버쉽과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장들이 멤버쉽 관리를 하기에는 제약이 존재한다.
한편, 도 1은 한국등록특허 10-0777372호(명칭:NFC전자태그 단말기의 정보 검출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기술로, NFC 전자태그 단말기의 정보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검출 명령신호와 타이머 주기와 버퍼크기 값을 입력하는 키버튼부(10)와, 스캔된 정보를 상위 계층에 이송하고, 버퍼부에 설정된 주기 시간 동안 기록하여 필터 처리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20), 전자태그로부터 NFC 방식으로 정보를 스캔하고 상위 계층에 이송하며 필터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을 기록하는 어플리케이션부(30), 스캔된 정보가 버퍼부에 기록된 정보와 중복되면 소거 필터 처리하는 필터부(40), 전자태그 정보를 NFC 방식으로 스캔하는 고주파부(50), 스캔된 전자태그 정보를 기록하는 버퍼부(60), 설정된 주기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부(70), 고주파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기록된 정보를 NFC 방식으로 제공하는 전자태그(80)가 포함되게 구성하고, 제어부(20)는 키버튼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NFC 방식 전자태그를 스캔(SCAN)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어플리케이션부(30)로부터 플랫폼을 로드하여 부팅하므로, 전자태그 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면서, 스캔된 전자태그의 ID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버퍼부에 설정된 주기 시간동안 기록하고, 설정된 주기시간 동안에 동일한 전자태그의 정보는 기록되지 않도록 하므로,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는 상위 계층의 부하를 줄이고, 전자태그 정보를 분석 처리하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태그(Tag)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는 고유 식별자 (unique Identifier :이하, chip_UID라 한다)와 NDEF(NFC Data Exchange Format)데이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NFC를 이용한 서비스에서 리드기는 태그로부터 UID+NDEF 데이터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UID+NDEF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산이력이나 유통 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NDEF 데이터는 용량이 많아서 여러 가지 정보를 라이팅하거나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면 Chip-UID는 7 Bytes로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많은 태그들간에 상호 식별력을 갖기에는 부족하다.
본 발명은 NFC태그 또는 QR코드가 기록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이를 판독하여 스탬프를 적립하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커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커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C스티커의 경우 칩_UID와 사용자_UID가 일치하는 가맹점이 있는 경우에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티커를 판독한 시간 및 거리에 따라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은, 가맹점별로 동일한 제1 식별정보와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 식별데이터가 기록된 식별정보제공수단과,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설정된 식별정보로 판독되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하고,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저장관리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제공수단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또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기록된 스티커이고, 상기 NFC태그 스티커와 상기 QR코드 스티커에는 서로 다른 제1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커가 NFC태그 스티커인지 또는 QR코드 스티커인지를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태그 스티커와 상기 QR코드 스티커는 가맹점별로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기록하고, 상기 NFC태그 스티커에는 제2 식별정보로 칩_UID(unique Identifier)와 사용자_UID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관리서버는 제2 식별정보가 NFC태그스티커에서 판독된 경우에는 상기 칩_UID와 사용자_UID를 동시에 비교하여 해당 가맹점을 검색하도록 구성한다.
단말기는 쿠폰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와, NFC태그스티커 또는 QR코드스티커를 처리하기 위한 스티커처리부와, 제1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스탬프 적립내역, 쿠폰내역, 또는 적립중인 가맹점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앱부를 구동하고, 상기 스티커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쿠폰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와, NFC태그스티커 또는 QR코드스티커를 처리하기 위한 스티커처리부와, 제1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스탬프 적립내역, 쿠폰내역, 또는 적립중인 가맹점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티커처리부를 통하여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앱부를 실행시키고 판독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는 가맹점별로 제2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DataBase)와, 가맹점별 스탬프 이벤트내역을 저장하는 스탬프처리부와,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획득한 스탬프를 저장하는 스탬프저장부와,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저장된 가맹점별 스탬프가 설정된 소정 수량 이상으로 적립되면 쿠폰을 발행하는 쿠폰발행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DB에서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탬프처리부에서 해당 가맹점의 스탬프 이벤트 내역을 검색하고, 해당 이벤트 내역에 따라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적립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제어부는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가맹점별로 소정 갯수의 스탬프가 적립되면 상기 쿠폰발행부에서 설정된 리워드쿠폰을 발행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맹점에 NFC태그 또는 QR코드가 기록된 스티커를 비치하고 이를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기 때문에, 가맹점 방문자가 다수라도 자가 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NFC미지원 단말도 QR코드 스티커를 이용함으로써,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스티커에서 판독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만 관련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스탬프의 적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스티커의 유효성을 판단하므로, 해당 스티커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손쉽게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NFC스티커의 경우 칩_UID와 사용자_UID가 일치할 때 스탬프를 적립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므로, 스티커의 위조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NFC스티커를 판독한 경우에는 적립제한시간이 도과한 경우에만 스탬프를 적립하므로, 반복적인 태깅에 의한 스탬프 적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QR스티커와 NFC스티커의 경우 유효거리 내에서 존재할 때만 스탬프를 적립하므로, 도난된 스티커에 의한 스탬프 적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NFC전자태그 단말기의 정보 검출장치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주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NFC스티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QR스티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쿠폰 처리 시스템은 단말기(100)를 구비한 사용자가 가맹점(300)을 방문하고, 단말기(100)로 가맹점(300)에 비치된 스티커 형식의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200)는 식별정보에 따라 스탬프를 적립 또는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원 발명은 가맹점(300)별로 동일한 제1 식별정보와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 식별데이터가 기록된 식별정보제공수단(310)을 테이블에 하나 이상 구비하고, 각 가맹점(300)의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제1 식별정보와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 식별데이터를 단말기(100)에서 판독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제1 및/또는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가맹점을 검색하고,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저장관리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에서 식별정보제공수단(310)은 NFC태그나 QR코드로 스티커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로 스티커 태그시 보다 효과적으로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스티커에 서로 다른 제1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일차적으로 판독함으로써, 관련 스티커인지 아니면 다른 스티커인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식별정보로 "wenii" 를 기록하게 되면, 태깅 진행시나 QR코드 판독시 메세지의 시작값을 비교하여, "wenii" 으로 시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맞다면 관리서버로 식별데이터를 전송하여 다음 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시작값이 다르다면, 유효하지 않은 태그로 간주하여 관리서버로 보내어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식별정보로 "wenii" 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스티커의 종류에 따라 이를 다른 식별정보로도 할 수 있다.
즉, 스티커가 NFC 태그의 경우 "wenii_n_" 으로, QR코드 스티커인 경우 "wenii_q_"나 "wenii_"로 구성하여 스티커별로 상호 식별되게 하여, 단말기에서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하 App이라 한다)을 구동할 때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식별정보로 관련 스티커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본 발명의 스티커 즉 NFC태그나 QR코드외 다른 태그가 다수 있을 수 있으며, 어플이 미실행시 단말에 설치된 NFC관련 어플중에 선택해야 하는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wenii_n_"으로 시작하는 태그는 자동으로 어플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단말기로 NFC태깅시 처리를 위한 어플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QR 코드의 경우 "wenii_"으로 시작하는지 검사 후, 맞다면 관리서버로 식별데이터를 보내어 확인을 진행하며, 다르면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인정하여, 관리서버로 식별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이러한 제1 식별정보의 판독은 단말기(11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스티커가 NFC태그 스티커인지 또는 QR코드 스티커인지를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원 발명은 제1 식별정보로 유효한 스티커로 판단된 경우, 해당 스티커에 기록된 제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유효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먼저 제1 식별정보를 통하여 NFC 스티커로 판단된 경우 칩_UID와 NDEF(NFC Forum Data Exchange Format) 메세지 2가지를 모두 비교하여 관리서버(200)에서 가맹점을 판독하도록 한다.
칩_UID(unique Identifier)는 태그 생산업체에서 설정한 고유식별자(Factory setting UID)로서, 제조업체에 의해 쓰기 방지 속성으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통상 7 Bytes로 구성된 제조업체 식별코드와 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코드를 말한다.
이와 같이 칩_UID는 생산업체에서 발급된 아이디로 고유값이 정해지나, 연속적인 번호가 아니어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NDEF메세지를 연속적인 일련번호로 사용하며, LOCK을 하여 NDEF메세지를 변조를 방지하나, 이 역시 복제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칩_UID와 NDEF메세지 2가지 모두를 비교하여 NFC 태그의 고유성을 파악하고, NDEF메세지는 LOCK을 하여 변조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NDEF메세지가 복제되더라도 칩_UID값이 다르므로, 스탬프적립이 이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NDEF메세지에 기록되는 식별용 일련번호를 사용자_UID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_UID"란 라벨컨버팅 업체에서 제공되는 라벨에 라벨의 1차 가공자가 보다 구체적으로 유일한 식별성을 갖도록 "Chip_UID"에 추가하여 NDEF 데이터에 사용자가 부여한 식별코드를 총칭하는 것으로, 그 크기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를 말한다.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기록한 식별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100)는 쿠폰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150)와, NFC태그스티커 또는 QR코드스티커를 처리하기 위한 스티커처리부(140), 제1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스탬프 적립내역, 쿠폰내역, 또는 적립중인 가맹점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70), 및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식별데이터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주요 구성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앱(App)부(15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위니 스탬프 처리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관리서버(300)의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관리서버(300)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굳이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130)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스탬프 적립 App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특정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티커 처리부(140)는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NFC데이터나 QR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스티커 처리부(140)는 태깅(Tagging)을 통하여 NFC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처리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인터페이스부(141)와 QR코드가 기록된 스티커로부터 QR코드를 판독하는 QR코드 인터페이스부(142)로 구성한다.
이러한 스티커 처리부(140)는 단말기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NFC통신 또는 QR코드를 판독하도록 동작된다.
통신인터페이스부(120)는 통상의 단말기의 통신수단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통상의 호발수신을 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수단으로 동작된다.
저장부(170)는 스티커처리부(140)에서 판독된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가맹점별 스탬프 적립현황, 스탬프 적립내역, 발행된 쿠폰의 저장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단말기표시부(160)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키입력부(130)를 통해 선택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한다.
단말기제어부(110)는 사용자앱부(150)를 구동하고, 스티커처리부(140)를 통하여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저장부(170)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판독된 제1 식별정보와 함께 제2 식별데이터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에서 스탬프 적립현황이나 구폰이 발생되면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단말기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동작한다.
먼저 단말기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의 특정버튼 입력에 따라 사용자앱(App)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스티커처리부(140)를 활성화하여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수신된 식별데이터 중 제1 식별정보로 유효한 스티커로 판단된 경우, 해당 스티커에 기록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번호는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제조번호,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와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그리고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과 같은 식별번호 등 개별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는 인식번호이면 족하므로 굳이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형태의 ID 또는 별명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식별번호는 사용자별로 스탬프 적립현황을 관리서버(200)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송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말기에서 앱을 먼저 실행시키고 스티커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먼저 앱을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스티커처리부(140)를 먼저 활성화시켜 가맹점의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한 경우,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앱부(150)를 실행시키고 판독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관리서버(200)는 식별정보제공수단(310)으로부터 판독된 식별정보에 따라 가맹점을 검색하고 이에 해당하는 스탬프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 4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리서버(200)는 가맹점별로 제2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DataBase)(230)와 가맹점별 스탬프 이벤트내역을 저장하는 스탬프처리부(240)와, 해당 단말기(100)의 가맹점별로 획득한 스탬프를 저장하는 스탬프저장부(250)와, 스탬프저장부(250)에 저장된 가맹점별 스탬프가 설정된 소정 수량 이상으로 적립되면 쿠폰을 발행하는 쿠폰발행부(260) 및 스탬프 적립 유효성을 판단하는 적립유효거리/적립유효시간 설정부(290), 그리고 가맹점의 이벤트 내역에 따라 스탬프를 적립하는 서버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B(230)는 제2 식별정보로 구분된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것으로, 이러한 가맹점은 NFC태그의 경우 칩_UID와 사용자_UID별로 가맹점을 구분하고, QR코드의 경우 식별코드별로 가맹점을 구분하여 저장한다.
물론, 동일한 가맹점이 칩_UID와 사용자_UID 그리고 QR 식별코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칩_UID와 사용자_UID 또는 QR 식별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탬프처리부(240)는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별 스탬프 이벤트내역을 저장하여, DB(230)에서 해당 가맹점이 있는 경우, 가맹점별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이벤트내역을 판독하여 서버제어부(2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스탬프저장부(250)는 단말기의 식별번호별로 획득한 스탬프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각 단말기별로 가맹점에 따른 스탬프 적립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후술하는 서버제어부(210)나 쿠폰발행부(260)에서 요청 시 단말기별 가맹점별로 획득한 스탬프 저장 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쿠폰발행부(260)는 각 가맹점별로 설정된 스탬프의 적립현황이 일정 수량 이상이 되면 리워드쿠폰을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쿠폰발행부(260)는 리워드쿠폰 발행 이벤트 내용을 저장하고 있다가, 스탬프저장부(250)에 저장된 단말기별 가맹점별 스탬프 수량을 감시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수량의 스탬프가 적립된 것으로 판단되면, 리워드쿠폰을 발행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또는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리워드쿠폰이 발행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270)는 스탬프 처리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가 서버 통신부(220)를 통하여 단말기(100)로부터 App의 다운요청이 있으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도록 하고,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다운에 필요한 인증절차 등을 관리하도록 한다.
서버제어부(210)는 단말기(100)에서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DB(230)에서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스탬프처리부(240)에서 해당 가맹점의 스탬프 이벤트 내역을 검색한 다음, 해당 이벤트 내역에 따라 스탬프저장부(250)에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적립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저장부(250)에 가맹점별로 소정 갯수의 스탬프가 적립되면 쿠폰발행부(260)에서 설정된 쿠폰을 발행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서버제어부(210)는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통하여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식별하여 불법적인 스탬프 적립을 방지하고 있지만, 적립유효거리나 적립제한시간을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불법적인 스탬프의 적립을 방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서버(200)에 적립유효거리/적립시간 설정부(290)를 구성하여, 스탬프 적립시 사용자가 태깅한 가맹점으로부터의 거리나 또는 최종 적립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설정해두고, 스탬프의 적립 유효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적립시간제한은 NFC태그의 UID, NDEF메세지를 단말기로 언제든지 읽을 수 있다는 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관리서버(200)에서 단말기(100)가 전송한 식별데이터와 일치하는 상점이 있는지 유무를 확인 후, 있을시 그 사용자가 가맹점으로부터 마지막 적립받은 날짜/시간을 토대로 가맹점에서 설정한 적립제한시간이 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즉, 서버제어부(210)에서 식별데이터를 수신 후 DB(230)에서 검색한 결과, 해당 가맹점이 존재할 경우에, 적립유효거리/적립시간 설정부(290)에서 적립제한시간을 판단후 적립제한시간이 넘었을시 적립처리를 진행하며, 넘지않았을시 적립하지않고 단말기(100)에 "이미 적립하였습니다."라는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립제한시간은 가맹점에서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맹점에서 사용자들의 일일 재방문시간을 토대로 적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적립유효거리는 NFC와 QR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NFC태그를 도난당했다 하더라도, NFC태그 태깅 진행시, 단말기의 위치(위도,경도)와 가맹점과의 위치(위도,경도)를 계산하여, 유효거리 안에 들지 않을 시 적립을 무효처리 함으로써, 불법적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위치계산부(280)를 관리서버에 구성하여, 해당 단말기의 위치와 가맹점과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호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QR의 경우 QR촬영시 악의적으로 본 발명의 App이 아닌 타 App으로 촬영시 기록이 보존되므로, 복제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QR촬영 진행시, 단말기의 위치(위도,경도)와 상점과의 위치(위도,경도)를 계산하여, 유효거리 안에 들지 않을 시 적립을 무효처리 함으로써, 불법적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적립유효거리 확인은 단말기와 가맹점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약 100m)로 정하여 불법적립을 대부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효거리의 설정은 관리서버(200)에서 언제던지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립유효거리/적립시간 설정부(290)를 구성한다.
즉, 스탬프의 무효,유효처리와 사용자의 각 가맹점별 적립현황 등은 관리서버(200)에서 관리되며, 단말기(100)에선 NFC태그/QR을 통한 정보를 읽어들여, 시작값 즉 제1 식별정보를 비교후 관리서버(200)로 식별데이터를 보내는 작업을 하며, 로그인한 사용자의 적립내역, 쿠폰내역, 내가 적립중인 상점내역 등을 DB(230)를 통하여 단말기(100)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구매에 따른 적립이 아닌, 가맹점의 각 테이블에 붙은 식별정보제공수단(310)을 통한 자가(self)적립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가맹점의 테이블수에 따라 식별정보제공수단(310)이 다수 존재하며, 가맹점의 테이블에 속한 어느 식별정보제공수단(310)을 태깅하더라도, 가맹점에서 적립받은 마지막 시간을 비교하므로, 각 NFC태그의 제한시간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NFC태그가 속한 가맹점에서 적립받은 마지막 시간을 비교하여 스탬프 적립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꼭 구매에 따른 적립이 아닌, 방문에 따른 적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3명이 커피숍을 방문하여, 2명이 주문을 하였더라도, 3명이 모두 적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객의 재방문이 늘어나며, 점원이 적립해 주는 시스템에서 인력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스탬프적립은 POS라는 단말기가 대부분 필요하나, 본 발명의 스탬프 적립방법은 POS없이 적립가능하고, QR 스티커를 도입함으로써, NFC미지원 단말기(아이폰외 기타)도 적립이 가능하며, QR의 경우 적립제한시간을 두지 않음으로써, 고객이 재방문시 NFC적립제한시간에 걸려 적립을 못받을시 QR을 통해 적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QR 스티커는 점원 또는 계산대에 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NFC스티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300)에 비치된 NFC스티커(311)에 단말기를 태깅하면(S410), 단말기제어부(110)는 App이 실행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411).
App이 실행중에 있으면, 판독된 식별데이터 중에서 제1 식별정보가 저장부(170)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S414), 불일치하면 종료하고, 일치하면, 단계 S415로 진행한다.
단계 S411에서 App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앱부(150)에서 관련 App이 실행되도록 하고(S412), App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15에서는 단말기(100)가 판독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데이터를 관리서버(200)의 서버통신부(220)로 송신한다(S415).
관리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식별데이터가 전송되면, DB(230)에서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판독하고(S416), 가맹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17에서는 적립제한시간이 초과되었는 지를 적립유효거리/적립시간 설정부(290)에서 비교하여 적립제한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 미적립메세지(예를 들면, 적립시간이 초과되지 않았습니다라는 메세지)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418), 단계 S417에서 적립제한시간이 초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처리부(240)에서 해당 가맹점의 스탬프 이벤트 내역을 검색한 다음(S420), 해당 이벤트 내역에 따라 스탬프저장부(250)에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적립하고(S421),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단말기는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S422~S423).
이후,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저장부(250)에 저장된 단말기별 가맹점별 스탬프 수량을 감시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수량의 스탬프가 적립된 것으로 판단되면, 쿠폰발행부(260)를 통하여 리워드쿠폰을 발행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또는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리워드쿠폰이 발행되었음을 통지하여 표시하거나 저장하게 할 수 있다(S424~S426).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QR스티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300)에 비치된 QR스티커(312)에 단말기로 QR코드를 촬영하면(S510), 단말기제어부(110)는 App이 실행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511).
App이 실행중에 있으면, 판독된 식별데이터 중에서 제1 식별정보가 저장부(170)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S514), 불일치하면 종료하고, 일치하면, 단계 S515로 진행한다.
단계 S511에서 App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앱부(150)에서 관련 App이 실행되도록 하고(S512), App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15에서는 단말기(100)가 판독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데이터를 관리서버(200)의 서버통신부(220)로 송신한다(S515).
관리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식별데이터가 전송되면, DB(230)에서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판독하고(S516), 가맹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17에서는 적립유효거리 내인지 바깥인지를 적립유효거리/적립시간 설정부(290)에서 비교하여 적립유효거리 바깥으로 판단되면,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 미적립메세지(예를 들면, 적립유효거리를 벗어 났습니다는 메세지)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518), 단계 S517에서 적립유효거리 내로 판단되면,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처리부(240)에서 해당 가맹점의 스탬프 이벤트 내역을 검색한 다음(S520), 해당 이벤트 내역에 따라 스탬프저장부(250)에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적립하고(S421),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단말기는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S522~S523).
이후, 서버제어부(210)는 스탬프저장부(250)에 저장된 단말기별 가맹점별 스탬프 수량을 감시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수량의 스탬프가 적립된 것으로 판단되면, 쿠폰발행부(260)를 통하여 리워드쿠폰을 발행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또는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리워드쿠폰이 발행되었음을 통지하여 표시하거나 저장하게 할 수 있다(S524~S526).
상술한 단계 S417과 단계 S517을 보면, 식별정보제공수단이 NFC스티커인 경우에 적립제한시간으로 스탬프 적립유무를 판단하고, 식별정보제공수단이 QR스티커인 경우에는 적립유효거리로 스탬프 적립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가장 바람직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굳이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티커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립제한시간과 적립유효거리를 둘다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단말기제어부
140 : 스티커처리부 141 : NFC인터페이스부
142 : QR코드인터페이스부 170 : 저장부
200 : 관리서버 210 : 서버제어부
230 : DB 240 : 스탬프처리부
250 : 스탬프저장부 260 : 쿠폰발행부
290 : 적립유효거리/적립제한시간설정부
300 : 가맹점 310 : 식별정보제공수단
311 : NFC스티커 312 : QR스티커

Claims (10)

  1. 가맹점별로 동일한 제1 식별정보와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 식별데이터가 기록된 식별정보제공수단;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설정된 식별정보로 판독되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및
    상기 단말기에서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하고,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저장관리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또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기록된 스티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FC태그 스티커와 상기 QR코드 스티커에는
    서로 다른 제1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커가 NFC태그 스티커인지 또는 QR코드 스티커인지를 구분하여 판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NFC태그 스티커와 상기 QR코드 스티커는
    가맹점별로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기록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NFC태그 스티커에는 제2 식별정보로
    칩_UID(unique Identifier)와 사용자_UID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제2 식별정보가 NFC태그스티커에서 판독된 경우에는 상기 칩_UID와 사용자_UID를 동시에 비교하여 해당 가맹점을 검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쿠폰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
    NFC태그스티커 또는 QR코드스티커를 처리하기 위한 스티커처리부;
    제1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스탬프 적립내역, 쿠폰내역, 또는 적립중인 가맹점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및
    상기 사용자앱부를 구동하고, 상기 스티커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쿠폰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
    NFC태그스티커 또는 QR코드스티커를 처리하기 위한 스티커처리부;
    제1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스탬프 적립내역, 쿠폰내역, 또는 적립중인 가맹점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및
    상기 식별정보제공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티커처리부를 통하여 식별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의 제1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앱부를 실행시키고 판독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가맹점별로 제2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DataBase);
    가맹점별 스탬프 이벤트내역을 저장하는 스탬프처리부;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획득한 스탬프를 저장하는 스탬프저장부;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저장된 가맹점별 스탬프가 설정된 소정 수량 이상으로 적립되면 쿠폰을 발행하는 쿠폰발행부;및
    상기 단말기에서 제2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DB에서 제2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탬프처리부에서 해당 가맹점의 스탬프 이벤트 내역을 검색하고, 해당 이벤트 내역에 따라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해당 단말기의 가맹점별로 스탬프를 적립하고, 스탬프 적립내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스탬프저장부에 가맹점별로 소정 갯수의 스탬프가 적립되면 상기 쿠폰발행부에서 설정된 리워드쿠폰을 발행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KR1020130132000A 2013-11-01 2013-11-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KR20150051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00A KR20150051257A (ko) 2013-11-01 2013-11-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00A KR20150051257A (ko) 2013-11-01 2013-11-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257A true KR20150051257A (ko) 2015-05-12

Family

ID=5338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000A KR20150051257A (ko) 2013-11-01 2013-11-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2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43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더코더 가상 근거리 통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KR20230092518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내일생각 스탬프 적립 및 쿠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43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더코더 가상 근거리 통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KR20230092518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내일생각 스탬프 적립 및 쿠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56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9697511B2 (en) Method for securing transactions, transaction device, bank server,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57958A (ko)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2314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판매 방법 및 상기 판매 방법이채용된 관리 서버
KR20150051257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쿠폰 처리 시스템
WO2017095164A1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46328B1 (ko) 모바일 카드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장치와 단말
KR101800000B1 (ko) 물품 분실 방지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931B1 (ko) 창구 거래 신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6593B1 (ko)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모바일 쿠폰의 처리 방법
KR101454835B1 (ko)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151298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모바일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1298206B1 (ko) 가맹점 운영 시스템
JP4309209B2 (ja) 通信システム、カード読み取り装置、カード装置
KR101620934B1 (ko)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신원의 관리
KR20150044618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21246A (ko) 카드 약관 동의 및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686865B2 (ja) サーバ、サービス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4997A (ko) 단기보험상품 가입 방법과 그 장치
JP4896101B2 (ja) カード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609833B1 (ko)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
JP7461261B2 (ja) 棚卸し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00442A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