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765A -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765A
KR20150049765A KR1020130130708A KR20130130708A KR20150049765A KR 20150049765 A KR20150049765 A KR 20150049765A KR 1020130130708 A KR1020130130708 A KR 1020130130708A KR 20130130708 A KR20130130708 A KR 20130130708A KR 20150049765 A KR20150049765 A KR 2015004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barge
water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찬선
임윤빈
노승현
강경록
조경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765A/ko
Publication of KR2015004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은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장착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의 폐수 처리 방법으로서, 폐수 처리 유닛을 상기 바지선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하므로,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며, 폐수 처리 시스템의 설비 초기 비용 및 설비 용적이 줄어들며, 탑재 및 시운전 시 현장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IN COMBINED CYCLE BARGE MOUNTED POWER GENERATON PLANT}
본 발명은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부유식 구조물인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 화력발전(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은 가스 터빈의 발전기로부터 1차 발전이 이루어지고, 가스 터빈의 배기가스(Exhaust Gas)의 폐열을 이용하여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폐열회수 스팀발생기)에서 생성한 스팀으로 스팀 터빈의 발전기로부터 2차 발전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장비 작동 시 발생하는 폐수(Waste Water)는 오일함유 폐수(Oily water), 케미컬 폐수(Chemical water), 오염 폐수(Contaminated water)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폐수는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주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 규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폐수처리 시스템(Waste Water Treatment System)을 거친 후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장비 작동 시 발생하는 폐수 중 오일함유 폐수는 육상용 오일 분리기(Oil separator)를 거쳐 고형분과 기름기를 제거하고, 메인 폐수 탱크로 보내져 폐수 처리 시스템에 모인다.
도 1은 종래 육상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장비 작동 시 발생하는 폐수 처리공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육상 복합화력 발전 플랜트에서의 폐수 처리공정에 있어서, 오일폐수 조(10)에 저장된 오일폐수는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물과 오일로 분리되는데, 물은 스컴 탱크(Scum Tank)(21)에 모인 후 외부로 방류되고 오일은 제1 폐수 조(30)로 모인다.
제1 폐수 조(30)의 폐수와 오일 그리고 제2 폐수 조(40)의 폐수는 반응 조(50)로 모인다.
제1 폐수 조(30)는 정상 운전시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수조이고, 제2 폐수 조(40)는 비정상 운전시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수조이다.
반응 조(50) 안에는 화학 주입탱크(60)의 화학 약품이 첨가되고, 폐수 및 오일이 원형 침전기(70)로 모인 후, 농축기(80)를 거쳐 찌꺼기가 수집탱크(90)로 모이고 농축기(80)를 거친 물은 필터(F)를 거쳐서 수처리 탱크(91)에 저장된 후 외부로 방류된다. 수집탱크(90)에 모인 찌꺼기는 드라이어(95)를 거쳐서 고형물 형태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육상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장비 작동 시 발생하는 폐수 처리공정은 모든 장비와 설비가 육상에 설치되고, 복합 화력발전 설비의 용적이 너무 커서 설비 초기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설비 및 시스템이 별도의 건물에 독립적으로 위치함에 따라서 건물 및 배관, 자재의 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설비 및 수조 설치, 그리고 테스트가 현장(site)에서 수행됨에 따라 리스크(risk)가 항상 존재하며, 오랜 공사기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06-0114555호
종래 육상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유식 구조물인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도출할 수 있는바, 이 경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수조를 바지선에 설치함에 있어서 폐수 처리 용량으로 인한 바지선 내부 설치 공간의 문제점, 그리고 설비 설치 및 수조 배치와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들을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육상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구조를 탈피하여 바지선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 위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설치하는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되,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작동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수처리 탱크로 대체함으로써, 폐수 처리 시스템의 설비 초기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은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장착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선체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폐수 처리 유닛으로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운전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한다.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한다.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는 상기 폐수 처리유닛에서 처리하고, 오일함유 폐수는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한다.
선박용으로 소형화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는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오일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오일함유 폐수를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물과 오일로 분리하고, 물은 외부로 방류하고 오일은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한다.
상기 선체 공간 내부에 폐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청액을 코팅하거나 부식방지 코팅 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 안으로 이송하는 단계; 케미컬 공급 탱크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탱크의 폐수를 제1 UF 필터에서 여과하는 단계; 상기 제1 UF 필터에 여과된 폐수를 제2 UF 필터에서 재차 여과하는 단계; 상기 제2 UF 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F 필터에 의해서 걸러진 찌꺼기를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 안으로 이송하는 단계; 케미컬 공급 탱크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탱크 안의 폐수를 장방형 침전기 안으로 이송하고, 상기 장방형 침전기 안에서 찌꺼기를 침전시키는 단계;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MF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상기 MF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장방형 침전기에 침전된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은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장착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의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지선에 폐수 처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한다.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함유 폐수를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빌지 수처리 유닛은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모이는 오일폐수 탱크와, 오일을 필터링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연결되는 제1 UF 필터; 상기 제1 UF 필터에 연결되는 제2 UF 필터; 상기 제2 UF 필터에 연결되는 수처리 탱크; 및 상기 제1 UF 필터에서 걸러진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폐수 처리 유닛은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 상기 반응 탱크 안의 폐수를 이송하여 찌꺼기를 침전시키는 장방형 침전기;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여과하는 MF 필터; 상기 MF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바지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처리 탱크; 및 상기 장방형 침전기에 침전된 찌꺼기를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폐수 탱크는 상기 바지선의 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메인 폐수 탱크와, 상기 바지선의 비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서브 폐수 탱크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 탱크의 내측에는 교반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부유식의 바지선 위에 장착하고 바지선에 설치된 폐수처리 유닛으로 폐수를 처리하므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주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염려가 없으며,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협소한 공간에 맞게 소형화되고 패키지(Package)화된 장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다수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하므로,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며, 폐수 처리 시스템의 설비 초기 비용 및 설비 용적이 줄어들며, 탑재 및 시운전 시 현장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육상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장비 작동 시 발생하는 폐수 처리공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장착한 바지선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공간의 부식방지 및 교반기의 얼라인먼트 보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활용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를 장착한 바지선을 보인 측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 시스템은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부유식의 바지선(1) 위에 장착되는 것으로, 폐수 처리 유닛(100)을 상기 바지선(1)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100)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한다.
상기 선체 공간 내부에는 폐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청액 등을 코팅하거나 부식방지 코팅 부(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수 처리 유닛(100)은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110); 상기 폐수 탱크(110)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120); 상기 반응 탱크(120)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130); 상기 반응 탱크(120)에 연결되는 제1 UF 필터(140); 상기 제1 UF 필터(140)에 연결되는 제2 UF 필터(150); 상기 제2 UF 필터(150)에 연결되는 수처리 탱크(160); 및 상기 제1 UF 필터(140)에서 걸러진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1)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17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수 처리과정의 화학반응을 통해서 석출되는 용존 고형물에 있어서, 종전에는 원형 침전기, 농축기, 활성 탄소필터 등으로 구성된 중력 분리법을 사용하여 석출하였으나, 이들 장비들은 설치 용적 및 무게가 커서 바지선 내부에 설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지선이 위치한 해상의 출렁임으로 인해서 중력 이용 분리법이 제 기능을 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압 필터링 방식의 UF 필터(140, 150)를 구비함으로써, 장비 설치 용적이 대폭 축소되고 바지선 내부 설치가 용이하며 안정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폐수 탱크(110)는 상기 바지선(1)의 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메인 폐수 탱크(111)와, 상기 바지선(1)의 비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서브 폐수 탱크(11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은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는 폐수 처리유닛(100)에서 처리하고, 오일함유 폐수는 바지선(1)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200)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할 수 있다.
선박용으로 소형화된 빌지 수처리 유닛(200)에서는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형성된 오일폐수 탱크(210) 안에 저장된 오일폐수를 오일 세퍼레이터(220)에서 물과 오일로 분리하게 되는데, 물은 바다로 방류되고, 오일은 상기 폐수 처리유닛(100)의 최종 폐수 탱크(170) 안에 모인다.
빌지 수처리 유닛(200)을 상기 바지선(1)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빌지 수처리 유닛(200)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공간의 부식방지 및 교반기의 얼라인먼트 보강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폐수 처리탱크로서 화학약품이 사용되는 반응 탱크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체 공간의 부식방지 구조에 있어서, 케미컬 공급 탱크(130)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120) 안에 공급하게 되는데, 화학약품에 의한 반응 탱크(12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반응 탱크(120) 내부에 코팅 부(120a)를 형성한다.
그리고, 반응 탱크(120)의 부재는 모두 외부 부재(120b)로 설치하여 교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상기 코팅 부(120a)는 방청액을 도포하거나 코팅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방청액은 화학 증착 및 스프레이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코팅 필름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교반기(121)의 얼라인먼트 보강구조를 위해서 반응 탱크(120) 내측에 교반기(121)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22)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은 바지선(1)에 장착되는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의 폐수 처리방법으로, 바지선(1)의 선체 공간을 다수의 폐수처리 탱크로 대체하고,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 예를 들어 케미컬 수와 오염수는 폐수처리 유닛(100)에 의해서 처리하고,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함유 폐수는 상기 바지선(2)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200)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단계(S 10)에서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111)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한다.
단계(S 20)에서 상기 폐수 탱크(110)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120) 안으로 이송한다.
단계(S 30)에서 케미컬 공급 탱크(130)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120) 안에 공급한다. 상기 반응 탱크(120) 안에는 설치된 교반기(121)는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단계(S 40)에서 상기 반응 탱크(120)의 폐수를 제1 UF 필터(140)에서 여과한다.
단계(S 50)에서 상기 제1 UF 필터(140)에 여과된 폐수를 제2 UF 필터(150)에서 재차 여과한다.
단계(S 60)에서 상기 제2 UF 필터(15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1)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160) 안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S 70)에서 상기 제1 UF 필터(140)에 의해서 걸러진 찌꺼기를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170) 안에 저장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및 빌지 수처리 유닛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 시스템은 바지선(1)에 장착되는 시스템으로, 바지선(1)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다수의 폐수처리 탱크로 대체한다.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포함하는 않는 폐수인 케미컬 수와 오염수는 폐수처리 유닛(1000)에 의해서 처리된다.
상기 폐수처리 유닛(1000)의 일 예로는,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1100); 상기 폐수 탱크(1100)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1200); 상기 반응 탱크(1200)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1300); 상기 반응 탱크(1200) 안의 폐수를 이송하여 찌꺼기를 침전시키는 장방형 침전기(1400);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여과하는 MF 필터(1500); 상기 MF 필터(1500)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바지선(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처리 탱크(1600); 상기 장방형 침전기(1400)에 침전된 찌꺼기를 바지선(1)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1700);를 포함한다.
상기 폐수 탱크(1100)는 상기 바지선(1)의 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메인 폐수 탱크(1110)와, 상기 바지선(1)의 비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서브 폐수 탱크(1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오일함유 폐수 처리 시스템은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는 폐수 처리유닛(1000)에서 처리하고, 오일함유 폐수는 바지선(1)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2000)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할 수 있다.
빌지 수처리 유닛(2000)에서는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오일폐수 탱크(2100) 안에 저장된 오일함유 폐수를 오일 세퍼레이터(2200)에서 물과 오일로 분리하게 되는데, 물은 바다로 방류되고, 오일은 상기 폐수 처리유닛(1000)의 최종 폐수 탱크(1700) 안에 모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단계(S 100)에서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1100)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2)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한다.
단계(S 200)에서 상기 폐수 탱크(1100)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1200) 안으로 이송한다.
단계(S 300)에서 케미컬 공급 탱크(1300)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1200) 안에 공급한다. 상기 반응 탱크(1200) 안에는 설치된 교반기(1210)는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단계(S 400)에서 상기 반응 탱크(1200) 안의 폐수를 장방형 침전기(1400) 안으로 이송하고, 상기 장방형 침전기(1400) 안에서 찌꺼기를 침전시킨다.
단계(S 500)에서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MF 필터(1500)로 여과한다.
단계(S 600)에서 상기 MF 필터(1500)에 의해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1)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1600) 안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S 700)에서 상기 장방형 침전기(1400)에 침전된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1)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최종 폐수 탱크(1700) 안에 저장한다.
한편, 빌지 수처리 유닛(2000)에서는 상기 바지선(1)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오일폐수 탱크(2100) 안에 저장된 오일폐수를 오일 세퍼레이터(2200)에서 물과 오일로 분리하고, 물은 바다로 방류하고 오일은 상기 최종 폐수 탱크(170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지선에 설치된 폐수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므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주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염려가 없으며,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다수의 폐수처리 탱크로 대체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폐수 처리 시스템의 설비 초기 설치비용을 절감하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를 종전과 같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고형물로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한, 선체 공간의 폐수 처리 탱크 내부에 코팅 부를 형성하여 폐수 및 화학약품에 의한 선체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교반기의 얼라인먼트 보강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가 현장에서 수행될 필요가 없으므로, 리스크가 없고 안전하며 공사 기간이 대폭 단축된다.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바지선
2: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100: 폐수처리 유닛
110: 폐수 탱크
111: 메인 폐수 탱크
112: 서브 폐수 탱크
120: 반응 탱크
130: 케미컬 공급 탱크
140: 제1 UF 필터
150: 제2 UF 필터
160: 수처리 탱크
170: 최종 폐수 탱크
200: 빌지 수처리 유닛
210: 오일폐수 탱크
220: 오일 세퍼레이터
1000: 폐수처리 유닛
1100: 폐수 탱크
1200: 반응 탱크
1300: 케미컬 공급 탱크
1400: 장방형 침전기
1500: MF 필터
1600: 수처리 탱크
1700: 최종 폐수 탱크

Claims (14)

  1.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장착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폐수 처리 유닛으로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 운전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는 선체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기 폐수 처리유닛에서 처리하고, 오일함유 폐수는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선박용으로 소형화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는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오일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오일함유 폐수를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물과 오일로 분리하고, 물은 외부로 방류하고 오일은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 공간 내부에 폐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청액을 코팅하거나 부식방지 코팅 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 안으로 이송하는 단계;
    케미컬 공급 탱크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탱크의 폐수를 제1 UF 필터에서 여과하는 단계;
    상기 제1 UF 필터에 여과된 폐수를 제2 UF 필터에서 재차 여과하는 단계;
    상기 제2 UF 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F 필터에 의해서 걸러진 찌꺼기를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된 폐수 탱크 안에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폐수 탱크 안에 저장된 케미컬 수와 오염수를 반응 탱크 안으로 이송하는 단계;
    케미컬 공급 탱크에서 화학약품을 상기 반응 탱크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탱크 안의 폐수를 장방형 침전기 안으로 이송하고, 상기 장방형 침전기 안에서 찌꺼기를 침전시키는 단계;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MF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상기 MF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을 상기 바지선 외부로 방류하기 위하여 수처리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장방형 침전기에 침전된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최종 폐수 탱크 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8. 바지선에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가 장착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의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지선에 폐수 처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Hull Area)을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의 폐수 처리 탱크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오일함유 폐수를 상기 바지선에 설치된 빌지 수처리 유닛에서 별도로 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빌지 수처리 유닛은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모이는 오일폐수 탱크와, 오일을 필터링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오일함유 폐수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연결되는 제1 UF 필터;
    상기 제1 UF 필터에 연결되는 제2 UF 필터;
    상기 제2 UF 필터에 연결되는 수처리 탱크; 및
    상기 제1 UF 필터에서 걸러진 찌꺼기를 상기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유닛은
    상기 바지선의 선체 공간으로 대체되며, 상기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서 케미컬 수와 오염수가 저장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와 연결되는 반응 탱크;
    상기 반응 탱크에 화학약품을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 탱크;
    상기 반응 탱크 안의 폐수를 이송하여 찌꺼기를 침전시키는 장방형 침전기;
    찌꺼기가 제거된 폐수를 여과하는 MF 필터;
    상기 MF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바지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처리 탱크; 및
    상기 장방형 침전기에 침전된 찌꺼기를 바지선 외부로 운송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최종 폐수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폐수 탱크는 상기 바지선의 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메인 폐수 탱크와, 상기 바지선의 비정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서브 폐수 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14.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반응 탱크의 내측에는 교반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과 교반을 방해하는 탱크 구조물을 모두 탱크 밖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활용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KR1020130130708A 2013-10-31 2013-10-31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KR20150049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08A KR20150049765A (ko) 2013-10-31 2013-10-31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08A KR20150049765A (ko) 2013-10-31 2013-10-31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65A true KR20150049765A (ko) 2015-05-08

Family

ID=5338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708A KR20150049765A (ko) 2013-10-31 2013-10-31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7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2110C (en) Wastewater hydrocarbon extraction and environmental treatment method and system
AU717322B2 (en) Offshore sewage treating and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448890A (zh) 安装在驳船上的海水淡化装置及用于放置海水淡化装置的方法
Mohsen Treatment and reuse of industrial effluents: case study of a thermal power plant
CN101222971A (zh) 饮用水制备-和供应船
KR20150049765A (ko)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KR20150049763A (ko)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용 폐수 처리시스템의 용존 고형물 처리 시스템
CN206828120U (zh) 一种火电厂废水系统
US20160200610A1 (en) Cost Optimized System for WWTP Using Lagoons and In-Situ Membrane Bio Reactor Modules
JP2009168357A (ja) 空気予熱器の付着物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150049762A (ko)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활용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시스템 및 선체 공간의 부식방지구조
KR20150049761A (ko) 바지선의 선체 공간을 활용한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KR20150049760A (ko)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오일함유 폐수 처리방법 및 오일함유 폐수 처리시스템
KR20150049758A (ko)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시스템
KR20150049764A (ko) 부유식 복합 화력발전 플랜트용 폐수 처리시스템의 용존 고형물 처리 시스템
KR100914188B1 (ko) 소수력발전을 포함하는 중수 처리 시스템
CN215161769U (zh) 一种含油废水处理系统
KR102651902B1 (ko) 그레이워터 기화기가 설치된 오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10997482B (zh) 用于对船舶的水进行热处理的系统和方法
Nihalani et al. Wat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thermal power plant
JP6456744B2 (ja) 水処理設備
CN108117150A (zh) 一种新型模块式污水处理一体化装置
RU2067085C1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етронасос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я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CN109987940A (zh) 碳化硅陶瓷涂层材料及其应用
WO2005033023A1 (en) Sewage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