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04A -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04A
KR20150045704A KR20130125303A KR20130125303A KR20150045704A KR 20150045704 A KR20150045704 A KR 20150045704A KR 20130125303 A KR20130125303 A KR 20130125303A KR 20130125303 A KR20130125303 A KR 20130125303A KR 20150045704 A KR20150045704 A KR 2015004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ftening agent
softener
application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073B1 (ko
Inventor
정용표
김종개
박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림
Priority to KR102013012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0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1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up to the moisture regain of the textil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용 원단에 연성을 부여하여 구김을 방지하고 평활성을 주며 촉감을 향상시키는 유연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한 후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통해 도포롤러에 부착되는 유연제의 양을 조절한 상태에서 원단을 도포롤로와 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유연제를 원단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건조하여 완료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제 처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하는 제1단계; 도포롤러가 회전하면서 수조에 담긴 유연제를 도포롤러의 외면에 부착하고, 회전하는 도포롤러에 부착된 유연제의 양을 유연제조절블레이드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을 도포롤러와 압착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도포롤러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를 일정한 두께로 원단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Method for softening agents processing of clothing fabric}
본 발명은 의류용 원단에 연성을 부여하여 구김을 방지하고 평활성을 주며 촉감을 향상시키는 유연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한 후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통해 도포롤러에 부착되는 유연제의 양을 조절하면서 원단을 도포롤로와 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시켜 유연제를 원단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건조하여 완료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제 처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원단은 사용 용도에 따라 구김 방지와 평활성 제공 및 촉감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적절한 유연성을 갖도록 처리하고 있다.
즉, 원단의 표면에 액상의 유연제를 도포하여 그 내부로 침투시키는 유연제 처리를 통해 원단에 적절한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고 유연제 처리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대별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압착롤러로 탈수하는 단계, 탈수된 원단을 1차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원단 표면에 맹글롤러(Mangle Roller)를 이용하여 액상의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는 단계, 및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침투되도록 원단을 2차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방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압착롤러로 탈수하는 단계, 맹글롤러를 이용하여 탈수된 원단의 표면에 액상의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는 단계,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침투되도록 원단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원단을 건조한 상태에서 유연제를 그 표면에 도포한 후 재차 건조하는 것으로, 건조 상태의 원단에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므로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되면서 유연제 처리가 균일하지만 총 2회의 건조 단계가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원단을 젖은 상태에서 유연제를 그 표면에 압착 도포한 후 건조하는 것으로, 단 1회의 건조 단계만이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하지만, 함수율 70% 이상으로 젖은 상태의 원단에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므로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되지 않으면서 유연제 처리가 균일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이 가지는 한계들을 일거에 해소하여 유연제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유연제 처리 공정을 단순하게 하면서 유연제를 원단에 균일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28243호, 2007.06.07.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95970호, 2008.01.11.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61716호, 2008.09.29.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의 방법들이 가지는 한계들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유연제 처리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유연제를 원단에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하는 제1단계; 도포롤러가 회전하면서 수조에 담긴 유연제를 도포롤러의 외면에 부착하고, 회전하는 도포롤러에 부착된 유연제의 양을 유연제조절블레이드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을 도포롤러와 압착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도포롤러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를 일정한 두께로 원단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원단의 함수율이 30~50%가 되도록 원심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수조에 담긴 유연제는,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도포롤러와 연동하는 브러쉬롤러에 의해 도포롤러로 전달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유연제통과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롤러의 내부에는, 양극 또는 음극을 띄는 제1영구자석봉이 설치되고,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영구자석봉과는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제2영구자석봉이 설치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봉과 상기 제2영구자석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가 상기 도포롤러의 상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도포롤러에 도포된 상기 유연제는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유연제통과홈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제의 양은,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연제통과홈의 간격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먼저, 유연제 처리시 건조 공정을 단 1회만 행함으로써 유연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공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단을 원심 탈수하여 함수율이 30~50%인 상태에서 도포롤러와 압착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되 유연제조절블레이드로 도포롤러의 외면에 부착되는 유연제의 양을 일정하게 원단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유연제의 균일한 도포와 원활한 침투로 유연제 처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제는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연제통과홈의 간격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원단의 중량에 따른 유연제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도 2의 도포롤러와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간격이 조정되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도포롤러와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도시한 일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은, 의료용 원단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유연성을 인위적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액상의 유연제를 원단의 표면에 부착시켜 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은, 종래의 유연제 처리 방법들이 가지는 처리 공정이 복잡하고 유연제가 불균일하게 처리되는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함으로써 유연제 처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하는 단계, 탈수된 원단을 유연제가 외면에 부착되는 도포롤로와 압착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되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통해 도포롤러에 부착되는 유연제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원단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유연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하여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 처리 공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총 3단계의 간단한 처리 공정으로 구성되면서 그 처리 공정에는 단 1회의 건조 공정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처리 공정의 간소화로 유연제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원단이 원심탈수기에 의해 탈수된 함수율 30~50%의 상태에서 그 표면에 유연제가 일정하게 도포되게 되므로 원단에 유연제를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도포롤러와 유연제조절블레이드의 간격이 조정되는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도포롤러와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S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을 원심 탈수하는 단계(S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의 표면에 유연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원단을 건조하여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단계인 상기 원단을 원심 탈수하는 단계(S110)는, 정련 또는 염색으로 인해 젖은 상태의 원단을 원심탈수기(110)에 투입하여 탈수하는 공정이다.
이때 원단을 원심 탈수하는 것은 원단의 함수율이 30~50%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원심탈수기(110)를 이용하여 원단을 탈수하면 종래의 첫 번째 방법에서 맹글롤러로 압착 탈수할 때보다는 상대적으로 원단의 함수율이 낮고, 종래의 두 번째 방법에서 맹글롤러로 압착 탈수한 후 건조할 때보다는 상대적으로 원단의 함수율이 높아, 많은 수분으로 인한 원단의 표면으로의 유연제 도포의 어려움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 인한 원단의 내부로의 유연제 침투의 어려움을 모두 해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원단의 함수율이 제1단계(S110)를 통해서 30~50%로 조절되면 이후 제2단계(S120)와 제3단계(S130)에서는 유연제가 원단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된 후 원단의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될 수 있다.
단, 원심 탈수하는 시간과 강도는 원단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단이 상기한 함수율을 가질 수 있도록 원심탈수기(110)에 투입되는 원단의 양과 원심탈수기(110)의 처리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단계인 원단의 표면에 유연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S120)는, 도포기(120)를 이용하여 탈수 상태의 원단을 이동시키면서 그 표면에 유연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공정이다.
이때 도포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21), 도포롤러(122),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 및 압착롤러(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포롤러(122)와 압착롤러(124)의 사이로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그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수조(121)는 유연제가 내부에 채워진 구성으로, 유연제의 소비량에 따라 유연제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도포롤러(122)는, 수조(121)의 내부에 하부 일측이 일부 잠겨 있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운동하면서 수조(121)에 담긴 유연제가 외면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단, 수조(121)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제가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도포롤러(122)와 함께 회전 운동하면서 수조(121)에 담긴 유연제를 표면에 부착한 후 도포롤러(122)의 외면으로 전달하는 브러쉬롤러(12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 개의 유연제통과홈(123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를 상기 유연제통과홈(123a)으로 통과시켜 유연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구성이다.
단,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는, 상기 유연제통과홈(123a)으로만 유연제가 통과하여 도포롤러(122)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포롤러(122)의 상측에 자력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롤러(122)의 내측에 설치된 제1영구자석봉(125a)과,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의 내측에 설치된 제2영구자석봉(125b)이 서로 다른 극성을 띄면서 상호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는 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는 상기 제1영구자석봉(125a)과 제2영구자석봉(125b)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도포롤러(122)의 상측에 밀착되면서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의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착롤러(124)는, 도포롤러(122)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원단을 도포롤러(122)와 함께 압착시켜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가 원단의 표면에 압착 도포되게 하는 구성이다.
즉, 수조(121)에 담긴 유연제가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후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에 의해 유연제의 부착량이 일정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도포롤러(122)와 압착롤러(124)의 사이로 원단이 통과하면서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가 원단의 표면에 압착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제의 양은, 원단의 중량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데, 이는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연제통과홈(123a)의 간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즉, 원단의 중량이 많이 나가 유연제의 도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유연제통과홈(123a)의 간격이 넓은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로 교체하여 설치하면 되고, 원단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가 유연제의 도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연제통과홈(123a)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로 교체하여 설치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제3단계인 원단을 건조하여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S130)는, 유연제가 표면에 도포된 원단을 건조기(130)에 투입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유연제를 원단의 내부로 침투 고착되게 하는 공정이다.
이때 건조기(130)의 건조 온도와 시간은 원단이 손상되지 않고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 고착되도록, 투입되는 원단의 종류와 특성, 사용된 유연제의 종류와 특성, 및 건조기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포기(120)와 건조기가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 구성한다면 원단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S120)와 원단을 건조하여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S130)를 휴지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한 후 유연제조절블레이드를 통해 도포롤러에 부착되는 유연제의 양을 균일하게 조절하면서 원단을 도포롤로와 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시켜 유연제를 원단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건조하여 완료함에 따라, 전체 처리 공정을 간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건조 공정을 단 1회만 실시함으로써 유연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유연제 처리를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S100: 의료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S110: 원단을 원심 탈수하는 단계
S120: 원단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
S130: 원단을 건조하여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
110: 원심탈수기
120: 도포기 121: 수조
122: 도포롤러 123: 유연제조절블레이드
124: 압착롤러 125a: 제1영구자석봉
125b: 제2영구자석봉 126: 브러쉬롤러
130: 건조기

Claims (6)

  1.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원심탈수기로 탈수하는 제1단계;
    도포롤러(122)가 회전하면서 수조(121)에 담긴 유연제를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하고, 회전하는 도포롤러(122)에 부착된 유연제의 양을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을 도포롤러(122)와 압착롤러(124)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도포롤러(122)의 외면에 부착된 유연제를 일정한 두께로 원단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원단을 건조하여 상기 유연제 처리를 완료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원단의 함수율이 30~50%가 되도록 원심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수조에 담긴 유연제는,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도포롤러(122)와 연동하는 브러쉬롤러(126)에 의해 도포롤러(122)로 전달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유연제통과홈(123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122)의 내부에는,
    양극 또는 음극을 띄는 제1영구자석봉(125a)이 설치되고,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의 내부에는,
    상기 제1영구자석봉(125a)과는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제2영구자석봉(125b)이 설치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봉(125a)과 상기 제2영구자석(125b)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가 상기 도포롤러(122)의 상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도포롤러(122)에 부착된 상기 유연제는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의 유연제통과홈(123a)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유연제의 양은,
    상기 유연제조절블레이드(12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연제통과홈(123a)의 간격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KR1020130125303A 2013-10-21 2013-10-21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KR10152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303A KR101520073B1 (ko) 2013-10-21 2013-10-21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303A KR101520073B1 (ko) 2013-10-21 2013-10-21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04A true KR20150045704A (ko) 2015-04-29
KR101520073B1 KR101520073B1 (ko) 2015-05-13

Family

ID=5303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303A KR101520073B1 (ko) 2013-10-21 2013-10-21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037A (zh) * 2016-03-24 2016-06-01 江西服装学院 一种棉毛混纺织物的平滑柔软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390B1 (ko) * 2002-05-22 2004-03-11 이창준 약품 및 수분 도포장치
KR100625607B1 (ko) 2004-03-25 2006-09-20 노재숙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037A (zh) * 2016-03-24 2016-06-01 江西服装学院 一种棉毛混纺织物的平滑柔软工艺
CN105625037B (zh) * 2016-03-24 2018-01-05 江西服装学院 一种棉毛混纺织物的平滑柔软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73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93B1 (ko) 섬유원단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NO20074963L (no) Tekstiler for papirfremstilling med forurensningsresistent nanopartikkelbelegg og fremgangsmate for anvendelse pa stedet
KR101672366B1 (ko) 데님의류 제작방법
KR101933987B1 (ko) 지그염색기를 이용한 면직물의 유기안료 염색방법
KR101520073B1 (ko)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KR101342640B1 (ko) 직물의 코팅가공장치
US477149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lengths of textile material, such as carpets
CN104334708A (zh) 用于织物和成衣的人工老化的方法
CN108179643A (zh) 四面弹力春亚纺生产方法
KR20170088111A (ko) 빈티지 직물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빈티지 직물
US3541815A (en) Means for continuous dyeing of pile warp textiles,especially of carpets
CN103821013A (zh) 全棉薄织物化学起泡的染整方法
CN110373876B (zh) 一种衣物处理装置的除皱方法及衣物处理装置
KR101230390B1 (ko) 엠보싱 피혁 제조방법
US2114618A (en) Process for coating fabrics
KR100292104B1 (ko) 개질된 양모섬유의 제조방법 및 개질된 양모섬유
CN105696371B (zh) 一种真蜡发丝纹产品的生产工艺
KR101175900B1 (ko) 발수성 청의류 및 상기 청의류 제작방법
CN108286191A (zh) 一种超高水压的锦纶aty织物
CN210177121U (zh) 一种纯棉厚重织物活性染料单面染色给液设备
ITUD970116A1 (it) Procedimento di smerigliatura in bagnato per materiale tessile e relativo dispositivo
US193984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regnating and/or surface coating fabrics
KR20160123529A (ko) 양모가 포함된 원단의 발수발유제 처리방법
DE3163097D1 (en) Method of continuously applying a dye bath to a wet textile sheet material
KR100192831B1 (ko) 습식은층이 형성된 천연피혁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