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557A -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557A
KR20150049557A KR1020130130272A KR20130130272A KR20150049557A KR 20150049557 A KR20150049557 A KR 20150049557A KR 1020130130272 A KR1020130130272 A KR 1020130130272A KR 20130130272 A KR20130130272 A KR 20130130272A KR 20150049557 A KR20150049557 A KR 2015004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pplication
reuse
measured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3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557A/ko
Publication of KR2015004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보증기간이 경과한 후에, 기 설정된 교체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교체기준에 따라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되는 단계, 및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는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수거될 때,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1 가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METHOD FOR REUSING AND RECYCL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사용된 배터리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공급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하며, 충전 및 방전에 의하여 내부 활성 물질이 산화, 환원되는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용한다.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하 ‘전지 자동차’라 함)는 전기 구동 모드에서 위와 같은 2차 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2차 전지는 과방전 또는 과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에 2차 전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기도 하지만,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이하 ‘용량’이라 함)이 충전 및 방전 횟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 결과, 본래 사용되는 용도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해당 용도에 따라 2차 전지로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능을 상실하기 전까지 사용되고, 최소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새로운 2차 전지로 교체되어 사용된다. 통상, 전기 자동차의 경우 2차 전지의 용량이 초기 용량의 80% 내지 50%로 감소하게 되면, 교체된다.
2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높고, 이렇게 교체된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의 본래 사용 용도에는 부합하지 않더라도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도에는 부합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아 전기 자동차로부터 교체된 2차 전지를 폐기하는 것보다는 교체된 2차 전지가 가지는 에너지 저장 능력만큼을 필요로 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재활용/재사용하는 방안은 자원의 낭비를 막을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및 상기 다른 장치 등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된 후 교체된 2차 전지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도록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전지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통해서 전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가격을 낮추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사양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낮은 가격에 공급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체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SOC: state of charge) 및 저항값을 통하여 재사용 및 재활용될 수 있는 2차 전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보증기간이 경과한 후에, 기 설정된 교체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교체기준에 따라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되는 단계, 및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는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수거될 때,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1 가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은 상기 전기 자동차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이고,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교체기준 및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배터리의 잔존용량상태(SOC: state of charge) 및 저항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교체기준은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을 통해서 설정되고,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치는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 지급되는 보조금이고, 상기 보조금의 액수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때의 가격보다 낮고,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결정되어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게 자동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성능에 포함되는 상기 잔존용량상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5% 내지 8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전기 자동차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운행패턴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운행패턴은 고속도로, 시내도로 및 혼합도로에 따른 운행도로의 종류 또는 누적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거치 축전지(stationary battery), 또는 태양광 발전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규격에 맞게 리패키징(repackaging)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본래 사용 용도에 부합하는 배터리 용량 및 저항값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0% 이하이고, 5 밀리옴(moh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때,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2 가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된 후 교체된 2차 전지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차 전지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통해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가격을 낮추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사양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낮은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교체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 및 저항값을 통하여 재사용 및 재활용될 수 있는 2차 전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의 운행패턴에 따른 재사용 성능이 분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제1 어플리케이션의 대표적인 예로서 2차 전지 및 전기 자동차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2차 전지는 소모품으로 사용에 따라 그 성능이 저하된다. 즉, 2차 전지가 제작되고, 실제 제품에 사용되기 전의 2차 전지가 가장 성능(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 용량)이 높고, 이후 실제 제품에 장착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함에 따라 2차 전지의 성능은 저하된다.
이렇듯 2차 전지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여 전기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향후에는 전기 자동차 사업의 가장 큰 이슈는 높은 배터리의 가격이 될 수 있다. 결국 전기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경우, 전기 자동차 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2차 전지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여러 방안이 개발될 것이다.
2차 전지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저가의 재료를 2차 전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향후의 2차 전지에 포함되는 재료로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비용이 높은 Ni, Co 등은 그 함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결과 Ni, Co 등이 적게 포함된 2차 전지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재활용을 위한 처리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Ni, Co 등이 적게 포함된 2차 전지의 재사용(reus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활용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재활용을 위한 처리 비용이 높은 2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면, 성능이 저하된 2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의 본래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되고, 전기 자동차가 본래의 사용 용도에 적합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저하된 2차 전지를 새로운 2차 전지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렇게 교체된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의 본래 사용 용도에는 부합하지 않더라도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도에는 부합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교체된 2차 전지를 전기 자동차가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고, 교체된 2차 전지를 제공받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측으로부터 소정의 대가를 받는 경우, 첫 째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둘 째 전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2차 전지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2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 본래의 사용 용도에 적합하도록 교체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교체된 2차 전지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교체된 2차 전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작된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S110 단계). 구체적으로 2차 전지를 제작하는 배터리 메이커를 통해서 제작된 2차 전지가 제1 어플리케이션인 전기 자동차를 제작하는 자동차 제작 측에 제공되고, 제공된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전기 자동차에 제공된 2차 전지의 보증기간이 경과한 경우(S120 단계), 보증기단이 경과한 2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 본래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지 여부가 판단된다(S130 단계). 구체적으로 특정 교체기준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2차 전지가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2차 전지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교체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교체된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예를 들어, 배터리 메이커)과 전지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을 통해서(예를 들어, 합의) 설정(또는 결정)될 수 있다.
교체기준에 따라 보증기간이 경과한 2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 본래의 사용 용도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2차 전지는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교체가 필요한 2차 전지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다(S14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교체기준과 재사용 성능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SOC: state of charge) 및 저항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잔존용량상태는 2차 전지의 건강상태(배터리로서 쓸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저항값은 2차 전지가 사용됨에 따라 증가하는 내부 저항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재사용 성능에 포함되는 잔존용량상태는 S110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5% 내지 85% 일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앞서 설명한 교체기준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성능은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과 전기 자동차가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을 통해서(예를 들어, 합의) 설정(또는 결정)될 수 있다.
특히, S140 단계인 2차 전지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는, 이후에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2차 전지가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에 의해서 수거될 때,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따라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에 제공되는 제1 가치(대가)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된다(S150 단계).
이 후, 수거된 배터리는 S140 단계에서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전기 자동차가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S160 단계). 구체적으로, 수거된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인 잔존용량상태 및 저항값으로도 충분히 본래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동력원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전기 자동차가 아니면서, 2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른 장치를 뜻하며, 구체적인 예로,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거치 축전지(stationary battery), 또는 태양광 발전 축전지 등이 될 수 있다.
수거된 2차 전지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장착되어 다른 어플리케이션 본래의 사용 용도에 부합하게 되는 구체적인 예로, 본래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되는 배터리 용량 및 저항값은 S110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0% 이하이고, 5 밀리옴(moh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S160 단계인 수거된 2차 전지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수거된 2차 전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규격에 맞게 리패키징(repackaging)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수거된 2차 전지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때,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2 가치(대가)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S210 단계 내지 S260 단계를 포함한다.
도 2의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 S250 단계 및 S260 단계는 도 1을 통해서 설명된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 S150 단계 및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S240 단계인 2차 전지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는, 이후에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2차 전지가 수거될 때,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따라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에 제공되는 보조금(대가)이 결정되는 단계(S241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조금은 2차 전지가 수거될 때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으로부터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에 지급되는 대가이고, 여기서 보조금의 액수은 S210 단계에서 2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를 제작하는 자동차 제작 측에 제공에 제공될 때의 가격보다 낮고,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보조금은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2차 전지를 수거하는 측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게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2차 전지는 소모품이므로, 보증기간이 경과한 후 사용된 2차 전지가 교체될 때에 측정되는 재사용 성능은 전기 자동차가 운행되는 운행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2차 전지의 재사용 성능은 전기 자동차의 운행패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에 포함되는 자동차의 운행패턴에 따른 재사용 성능(특히, 잔존용량상태)이 분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사용 성능을 분류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패턴은 고속도로(Highway), 시내도로(City) 및 혼합도로(Mixed)에 따른 운행도로의 종류 또는 누적 주행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속도로를 주로 운행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가 가장 낮고(약 75%), 시내도로를 주로 운행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가 가장 높고(약 82%), 고속도로와 시내도로가 혼합된 도로를 주로 운행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는 그 사이에 있다. 따라서 교체된 2차 전지가 장착되어 있던 차량의 운행패턴을 통해서 수거된 2차 전지의 재사용 성능을 분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어 교체가 필요한 2차 전지의 잔존용량상태 및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 자동차 측에 교체된 2차 전지를 수거하는 대가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재사용에 적절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수거된 2차 전지를 제공한다. 그 결과,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가격을 낮출 수 있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양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낮은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11)

  1.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보증기간이 경과한 후에, 기 설정된 교체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교체기준에 따라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되는 단계; 및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재사용 성능이 측정되는 단계는,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가 수거될 때,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1 가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은 상기 전기 자동차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는 자동차 제조 측이고,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기준 및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배터리의 잔존용량상태(SOC: state of charge) 및 저항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기준은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을 통해서 설정되고,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치는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 지급되는 보조금이고,
    상기 보조금의 액수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때의 가격보다 낮고,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결정되어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 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는 측에게 자동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성능에 포함되는 상기 잔존용량상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5% 내지 8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성능은 상기 전기 자동차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운행패턴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운행패턴은 고속도로, 시내도로 및 혼합도로에 따른 운행도로의 종류 또는 누적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거치 축전지(stationary battery), 또는 태양광 발전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규격에 맞게 리패키징(repackaging)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본래 사용 용도에 부합하는 배터리 용량 및 저항값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용량의 70% 이하이고, 5 밀리옴(moh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상기 측정된 재사용 성능에 기반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수거된 배터리가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때, 상기 재사용 성능이 측정된 배터리를 수거하는 측에 제공되는 제2 가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KR1020130130272A 2013-10-30 2013-10-30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KR20150049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272A KR20150049557A (ko) 2013-10-30 2013-10-30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272A KR20150049557A (ko) 2013-10-30 2013-10-30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557A true KR20150049557A (ko) 2015-05-08

Family

ID=5338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272A KR20150049557A (ko) 2013-10-30 2013-10-30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55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967B2 (en) 2015-10-16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ng life of a reconfigurable battery pack
KR101944751B1 (ko) * 2017-09-06 2019-02-01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재사용 수명 진단 방법
CN113725507A (zh) * 2021-09-29 2021-11-3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换电电池处理系统及方法
WO2022173174A1 (ko) * 2021-02-09 2022-08-18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등급 분류 공정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1955610B2 (en) 2020-02-11 2024-04-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ategorizing a battery, battery, battery recycling system, and motor vehicle
WO2024098617A1 (zh) * 2022-11-07 2024-05-16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电池的回收方式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967B2 (en) 2015-10-16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ng life of a reconfigurable battery pack
KR101944751B1 (ko) * 2017-09-06 2019-02-01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재사용 수명 진단 방법
WO2019050279A1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재사용 수명 진단 방법
US11391783B2 (en) 2017-09-06 2022-07-19 Mintech Co., Ltd. Method for diagnosing state of reuse of battery
US11955610B2 (en) 2020-02-11 2024-04-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ategorizing a battery, battery, battery recycling system, and motor vehicle
WO2022173174A1 (ko) * 2021-02-09 2022-08-18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등급 분류 공정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13725507A (zh) * 2021-09-29 2021-11-3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换电电池处理系统及方法
WO2024098617A1 (zh) * 2022-11-07 2024-05-16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电池的回收方式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9557A (ko)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방법
KR101405240B1 (ko) 2차 전지 모듈, 2차 전지 시스템, 전지 정보관리장치, 전지 정보관리시스템, 2차 전지 재이용 시스템, 2차 전지 회수·판매시스템, 2차 전지 재이용방법 및 2차 전지 회수·판매방법
US8907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adation of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US8334699B2 (en) Battery internal short-circui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battery pack
JP5208149B2 (ja) 保護回路、及び電池パック
US9994115B2 (en) Battery pack replac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with energy storage system
US11577620B2 (en) Information calculation system for battery degradation
JP6183663B2 (ja) 二次電池の制御装置
US20100188054A1 (en) Battery internal short-circuit detecting device and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CN107276140B (zh) 蓄电元件管理装置、蓄电装置以及蓄电系统
WO2014204649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776546B1 (ko) 전지 시스템
EP36051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resistance
KR101783918B1 (ko) 이차 전지의 저항 추정 장치 및 방법
JP5369200B2 (ja) 二次電池システム
KR20150050684A (ko) 배터리의 성능 평가 기준 및 성능 평가 방법
US20160355162A1 (en) Method of using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KR101658865B1 (ko) 통신 에러로부터 잘못된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을 방지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JP2017079131A (ja) リユースバッテリの製造方法及びリユースバッテリ
Venkatapathy et al. A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irst to second life shift-point of lithium-ion batteries
JP5181508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管理システム
JP2023115679A (ja) 車両用の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Hend Recycling of li-ion Battery for E-Mobility transportation
CN115152119A (zh) 蓄电池系统
JP2015012683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