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80A -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80A
KR20150050180A KR1020130131665A KR20130131665A KR20150050180A KR 20150050180 A KR20150050180 A KR 20150050180A KR 1020130131665 A KR1020130131665 A KR 1020130131665A KR 20130131665 A KR20130131665 A KR 20130131665A KR 20150050180 A KR20150050180 A KR 2015005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time
gear
cam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162B1 (ko
Inventor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주)피플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플컴패니 filed Critical (주)피플컴패니
Priority to KR102013013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1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태엽에 의해 작동되는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가 제공된다. 내부에 담아진 분말커피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용기와; 개구된 상부로 유입되는 추출커피가 담아지는 커피용기와; 상기 커피용기의 하부개구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된 드레인커버와, 내측면에 링기어가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캠을 구동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구동기어가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선단부에 라쳇돌기 및 래치해제돌기가 이격되어 상하로 형성된 시간설정 링과, 캠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레인밸브를 일정시간동안 개방하는 스템구동기와, 상기 시간설정 링의 회전에 의해 태엽이 감겨져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태엽의 풀림에 의해 상기 시간설정 링을 역회전시키는 타이머모듈과, 둘레 중 일부분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가 상기 라쳇에 의해 푸시 회전되어 래치암에 래치되고, 상기 시간설정 링의 역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해제돌기가가 상기 래치암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상기 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를 구동하는 라쳇기어로 구성된 캠 구동모듈이 설치된 베이스커버을 구비하여 상기 추출용기와 상기 커피용기 사이에 결합된 타임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Coffe dripper for controlling the coffee brewing time}
본 발명은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퍼(coffe dripp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엽에 의해 작동되는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추출된 커피를 드립(drip) 시 용존 산소량이 풍부하도록 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갖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자연산 커피원두를 건조하여 볶아서 보관하고 음용 시 이를 갈아 더운 물을 붓고 여과하여 만드는 원두커피와, 원두를 볶은 후 원액을 추출하여 농축시켜 진공건조 혹은 냉동건조 후 생성된 분말 또는 과립타입의 커피에 더운 물을 부어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인스턴트 커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비교하였을 때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난 것은 물론 풍미와 고급성에서 인스턴트커피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스턴트 커피 보다는 원두커피를 더 선호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음용되는 커피의 양을 비교해보면 아직까지도 인스턴트커피가 더 많이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원두커피가 더 선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스턴트커피를 더 많이 마시게 되는 것은 원두커피가 갖는 번거로움에 기인한다. 즉, 원두를 볶고 분쇄하고 걸러내는 과정은 더운 물만 부으면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원두를 분쇄하고 걸러내는 과정에는 커피 메이트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해당 도구가 없을 경우나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원두커피를 즐기기란 좀처럼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커피 메이트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커피추출시간이 커피메이트의 생산자가 설정한 시간으로 획일화되어 있어 맛과 향 등의 풍미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커피 메이트 보다는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 핸드드립퍼는 분말상태의 커피를 수용하여 여과하기 위한 여과지를 수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용기이다. 이러한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 음용하기 위하여는 여과지를 추출용기에 수납하고, 적절하게 데워진 물을 적절한 속도로 여과지에 수용된 커피분말을 향해 드립 시켜야 한다. 이때, 여과지로 드립되는 물의 양과 속도는 추출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핸드드립 커피의 추출방식은 추출자가 분쇄된 커피에 주전자(드립포트)로 직접 물을 붓게 되는데 숙련자라 하여도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 요인, 즉 추출하기 위해 분쇄커피가 적셔질 정도만 물을 부어 불리기(뜸)를 해야 하는데 뜸들이기 시간의 불규칙함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에 부어지는 물줄기 굵기의 불규칙함, 또 부어지는 물의 양의 불규칙함으로 인해 맛의 편차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문제점, 즉, 핸드드립(hand-drip) 커피의 전형적인 추출방식이 가지고 있는 단점인 맛의 편차를 없고 더욱 정밀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드립퍼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특허문헌 특허 제10-1152836호(2012.05.29. 등록)에 개시(開示)된 '드립퍼 장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드립퍼는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드리퍼(dripper)에서 커피 양이 많은 가운데 부분으로는 굵은 물줄기가 분사되고, 커피 양이 적은 테두리 부분에는 가는 물줄기로 적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드리퍼 용기에 담긴 커피 전체가 편차가 없이 고루 뜸이 들고 추출될 수 있도록 한 분사장치이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은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핸드 드립퍼의 추출용기 이외에도 별도의 분사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52836호(2012.05.29.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커피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드립하도록 구성된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엽에 의해 작동되는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하여 커피추출시간을 설정하고 그 설정시간에 다다랐을 때 커피추출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벨드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추출된 원두커피를 상기 커피추출용기의 하부에 결합된 커피용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말커피가 수용되고 투입되는 물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용기와, 추출된 원두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용기 및 상기 추출용기와 커피용기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추출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시간에 다다랐을 때 상기 커피추출용기 하단의 드레인밸브를 개방시켜 자중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담아진 분말커피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용기와; 개구된 상부로 유입되는 추출커피가 담아지는 커피용기와; 상기 커피용기의 하부개구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된 드레인커버와, 내측면에 링기어가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캠을 구동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구동기어가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선단부에 라쳇돌기 및 래치해제돌기가 이격되어 상하로 형성된 시간설정 링과, 캠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레인밸브를 일정시간동안 개방하는 스템구동기와, 상기 시간설정 링의 회전에 의해 태엽이 감겨져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태엽의 풀림에 의해 상기 시간설정 링을 역회전시키는 타이머모듈과, 둘레 중 일부분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Meshing)되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가 상기 라쳇(racht)에 의해 푸시 회전되어 래치암에 래치되고, 상기 시간설정 링의 역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해제돌기가가 상기 래치암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상기 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를 구동하는 라쳇기어로 구성된 캠 구동모듈이 설치된 베이스커버을 구비하여 상기 추출용기와 상기 커피용기 사이에 결합된 타임밸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 구동모듈은 둘레 중 일부분에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Meshing)되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이 상기 라쳇(racht) 돌기에 의해 푸시되었들 때 회전되어 래치암에 래치되고, 상기 시간설정 링의 역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해제돌기가 상기 래치암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상기 캠을 구동하는 베벨기어를 구동하는 라쳇기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쳇기어는 상기 시간설정 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되어 그 하단에 결합된 태엽을 감고, 상기 래치해제돌기가가 상기 래치암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기어이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동안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그 상부에 베벨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캠을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밸브는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유입구에 위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드레인시트와, 상기 드레인시트와 결합되어 그 하부의 베이스커버에 형성된 스템홀(stem hole)에 삽입된 중공형상의 밸브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의 유입구에는 금속망의 금속필터를 결합하여 추출된 원두커피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커버은 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템홀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기유입로가 형성되어 추출 드립되는 원두커피에 외부공기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는 태엽에 의해 작동되는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시간을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설정하고, 설정 시간에 다다랐을 때 추출용기의 배출밸브를 일정한 시간동안 개방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드립추출기의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커피드립추출기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커피드립추출기의 A-A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피드립추출기의 B-B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시간설정 링의 사시도,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시간조절 드레인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이하 "드립퍼"라 칭함}(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용기(200), 커피가 담아지는 커피용기(300) 및 상기 추출용기(200)와 커피용기(300)의 사이에 결합된 타임밸브(400)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용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담아진 분말커피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커피를 추출하여 중력에 의해 상기 하부개구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커버용기(310)가 결합된다.
상기 추출용기(200)와 커피용기(300)의 사이에 결합된 타임밸브(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하측단에 커피용기(200)의 상단부의 밀봉을 위한 실링(310)이 결합되고, 그 상면 중앙에 중공 형상의 스템홀(462)이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커버(460)와, 상기 베이스커버(460)의 윗부분에는 추출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 링(430)과 상기 추출용기(200)의 하부개구와 상기 스템홀(46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개구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420)를 갖는 드레인커버(4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커버(410)내 드레인밸브(420)의 유입구측에는 금속망으로 만들어진 금속필터(410)이 결합되어 있다.
싱기 금속필터(411)은 추출용기(200)에서 추출되어 그 하부로 드립되는 원두커피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금속필터(411)은 분리가 용이한다. 상기 드레인밸브(420)의 유입구측에 결합된 금속필터(411)를 분리하는 경우, 종이로 된 여과지를 추출용기(200)의 내부에 넣은 후 분말커피를 투입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밸브(420)은 드레인커버(410)의 중앙부분에서 하향 경사지게 뚫어진 유입구(414)에 위치되어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시트(412)와, 상기 드레인시트(412)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414)의 외부로 돌출되어 승강에 따라 상기 드레인시트(412)를 승강시키는 밸브스템(413)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밸브(420)의 밸브스템(413)은 커피용기(300)의 상부개구를 막는 베이스커버(460)의 중앙부분에 중공으로 형성된 스템홀(46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템홀(461)에 끼워진 밸브스템(413)이 위로 올라가면 드레인시트(412)가 유입구(414)의 경사진 측벽으로부터 분리됨으로 유입구(414)가 개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460)의 상면에는 시간설정 링(43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링기어(431)와 치합되어 타이밍기어(442)에 회전에 의해 태엽을 감고 푸는 태엽모듈(441)로 구성된 타이머모듈(440)과, 서포트에 결합된 회전축(455)의 일단에 결합된 베벨기어(45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캠(48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어 상기 밸브스템(413)을 승강시키는 스템구동기(458)와, 상기 타이밍모듈(440)가 이격되어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구동기어(432)에 치합 회전되어 감겨지는 구동태엽을 가지며 상기 구동태엽의 풀림에 의해 상기 캠(480)에 구동력을 전단하는 베벨기어(452, 454)를 구동하는 라쳇기어(451)로 구성된 캠 구동모듈(450)이 설치된다.
상기 라쳇기어(451)는 상기 베이스커버(460)의 상면에 돌출된 고정축(461)에 끼워져 회전되며, 그 외주에는 일부분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베벨기어(452)가 라쳇기어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라쳇기어(4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상부에서 고정축(461)에 끼워저 결합된 베벨기어(453)는 회전하기 않고, 상기 라쳇기어(4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상부에 결합된 베벨기어(453)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에 치함된 치합된 베벨기어(454) 회전시킨다.
상기 라쳇기어(451)가 설치된 인접하는 부분에는 베이스커버(460)의 상면에 형성된 축(P1)에 결합된 래치암(456)이 설치되며, 상기 래치암(456)의 선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에 의해 항상 라쳇기어(451)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라쳇기어(451)에 회전되었을 때 그 상면에 돌출형성된 래치돌기(453)에 래치된다. 상기 래치암(456)의 래치는 시간설정 링(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치해제돌기(434)가 래치암(456)의 타단부을 푸시하였 때 해제된다.
상기 타이머모듈(440)의 타이밍기어(442)와 상기 캠 구동모듈(450)의 라쳇기어(451)는 상기 베이스커버(460)의 상부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은 베이스커버(46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간설정 링(430)의 내측에 형성된 링기어(431)과 구동기어(432)에 각각 치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내부에 형성된 링기어(431)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432)는 90~120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432)의 앞부분에는 라쳇돌기(433)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라쳇돌기(433)의 앞부분의 상부에는 래치해제돌기(4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립퍼(100)는 중앙부분에 결합된 타임밸브(400)의 시간설정 링(430)이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에 의해 추출용기(200)에 넣어진 커피분말의 원두커피 출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추출시간이 거의 다다랐을 때 상기 추출용기(200)의 하부개구를 열어 추출된 커피를 그 하부로 드립한다. 추출시간의 설정과 설정시간에 다다랐을 때 커피가 드립되는 과정을 도 6a~도 6j의 작동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6b~도 6j에서 도 6a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하였다.
초기 추출시간이 설정되지 않았을 때, 즉, 타이머모듈(440)의 태엽모듈(441)가 감겨지지 않았을 때 시간설정 링(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라쳇돌기(433)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기어(45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래치돌기(453)에 닿아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커피분말과 추출수(약 90도 정도로 뜨거운 물)를 추출용기의 넣고, 시간설정 링(4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a에 도시된 라쳇돌기(433)이 래치돌기(453)를 앞방향으로 푸시 함으로써 라쳇기어(451)의 외부면의 일부에 형성된 기어와 시간설정 링(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구동기어(432)의 치합에 의해 라쳇기어(451)는 회전된다. 이때, 라쳇기어(451)의 상면에서 베이스커버(460)에 형성된 축(461)에 결합된 베벨(452)는 원-웨이 방향으로 만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라쳇결합이어서 라쳇기어(4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베벨기어(453)는 회전하기 않는다.
사용자가 시간설정 링(430)을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간을 설정하면, 라쳇기어(451)가 계속적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하부에 결합된 구동태엽을 감으며, 라쳇기어(451)의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453)이 래치암(456)의 선단까지 이동되면, 래치암(456)의 후단에 결합된 스프링(S)의 텐션에 의해 라쳇기어(451)는 상기 래치돌기(453)에 도 6b와 같이 래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라쳇기어(451)의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구동기어(432)에 의하여 상기 라쳇기어(451)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쳇기어(451)가 회전되어 그 하부에 결합된 구동태엽이 감겨질 경우,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기어(431)이 타이밍기어(442)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하부에 결합된 태엽모듈(442)내의 태엽을 감는다. 따라서, 캠(48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태엽이 먼저 감겨진 이 후 타이머모듈(440)의 시간설정을 길게 할 수 있다. 태엽에 의해 시간을 설정을 완료하면, 태엽모듈(441)의 태엽이 풀리면서 시간설정 링(430)이 도 6c 도 6d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된다.
태엽모듈(441)이 지속적으로 풀려저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시간설정 링(430)이 계속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래치해제돌기(434)가 도 6f 및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암(456)의 타단부를 밀어 냄으로써 래치암(456)은 래치돌기(453)에서 분리된다.
상기 래치암(456)이 래치돌기(453)으로부터 떨어지면, 라쳇기어(451)가 그 상부에서 축(461)으로 결합된 베벨기어(452)를 구동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베벨기어(454)가 구동된다. 상기 베벨기어(454)가 구동되면, 구동축(455)가 회전됨으로서 그 단부에 결합된 캠(480)이 도 6h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캠(480)의 회전에 의해 그에 접촉되는 구동폴(457)이 캠(480)의 구동면을 따라 하부로 내려같다. 결국 베이스커버(460)에 상하 회동되게 결합된 스템구동기(458)의 상단이 밸브스템(413)를 상부로 밀어올림으로 드레인밸브(420)의 드레인시트(412)가 유입구(414)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추출용기(200)에서 추출된 원두커피가 밸브스템(413) 및 스템홀(462)의 중공으로 통하여 커피용기(300)로 드롭된다.
커피드롭의 양은 캠(480)이 도 도 6i와 같이 구동 되었을 때 최대로 떨어진다. 캠(480)이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도 6j와 같이 캠(480)의 단차부분이 구동폴(457)에 접촉되면, 밸브스템(413)은 자중에 의해 떨어져 추출커피의 드립을 차단한다.
도 1 내지 도 6중에서 미설명된 부호 463은 공급공급구, 470은 에어캡이다. 상기 공기공급구(463)은 커피가 커피용기(300)로 드립시 외부공기를 드립되는 원두커피에 공기를 혼합하여 신선도를 높힌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커버(460)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유입구(44)에서 스템홀(462)의 방향으로 내려가는 경로상에 중앙부의 턱을 거치며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공기공급구(463)를 연통시켜 커피추출시 베르누이의 원리가 적용되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커피추출액이 함께 섞이며 하단부로 떨어지도록 하여 추출커피액의 신선도를 높인 것이다.
100 : 드립퍼, 200 : 추출용기, 210 : 용기커버, 300 : 커피용기, 310 : 실링(sealing), 400 : 시간설정밸브, 410 : 드레인커버, 411 : 금속필터, 412 : 드레인시트(drain seat), 413 : 밸브스템(valve stem), 420 : 드레인밸브, 430 : 시간설정 링, 431 : 링기어, 432 : 구동기어, 433 : 라쳇돌기, 434 : 래치해제돌기, 440 : 타이머모듈, 441 : 태업모듈, 442 : 타이밍기어, 450 : 캠 구동모듈, 451 : 라쳇기어(bevel racht gear), 452 : 베벨기어, 453 : 래치돌기, 454 : 베벨기어, 455 : 캠축, 456 : 래치암, 457 : 구동폴, 458 : 스템구동기, 459 : 스프링, 460 : 베이스커버, 461 : 지지폴대, 462 : 스템홀(stem hole), 463 : 공기구멍, 470 : 에어캡, 480 : 구동캠, P1 : 축,

Claims (6)

  1.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애 있어서,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담아진 분말커피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용기(100)와; 개구된 상부로 유입되는 추출커피가 담아지는 커피용기(200)와; 상기 커피용기(100)의 하부개구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420)가 설치된 드레인커버(410)와, 내측면에 링기어(431)가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캠(480)을 구동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구동기어(432)가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432)의 선단부에 라쳇돌기(433) 및 래치해제돌기(434)가 이격되어 상하로 형성된 시간설정 링(430)과, 캠(48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레인밸브(421)를 일정시간동안 개방하는 스템구동기(458)와,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회전에 의해 태엽이 감겨져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태엽의 풀림에 의해 상기 시간설정 링을 역회전시키는 타이머모듈(440))과, 둘레 중 일부분에는 상기 구동기어(432)에 치합(Meshing)되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453)가 상기 라쳇(racht)에 의해 푸시 회전되어 래치암(456)에 래치되고,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역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해제돌기가(434)가 상기 래치암(456)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상기 캠(48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452, 454)를 구동하는 라쳇기어(451)로 구성된 캠 구동모듈(450)이 설치된 베이스커버(460)를 구비하여 상기 추출용기(100)와 상기 커피용기(200) 사이에 결합된 타임밸브(4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모듈(440)은 둘레 중 일부분에 상기 구동기어(432)에 치합(Meshing)되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치돌기(453)이 상기 라쳇(racht) 돌기(433)에 의해 푸시되었들 때 회전되어 래치암(456)에 래치되고,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역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해제돌기가(434)가 상기 래치암(456)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상기 캠(480)을 구동하는 베벨기어(452, 454)를 구동하는 라쳇기어(45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기어(451)는 상기 시간설정 링(4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432)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되어 그 하단에 결합된 태엽을 감고, 상기 래치해제돌기가(434)가 상기 래치암(456)의 래치를 해제하였을 때 기어이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동안 태엽에 의해 역회전되어 그 상부에 베벨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캠(481)을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420)는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유입구(414)에 위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드레인시트(412)와, 상기 드레인시트(412)와 결합되어 그 하부의 베이스커버(460)에 형성된 스템홀(stem hole)(462)에 삽입된 중공형상의 밸브스템(4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420)의 유입구(414)에는 금속망의 금속필터(411)가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버(460)은 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템홀(462)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기유입로(463)가 형성되어 추출 드립되는 원두커피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KR1020130131665A 2013-10-31 2013-10-31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KR10157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5A KR101570162B1 (ko) 2013-10-31 2013-10-31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5A KR101570162B1 (ko) 2013-10-31 2013-10-31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80A true KR20150050180A (ko) 2015-05-08
KR101570162B1 KR101570162B1 (ko) 2015-11-19

Family

ID=5338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65A KR101570162B1 (ko) 2013-10-31 2013-10-31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1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31B1 (ko) * 2015-07-31 2017-01-03 주식회사 원더치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CN106820986A (zh) * 2017-04-10 2017-06-13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滴漏式咖啡冲泡装置及滴漏式咖啡冲泡套件
WO2018167726A1 (en) * 2017-03-17 2018-09-20 Ene Holdings Ltd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KR102160382B1 (ko) * 2020-05-26 2020-09-25 주식회사 라운지랩 태엽을 이용한 자동 핸드 드립 장치
KR102316906B1 (ko) * 2020-10-28 2021-10-25 주식회사 알시넷 커피머신
US11406218B2 (en) 2012-10-09 2022-08-09 Ene Holdings Ltd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8022B (zh) * 2016-06-24 2021-09-21 亚历山大·伊利亚·阿尔巴内塞 用于冲泡调味饮料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598A (ja) 2004-04-15 2005-10-27 Noriko Kubo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KR200469626Y1 (ko) 2013-01-02 2013-10-29 조준형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6218B2 (en) 2012-10-09 2022-08-09 Ene Holdings Ltd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KR101692531B1 (ko) * 2015-07-31 2017-01-03 주식회사 원더치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WO2018167726A1 (en) * 2017-03-17 2018-09-20 Ene Holdings Ltd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CN106820986A (zh) * 2017-04-10 2017-06-13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滴漏式咖啡冲泡装置及滴漏式咖啡冲泡套件
CN106820986B (zh) * 2017-04-10 2023-08-01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滴漏式咖啡冲泡装置及滴漏式咖啡冲泡套件
KR102160382B1 (ko) * 2020-05-26 2020-09-25 주식회사 라운지랩 태엽을 이용한 자동 핸드 드립 장치
KR102316906B1 (ko) * 2020-10-28 2021-10-25 주식회사 알시넷 커피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162B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162B1 (ko) 커피 추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드립퍼
US11357238B2 (e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CN102946772B (zh) 咖啡饮料系统、研磨咖啡包装盒及相关方法
CN102215725B (zh) 用于制备咖啡饮料的系统以及相关方法
US4703687A (en) Coffee maker
US6729226B2 (en) Multip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US20100011964A1 (en)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KR101428669B1 (ko)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RU2006133306A (ru) Вкладк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9332875B2 (en)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KR20090075650A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JP2016522045A (ja) ダッチコーヒーのドリップ装置
US20230363572A1 (en) Beverage Brewer
KR20100008406U (ko)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KR20100069611A (ko)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US11779148B2 (en) Beverage brewer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US20200085226A1 (en) Coffee brewer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CN203506258U (zh) 一种自动定时泡茶器
CN203506268U (zh) 一种水杯
KR200471426Y1 (ko) 배기형 찻병
CN101695424A (zh) 泡茶器
US1962494A (en) Coffee making apparatus
WO1991012757A1 (en) Microwave brewing apparatus control valve and method of making a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