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29A - Ship with movable crane - Google Patents

Ship with movable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29A
KR20150050129A KR1020130131579A KR20130131579A KR20150050129A KR 20150050129 A KR20150050129 A KR 20150050129A KR 1020130131579 A KR1020130131579 A KR 1020130131579A KR 20130131579 A KR20130131579 A KR 20130131579A KR 20150050129 A KR20150050129 A KR 2015005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parking block
support frame
fram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6194B1 (en
Inventor
윤상웅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94B1/en
Publication of KR2015005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0Devices for indicating or limiting lifting mo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with a movable crane having high cohesion between the movable crane and a fixing facility in the ocean during bad weather comprising: a running rail extended toward one side along a hull; a support frame moved on the hull by being combined to be slid on the running rail; the crane including a tow portion which tows an object by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 parking block arranged on a moving path of the support frame of the crane containing the crane; and fixing units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and fixing the crane in the parking block.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Ship with movable crane}Ship with movable crane [0001]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in which a crane moves and is firmly received in a hull.

선박은 원거리 물류수송수단으로서, 다른 운송수단에 비하여 대량의 물류를 적은 비용으로 운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해상운송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번에 수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형화된 선박 및 이에 따른 대형 크레인이 건조되고 있다.The ship is a remote logistic transportation means,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a large quantity of logistics can be transported at a small cost compared with other transportation mean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marine transportation, a large-sized ship capable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ransport at a time and a large-sized crane have been built.

크레인에는 예를 들어, 부두 안벽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 하는 겐트리 타입 크레인(Gantry type crane), 360도 이동에 따른 공간의 범용성을 가지는 너클 크레인(knuckle crane), 대중량의 물체를 이송하는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rane is equipped with a gantry type crane that is installed on the quay wall to ship or unload the container, a knuckle crane that has a general purpose of moving the space by 360 degrees, And a Goliath crane.

너클 크레인은 많은 물량을 한번에 수송하지 못하며, 대중량의 물체를 이송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을 설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중량체를 수송하고 있다.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은 주로 부두나 도크 내부에 설치된다.Knuckle cranes can not transport large amounts of material at once, and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heavy object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eavy body is transported by installing a large crane such as a Goliath crane. Large cranes such as the Goliath crane are usually installed inside the dock or dock.

한편, 선박이 대형화되고, 운송하는 물류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대형 크레인의 선박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에 설치된 대형 크레인은 선적, 또는 하역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해양에서 별도의 설치작업을 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vessels become larger and the volume of transportation to be transported increases, installation of such large-sized cranes is required. Large cranes installed on these ships may be used for loading, hauling, or for other installations in the ocean.

그러나,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은 선박에서 이동에 따른 제약이 크며, 해일이나 태풍 등의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해양 환경에서 안정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많은 보강 구조물이 사용되는 등 이에 대한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a large crane such as a Goliath crane has a large restri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hip,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ly fix it in a marine environment where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tsunamis or typhoons are not good. Therefore, many problems such as the use of reinforced structures are not adequately solv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45394호 2000.05.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45394 2000.05.15.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 크레인이 파손되지 않도록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so that the crane can move and be firmly accommodated in the ship so that the crane is not damaged in a bad weather condi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은,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veling rail extending to one side along a hull, a supporting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traveling rail and moving on the hull, A crane including a tow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rane, a crane including a towing portion for towing an object, a parking block disposed on a moving path of the support frame of the crane, for connecting the crane to the parking block,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o the parking block.

상기 주행레일은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주행레일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상기 견인부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At least one pair of the running rails being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orting frame including at least a pair of first frame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unning rails, The parking block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s the supporting frame slides.

상기 주행레일의 끝단부가 상기 주행레일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과 면하고,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nd of the travel rail faces the accommodation area of the hull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travel rail, and the parking block can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hull of the hull toward the travel rail.

상기 고정유니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uni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toward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And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that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and presses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신장되는 조절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다.The pressuriz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regulating cylinder extending in the receiving portion.

일 측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견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의 견인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crane detachably coupled to the pulling unit of the crane and moving the pressing unit with a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unit.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파킹블록 일 측에 상기 견인부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Pulley)를 경유하여, 상기 파킹블록에 만입된 상기 수용부 내측의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rive unit is formed slidably on the one side of the parking block toward the pulling portion, and includes a ring part hanging on the pulling part and a ring part hanging from the ring part via at least one pulley, And a driving wire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부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반전시키고, 서로 다른 상기 가압부로 분배하는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wire is connected to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and is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to reverse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 And can be connected via drive pulleys that distribute to the different pressurizing portions.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킹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rak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이스트 장치 이거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일 수 있다.The pulling portion may be a hoist devic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or may be a crane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이 이동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수용되어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 파손되지 않으며, 크레인 파손에 따른 사고 및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moves and is firmly received in the hull, so that it is not damaged in the marine environment where the weather environment is poor, and accident and damage caused by crane dam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파킹블록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돌출부와 수용부가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크레인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이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환경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파킹블록 내부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ne and the parking block of Fig. 1 are engaged;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ne and the parking block of Fig. 2 are engaged;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parking block shown in Fig. 3;
5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rane of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of FIG. 1 is placed in an environment with poor weather conditions.
FIG. 8 and FIG. 9 are ope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arking block of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rane and the parking block in Fig.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ip having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킹블록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ane and a parking block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parking block shown in FIG. 3; FIG.

본 발명에서 선체(10)라 함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사실상 모든 해양 구조물 및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거주구 등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체 동력 또는 다른 추진체의 도움을 받아 이동이 가능하거나 해저에 지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된 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hull 10 " means a living quadrant installed on virtually all offshore structures and marine structures suspended or fixed on the sea, and can be moved with the help of self- And a substantially fixed structure tha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은 크레인(30)이 선체(10)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20)을 따라 파킹블록(60)에 수용되어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도 크레인(3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대형 크레인(30)의 파손에 따른 안전 사고 및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hip 1 equipped with the mobile cra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rane 30 is accommodated in the parking block 60 along the running rail 20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hull 10, The crane 30 is not damaged even in a bad oce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breakage of the large crane 30 and a casualty damage to the worker.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ip 1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주행레일(20)은 선체(10)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이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선체(10)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며, 주행레일(20) 위에 놓여진 크레인(30)은 선체(10)의 일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At least one pair of the running rail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ide of the hull 10 so as to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hull 10 and the crane 30 placed on the running rail 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ull 10 You can slide along the side.

주행레일(20)은 철재로 건조된 크레인(3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강도의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레일(20)은 적어도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크레인(30) 하중이 일 측면으로 치우치지 않고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며, 크레인(30)이 주행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한 이동을 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The running rail 20 can be formed of a high-strength steel material that stably supports the crane 30, which is dried by the iron material, so that the crane 30 can smoothly move. At least one pair of running rails 20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load of the crane 30 is dispersed over a wide area without being deviated to one side and the crane 30 is smoothly mov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running rail 20 As shown in Fig.

크레인(30)은 선상의 물체를 들어 올려서 운반하는 장치로서 갠트리 크레인과 같이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일 수 있다.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며, 대중량의 물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심해에 대중량의 물체를 설치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30)은 예를 들어, 선체(10)의 일부에 문풀(Moonpool)이 있는 경우, 크레인(30)의 이동에 의해 문풀을 통과하여 심해 장비 및 URF(Umbilical, Riser, Flowline)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crane 30 may be an overhead crane that moves along an orbit like a gantry crane, such as a gantry crane, which lifts and transports a line-shaped object. The crane 3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running rail 20, and can efficiently move a large-sized object, and can be very effectively used to install a large-sized object in a deep sea. The crane 30 can easily move deep water equipment and URF (Umbilical, Riser, Flowline), for example, through the door frame by the movement of the crane 30 when there is a Moonpool in a part of the hull 10 Can be installed.

또한,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체(10)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40)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50)를 포함한다. The crane 30 includes a support frame 40 slidably coupled to the running rail 20 and moving on the hull 10 and a traction unit 5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40 to pull the object do.

지지프레임(40)은 주행레일(20)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41)과 제1 프레임(41)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견인부(50)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42)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frame 40 includes at least a pair of first frames 41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unning rail 20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41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2 frame 42. [0033] FIG.

제1 프레임(41)은 주행레일(20)로부터 일정 높이로 제2 프레임(42)을 지지하며, 제2 프레임(42) 및 견인부(50)에 의해 운송되는 물체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물체의 하중을 분산하여 선체(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41 supports the second frame 42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running rail 20 and is not deformed by the load of the object carried by the second frame 42 and the pulling portion 50 It can be made of steel with sufficient rigidity. Thereby, the load of the object can be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hull 10.

제2 프레임(42)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호이스트 장치(Hoisting system)로 이루어지는 견인부(50)를 이용하여 물체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The second frame 42 can easily lift or lower an object by using a pulling portion 50 formed of a hoisting system for lifting an object.

이러한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42)은 해상에서 유입되는 바닷물에 의해 부식이나 손상을 최소화한 특수 강철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41 and the second frame 42 can be made of special steel that minimizes corrosion or damage due to seawater flowing in from the sea.

견인부(50)는 선체(10)에 놓여진 물체를 들어 선체(10)에 선적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40)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동기, 감속 장치,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켜 감아 올리는 장치인 호이스트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ulling portion 50 is a member for loading an object placed on the hull 10 into the hull 10 and is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40 to integrate the electric motor, the speed reducer, the winding drum, And a hoisting device which is a hoisting device.

호이스트 장치는 연결부(51)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42)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42)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The hoist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51 and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42 and can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and is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second frame 42.

한편, 견인부(50)는 이러한 호이스트 장치로 한정될 것은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견인부(50)는 지지프레임(4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 및 크레인 암 상단에 위치한 트롤리(trolley)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owing portion 50 is not limited to such a hoist device but in other embodiments the towing portion 50 may include a crane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40, And a trolley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파킹블록(60)은 지지프레임(4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며, 주행레일(20)을 향해 선체(10)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크레인(3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파킹블록(60)은 크레인(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42)사이에 중첩되도록 삽입된다.The parking block 60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frame 40 and protrudes in a shape capable of receiving the crane 30 from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ull 10 toward the running rail 20. [ The parking block 60 is inserted so as to overlap between the first frame 41 and the second frame 42 due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rane 30.

이때, 크레인(30)은 파킹블록(6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유니트(70)에 의해 파킹블록(60)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ane 30 can be fixed to the parking block 60 by a fixing unit 70 connecting the parking block 60 and the crane 30.

고정유니트(70)는 크레인(30)을 파킹블록(6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지지프레임(40) 및 파킹블록(60)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71)와 지지프레임(40) 및 파킹블록(60) 중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7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 되어 돌출부(71)를 수용하는 수용부(72) 및 수용부(72) 내측으로 신장되어 돌출부(71)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73)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70 firmly fixes the crane 30 to the parking block 60 and includes a protrusion 71 protruding from one of the support frame 40 and the parking block 60 toward the other,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71 of the other one of the parking block 40 and the parking block 60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71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And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73 for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유니트(70) 특히, 돌출부(71)는 크레인(30)에 형성되고, 수용부(72)는 파킹블록(60)에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나, 돌출부(71)가 파킹블록(60)에 형성되고, 수용부(72)가 크레인(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가압부(73)역시 수용부(72)가 형성된 크레인(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경우 돌출부(71)와 수용부(72)의 상호간에 구체적인 배치상태는 알맞게 조정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the case where the fixing unit 70, particularly the protrusion 71, is formed on the crane 30 and the receiving portion 72 is formed on the parking block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ortion 71 may be formed in the parking block 60 and the receiving portion 72 may be formed in the crane 30. [ The pressing portion 73 may also be formed in the crane 30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72 formed thereon. However, in each case, the specific arrangement state between the projecting portion 71 and the receiving portion 7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돌출부(71)는 주행레일(20)과 평행하도록 제2 프레임(42)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수용부(72)는 파킹블록(60)에 돌출부(7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돌출부(71)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72)와 돌출부(7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At least one pair of protrusions 71 protrude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o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4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running rail 20 and the receiving portion 72 is connected to the parking block 60 The protruding portion 71 can be receiv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71. The receiving portion 72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be firmly coupled.

가압부(73)는 수용부(72) 내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조절 실린더(80)의 작동과 연동되어 수용부(72)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71)를 가압한다. 따라서, 돌출부(71)가 외부환경에 의하여 수용부(72)를 이탈하지 않고 수용부(72)에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73 is formed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so as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cylinder 80 and mov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to press the protruding portion 71. Therefore, the projecting portion 71 can be fix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without leav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by the external environment.

이때, 가압부(73)와 돌출부(71) 사이에는 브레이킹 패드(90)가 위치하여 상호간의 밀착에 따른 마찰력을 증가시켜, 돌출부(71)가 수용부(7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king pad 9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73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due to clos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pad 73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can be increased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72 .

또한, 브레이킹 패드(90)는 가압부(73)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돌출부(71)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가압부(73)와 돌출부(71)사이가 완전히 밀착되고, 상호간의 마찰을 증가시키면서,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71) 및 수용부(72)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돌출부(71)와 수용부(72)간의 형성된 인력에 의해 돌출부(71)는 수용부(72)에 좀 더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braking pad 90 is completely tightly contact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73 and the protruding portion 71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pressing portion 73 can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protruding portion 71, ,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is not easily broken by external pressure. Although not shown, the magnet portion may be attached to either the protrusion 71 or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and the protrusion 71 may be formed by the attraction forc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71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And can be more easily fixed to the base plate 72.

한편, 조절 실린더(80)는 몸체(81)와 피스톤(82)으로 구성되며, 피스톤(82)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73)와 연결되어 피스톤(82)의 슬라이딩에 따라 가압부(73)는 수용부(72)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가압부(73)의 작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 한다.The adjustment cylinder 80 is composed of a body 81 and a piston 82. One end of the piston 82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73 as shown in the drawing, (73) moves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73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1)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30)이 선체(10) 일 측의 파킹블록(60)에 견고하게 수용됨으로써,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해양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자연스레 크레인(30)의 파손에 따른 컨테이너 파손 예방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crane 30 moving along the running rail 20 is firmly accommodated in the parking block 60 on one side of the ship 10 with the mobile cran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damage due to the breakage of the crane 30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operator in advanc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수용부(72)에 돌출부(71)가 결속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process of binding the protruding portion 71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도 3의 돌출부와 수용부과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FIG. 3. FIG.

제2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72)에 슬라이딩 되어 수용된다. 조절실린더(80)는 예를 들어,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즉, 선체(10)의 외측에 위치한 작동버튼 등에서 송신하는 조작신호 및 작업자의 수동적인 조작신호 등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71 protruding from the second frame is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cylinder 80 can be operated by, for example,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that is,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 operation button located outside the hull 10, and a manual operation signal of an operator.

조절 실린더(80)의 피스톤(82)이 몸체(81)로부터 돌출부(71)를 향해 이동(화살표 참조)하면서, 가압부(73)는 돌출부(71)에 점차 밀착하게 되고, 피스톤(82)이 돌출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가압부(73)는 돌출부(71)에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pressing portion 73 is gradu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jecting portion 71 while the piston 82 of the adjusting cylinder 80 moves from the body 81 toward the projecting portion 71 The pressing portion 73 transmits pressure to the protruding portion 71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이때, 가압부(73)가 돌출부(71)에 전달하는 압력의 크기는 수용부(72)에 수용된 돌출부(71)가 외부에서 전달해오는 힘의 크기보다 크며, 이러한 힘의 크기에 의해 돌출부(71)가 수용부(72)를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71 by the pressurizing portion 73 is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by the protruding portion 71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fixed without detach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다만, 가압부(73)가 돌출부(71)에 전달하는 압력의 크기는 돌출부(71)와 가압부(73)사이에 개재된 브레이킹 패드(90)가 가압부(73)가 전달하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The degree of pressure transmitted by the pressing portion 73 to the projection 71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transmitted by the pressing portion 73 by the breaking pad 90 interposed between the projection 71 and the pressing portion 73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is such that it is not damaged.

도 6은 도 1의 크레인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이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환경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rane of FIG. 1,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hip having the mobile crane of FIG. 1 in a state where the weather condition is poor.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테이너(C)와 같은 대상물체는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에 의해 부두로부터 선체(10)로 수송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1차로 수송된 컨테이너(C)는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화살표 참조)하는 크레인(30)에 의해 선체(10)내로 이동되면서 적합한 위치에 선적될 수 있다. 그러나 크레인(30)이 수송하는 물체가 컨테이너(C)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크레인(30)은 고중량의 각종 시추장비나, 해저에 설치되는 설치장비 등을 수송하여 선체(10) 내부에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target object such as a container C can be transported from the pier to the hull 10 by means of a crane installed at the wharf, and the container C thus primarily transported moves along the running rail 20 Can be shipped to a suitable position while being moved into the hull 10 by a crane 30 that is connected to the hull 10 (see arrows). However,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by the crane 30 is not limited to the container C. The crane 30 can be easily shipped to the inside of the hull 10 by transporting various heavy drilling equipment or installation equipment installed on the sea floor.

이후,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하여 파킹블록(60)에 수용되고, 고정유니트(70)에 의해 파킹블록(60)과 크레인(30)은 상호간 높은 밀착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해일 및 태풍 등의 기상조건이 좋지 해양에서도 크레인(30)은 안정적으로 보존되어 파손되지 않으며, 크레인(30)이 파손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rane 30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20 to be accommodated in the parking block 60, and the parking block 60 and the crane 30 are fixed to each other with high adhesion force by the fixing unit 70. Therefore, even in a marine environment where weather conditions such as tsunamis and typhoons are not good, the crane 30 is stably stored and is not damaged, and safety accidents and personal injury that may occur due to breakage of the crane 3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의 파킹블록 내부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 8 and FIG. 9 are ope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arking block of a ship equipped with a mobile cra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은 파킹블록(60-1)을 제외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고 설명이 간결한 것이 되도록,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ship having the mobile cra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ip having the mobile cra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parking block 60-1. Therefore, in order to avoid repetitive explanations and to simplify explanations, portions which differ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ith respect to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above.

파킹블록(60-1)은 복귀 스프링(74)의 일단에 연결된 가압부(73)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 견인부(50)와 연결되는 고리부(110), 가압부(73)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120)를 더 포함한다.The parking block 60-1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portion 7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74, a ring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drawing portion 50, And a driving wire (120).

가압부(73)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가압부(73)의 일 측 즉,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의 일측은 구동유니트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 받는다.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73,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73a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3b, is driven The power generated by the unit is transmitted.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는 구동와이어(120)에 쉽게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구동와이어(120)와 연결되어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portion 73a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3b are formed to have a "B" shape as shown so as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driving wire 120 so as to be movable. However, And the driving wire 120 so as to be smoothly moved.

복귀 스프링(74)은 파킹블록(60-1)내부에 형성되어 일 측면이 가압부(73)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가압부(73)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시키거나, 급작스러운 구동유니트의 작동에 의한 가압부(73)의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turn spring 74 is formed inside the parking block 60-1 so that one side of the return spring 74 is connected to the urging portion 73 so as to attenuate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rging portion 73 from the outside,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73 due to the operation can be prevented.

구동유니트는 견인부(50)에서 전달되는 견인력을 구동와이어(120)에 전달하여 가압부(73)를 수용부(72)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구동유니트는 고리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101)를 경유하여 파킹블록(60-1)에 만입된 수용부(72)내측의 가압부(73)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120), 파킹블록(60-1) 일 측에 견인부(50)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견인부(50)에 걸리는 고리부(11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transfers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lling unit 50 to the driving wire 120 to move the pressing unit 73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72.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wire 120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73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72 which is received in the parking block 60-1 via the at least one pulley 101 from the ring portion 110, And a ring portion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block 60-1 so as to be slidable toward the traction portion 50 and hooked to the traction portion 50. [

여기서, 풀리(101)는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힘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풀리(101a),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힘을 이용하여 가압부(73)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101b)를 포함한다.Here, the pulley 101 includes a directional pulley 101a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orce formed on the driving wire 120, and a driving pulley 101b that moves the pressing portion 73 using a force formed on the driving wire 120 .

풀리(101)는 고리부(110)의 일 측면에 연결된 구동와이어(120)와 밀착되어 이를 우회시킨다. 이때, 구동와이어(120)에는 고리부(110)의 하중과 대응되는 힘이 형성되며, 형성된 힘의 방향은 방향풀리(101a)를 경유하면서 바뀌게 된다. The pulley 10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wire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ing 110 to bypass it. At this time,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the hook 110 is formed on the driving wire 120, and the direction of the formed force is changed via the directional pulley 101a.

즉, 고리부(110)가 상승(화살표 참조)되면, 고리부(110)를 상승시키는 힘과 대응되는 힘이 구동와이어(120)에 장력으로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ring 110 rises (see arrows),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force to raise the ring 110 is formed on the driving wire 120 with tension.

이때, 형성된 장력은 다수개의 방향풀리(101a)를 경유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바뀌게 되고, 구동풀리(101b)에 전달된다. At this time, the formed tension is changed in various directions via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pulleys 101a and is transmitted to the drive pulley 101b.

구동풀리(101b)는 구동와이어(120)에 형성된 장력의 방향을 바꿈과 동시에, 서로 다른 가압부(73)로 분해시키며, 제2 가압부(73a)의 일측에 위치하여, 구동풀리(101b)가 설치되지 않은 제1 가압부(73)와 연결된 구동와이어(120)에도 장력을 전달한다.The driving pulley 101b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3a and disengages the driving pulley 101b from the driving pulley 101b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formed on the driving wire 120 and disassembling the driving pulley 101b into different pressing portions 73. [ To the driving wire 120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73,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driving force.

여기서, 구동풀리(101b)는 제2 가압부(73b)의 일 측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나, 구동풀리(101b)는 가압부(7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가압부(73a)에 설치 되도 무방하다. Here, the drive pulley 101b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on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ressurizing portion 73b, but the drive pulley 101b may b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s 73, It may be provided in the portion 73a.

도 10은 도 8의 크레인과 파킹블록이 결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1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rane and the parking block in Fig.

크레인(30)은 주행레일(20, 도 1 참조)을 따라 파킹블록(50)으로 이동되며, 돌출부(71)가 수용부(72)에 수용되어 가압부(73)에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The crane 30 is moved to the parking block 50 along the running rail 20 (see Fig. 1), and the protrusion 71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72 and fixed by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portion 73 do.

이때, 연결부(51)에 연결된 고리부(110)가 견인부(50)의 작동에 의해 상승(화살표 참조)되면, 고리부(110)를 상승시키는 힘과 대응되는 힘이 구동와이어(120, 도 9참조)에 장력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hook 11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1 is lifted (see arrow) by the operation of the pulling portion 50,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force for lifting the hook 110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ire 120 9).

이러한 장력은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에 전달하며, 제1 가압부(73a) 및 제2 가압부(7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se tensile forces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73a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3b so that the first pressing portion 73a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73b can move the same distance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따라서, 수용부(72)의 폭은 가압부(73)의 이동에 의해 점차 좁아지게 되게 되며, 가압부(73)는 수용부(72)내부에 수용된 돌출부(71)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gradually narrowed by the movement of the urging portion 73 and the urging portion 73 is tightly adhered to the protruding portion 71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 [

이를 통해 역시 크레인(30)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해상에서도, 크레인(30)의 전복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고,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Thus, the crane 30 can be firmly fix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overturning of the crane 30 even in the sea, and to prevent damage to perso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10: 선체 20: 주행레일
30: 크레인 40: 지지프레임
41: 제1 프레임 42: 제2 프레임
50: 견인부 51: 연결부
60, 60-1: 파킹블록 70: 고정유닛트
71: 돌출부 72: 수용부
73: 가압부 74: 복귀 스프링
80: 조절 실린더 90: 브레이킹 패드
1: Ship equipped with mobile crane
10: Hull 20: Running rail
30: crane 40: support frame
41: first frame 42: second frame
50: pulling part 51: connecting part
60, 60-1: parking block 70: fixed unit
71: protruding portion 72:
73: pressing portion 74: return spring
80: Adjusting cylinder 90: Brake pad

Claims (10)

선체를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체 위에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물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을 수용하는 파킹블록;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파킹블록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상기 파킹블록에 고정하는 고정유니트를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A running rail extending to one side along the hull;
A crane including a support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running rail and moving on the hull, and a traction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to tow the object;
A parking block disposed on a moving path of the support frame of the crane, the parking block receiving the crane; And
And a fixing unit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to fix the crane to the parking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은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주행레일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끝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고 상기 견인부가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지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pair of the running rail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orting frame includes at least a pair of first frames connected to the running rails respectively perpendicularly, And a second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horizontally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parking block includes a movable cran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s the support frame slides S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의 끝단부가 상기 주행레일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과 면하고,
상기 파킹블록은 상기 선체의 거주구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돌출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2. The hull of claim 1, wherein an end of the running rail faces the hull of the hull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rail,
Wherein the parking block is provided with a movable crane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ull toward the traveling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니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파킹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toward the other one;
A receiving portion that is reces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other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parking block and accommodates the protrusion; And
And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projecting portion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신장되는 조절실린더와 연결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The shi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vable crane connected to a regulating cylinder extending in the receiv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견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의 견인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5. The crane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rive crane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portion at one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ulling portion of the crane at the other side for driving the pushing portion with the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portion Shi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파킹블록 일 측에 상기 견인부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풀리(Pulley)를 경유하여, 상기 파킹블록에 만입된 상기 수용부 내측의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claim 4,
A parking block slid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block toward the tow portion,
A hook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pulling portion; And
And a driving wire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the parking block via at least one pulley from the r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부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반전시키고, 서로 다른 상기 가압부로 분배하는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pair of pushing portions are formed to be slidable toward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riving wir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and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to turn the tension of the driving wire and to be connected via a driving pulley for distributing to the different pressing portions Shi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킹 패드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The ship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break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이스트 장치 이거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암(Crane arm)인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The shi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wing portion is a hoist devic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or a crane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KR1020130131579A 2013-10-31 2013-10-31 Ship with movable crane KR101556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en) 2013-10-31 2013-10-31 Ship with movabl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en) 2013-10-31 2013-10-31 Ship with movable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29A true KR20150050129A (en) 2015-05-08
KR101556194B1 KR101556194B1 (en) 2015-09-30

Family

ID=5338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579A KR101556194B1 (en) 2013-10-31 2013-10-31 Ship with movable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1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40B1 (en) * 2021-11-29 2022-04-22 (주)이젠테크 Lif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16B1 (en) 2017-03-10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40B1 (en) * 2021-11-29 2022-04-22 (주)이젠테크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194B1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481B2 (en) Equipment for hatch covers
US8640895B2 (en) Drum tens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hoist wire rope
EP2694427B1 (en) Tensioning device
CN112703166B (en) Lifting pulley for crane
RU2014120002A (en) WAYS OF LAUNCHING AND LIFTING FOR SUBMERSIBLE VEHICLES AND OTHER USEFUL GOODS
CN106348168B (en) Hoisting apparatus and lifting equipment
EP2688832B2 (en) A device for tightening rope
US20180346296A1 (en) System and spooling device for spooling of a rope on a winch drum
CN1243083A (en) Apparatus for placing sth. in deep water
KR101556194B1 (en) Ship with movable crane
CN102502417A (en) Gantry crane and hoisting mechanism thereof
US2874855A (en) Personnel or objec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55201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isitng handling of a load at sea
CN101746669B (en) Novel hook traversing mechanism of shipbuilding gantry crane for hoisting dolly
CN104802958A (en) Method for controlling longitudinal launching and upgrading of ship
EP2441662B1 (en)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goods from and/or to a ship, ship provided with such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6013472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ane and system for mounting superstructure of crane
CN107795751B (en) Form detector recovery cabin
RU2241633C2 (en) Shipboard crane
RU2788548C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the cargo of a cargo trolley of a ship's cable car on the receiving vessel
JP2767784B2 (en) Cableway traveling device
RU2638032C1 (en) Device for conducting load and carry operations in reactor room of nuclear power station
RU2209761C1 (en) Load-gripping member swinging arrester
CN115180075B (en) Double-body movable full-rotation type rescue salvage crane ship
US874223A (en) Conve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