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783A -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783A
KR20150049783A KR1020130130752A KR20130130752A KR20150049783A KR 20150049783 A KR20150049783 A KR 20150049783A KR 1020130130752 A KR1020130130752 A KR 1020130130752A KR 20130130752 A KR20130130752 A KR 20130130752A KR 20150049783 A KR20150049783 A KR 20150049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or
smartphone
digital media
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석
이광복
최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3013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783A/ko
Publication of KR2015004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데이터저장을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와,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소리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도 스마트폰을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의 미 사용 시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SMARTPHONE COMPRISING DRAWABLE CONNECTOR PAR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외부 디지털미디어 장치와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부가 스마트폰의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수단이 개발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신속한 업무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휴대폰의 경우 구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이 애초 제조사에 의해 저장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단순히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등의 수동적인 작업만이 가능한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에 의해 기존 휴대폰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은 통상 에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줄임말로서 앱(App)으로 불리며, 나아가 이러한 앱을 유무상으로 자유로이 배포 판매할 수 있는 웹 상의 가상 공간으로서 앱스토어(Appstore)가 제공되어 유저들에 의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기존 스마트폰에는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 케이블(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그런데, 다양한 기능을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폰의 특성 상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는 빈번히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에 매번 별도의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야 하므로, 연결 케이블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의 장치와 접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도 스마트폰을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출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의 미 사용 시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인출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데이터저장을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와,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소리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부는 유에스비(USB) 커넥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부가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부에는 상기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도 스마트폰을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의 미 사용 시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스마트폰에서 커넥터부가 인출된 상태의 배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스마트폰에서 커넥터부가 인출된 상태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데이터저장을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0)와,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6)와,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2)와, 소리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부(8)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4)와,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커넥터부(20)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기존 일반 이동통신수단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이동통신장치라는 그 특성 상 외부의 통신 서버 또는 인터넷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통신서버와 3G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엘시디 액정을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한 접촉으로써 각종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6)는 스마트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버튼 방식의 스위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에는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2)가 마련되어, 음성통화 시의 음성신호 또는 음악 등을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스마트폰에 마련되는 마이크부(8)를 통해서는 소리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4)가 배치되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에 마련되는 카메라부(4)를 통해 촬영한 사진, 동영상 등의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와 같이 저장된 사진 등의 디지털 데이터는 PC 와 같은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연결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에는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20)는 5핀, 12핀, 또는 24핀 유에스비(USB)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의 하우징부에 내장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부(20)는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2)를 통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20)를 스마트폰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인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유에스비(USB) 커넥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에 조작을 위한 손잡이턱을 연결하여 상기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넥터부(20)를 상기 스마트폰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으며,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상기 커넥터부(20)를 외부 디지털 미디어장치에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부(20)를 스마트폰의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장치에 접속시키고,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내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20)가 상기 하우징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커넥터부(20)에 부설되는 폐쇄부(25)로 커넥터부(20)가 형성된 개구 부분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20) 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USB 커넥터부를 하우징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 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도 스마트폰을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넥터부(20)가 형성되는 부분에 폐쇄부(25)를 부설함으로써, 외부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20)의 미 사용 시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커넥터부(20)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스피커부
4: 카메라부
6: 스위치부
8: 마이크부
10: 디스플레이부
20: 커넥터부
25: 폐쇄부

Claims (3)

  1.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데이터저장을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와;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소리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외부의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유에스비(USB)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가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 하우징부에는 상기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1020130130752A 2013-10-31 2013-10-31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20150049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52A KR20150049783A (ko) 2013-10-31 2013-10-31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52A KR20150049783A (ko) 2013-10-31 2013-10-31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83A true KR20150049783A (ko) 2015-05-08

Family

ID=5338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752A KR20150049783A (ko) 2013-10-31 2013-10-31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2627B2 (en) 2018-12-0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dapter comprising connector connected to externally extendable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2627B2 (en) 2018-12-0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dapter comprising connector connected to externally extendable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3120A1 (zh) 投屏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914578B (zh) 夹持型显示模块和具有该夹持型显示模块的眼镜型终端
JP6427944B2 (ja) 撮像装置
CN105100610A (zh) 自拍提示方法和装置、自拍杆及自拍提示系统
KR101718441B1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US20160142594A1 (en) Enhanced information handling device cover
CN103280175A (zh) 一种投影装置
CN10570436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3297735A (zh) 一种投影装置
EP3525446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WO2017166598A1 (zh) 一种耳机的声道调节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268510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0051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838536A (zh) 显示模式的切换方法、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3658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CN112533065A (zh) 发布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49783A (ko) 인출가능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20140010805A (ko) 촬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4176042A (ja) 通信装置、及び音声入出力ユニットの制御方法
US202300576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detection and auto-connection between a device and an accessory device
KR101454152B1 (ko) 줌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WO2015125362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60008263A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현미경이미지 장치
CN206977486U (zh) 自拍辅助装置
CN114095600B (zh) 更换耳机主题方法、智能手机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