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33A -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33A
KR20150047733A KR1020130127548A KR20130127548A KR20150047733A KR 20150047733 A KR20150047733 A KR 20150047733A KR 1020130127548 A KR1020130127548 A KR 1020130127548A KR 20130127548 A KR20130127548 A KR 20130127548A KR 20150047733 A KR20150047733 A KR 2015004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mppt
outputs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544B1 (ko
Inventor
김근배
이보화
박부민
김춘택
안석민
정순배
김동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44B1/ko
Priority to US15/031,933 priority patent/US9862502B2/en
Priority to PCT/KR2013/009647 priority patent/WO2015060487A1/ko
Publication of KR2015004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30Aircraft characterised by electric power plants
    • B64D27/35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 B64D27/353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using 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5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21/00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onboard aircr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4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aircr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은 비행체의 일부 구성으로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태양전지, 비행체에 탑재되어 연료에너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연료전지, 태양전지와 연료전지가 비행체에 공급하는 전력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잉여분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배터리와 동시 접속하여,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배터리에서 생성되는 전력들을 부하에 조합 분배시키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기존 Passive 방식과 달리 연료전지의 제어 가능한 출력을 이용하여 비행체가 요구하는 소요동력 및 날씨에 따른 태양전지 성능에 따라서 각각의 동력원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함으로써 탑재연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배터리의 최소 SOC(State of Charge)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비행체의 임무수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POWER SUPPLY SYSTEM WITH ACTIVE POW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기본으로 태양전지, 배터리 및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무인 또는 유인의 전기동력 비행체에서 모터, 탑재장비 등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비행조건 및 소요동력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전력제어장치가 작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의 차단 또는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전력제어장치가 작동을 멈추더라도 남아있는 동력원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행체는 대부분 왕복엔진 또는 가스터빈엔진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며, 최근에 배터리와 태양전지 또는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동력 비행체의 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전기동력 비행체는 배터리, 태양전지, 연료전지 중의 1~2가지를 단독 또는 조합해서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별도의 전력제어장치 없이 동력원과 모터를 직접 연결해서 소요부하에 따라 전력을 끌어 쓰는 Passive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동력 비행체의 동력원과 부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이 배터리, 태양전지, 그리고 연료전지가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PMS) 없이 부하인 모터에 직접연결되어, 전력을 부하인 모터에 직접 전달함에 따라 전력의 효율적이 분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430(2011.01.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태양전지 그리고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동력 비행체에서 동력원과 모터(부하) 사이에서 각각의 전력을 통합관리하여 제어하고, 동력원의 전력을 부하에 전달함에 있어서 비행체의 임무조건 및 소요 동력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PMS)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은 비행체의 일부 구성으로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태양전지, 비행체에 탑재되어 연료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연료전지, 태양전지와 연료전지가 비행체에 공급하는 전력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잉여분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배터리와 동시 접속하여,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배터리에서 생성되는 전력들을 부하에 조합 분배시키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기존 Passive 방식과 달리 연료전지의 제어 가능한 출력을 이용하여 비행체가 요구하는 소요동력 및 날씨에 따른 태양전지 성능에 따라서 각각의 동력원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함으로써 탑재연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배터리의 최소 SOC(State of Charge)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비행체의 임무수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는 고장 또는 전력제어장치가 작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의 갑작스런 차단 등으로 인해 전력제어장치가 작동을 멈추는 경우에도, 가용한 동력원의 전력이 자동으로 바이패스되어 부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비행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동력 비행체의 동력원과 부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기본적인 전원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바이패스 회로 전원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태양전지 출력 회로도,
도 6은 MPPT 모듈을 통한 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바이패스 모듈을 통한 비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연료전지 출력 회로도,
도 9는 연료전지의 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연료전지의 비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1은 연료전지의 다른 비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은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 태양전지(200), 연료전지(300), 배터리(400), 및 부하(50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200)와, 상기 연료전지(300), 상기 배터리(400)의 장착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소요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MPPT 및 DC-DC 컨버터 수량도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200)는 태양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날씨와 일광조건에 따라서 출력이 결정된다.
상기 연료전지(300)는 비행체가 필요한 만큼의 연료를 탑재하고 상기 연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 전기를 생성한다.
상기 배터리(400)는 부족한 전력의 보충 또는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200), 상기 연료전지(300), 상기 배터리(400), 및 상기 부하(500)를 동시 접속하고, 동력원인 상기 태양전지(200), 상기 연료전지(300), 상기 배터리(4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부하(500)에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태양전지용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er>(110), 연료전지용 컨버터(120), 및 충전회로(13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는 날씨와 무관하게 상기 태양전지(200)의 출력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을 변환해서 출력단으로 공급하고,
상기 연료전지용 컨버터(120)는 연료전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로서, 후술된 제어기에 의해서 탑재연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출력을 조절한다.
상기 충전회로(130)는 상기 배터리(400)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비행 중 태양전지의 잉여전력 또는 연료전지의 가동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SOC:State Of Chanrge)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참고로, 상술한 제어기(미도시)는 비행체에 탑재된 비행제어컴퓨터의 소요동력 신호에 의거 각 구성품들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 연료전지 컨버터(120), 배터리(400), 모터(500) 등의 전압과 전류, 온도를 측정하고 통합 제어하고, 또한 전력원과 배터리 SOC 상태를 판단하여 탑재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료전지(300)를 켜고 끄는 전력분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태양전지(200)와 연료전지(300) 그리고 배터리(400) 전력으로 작동하며, 전력원의 차단 또는 부족에 대비하여 백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전용(소형) 보조 배터리(600)가 장착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품들은 과전압, 역전압, 과전류 등의 외란에 대비하여 보호기능을 갖추며, 예를 들어 각 구성품의 역전류를 막기 위한 장치로 다이오드, FET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는 모듈별로 바이패스 모듈(111), MPPT 모듈(112)이 병렬로 배치되고, 후단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역전류를 막아보호기능하는 다이오드(D)가 배치된다.
상기 연료전지용 컨버터(120)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400)와 PMS용 보조 배터리(500)가 모두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200)와 상기 연료전지(300) 그리고 배터리(400) 중의 어느 것이 차단되더라도 남은 동력원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MPPT 모듈(112)는 상기 태양전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태양전지(200)가 발전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아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모드 회로(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LINK와 전원 공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확실히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600)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바이패스회소 전원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은 공급되는 전력의 갑작스런 차단 또는 전력제어장치 자체의 고장으로 인해 전력제어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이 작동하여 상기 태양전지(200) 및 상기 연료전지(300)의 전력을 부하(500)가 연결된 DC LINK로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내부에 프로세서 보드(1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모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구성하며, 바이패스모드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MOSFET, 릴레이, 트랜지스터(Tr)를 모두 사용가능하나, 릴레이는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트랜지스터는 속도가 느리고 열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MOSFET이 가장 효율적이다.
참고로, 도 3은 기본적인 전원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태양전지(200)는 각각의 상기 MPPT 모듈(112)를 통해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MPPT 모듈(112)이 정상이면 MPPT 모드로 동작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가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태양전지(200)가 작동하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200)의 MPPT 모듈(112)이 고장 날 경우 즉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이 동작하여 상기 태양전지(200) 전력이 DC LINK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300)는 상기 연료전지용 컨버터(120) 각각의 DC-DC 모듈(122)을 통해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 의해 종속적으로 제어되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이 모두 정상작동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 또는 상기 DC-DC 모듈(122)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즉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이 동작하여 상기 연료전지(300) 전력이 상기 부하(5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300)가 작동중일 경우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가 꺼지더라도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300)의 전력이 DC LINK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동력원에 대한 출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태양전지의 출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태양전지 출력 회로도이다.
상기 태양전지(200)의 출력은 정상적으로 상기 MPPT 모듈(112)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MPPT 작동모드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바이패스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바이패스로 출력된다.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Main) CPU(14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는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 상기 MPPT 모듈(112) 외에,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 PM모드 감시타이머(114), OR 게이트(115) 및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MPPT 모듈을 통한 정상출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6은 MPPT 모듈을 통한 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에 전원인 인가되면, 상기 MPPT 모듈(112)의 하트비트 토글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MPPT 모듈(112)과 연결된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는 수ms 동안 토글신호가 인가되면, Low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MPPT 모듈(112)의 PM모드 동작용 신호(400kHz)는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PM모드 감시타이머(114)는 수ms 동안 토글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와 PM모드 감시타이머(114)에서 출력하는 Low 신호를 수신한, 상기 OR 게이트(115)는 Low 신호를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로 전달하고, Low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는 OFF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MPPT 모듈(112)을 통해 전원이 출력된다.
반대로, 도 7을 참조하여 바이패스 모듈을 통한 비상출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7은 바이패스 모듈을 통한 비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7은 초기 MPPT 모듈(112)과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부팅되기 전의 상태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 동작으로 태양전지 출력이 바이패스되며,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요 MPPT(11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MPPT 모듈(11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출력이 바이패스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PPT 모듈(112)과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부팅되기 전, 상기 MPPT 모듈(112)의 하트비트 신호가 토글되지 않고, 상기 MPPT 모듈(112)과 연결된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는 수ms 동안 토글신호가 토글되지 않으면, High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MPPT 모듈(112)의 PM모드 동작용 신호(400kHz)는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PM모드 감시타이머(114)는 수ms 동안 신호가 토글되지 않으며 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와 PM모드 감시타이머(114)에서 각각 출력되는 High 신호와 Low 신호를 수신한, 상기 OR 게이트(115)는 최종적으로 High 신호를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에 전달하고, High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는 ON되어, 결과적으로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바이패스 전원 출력된다.
다음으로, 연료전지의 정상출력과 비정상출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료전지용 컨버터(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 상기 DC-DC 모듈(122)외에,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 OR 게이트(125)를 더 포함한다.
참고로, 도 8은 연료전지 출력 회로도이다.
연료전지 출력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상기 DC-DC 모듈(122)을 통해서 공급되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 미작동 또는 상기 DC-DC 모듈(122)이 작동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출력된다.
도 9를 참조하여 DC-DC 모듈(122)을 통한 정상출력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9는 연료전지의 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의 메인 CPU(141)에서 하트비트 신호가 토글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서 수ms 이내에 토글 신호가 인가되면, 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C-DC 모듈(122)은 PGOOD 단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PGOOD 단자는 기준전압의 ±10%범위를 만족하면 High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반전되어 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로부터 수신한, 두 신호를 OR하여 Low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Low 신호를 입력받는 바이패스 스위치(116)는 OFF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DC-DC 모듈(122)을 통해 전원 출력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도 10을 참조하여 DC-DC 모듈(122)을 통한 비정상출력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10은 연료전지의 비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부팅되기 전의 상태로 바이패스모드 스위치 동작으로 연료전지 출력이 바이패스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부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의 메인 CPU(141)의 하트비트 신호는 토글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서 수ms 이내에 토글 신호가 토글되지 않으면, 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C-DC 모듈(122)은 PGOOD 단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PGOOD 단자는 기준전압의 ±10%범위를 벗어나면, Low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반전되어 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로부터 수신한, 두 신호를 OR하여 High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Low 신호를 입력받는 바이패스 스위치(116)는 ON 되어 결과적으로 바이패스 전원 출력이 이루어진다.
도 11을 참조하여, DC-DC 모듈(122)을 통한 다른 비정상출력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11은 연료전지의 다른 비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11은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바이패스모드 스위치 동작으로 전환되는 비정상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의 메인 CPU(141)의 하트비트 신호는 이상없이 토글된다.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서 수ms 동안 토글신호가 토글되기 때문에, 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C-DC 모듈(122)은 PGOOD 단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PGOOD 단자는 기준전압의 ±10%범위를 벗어나면, Low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반전되어 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로부터 수신한, 두 신호를 OR하여 High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12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Low 신호를 입력받는 바이패스 스위치(116)는 ON 되어 결과적으로 바이패스 전원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능동형 전력제어장치
110 : 태양전지용 MPPT
111 : 바이패스 모듈
112 : MPPT 모듈
113 : MPPT 모듈 감시타이머
114 : PM모드 감시타이머
115 : OR 게이트
116 : 바이패스 스위치
120 : 연료전지용 컨버터
122 : DC-DC 모듈
123 :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
125 : OR 게이트
130 : 충전회로
140 : 프로세서 보드
141 : 메인 CPU
200 : 태양전지
300 : 연료전지
400 : 배터리
500 : 부하
600 : 보조 배터리
D : 다이오드

Claims (10)

  1.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의 일부 구성으로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태양전지(200);
    상기 비행체에 탑재되어 연료에너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연료전지(300);
    상기 태양전지(200)와 상기 연료전지(300)가 상기 비행체에 공급하는 전력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잉여분을 저장하는 배터리(400); 및
    상기 태양전지(200), 상기 연료전지(300) 및 상기 배터리(400)와 동시 접속하여, 상기 태양전지(200), 상기 연료전지(300) 및 상기 배터리(400)에서 생성되는 전력들을 부하(500)에 조합 분배시키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200)의 출력을 전력으로 변환해서 출력단에 공급하는 태양전지용 MPPT(110);
    상기 연료전지(3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연료전지용 컨버터(120);
    상기 태양전지(200)의 잉여전력을 상기 배터리(400)에 충전하고, 상기 연료전지(300)를 가동시켜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상태(SOC)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충전회로(130); 및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와 상기 연료전지용 컨버터(120)의 출력제어를 위한 프로세서 보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전력제어장치(100)는
    전력원의 차단 또는 부족에 대비하여 백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전용(소형) 보조 배터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는
    상기 태양전지(200)의 정상출력을 위한 MPPT 모듈(112);
    상기 MPPT 모듈(112)과 병렬배치되고, 상기 MPPT 모듈(112)의 고장시 비정상 출력을 위한 바이패스 모듈(111);
    상기 MPPT 모듈(112)과 연결되어 상기 MPPT 모듈(112)의 토클신호 인가시간을 감시하는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
    상기 MPPT 모듈(112)과 연결되어 상기 MPPT 모듈(112)의 PM 모드 동작용 신호가 출력되는지 감시하는 PM모드 감시타이머(114);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와 상기 PM모드 감시타이머(1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OR하는 OR게이트(115); 및
    상기 OR게이트(11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ON 또는 OFF 되는 바이패스 스위치(1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200)에서 전원이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에 인가된 경우,
    상기 MPPT 모듈(112)에서 수초 이내에 하트비트 신호가 토글 출력되면, 상기 MPPT 모듈(112)을 감시하는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가 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M모드 감시타이머(114)가 상기 MPPT 모듈(112)에서 PM 모드 동작용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Low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OR게이트(115)가 출력단에 연력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OFF시켜, 상기 MPPT 모듈(112)를 통해 전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200)에서 전원이 상기 태양전지용 MPPT(110)에 인가된 경우,
    상기 MPPT 모듈(112)에서 수초 동안 하트신호가 토글되지 않으면, 상기 MPPT 모듈(112)을 감시하는 상기 MPPT 모듈 감시타이머(113)가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M모드 감시타이머(114)가 상기 MPPT 모듈(112)에서 PM 모드 동작용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Low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OR게이트(115)가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ON시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바이패스 전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컨버터(120)는
    상기 연료전지(300)의 정상출력을 위한 DC-DC 모듈(122);
    상기 DC-DC 모듈(122)과 병렬배치되고, 상기 DC-DC 모듈(122)의 고장시 비정상 출력을 위한 바이패스 모듈(111); 및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연결된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와 상기 DC-DC 모듈(122)의 PGOOD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OR하는 OR게이트(115); 및
    상기 OR게이트(11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ON 또는 OFF 되는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300)에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의 메인 CPU(141)에서 수초 이내에 하트비트 신호가 토글출력되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가 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DC-DC 모듈(122)의 PGOOD 단자가 High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에서 반전되어 Low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Low 신호들을 입력받은 상기 OR게이트(115)가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OFF시켜, 상기 DC-DC 모듈(122)을 통해 전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300)에서 상기 DC-DC 모듈(122)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가 부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의 메인 CPU(141)에서 수초동안 하트비트 신호가 토글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를 감시하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가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DC-DC 모듈(122)의 PGOOD 단자가 Low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에서 반전되어 High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High 신호들을 입력받은 상기 OR게이트(115)가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ON시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바이패스 전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300)에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와 상기 DC-DC 모듈(122)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DC-DC 모듈(12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 감시타이머(123)가 상기 프로세서 보드(140)에서 수초 동안 토글신호가 토글되기 때문에 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DC-DC 모듈(122)의 PGOOD 단자가 Low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에서 반전되어 High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Low 신호와 상기 High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OR게이트(115)가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116)를 ON시켜, 상기 바이패스 모듈(111)을 통해 바이패스 전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KR1020130127548A 2013-10-25 2013-10-25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KR10152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48A KR101522544B1 (ko) 2013-10-25 2013-10-25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US15/031,933 US9862502B2 (en) 2013-10-25 2013-10-29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having active power control device
PCT/KR2013/009647 WO2015060487A1 (ko) 2013-10-25 2013-10-29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48A KR101522544B1 (ko) 2013-10-25 2013-10-25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33A true KR20150047733A (ko) 2015-05-06
KR101522544B1 KR101522544B1 (ko) 2015-05-26

Family

ID=5299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48A KR101522544B1 (ko) 2013-10-25 2013-10-25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2502B2 (ko)
KR (1) KR101522544B1 (ko)
WO (1) WO201506048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73B1 (ko) * 2016-02-17 2016-10-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연료전지와 태양전지 기반 무인항공기의 고고도 장기체공을 위한 비행경로 산출 방법
WO2017086639A1 (ko) * 2015-11-18 2017-05-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
KR20170059230A (ko)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광 비행체의 에너지 저장시스템
KR20210000692U (ko)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에스비글로벌 차량용 햇빛가리개
CN112848967A (zh) * 2020-12-25 2021-05-28 芜湖翼讯飞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可提高综合利用率的无人机电池管理系统
CN113258596A (zh) * 2021-06-16 2021-08-1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浅充浅放实现单元电源调节的储能电源充放电策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4944B (en) * 2014-08-29 2021-07-07 Zunum Aero Inc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regional air transit network using hybrid-electric aircraft
DE102017100872A1 (de) 2016-01-21 2017-07-27 Thermo King Corporation Verfahren und Systeme für Transientenschutz vom Automobiltyp für eine Solarladequelle
US20180029477A1 (en) * 2016-07-28 2018-02-01 Simon Gojcaj Solar powered drone
JP6790713B2 (ja) * 2016-10-19 2020-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JP6812743B2 (ja) * 2016-10-19 2021-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の電源システム
KR101867438B1 (ko) 2016-11-10 2018-07-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듀얼모드 배터리팩 시스템
KR102322366B1 (ko) * 2017-03-02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6820542U (zh) * 2017-06-29 2017-12-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供电装置以及应用其的无人机
US20190002117A1 (en) * 2017-06-30 2019-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Propulsion system for an aircraft
US11440428B2 (en) * 2017-07-26 2022-09-13 Sono Motors Gmbh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7508371A (zh) * 2017-09-06 2017-12-22 合肥凌山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电组用智能合流系统
CN207917168U (zh) * 2018-01-25 2018-09-28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计时装置
CN108427356A (zh) * 2018-06-04 2018-08-21 天合光能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及逆变器的智能光伏数据采集系统
US11628949B2 (en) * 2019-02-20 2023-04-18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Modular power units for aircraft
CN109861871B (zh) * 2019-03-27 2023-12-26 北京瑞源芯科技有限公司 具备自监控功能的以太网旁路设备
TWI704744B (zh) * 2019-03-29 2020-09-11 威達高科股份有限公司 使用移動機器人電池的電源橋接裝置
CN113682480A (zh) * 2020-05-19 2021-11-23 辽宁轨道交通职业学院 一种无人直升机用应急电源系统
KR102449646B1 (ko) * 2020-12-08 2022-09-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항공기용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시스템
CN113725992B (zh) * 2021-07-19 2024-02-09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一种航天器电源系统故障识别与隔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101A (ja) * 1997-09-30 1999-04-23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
KR100436178B1 (ko) * 2002-08-23 2004-06-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비행선용 추진시스템
JP2005053353A (ja) * 2003-08-05 2005-03-03 Chube Univ 飛行船
JP4491434B2 (ja) 2006-05-29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7762495B2 (en) * 2007-07-25 2010-07-27 The Boeing Company Solar powered aerial vehicle
US8598741B2 (en) 2008-12-23 2013-12-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hotovoltaic and fuel cell hybrid generation system using single converter and single i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79404B1 (ko) * 2008-12-23 2011-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단일 컨버터 및 단일 인버터를 이용한 태양광-연료전지 복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940263B2 (ja) * 2011-08-12 2016-06-29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KR101302078B1 (ko) * 2011-12-23 2013-09-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하이브리드 전력원용 액티브 전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39A1 (ko) * 2015-11-18 2017-05-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
KR20170059230A (ko)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광 비행체의 에너지 저장시스템
KR101666373B1 (ko) * 2016-02-17 2016-10-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연료전지와 태양전지 기반 무인항공기의 고고도 장기체공을 위한 비행경로 산출 방법
KR20210000692U (ko)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에스비글로벌 차량용 햇빛가리개
CN112848967A (zh) * 2020-12-25 2021-05-28 芜湖翼讯飞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可提高综合利用率的无人机电池管理系统
CN112848967B (zh) * 2020-12-25 2022-08-19 芜湖翼讯飞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可提高综合利用率的无人机电池管理系统
CN113258596A (zh) * 2021-06-16 2021-08-1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浅充浅放实现单元电源调节的储能电源充放电策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487A1 (ko) 2015-04-30
US20160297544A1 (en) 2016-10-13
KR101522544B1 (ko) 2015-05-26
US9862502B2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544B1 (ko) 능동형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전력공급 시스템
US9821666B2 (en) Charge control device using an in-vehicle solar cell
US7872375B2 (en) Multiple bi-directional input/output power control system
US7227278B2 (en) Multiple bi-directional input/output power control system
RU2418721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потребителя на летательном аппарате
JP2019525711A (ja) 電気自動車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そのための制御方法及び電気自動車
RU24223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зервног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на борту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20120306266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KR102048047B1 (ko) 태양광 기반의 자율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CN104471828A (zh) 用于飞机的电力系统稳定系统
CN112751376B (zh) 一种混合电源系统的能量管理方法
KR101742599B1 (ko) 다중 계통감시가 가능한 계통연계형 발전 시스템
JP2003233428A (ja) 高電圧エネルギー調整型変換回路
TW201225473A (en) Hybrid power generator
JP2013162686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5882569A (zh) 一种基于光储互补的列车交直流辅助电源系统
US8427097B2 (en) Hybrid electrical power source
CN103036288B (zh) 一种锂离子蓄电池补充充电控制系统
CN107681762A (zh) 一种平流层浮空器供电结构
WO2016084400A1 (ja) 蓄電池システムおよび蓄電方法
US20200274362A1 (en) Method for black starting a power supply installation, bidirectional inverter, and power supply installation with a bidirectional inverter
RU2520180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id et al. Model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 aircraft electric power system with a fuel cell-equipped APU paralleled at main AC bus
CN103051032B (zh) 燃料电池供电装置和供电系统
CN114884116A (zh) 电源电路、新能源控制系统及能源协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