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411A -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411A
KR20150047411A KR1020140019433A KR20140019433A KR20150047411A KR 20150047411 A KR20150047411 A KR 20150047411A KR 1020140019433 A KR1020140019433 A KR 1020140019433A KR 20140019433 A KR20140019433 A KR 20140019433A KR 20150047411 A KR20150047411 A KR 2015004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gap
sound
channel
gap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236B1 (ko
Inventor
김종배
김대정
박동규
손성하
이경태
이주연
조종인
김성주
정동현
황선호
안대경
우상성
현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55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58753A4/en
Priority to PCT/KR2014/010058 priority patent/WO2015060678A1/en
Priority to US14/523,146 priority patent/US10038947B2/en
Priority to EP19201658.2A priority patent/EP3614691A1/en
Publication of KR2015004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는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teum speaker}
본 발명은 틈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틈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TV와 같은 전자 기기들이 슬림화되면서, 음향장치도 슬림한 구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음향장치도 박형화된 디지털 TV 안에 설치하기 위해, 근래에는 하방 방사형(down-firing) 방식의 프론트 스피커와 후방 방사형(back-firing) 방식의 우퍼(woofer)를 채용한다. 하방 방사형 방식의 프론트 스피커는 디지털 TV의 하부 베젤에 장착되어 중·고음을 하부로 방사한다. 후방 방사형 방식의 우퍼는 디지털 TV의 후면에 장착되어 저음을 후방으로 방사하며, 회절을 통하여 음이 전면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음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초박형화되면서, 음질 열화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중고역대의 음향은 지향성이 강하여 스위트 스팟이 좁게 형성되므로, 중고역대의 음향을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되도록 출력하는 방법이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은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향성이 강한 중고역대의 음향을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되도록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는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틈 스피커는 동일 평면상에서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의 음향에 대한 레이어를 형성하고, 각 레이어에서 상기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틈 스피커들은 서로 맞닿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제1 틈 스피커들은 서로 다른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1 틈 스피커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틈 스피커 장치는 상기 배열된 제1 틈 스피커 또는 제2 틈 스피커의 가운데에 소정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틈 스피커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영상에 대한 음향을 출력하는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는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 내 음향이 발생된 위치에서, 벤딩 웨이브(bending wave)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평면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플레이트 사이의 틈 중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틈 스피커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플레이트 사이의 틈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는 벤딩 웨이브를 이용하여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평면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평면 스피커는 상기 벤딩 웨이브를 이용하여 햅틱 효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 신호로부터 전면 또는 후면 음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를 통해 상기 획득한 전면 또는 후면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고도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은 상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고도 음향이 아닌 음향 또는 고도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은 하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틈 스피커를 통해 고도 음향 신호를 넓은 스위트 스팟을 가지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이어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틈 스피커를 통해 고도 또는 전후면 음원을 표현할 수 있는 3D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는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것으로, 복수의 틈들을 통해 음향을 방사하는 틈 방사형(slit-firing) 스피커 시스템일 수 있다.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의 측면(4, 6)에는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복수의 틈(slit)(3, 5)들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틈들(3, 5)은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복수의 틈의 음향 방출의 원점을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틈의 두께(3)는 가청한계 주파수의 파장인 17mm의 1/4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의 두께(4, 6)는 방출된 음향이 제1 틈 스피커(1) 또는 제2 틈 스피커(2)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것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의 두께(4, 6)는 20mm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틈들(3, 5)은 그라운드 평면(ground plane) 방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2π 입체각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때 제1 틈 스피커(1)는 벽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방출되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으므로, 벽면이 그라운드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틈 스피커(2)는 바닥에서 상방으로 방출되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으므로, 바닥면이 그라운드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가 그라운드 평면 방사를 함에 따라, 출력된 음향이 후방에서 반사되지 않고 전방 방사형(front-firing) 수준의 음질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는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음향축(acoustic axis)이 상방 또는 전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 지향의 측면에서는 중앙 또는 전면에 최적의 스위트 스팟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향의 측면에서도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전면에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틈 스피커(1)와 제2 틈 스피커(2)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각각 다른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틈 스피커(1)는 지향성 및 고도감을 가진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틈 스피커(2)는 고도감을 가지지 않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청취자가 방향감, 공간감을 지각할 수 있게하는 고도감을 가지는 음향을 고도 음향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고도 음향은 고도 채널에 포함됨으로써 시그널링될 수 있다.
지향성이란 음원에서 소리가 퍼져나가는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지향성이 강한 음향은 음이 퍼지지 않고 한 곳을 향해 직진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향성이 강한 음향에 대한 스위트 스팟은 좁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틈 스피커는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음향이 방출되는 원점과 같이 전방에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항성이 강한 음향도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넓은 범위의 스위트 스팟을 형성할 수 있다.
음향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지향성이 높아지므로,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높은 주파수 영역대의 음향은 상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낮은 주파수 영역대의 음향은 지향성이 낮아 청취자에게 방향감 또는 공간감이 느껴지는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고도 채널의 음향 중 지향성이 낮은 주파수 영역대의 음향은 하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부에 위치한 제1 틈 스피커(1)는 고도 음향을 출력하는 상부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하부에 위치한 제2 틈 스피커(2)는 수평면 채널 또는 고도 음향 이외의 음향을 출력하는 하부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된 상부 레이어 또는 하부 레이어는 각각 틈 스피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스위트 스팟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고도 채널은 고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청취자의 머리 위에 위치한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수평면 채널은 청취자와 수평한 면에 위치한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고도 음향이 아닌 음향은 수평면 채널에 속하는 음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평면 아래에서 출력될 수 있는 음향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레이어에서 출력된 고도 음향은 천장에 반사되어 청취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틈 스피커들(1, 2)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들은 청취자는 고도감(elevation), 공간감, 입체감 등을 느낄 수 있다.
도 1에는, 각각 상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틈 스피커(1,2)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양측에 각각 상하부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는 틈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의 틈 스피커는 좌측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고, 우측의 틈 스피커는 우측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두 개의 틈 스피커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개의 틈 스피커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음향이 방출되는 원점과 같이 전방에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될 수 있는 틈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200)는 제1 틈 스피커(210), 제2 틈 스피커(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틈 스피커(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틈 스피커(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1 틈 스피커(210)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지향성이 강한 음향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어 스위트 스팟이 좁게 형성될 수 있으나,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지향성이 강한 음향에 대해서도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틈 스피커(210)의 상부 레이어로 출력된 고도 음향은 오버 헤드(overhead) 위치에서 청취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고도 음향은 하부 레이어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구별되어 청취자는 입체감, 공간감, 방향감 등을 지각할 수 있다.
제2 틈 스피커(220)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적은 저주파수의 음향 또는 고도 음향 이외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틈 스피커(210)와 제2 틈 스피커(220)는 상하부 레이어를 형성하여 아래 위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틈 스피커(210)와 제2 틈 스피커(220)는 좌우 방향 또는 앞뒤 방향으로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청취자가 입체 음향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틈 스피커(200)는 제1 틈 스피커(210) 및 제2 틈 스피커(220)를 포함하고 있으나, 두 개의 틈 스피커에 한하지 않고, 각각 다른 방향감을 가지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틈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상적으로 틈 스피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 또는 틈 스피커(2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음향 신호를 제1 또는 제2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제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틈 스피커(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틈 스피커(200)는 제1 틈 스피커(210), 제2 틈 스피커(220), 제어부(230) 및 센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제1 틈 스피커(210), 제2 틈 스피커(220) 및 제어부(230)는 도 3의 제1 틈 스피커(210), 제2 틈 스피커(220) 및 제어부(230)와 대응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틈 스피커(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틈 스피커(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센서부(230)는 틈 스피커(200)의 자세, 사용자의 위치 등을 감지하여, 틈 스피커(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센서부(230)에 의해 발생된 센싱 신호에 따라 틈 스피커(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30)는 자이로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틈 스피커(200)의 움직임으로부터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틈 스피커(200)가 수평면상 배치되어 있는지 수직면상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가 자이로 센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감지된 틈 스피커(200)의 자세에 따라 틈 스피커(200)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 도 8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적외선 센서는 인체 또는 동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인체나 동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인체 또는 동물이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200)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청취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청취자의 위치에 따라 틈 스피커(20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된 청취자의 위치에 따라 틈 스피커(200)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 도 9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400)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4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 틈 스피커(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1 틈 스피커(421) 및 제2 틈 스피커(422)는 도 2 또는 도 3의 제1 틈 스피커(210) 및 제2 틈 스피커(220)와 대응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 장치(4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 장치(4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410)는 단말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1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400)의 사용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410)는 영상 또는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 또는 UI와 대응되는 음향이 틈 스피커(4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4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틈 스피커(420)는 제어부(4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420)는 디스플레이(410)에 표시된 영상 또는 UI와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틈 스피커(420)는 지향성이 강한 음향을 넓은 스위트 스팟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틈 스피커(420)에 의하면 청취자는 넓은 스위트 스팟에서 입체 음향을 지각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상적으로 단말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디스플레이(410)에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410)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틈 스피커(4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420)는 고도 음향인지 또는 지향성이 강한 음향인지 여부에 따라 다수의 틈 스피커 중 음향을 출력할 틈 스피커를 결정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틈 스피커(4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음향 신호의 채널 별로, 각 채널과 대응되는 틈 스피커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틈 스피커(4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전면, 후면, 좌우, 고도 채널 별로 각 채널과 대응되는 틈 스피커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 틈 스피커(420), 제어부(430) 및 평판 스피커(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디스플레이(410), 틈 스피커(420), 제1 틈 스피커(421), 제2 틈 스피커(422) 및 제어부(430)는 도 5의 디스플레이(410), 틈 스피커(420), 제1 틈 스피커(421), 제2 틈 스피커(422) 및 제어부(430)와 대응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 장치(4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 장치(4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평판 스피커(440)는 얇은 판 형태의 스피커로 특히, 투명 평판 스피커의 경우 액정디스플레이, 유기EL디스플레이, PDP 등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410)에 장착시킬 수 있어 스피커가 탑재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평판 스피커(440)는 디스플레이(410) 상에 부착되고,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410) 상 소정 위치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 스피커(440)는 평판 음향 출력 장치를 대표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며, '평판'은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완전한 평면이 아닐 수 있다.
평판 스피커(430)는 진동 패널과 진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동 패널은 디스플레이(41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편평한 판으로, 디스플레이(410)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아크릴 판이나 유리,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평판 스피커(430)의 진동 유닛으로 여진기(Exciter)는 진동 패널 상의 일측에 부착되며, 제어부(4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진동 패널에 전달하여 진동 패널을 진동시킬 수 있다. 평판 스피커(430)의 진동 유닛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장치는 여진기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패널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에서,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음향이 방출되는 원점과 같이 전방에 스위트 스팟이 넓게 형성될 수 있는 틈 스피커의 특징에 따라 구현된 스피커 장치 또는 단말 장치의 일 예를 각 도면의 예시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600)는 복수 개의 틈 스피커(621 내지 624), 디스플레이(610),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틈 스피커(621 내지 624)는 디스플레이(610)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0)가 UHD(ultra high definition) 디스플레이인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610)의 크기가 클 때,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하단에만 스피커가 위치하면, 청취자는 하단의 스피커를 통하여만 음향을 듣게 되어 입체 음향을 지각하기 어렵다. 즉, 디스플레이(610)에 표시된 영상의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즉, 음향이 영상의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것과 같은 입체감을 청취자에게 주기 위해서는 상단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621 내지 624)는 청취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해 주기 위해, 디스플레이(610)에 표시된 영상 위에서의 음향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의 틈 스피커(621 내지 62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틈 스피커(621)는 디스플레이(610)의 좌측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틈 스피커(622)는 우측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틈 스피커(623)는 좌측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틈 스피커(624)는 우측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단의 틈 스피커(621, 622)는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중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하단의 틈 스피커(623,624)는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중 지향성이 적은 저주파수 영역의 음향 또는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단말 장치(600)는 청취자에게 더 높은 입체감을 제공해 주기 위한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는 상술된 평판 스피커의 진동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는 음향이 발생된 영역에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610)의 중심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이 발생된 영역과는 먼 곳에서 출력되는 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디스플레이(610)가 UHD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10)의 크기가 크므로, 음향 발생 영역과는 먼 곳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경향이 커져, 청취자는 표시된 영상과는 다르게 출력되는 음향으로 인해 괴리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고주파수의 음향인 경우, 지향성이 강하므로, 괴리감이 더욱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을 참조하면, 영상에 표시된 사람의 입으로부터 말소리가 나오는 경우, 청취자는 표시된 '입'으로부터 말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가장 자연스럽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610)의 크기가 커질수록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는 경향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 장치(600)는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를 이용하여 '입'에서 말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600)는 고주파수의 음향과 같이 지향성이 강한 음향에 대하여 평판 스피커(631 내지 634)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개의 틈 스피커(621 내지 624)가 단말 장치(6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복수 개의 틈 스피커(621 내지 624)는 체결 유닛을 구비하여 체결 유닛을 통해 단말 장치(600)의 상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600)는 복수 개의 틈 스피커(625, 626, 627, 628), 디스플레이(611, 612)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복수 개의 틈 스피커는 상하부 또는 좌우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복수 개의 틈 스피커는 상하부에 수평으로 길게 위치하여, 상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625)는 상부 레이어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611)의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상단의 틈 스피커(625)의 좌우 부분은 각각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626)는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611)의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하단의 틈 스피커(629)의 좌우 부분은 각각 좌측 하단 또는 우측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복수 개의 틈 스피커는 좌우에 수직으로 길게 위치하여, 좌측에 위치한 틈 스피커(627)는 디스플레이(612)의 좌측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좌측의 틈 스피커(627)의 윗 부분 및 아래 부분은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터를 형성하여, 좌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위치한 틈 스피커(628)는 디스플레이(612)의 우측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우측의 틈 스피커(628)의 윗 부분 및 아래 부분은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터를 형성하여,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틈 스피커는 디스플레이(610, 611, 612)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 또는 좌우측에 부착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6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에는 비교적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아 좌우 이격도가 크지 않음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틈 스피커가 부착될 수 있다. 틈 스피커는 상하부의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60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에는 비교적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 좌우 이격도가 커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수직으로 틈 스피커가 부착될 수 있다. 틈 스피커는 좌우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틈 스피커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향을 출력할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틈 스피커가 수평으로 상하단에 부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 또는 하단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틈 스피커가 수직으로 좌우측에 부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우측 영역 또는 좌측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굽혀진(curved) 디스플레이에는 틈 스피커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좌우측에 부착될 수 있다. 각 틈 스피커는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부착되어 틈 스피커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각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710 내지 730)는 하단에 틈 스피커(711 내지 73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각 단말 장치(710 내지 730)의 틈 스피커는 좌우 양쪽에 하나씩 존재하여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틈 스피커들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가 멀수록 출력된 음향에 대한 스테레오 및 공간감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710 내지 730)의 크기에 따라 좌우에 위치한 틈 스피커가 좌우 방향으로 최대로 이격되도록, 틈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틈 스피커는 단말 장치(710 내지 73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닌 경우, 단말 장치(710 내지 730)의 크기에 따라 최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출력된 음향에 대한 스테레오 및 공간감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도 7에는 하단의 틈 스피커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6과 같은 상단에 위치한 틈 스피커도 동일하게 최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개의 틈 스피커(711 내지 732)가 단말 장치(7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복수 개의 틈 스피커(711 내지 732)는 체결 유닛을 구비하여 체결 유닛을 통해 단말 장치(700)의 상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장치(800)는 틈 스피커 장치이거나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도 8a는 장치(800)가 수평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장치(800)가 수평면과 수직한 벽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장치(800)는 슬라이딩될 수 있는 플레이트(810, 8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틈(831, 832) 부분에 틈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a에서, 장치(8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을 분석하거나 음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면 또는 후면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800)는 전면 음향은 앞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1)로 출력하고, 후면 음향은 뒤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장치(800)는 뒤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2)로 후면 음향 중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고, 후면 음향 중 지향성이 낮은 저주파수의 음향은 앞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1)로 출력할 수 있다. 후면 음향은 장치(800) 뒤의 벽면에 반사됨으로써 청취자에 도달될 수 있으므로, 청취자는 입체감,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도 8b에서, 장치(8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을 분석하거나 음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고도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800)는 고도 음향은 위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1)로 출력하고, 이외의 음향은 아래 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장치(800)는 위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1)로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고, 고도 음향 중 지향성이 낮은 저주파수의 음향은 아래 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2)로 출력할 수 있다. 고도 음향은 장치(800) 위의 천장 면에 반사됨으로써 청취자에 도달될 수 있으므로, 청취자는 입체감,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틈 스피커 장치(900)는 복수 개의 틈 스피커 모듈(910 내지 950)을 포함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900)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청취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복수 개의 틈 스피커 모듈(910 내지 950) 중 청취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틈 스피커 모듈(950, 940)을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틈 스피커 장치(900)는 선택된 틈 스피커 모듈에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청취자의 위치가 스위트 스팟에 포함될 수 있도록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틈 스피커 장치(900)는 복수 개의 틈 스피커 모듈(960, 970)을 포함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900)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청취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틈 스피커 모듈들(960, 970)을 회전시켜 청취자의 위치가 스위트 스팟에 포함될 수 있도록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틈 스피커 장치(900)는 두 개의 틈 스피커 모듈에서 음향을 출력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음향 신호의 채널 수에 따라 다수 개의 틈 스피커 모듈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틈 스피커 장치(1000)는 복수개의 틈 스피커(1010, 1020)와 우퍼(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틈 스피커(1010, 1020)는 중고역대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틈 스피커(1010, 1020)는 서로 맞닿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 서로 다른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2개의 틈 스피커(1010, 1020)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틈 스피커 장치(1000)는 다수 개의 틈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우퍼(1030)는 저음용 스피커로서, 예를 들어, 대략 3kHz 이하 대역의 저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우퍼(1030)는 음향 진동판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틈 스피커와 같이 장치(1000)의 아래 틈을 통해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b는 도 10a의 틈 스피커 장치(1000)를 위에서 바라본 예시 도면으로, 틈 스피커(1010, 1020)가 각각 양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틈 스피커는 음향이 방출되는 원점과 같이 전방에 스위트 스팟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틈 스피커를 서로 맞닿은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스위트 스팟이 장치(1000)의 전방 및 후방의 넓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향성이 강한 음향의 경우에도 틈 스피커(1010, 102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음향이 방출되는 원점과 같이 음향을 출력하는 틈 스피커의 특징에 따라 넓은 스위트 스팟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들은 위쪽의 틈 스피커(1010, 10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지향성이 적은 저주파수의 음향들은 아래쪽의 틈 스피커(10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더하여, 틈 스피커 장치(1000)의 좌우 면에 평면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중고역대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100)는 틈 스피커(1110)와 플립 커버에 위치하는 평면 스피커(1121,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스피커(1121, 1122)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 책장을 넘기거나 소프트 버튼이 입력될 때 햅틱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100)는 틈 스피커(1110)뿐만 아니라 플립 커버의 평면 스피커(1121, 1122)에서도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원의 스테레오 공간감을 높일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100)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영역이 다양해짐에 따라 음원의 공간감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평면 스피커(1121, 1122)는 주파수가 낮은 대역의 음향은 출력하기 어려우므로 대신 틈 스피커(1110)에서 중저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계란형 또는 원형과 같은 모양의 틈 스피커 장치(1200)는 다수의 틈 스피커 모듈들(1210 내지 1240)을 포함할 수 있다. 틈 스피커 모듈들은 도 12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둥근 모양의 틈새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1200) 전면에 위치한 틈 스피커 모듈들(1210 내지 1240)은 전면 음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후면에 위치한 틈 스피커 모듈들(미도시)은 후면 음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중고역대의 음향은 지향성이 강하므로, 채널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틈 스피커(1230, 1240)로 출력될 수 있고, 저역대의 음향은 지향성이 낮은 점에서, 상, 하부에 위치하는 틈 스피커(1210, 1220)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지향성이 강한 음향은 각각의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틈 스피커(1230, 1240)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방향성을 가지는 지향성이 강한 음향은 좌측의 틈 스피커(1230)로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지향성이 낮은 저역대의 음향은 좌우 방향을 구분하지 않고, 상하부에 위치하는 틈 스피커(1210, 1220)로 출력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1200)의 중앙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전구와 같은 부가적인 구조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어, 틈 스피커 장치(1200)에 부가적인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전술한 틈 스피커 장치의 실시예 중 도 8에 도시된 틈 스피커 장치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 13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틈 스피커 장치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01에서, 틈 스피커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상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즉, 틈 스피커 장치(800)가 도 8a와 같이 바닥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틈 스피커 장치(800)는 단계 S1303 이하를 수행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8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 신호로부터 전면 또는 후면 음원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또는 후면 음원은 각각 틈 스피커 장치(8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발생하는 음원과 같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음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1305에서, 틈 스피커 장치(800)는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를 통해 단계 S1303에서 획득한 전면 또는 후면 음원에 대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틈 스피커 장치(800)는 뒤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2)로 후면 음향 중 지향성이 강한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고, 후면 음향 중 지향성이 낮은 저주파수의 음향은 앞쪽에 위치한 틈 스피커(831)로 출력할 수 있다. 후면 음향은 장치(800) 뒤의 벽면에 반사됨으로써 청취자에 도달될 수 있으므로, 청취자는 입체감,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즉, 틈 스피커 장치(800)가 도 8b와 같이 벽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틈 스피커 장치(800)는 단계 S1307 이하를 수행할 수 있다. 틈 스피커 장치(800)는 단계 S1307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 신호로부터 고도 음향을 획득하고, 고도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은 상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틈 스피커 장치(800)는 고도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이나 고도 음향 이외의 음향은 하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틈 스피커를 통해 고도 음향 신호를 넓은 스위트 스팟으로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이어에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틈 스피커를 통해 고도 또는 전후면 음원이 표현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611, 612: 디스플레이 621~628: 틈 스피커
631 내지 634: 평판 스피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는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틈 스피커는 동일 평면상에서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의 음향에 대한 레이어를 형성하고, 각 레이어에서 상기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틈 스피커들은 서로 맞닿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제1 틈 스피커들은 서로 다른 채널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틈 스피커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틈 스피커 장치는 상기 배열된 제1 틈 스피커 또는 제2 틈 스피커의 가운데에 소정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 스피커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 장치.
  6. 단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영상에 대한 음향을 출력하는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틈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는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상부 레이어 및 하부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 내 음향이 발생된 위치에서, 벤딩 웨이브(bending wave)를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평면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플레이트 사이의 틈 중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틈 스피커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플레이트 사이의 틈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벤딩 웨이브를 이용하여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평면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틈 스피커는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스피커는 상기 벤딩 웨이브를 이용하여 햅틱 효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틈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음향 신호로부터 전면 또는 후면 음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틈 스피커 및 제2 틈 스피커를 통해 상기 획득한 전면 또는 후면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1 채널의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틈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제2 채널의 음향 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틈 스피커와 제2 틈 스피커가 각각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고도 음향 중 고주파수의 음향은 상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고도 음향이 아닌 음향 또는 고도 음향 중 저주파수의 음향은 하부에 위치한 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13.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틈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19433A 2013-10-24 2014-02-20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55027.0A EP3058753A4 (en) 2013-10-24 2014-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PCT/KR2014/010058 WO2015060678A1 (en) 2013-10-24 2014-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US14/523,146 US10038947B2 (en) 2013-10-24 2014-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EP19201658.2A EP3614691A1 (en) 2013-10-24 2014-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5103P 2013-10-24 2013-10-24
US61/895,103 2013-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411A true KR20150047411A (ko) 2015-05-04
KR102077236B1 KR102077236B1 (ko) 2020-02-13

Family

ID=5338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433A KR102077236B1 (ko) 2013-10-24 2014-02-20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2) EP3058753A4 (ko)
KR (1) KR102077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298B2 (en) 2018-12-26 2022-09-27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566A (ko) * 2008-03-20 2009-09-24 박승민 오브젝트중심의 입체음향 좌표표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67726A1 (en) * 2008-09-09 2010-03-18 Sony Corporation Speaker system and speaker driving method
KR20110090062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 플레이트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20120188371A1 (en) * 2008-11-25 2012-07-26 Apple Inc. Stabilizing Directional Audio Input from a Moving Microphone Arr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578B1 (ko) * 2006-09-11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TWI384872B (zh) * 2008-05-15 2013-02-01 Hannspree Inc Flat display with sliding horn structure
KR101793691B1 (ko) * 2011-03-09 2017-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WO2012138121A2 (en) 2011-04-04 2012-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mobility evalu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816811B2 (ja) * 2011-05-18 2015-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566A (ko) * 2008-03-20 2009-09-24 박승민 오브젝트중심의 입체음향 좌표표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67726A1 (en) * 2008-09-09 2010-03-18 Sony Corporation Speaker system and speaker driving method
US20120188371A1 (en) * 2008-11-25 2012-07-26 Apple Inc. Stabilizing Directional Audio Input from a Moving Microphone Array
KR20110090062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 플레이트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298B2 (en) 2018-12-26 2022-09-27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4691A1 (en) 2020-02-26
EP3058753A1 (en) 2016-08-24
KR102077236B1 (ko) 2020-02-13
EP3058753A4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US8855340B2 (en) Apparatus for reproducting wave field using loudspeaker array and the method thereof
US11665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ultrasonic emitter system floor audio unit
WO2014184994A1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および映像表示装置
CN108989721A (zh) 用于局域化感知音频的技术
US10587979B2 (en) Localization of sound in a speaker system
CN110035357B (zh) 装置和修改装置的音频输出的方法
US20180295461A1 (en) Surround sound techniques for highly-directional speakers
US20170230778A1 (en) Centralized wireless speaker system
KR20210101701A (ko) 스피커 및 스피커를 위한 음향 출력 경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93691B1 (ko) 음향 출력 장치
US20200081120A1 (en) Ultrasonic Sensor
KR102077236B1 (ko)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153538B (zh) 显示装置及其全景声实现方法、非易失性存储介质
JP2014032600A (ja) 表示入力装置
US11240617B2 (en) Augmented reality based simulation apparatus for integrated electrical and architectural acoustics
JP5951875B2 (ja) Av機器、音声方向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2218195A1 (zh) 显示设备及其音频输出方法
US11924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ally transparent display
CN113115168A (zh) 音频模组和电子设备
TW201433974A (zh) 行動裝置以及音效處理方法
KR20200020050A (ko)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