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848A -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848A
KR20150050848A KR1020130132011A KR20130132011A KR20150050848A KR 20150050848 A KR20150050848 A KR 20150050848A KR 1020130132011 A KR1020130132011 A KR 1020130132011A KR 20130132011 A KR20130132011 A KR 20130132011A KR 20150050848 A KR20150050848 A KR 2015005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tion information
multimedia data
file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동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848A/ko
Priority to US14/530,547 priority patent/US9788040B2/en
Publication of KR2015005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파일을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 파일의 저장 또는 외부 기기로의 송신 시, 상기 파일의 저장 또는 송신 중 상기 파일의 미리 재생할 수 있는 부분을 판단하여 재생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FILES}
본 발명은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에서 파일을 전달할 때, 전달할 파일의 일부를 미리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장치의 급속한 보급률 증가로 전자 장치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물론이고, 이미지나 오디오를 실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변모하게 되었다.
또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외부 전자 장치들로 전달하는 방법도 다양해 졌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가지 이상의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휴대 단말기 간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달하는 방법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외부의 웹이나 P2P 서비스를 통한 다운로딩을 받지 않고, 멀티미디어 파일을 자신의 단말 또는 외부의 단말 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기존의 기술은, 전자 장치들 간 파일을 전달할 때, 사용자는 전달할 수단을 선택하여 전달을 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전달 수단의 선택 및 변동하는 전송 환경에 따라,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은 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변동하는 전달 수단 및 전송 환경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송신 시, 멀티미디어 파일은 압축 방식에 따라 파일 크기가 다양해지지만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큰 경우가 많다. 대체로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은 짧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음악 파일의 경우에는 장르별, 가수별, 시간별, 기간 랭킹 등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파일들을 한 번에 전달할 경우 그 파일의 수와 용량이 많을 수 있다. 이렇게 파일의 수와 용량이 많아질수록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도 비례하여 늘어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달할 때, 그 파일의 개수는 복수인 경우가 많다. 이런 복수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은, 파일 목록에서 대개 제목과 확장자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 및 송신 대상의 파일들을 눈으로 일일이 확인하고 선택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자 장치 간 음악 파일을 50개 정도 공유하고 싶은 상황이라면, 송신 측 사용자가 수신 측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파일을 하나하나 선택하여 보내거나 모든 음악 파일을 보내게 된다. 수신 측 사용자는 상기 음악 파일이 전송 중이라 할지라도 전송이 끝난 뒤 음악 파일의 종류 및 내용을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전송한 상기 음악 파일의 50개의 목록을 확인하거나 그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서 목록을 만드는 일에 두 사람 중 하나는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또한,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 때, 사용자는 전달이 끝나길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전달한 모든 음악 파일을 듣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전달받은 음악 파일들 중 재생 목록에 등록할 곡명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추가 작업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복사 전송이 끝나길 기다리는 시간은 사용자에게 적지 않은 불편함을 준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 파일들을 전달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들어보고 싶은 경우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웹이나 P2P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다운받는 도중에 해당 파일의 다운 받은 지점까지는 바로 재생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첫 곡을 수신하는 동시에 첫 곡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는 파일이 여러 개인 경우 첫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다음 파일의 다운로드가 어느 정도 진행되기 전까지는, 다음 파일 또는 전송 대상 파일 중 임의의 곡을 먼저 들어 볼 수 없다.
따라서 음악 파일을 수신하는 사용자는 전송을 완료하기 전에, 전송 중인 전체 파일에 대해 그 중 임의의 파일을 재생해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단말 간 파일들의 전달 중에는 웹과 같이 전체 파일에 대한 목록 제공이나 재생 서비스를 하는 주체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달 대상인 전체 곡들을 간략하게 들어 볼 수 없다. 이에 후술할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의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송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의 재생을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의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표 재생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파일의 전자 재생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달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눈이 아닌 귀로도 어떤 파일들을 전송받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전달 시간 동안 다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미비 되어 있거나 간소한 전자장치를 지닌 사용자가 전달에 참여하고 있을 때, 그 사용자는 전달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수신 중에,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이 전달되었거나 예정 중인 원본 파일들에 대한 저장위치나 재생 목록 등을 편집, 저장, 삭제 등을 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및 활용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파일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대표 재생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대표 재생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 시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11B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해결 수단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들의 원리 및 관점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 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 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 기재된 설명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일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100)에 국한되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 스크린(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진동부(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이러한 무선 주파수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인 제1장치(200)에서 제2장치(3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장치(200)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는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상기 제1장치(200)에서 제2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부(110)는 상기 제1장치(200)에서 상기 제2장치(300)로, 상기 파일을 송신하거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부(110)는 상기 제2장치(300)에서 상기 제1장치(200)로, 상기 파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및 대표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전달 방법은 1:1 장치 정보 전달 방법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다수의 장치들로 전달하는 1:N 장치 정보 전달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장치에서 여러 대의 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 장치간의 물리적인 연결은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의 의미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기기로의 송신을 의미할 수 있고, 하나의 전자 장치 내에서의 복사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자 장치 내에 장착된 외장 메모리에서 내장 메모리로의 복사 및/또는 송신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휴대 단말기(100)의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MIC: 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무선 주파수부(110)가 활성화되는 경우, 무선 주파수(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제1장치(200)에서 제2장치(300)로 파일을 송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재생은 상기 제1장치(200) 및 제2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파일들을 통칭하는 의미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의 예는, 음악 파일을 들 수 있다. 음악 파일을 예로 들면, 음악 파일의 대표 재생 정보 부분은 음악 파일을 사용자가 들었을 때 해당 음악 파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을 말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대개 코러스, 고음부, 반복적인 음악 패턴 등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5분 이내로 구성된 음악에 대해서, 대표 재생 정보의 길이를 4~5초 정도의 분량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음악의 종류 등을 식별하기 어렵지 않다.
또한,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재생 시간은 송신되는 파일의 종류, 크기, 확장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의 크기가 크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재생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속도 및 소요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속도 및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른 송신 속도의 변화 시,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재생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대표 재생 정보 재생 시간을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상기 재생 시간을 그에 비례하여 줄일 수 있다.
상기 대표 재생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식별자란, 예를 들어 avi, mid, mp3, mpg, mpeg, wma, asf, txt, aiff 등과 같은 확장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재생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동영상 재생 시와 같은 음성,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후술할 터치 스크린(140)이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140)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터치 스크린(140)은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은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 상태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140) 지원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은 대표 재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상기 전술한 대표 재생 정보의 식별자와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대표 재생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파일의 송신 또는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상기 멀티미디어에 대응되는 영상, 관련된 광고 등과 연계되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송신 중에 제어부(160)로부터 다른 기능의 수행을 위한 제어 명령 시, 터치 스크린(140)은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대표 재생 정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를 터치 스크린(140)은, 전술한 avi, mid 등과 같은 확장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예를 들어 음악 파일의 경우, 장르, 노래의 제목, 상기 재생되고 있는 부분의 위치, 노래의 전체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터치 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전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정보,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140)에 제작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1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영역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파일,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대표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파일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는 것을 수신한다. 파일의 선택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40)을 이용하여 선택 입력된 것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파일이 전송되어 전자 장치의 무선 주파수부(110)가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에 의해 수신된 파일은 제어부(160)가 상기 파일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파일의 선택은 폴더 리스트 또는 그에 상응하는 목록에서 복사 및/또는 송신할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 및 폴더의 선택 시 선택한 파일들이 반드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로만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압축 파일, 암호화 파일 등 모두 선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대표 재생 정보 모드의 활성화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복사 및/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재생 정보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제어부(160)는 대표 재생 정보의 복사 및/또는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된 파일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확장자(avi, mid, mpe, mpg, ram, wav, wma 등)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전술한 무선 주파수부(110)로 재생 정보를 송신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대표 재생 정보를, 원본 파일에 대한 정보 필드와 그에 대응하는 대표 부분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필드에는 각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U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부분의 데이터는 그 음악 파일을 사용자가 들었을 때 해당 음악 파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부분에 관한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는 원본 파일의 확장자에 종속하지 않고 압축률이나 손실률이 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표 재생 정보는 원본 파일의 확장자가 서로 다른 파일들이 섞여 있는 경우라도 추출한 대표 재생 정보 부분은 한 가지 방식으로 인코딩(encoding) 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재생 정보의 생성 시 오버헤드를 피하거나 다른 용도의 사용을 위해 대표 재생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을 다르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장치(200)에서 대표 재생 정보를 지우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한 번이라도 복사 및/또는 송신한 파일이라면, 추후 상기 파일의 요청 시 상기 파일의 대표 부분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파일의 크기에 따라 전송속도와 예상 소요시간을 판단하고 그에 맞게 대표 재생 정보의 길이도 가변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진동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진동을 수행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진동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17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무음 진동 모드 상태에서 통화신호를 수신하거나, 알람 시각이 도래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200)에서 제2장치(300)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장치(200)의 무선 주파수부(110)가 음악 2를 송신하는 동안 제2장치(300)의 오디오 처리부(130)가 음악 2의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한다.
도 6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200)에서 제2장치(300)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음악 2 및 음악 3의 송신이 완료되고, 음악 4가 송신하는 동안 제2장치(300) 음악 4의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한다.
상기 전술한 도 5 및 도 6은, 파일을 송신하는 동안 진행 정도에 맞게 해당하는 파일의 대표 재생 정보를 들려 주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반드시 송신 중인 파일의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것은 아니며, 송신할 파일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아닌 일반 파일이 섞여 있는 경우 그 싱크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 시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장치(300)의 사용자가 음악 7, 음악 8, 음악 9의 대표재생 정보를 듣고 이 음악들을 즐겨 찾기 및 재생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제2장치(300)의 사용자가 등록하기로 판단한 경우 터치스크린(140)을 이용할 수 있다. 즐겨 찾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대표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장치(300)의 사용자가 음악 4, 음악 5, 음악 6의 대표 정보 부분을 듣고, 해당 부분의 파일을 건너뛰거나 삭제를 명령할 수 있다. 삭제 및 편집 내용은 "X"와 같은 기호를 이용하여 명령 및 표시할 수 있다.
즉, 파일의 송수신 중에, 제2장치(300)는 소정의 목록으로 추가, 삭제, 편집, 저장, 복사 및 상기 파일의 수신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900단계에서 무선 주파수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한다. 9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9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 파일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 930단계에서 무선 주파수부(110)는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외부의 전자 기기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010단계에서 무선 주파수부(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를 수신한다. 1020단계에서 무선 주파수부(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개시한다. 1030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101단계에서 제1장치(200)의 무선 주파수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한다. 1102단계에서 제1장치(200)의 제어부(16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여부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1103단계에서 제1장치(2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여부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 1104단계에서 제1장치(200)의 무선 주파수부(110)는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한다.
1105단계에서 제2장치(300)의 무선 주파수부(110)는 대표 재생 정보를 수신한다. 1106단계에서 제1장치(200)의 파일의 송신을 개시한다. 1107단계에서 제2장치의 무선 주파수부(110)는 파일의 수신을 개시한다. 1108단계에서 파일의 송수신중에 제1장치(200) 및 제2장치(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의 오디오 처리부(130)가, 상기 송수신 중인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한다.
1109단계에서 제2장치(300)의 제어부(160)가 대표 재생 정보의 자동 재생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1110단계에서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자동 재생 설정 여부가 확인되면, 제2장치(300)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중단하고,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한다. 미리 지정된 방식이란, 목록화된 대표 재생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거나, 랜덤 재생 등의 방식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111단계에서 제2장치(300)의 제어부(160)는 파일 수신 중에, 파일 또는 대표 재생 정보를 소정의 목록으로 추가, 삭제, 편집, 저장, 복사 및 상기 파일의 수신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휴대 단말기의 미리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201단계에서 무선 주파수부(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파일을 수신한다. 12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한다. 12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대표 재생 정보를 추출한다. 1204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 단말기 150: 저장부
110: 무선 주파수부 160: 제어부
120: 입력부 170: 진동부
130: 오디오 처리부 200: 제1장치
140: 터치 스크린 300:제2장치

Claims (23)

  1. 전자 장치에서의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송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속도 및 소요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속도 및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대표 재생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9. 전자 장치에서의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자동 재생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재생 설정이 확인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중단하고,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파일 또는 대표 재생 정보를, 소정의 목록으로 추가, 삭제, 편집, 저장, 복사 및 상기 파일의 수신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일의 미리 재생 방법.
  12. 전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주파수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는
    상기 생성된 대표 재생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부는 상기 파일의 송신을 개시하고,
    상기 파일을 송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속도 및 소요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속도 및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부는
    상기 대표 재생 정보를 외부의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20. 전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개시하는 무선 주파수부; 및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재생 정보의 자동 재생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파일 또는 대표 재생 정보를 소정의 목록으로 추가, 삭제, 편집, 저장, 복사 및 상기 파일의 수신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재생 장치.
  23. 전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표 재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표 재생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대표 재생 정보를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재생 장치.
KR1020130132011A 2013-11-01 2013-11-01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0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11A KR20150050848A (ko) 2013-11-01 2013-11-01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4/530,547 US9788040B2 (en) 2013-11-01 2014-10-31 File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11A KR20150050848A (ko) 2013-11-01 2013-11-01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48A true KR20150050848A (ko) 2015-05-11

Family

ID=5300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011A KR20150050848A (ko) 2013-11-01 2013-11-01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8040B2 (ko)
KR (1) KR20150050848A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0950B1 (en) 1998-01-20 2002-04-30 Globalstreams, Inc. Low bandwidth television
JP4045393B2 (ja) 1999-06-01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複製管理方法および情報信号記録装置
US20010030660A1 (en) 1999-12-10 2001-10-18 Roustem Zainoulline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eviewing media products
US7444353B1 (en) 2000-01-31 2008-10-28 Chen Alexander C Apparatus for delivering music and information
JP4000844B2 (ja) * 2001-12-11 2007-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配信サーバ及び表示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JP2004023667A (ja) 2002-06-19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ファイル情報送信装置
US7522675B2 (en) * 2002-12-30 2009-04-21 Motorola, Inc. Digital content preview generation and distribution among peer devices
US20050004997A1 (en) * 2003-07-01 2005-01-06 Nokia Corporation Progressive downloading of timed multimedia content
KR20050017449A (ko) 2003-08-09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위한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US7630282B2 (en) 2003-09-30 2009-12-0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isk for audio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audio data
JP2005202319A (ja) 2004-01-19 2005-07-28 Denso Corp 情報抽出システム及び楽曲抽出システム
US7574655B2 (en) * 2004-05-03 2009-08-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capsulation of representative sample of media object
US8438297B1 (en) * 2005-01-31 2013-05-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media over communication networks
US20080248740A1 (en) * 2005-10-19 2008-10-09 Netbarrage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Items and their Metadata Among Mobile Device Users and Purchasing Content Items From an Online Store
US20090165062A1 (en) * 2007-12-21 2009-06-25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Latency Using a Sample Channel
US20100242066A1 (en) * 2009-03-19 2010-09-23 Cyberlink Corp. Method of Performing Random Seek Preview for Streaming Video
US8799253B2 (en) * 2009-06-26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ssembled sequence of preview videos
US20120001724A1 (en) * 2010-07-01 2012-01-05 Petros Belimpasakis Interacting with Peer Devices Based on Machine Detec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US8875184B1 (en) * 2011-12-27 2014-10-28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ation of media play
TWI482486B (zh) * 2013-01-30 2015-04-21 Wistron Corp 影音串流的預覽及播放方法及其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7779A1 (en) 2015-05-07
US9788040B2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81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10805683B2 (en) Priming media applications and presenting primed media application data
US11621022B2 (en) Video fil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6236189B2 (ja) オーディオ情報識別方法及び装置
US81223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2324416B1 (en) Audio user interface
KR10138445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풀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09024920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KR101386012B1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US200701885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20124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dia cont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80114805A1 (en) Play list creator
EP2011120A1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US10019444B2 (en) Universal identifier
KR2012013989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11853643B2 (en) Media sharing community
KR101393714B1 (ko)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KR20150050848A (ko)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3146B1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CA2747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files and associated media art
KR2008009356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목록 표시 방법
US20190369950A1 (en) Audio device, audio system
KR20070107512A (ko) 파일 리스트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파일리스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