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56A - 에어 마우스 - Google Patents

에어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56A
KR20150050156A KR1020130131616A KR20130131616A KR20150050156A KR 20150050156 A KR20150050156 A KR 20150050156A KR 1020130131616 A KR1020130131616 A KR 1020130131616A KR 20130131616 A KR20130131616 A KR 20130131616A KR 20150050156 A KR20150050156 A KR 2015005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essure sensor
hair band
unit
air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으뜸
최선림
임성일
박희준
임중연
Original Assignee
고으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으뜸 filed Critical 고으뜸
Priority to KR102013013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156A/ko
Publication of KR2015005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에어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대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 반대측에 해당되는 단부에 상기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일 때 함께 좌우로 움직이는 상기 단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단부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커서이동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에 각각 접하는 압력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좌우측 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부풀릴 때 상기 압력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커서이동유닛이 지시하고 있는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마우스 {AIR-MOUSE}
본 발명은 에어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에어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발달함에 따라, 키보드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직접적으로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명령어 입력을 대신하는 경우가 매우 많아졌다.
이러한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마우스에 대한 개발도 촉진되어, 다양한 형태의 마우스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개발되고 있는 대다수의 마우스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야만 하는 구조이어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야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인 경우에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는데 있어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야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인 경우에도 상기 아이콘을 쉽게 클릭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에어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에어 마우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대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 반대측에 해당되는 단부에 상기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일 때 함께 좌우로 움직이는 상기 단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단부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커서이동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에 각각 접하는 압력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좌우측 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부풀릴 때 상기 압력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커서이동유닛이 지시하고 있는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릭유닛은, 상기 압력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센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클릭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대하여 틸팅가능하게 연결된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이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이동편에서 상기 압력센서까지 연결시키는 연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선은 상기 이동편과 상기 압력센서 사이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릭유닛은, 상기 이동편에 접하여 있는 상기 연결선을 상기 압력센서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상기 이동편에서 상기 압력센서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연결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소리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 인근에 마련된 스피커와, 상기 사용자의 입 주변에 마련되어 소리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인 경우에 상기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클릭유닛을 구성하는 연결선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클릭유닛을 구성하는 조절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클릭유닛을 구성하는 연결선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클릭유닛을 구성하는 조절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는 헤어밴드(100), 커서이동유닛(200), 클릭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스피커(400) 및 마이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어밴드(100)는 후술할 다른 구성요소들이 사용자의 머리 상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이 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밴드 형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머리에 걸쳐지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이마를 가로질러 끼워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밴드 형태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 모두를 대표적으로 표현한 용어라고 할 것이며, 이러한 용어의 사용으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헤어밴드(100)는 사용자의 좌우측 대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클릭유닛(300)을 이용하여 좌우 클릭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가 새로운 형태의 마우스라 할지라도 종래의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과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할 것이므로, 종래의 마우스와 같이 좌우 클릭이 될 수 있도록 클릭유닛(300)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클릭유닛(300)이 연결되는 헤어밴드(100)를 좌우측 대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커서이동유닛(200)은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종래의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몸체 및 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센서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서이동유닛(200)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마우스에서의 몸체와 달리 사용자의 손과는 무관하여야 하는바, 헤어밴드(100)에 장착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때, 커서이동유닛(200)은 헤어밴드(100)의 중앙부에서 사용자의 등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서이동유닛(200)은, 종래의 마우스에 있어서 센서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신하여, 헤어밴드(100)의 중앙부 반대측에 해당하는 단부에 위치센서(2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위치센서(210)는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일 때 헤어밴드(10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 및 이에 장착되는 헤어밴드(100)와 함께 움직이게 되며, 이때의 움직임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좌측으로 움직이고 싶으면, 머리를 좌측으로 돌려 커서이동유닛(200)이 좌측으로 가도록 함으로써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커서를 좌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클릭유닛(300)은 전술한 커서이동유닛(2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이동한 커서가 지시하고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클릭유닛(300)은 일단부가 헤어밴드(100)의 양측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가 사용자의 좌우측 볼에 각각 접하는 압력센서(3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서(310)는 사용자가 좌우측 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부풀릴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클릭유닛(300)은 사용자가 종래의 마우스에 있는 좌우측 버튼을 사용자의 좌우측 볼에 각각 접하는 압력센서(310)로 대체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종래의 마우스에서 좌클릭을 하는 것을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서 구현하고자 한다면, 사용자가 좌측 볼 내측을 향해 혀를 밀어내거나 또는 공기를 밀어내어 좌측 볼 외측에 접하여 있는 압력센서(310)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클릭유닛(300)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상태에 따라 압력센서(310)가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센서(310)를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정부(320)는 압력센서(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구조 등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정부(320)는 클릭유닛(300)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편(322)과, 고정편(322)에 대하여 틸팅가능하게 연결된 이동편(324)과, 이동편(324)이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핀(3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동편(324)에서 압력센서(310)까지 연결시키는 연결선(328)이 이동편(324)과 압력센서(310) 사이에 절곡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얼굴이 갸름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328)을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θ1만큼 구부려 사용자의 얼굴에 압력센서(310)가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이 부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핀(326)을 돌려 고정편(322) 대비 이동편(324)을 θ2만큼 틸팅시켜 압력센서(310)에 압력이 가하지 않은 채 사용자의 얼굴에 압력센서(310)가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조정부(320)는 θ1, θ2의 각도를 조절하여 압력센서(310)를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상태를 수치로서 정형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정도로 그 경우의 수가 많은바, θ1, θ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는바,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클릭유닛(300)은 길이조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정부(330)는 연결선(328)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연결선(32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θ1, θ2의 각도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의해 실질적으로 다른 각도로 변경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길이조정부(330)를 통해 연결선(328)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편(324)에 접하여 있는 연결선(328)을 압력센서(310)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이동편(324)에서 압력센서(310)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스피커(400)는 헤어밴드(100)의 단부가 사용자의 양측 귀 인근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추가된 구성요소이다.
즉,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소리를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400)를 헤어밴드(100)의 양측 당부 인근에 마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피커(400)에 대응하여, 소리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500)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헤어밴드(10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입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마우스 본체를 손으로 잡고 본체 하단에 마련된 센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커서이동유닛(200)을 통해 머리의 좌우측으로 돌리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고, 종래의 마우스 버튼 좌우측을 누르는 것을 클릭유닛(300)을 통해 좌우측 볼을 부풀려 압력센서(310)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아이콘을 쉽게 클릭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인 경우에도 아이콘을 쉽게 클릭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우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신호를 주고받는 경로 및 방법을 비롯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 및 방법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들인바, 이상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가능하도록 명확하게 설명된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헤어밴드
200 : 커서이동유닛
210 : 위치센서
300 : 클릭유닛
310 : 압력센서
320 : 위치조정부
322 : 고정편
324 : 이동편
326 : 조절핀
328 : 연결선
330 : 길이조정부
400 : 스피커
500 : 마이크

Claims (6)

  1.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에어 마우스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대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밴드의 중앙부 반대측에 해당되는 단부에 상기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일 때 함께 좌우로 움직이는 상기 단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단부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커서이동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에 각각 접하는 압력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좌우측 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부풀릴 때 상기 압력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커서이동유닛이 지시하고 있는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유닛을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유닛은,
    상기 압력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볼 각각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센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클릭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대하여 틸팅가능하게 연결된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이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이동편에서 상기 압력센서까지 연결시키는 연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선은 상기 이동편과 상기 압력센서 사이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유닛은,
    상기 이동편에 접하여 있는 상기 연결선을 상기 압력센서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상기 이동편에서 상기 압력센서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연결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우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소리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 인근에 마련된 스피커와, 상기 사용자의 입 주변에 마련되어 소리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우스.
KR1020130131616A 2013-10-31 2013-10-31 에어 마우스 KR20150050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16A KR20150050156A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16A KR20150050156A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56A true KR20150050156A (ko) 2015-05-08

Family

ID=5338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16A KR20150050156A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101B1 (ko) * 2017-02-28 2018-08-2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절곡부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션 접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101B1 (ko) * 2017-02-28 2018-08-2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절곡부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션 접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581B1 (en)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KR101793566B1 (ko) 원격 제어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5293154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40267024A1 (en) Computing interface system
US20070279380A1 (en) Computer input device
US8743052B1 (en) Computing interface system
US20230004231A1 (en) Sensors for Electronic Finger Devices
JP2010108500A (ja) 着用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基盤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60008890A (ko) 신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20101401A1 (en) Thumb mounted function and curso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US20190004596A1 (en) Hands-free input method and intra-oral controller apparatus
CN107436693B (zh) 操控装置
KR20150050156A (ko) 에어 마우스
JP2001236177A (ja) マウス
Xirgo et al. Accelerometer-based computer mouse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JP6887021B2 (ja) 手指の関節間着用型の指輪タイプのユーザ操作センシング装置
US9921607B2 (en) Portable user input system operable in two modes
TWI438645B (zh) 指控裝置
KR101625066B1 (ko) 웨어러블 마우스
US20190384355A1 (en) Wearable controller
KR101937686B1 (ko) 웨어러블 제어 장치
KR101111285B1 (ko)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US20240185516A1 (en) A Method for Integrated Gaze Interaction with a Virtual Environment,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102127465B1 (ko)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KR102452909B1 (ko) 웨어러블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