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666A - 피사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피사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666A
KR20150045666A KR20130125196A KR20130125196A KR20150045666A KR 20150045666 A KR20150045666 A KR 20150045666A KR 20130125196 A KR20130125196 A KR 20130125196A KR 20130125196 A KR20130125196 A KR 20130125196A KR 20150045666 A KR20150045666 A KR 20150045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fixing
variable
variable por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표
임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2013012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666A/ko
Publication of KR2015004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 head, e.g. neuroimaging or crani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러한 피사체 고정 장치는 피사체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 및 고정이 용이하며, 단단한 고정력을 가진다. 또한, 위생적이면서 피부가 쏠리지 않고 손상되지 않는 효과를 가져, 의료용 검사기기에 연결되는 피사체 고정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피사체 고정 장치.{SUBJECT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사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사체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피사체의 일 부위를 의료용 검사기기 등에 고정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신체 부위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처치를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의료용 검사기기를 이용한다. 여기서 의료용 검사기기는 X-ray 나 C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치과의 경우에는 엑스레이를 사용하여 파노라마(panorama), CT(computed tomography), 세팔로(cephalo) 영상 등을 촬영하는데, 촬영 시 환자가 편안함을 느낌과 동시에 안정된 자세의 촬영으로 흔들림 없는 영상을 얻어야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움직임이 없어야 하며, 특히 환자의 두부를 촬영할 경우에는 일정한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영상 촬영을 하기 위해 벨크로 타입의 밴드 등을 이용하여 환자 신체 일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택해왔다. 벨크로 타입의 밴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의 일부의 형상에 맞게 조절하여 고정하였으나, 고정시에 피부 쏠림으로 인한 환자의 불쾌감 및 피부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과 같은 사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고정할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형상에 따라 각각 사출물이 필요하게 되며, 플라스틱 사출물의 약한 고정력과 단단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촬영의 진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피부가 쏠리지 않고, 손상되지 않는 피사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 및 고정이 용이하면서, 단단한 고정력을 가지는 피사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생적인 피사체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와 상기 일 부위 사이의 상기 가변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 시 상기 일 부위를 직접 압박·이완하는 압박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을 조절하는 압력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부는 상기 가변부의 팽창 압력값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팽창 압력값에 따라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박 고정부는 착탈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박 고정부는 연질이다.
본 발명의 피사체 고정 장치는 피사체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 및 고정이 용이하면서 단단한 고정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피사체 고정 장치는 위생적이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를 두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의 압력 감지 센서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는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 고정틀부(10), 상기 고정틀부(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하는 가변부(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피사체 고정 장치(1)는 x-ray 나 CT 촬영 장치와 같은 의료용 촬영 기기에 연결되어, 고정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일 부위에 접촉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x-ray 나 CT 장치와 같은 의료용 촬영 기기의 촬영 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일 부위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의료용 촬영 기기에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를 연결함으로써,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일 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나, 의료용 촬영 기기에 연결되어 피사체의 일 부위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틀부(10)는 일례로 링 형상을 가지는 구성요소로서,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데, 상기 고정틀부(10)는 원형틀, 타원형틀 및 사각형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단일 형상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는 둘레의 크기가 작은 손목, 팔에서부터 둘레의 크기가 큰 머리, 허리 등 피사체의 모든 부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정 장치임에 따라, 둘레의 크기가 작은 피사체의 부위에서부터 둘레의 크기가 큰 피사체의 부위에 이르기까지 피사체의 모든 부위에 적용 가능하도록 여유있게 피사체의 일 부위를 수용한다. 그리고, 착용이 불편한 가슴, 허리 및 다리 등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복수개로 나뉘어 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부(20)는 일례로 상기 고정틀부(10)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하는 튜브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가변부(20)는 기체, 액체 및 점도를 가지는 작용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주입되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기체는 공기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이다. 이러한 작용 물질이 주입되는 가변부(20)는 PVC 또는 고무와 같이 팽창 가능한 재질이면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20)의 팽창으로 인하여 수용된 피사체의 일 부위가 고정됨에 따라, 종래의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 시 문제점이 된 피부의 쏠림과 피부 손상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주입되는 작용 물질의 압력으로 피사체의 일 부위를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약한 고정력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상기 가변부(20)는 상기 고정틀부(10) 일측의 내측면에 마련되는데, 상기 단일 형상의 고정틀부(10)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고정틀부(10)에 따라 상기 가변부(20)는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부(20)는 상기 작용 물질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출입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출입부(21)는 상기 가변부(20)가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도록 작용 물질의 주입과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20)의 출입부(2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부(21)는 상기 가변부(20)의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는데, 작용 물질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상기 출입부(21)의 계폐를 위해 마개 또는 밸브등의 형상을 가지는 배출 밸브(211)을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배출 밸브(211)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고무보트나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20)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상기 출입부(21)를 통해 상기 주입 물질을 주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부(20)에 작용 물질을 주입할 경우, 상기 작용 물질은 상기 출입부(21)를 통해 튜브 형상의 상기 가변부(20) 내부로 주입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용 물질의 주입이 끝나면 상기 출입부(21)를 막고, 튜브 형상의 상기 가변부(20)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의 착용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는 상기 의료용 촬영 기기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변부(20)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의료용 촬영 기기에 상기 작용 물질이 내재되어,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용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의료용 촬영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의료용 촬영 기기와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가 연결된 부위를 통해 상기 주입 물질이 상기 가변부(20)에 주입된다.
상기 의료용 촬영 기기의 조작은 상기 주입 물질이 이동할 수 있게 조절된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나,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주입 물질이 주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는 경우에 따라서 압박 고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박 고정부(30)는 상기 가변부(2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변부(20)의 수축·팽창에 따라 피사체의 일 부위를 접촉하여 압박·이완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를 두부에 착용하였을 시 변형되는 상기 압박 고정부(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고정부(30)를 연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변부(20)의 팽창시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피사체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압박 고정된다.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상기 가변부(20)의 팽창 시 피사체의 일 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압박 고정되기 때문에, 둘레 및 형상이 다른 피사체의 부위에 맞게 변형 가능한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상기 가변부(20) 내측면에 마련되는데, 단일 형상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틀부(10) 및 상기 가변부(2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피사체의 일 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로서, 압박 고정부(30)를 재사용 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박 고정부(30)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시킴으로서, 교체 가능하므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피사체의 일부를 압박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의 압력 감지센서부(40)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는 경우에 따라서 압력 감지 센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 센서부(40)는 미리 설정된 팽창 및 수축 압력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변부(2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압력 감지 센서부(40)는 상기 가변부(20)의 팽창 압력값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41) 및 상기 압력 감지 센서(41)에 의해 감지된 팽창 압력 값에 따라 상기 가변부(20)의 수축 및 팽창을 조절하는 제어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의 압력 감지 센서부(40)는 미리 설정된 수축 및 팽창 압력값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2)를 통하여 상기 가변부(20)의 수축 및 팽창을 제어한다.
먼저, 상기 압력 감지 센서(41)는 팽창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팽창 압력값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2)에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가변부(20)에 작용 물질이 주입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작용 물질이 상기 출입부(21)를 통하여 주입됨에 따라, 상기 가변부(20)가 팽창되어 팽창 압력값이 증가되면서, 미리 설정된 팽창 압력값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가변부(20)의 팽창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팽창 압력값에 대응되면, 상기 압력 감지 센서(41)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2)에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신호를 받은 제어부(42)는 상기 가변부(20)로 주입되는 작용 물질의 주입을 제어하고, 상기 출입부(21)를 통해 작용 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20)에 주입된 작용 물질이 배출됨에 따라, 압력값이 내려가게 되고, 상기 가변부(20)는 수축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의 고정틀부(10)는 원형틀, 타원형틀 및 사각형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형태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틀부(10), 상기 가변부(20) 및 상기 압박 고정부(30)는 단일 형상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의 사용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의료용 검사기기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피사체 고정 장치(1)에 환자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일 부위를 피사체 고정 장치(1)에 삽입하는 단계를 가진다.
다음으로, 여유있게 수용된 피사체의 일 부위를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변부(20)의 출입부(21)에 작용 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가진다.
여기서 작용 물질이 주입됨에 따라, 상기 가변부(20)가 팽창되어 여유있게 수용되어 있던, 피사체의 일 부위와 밀착이 되면서 동시에 고정하고자 하는 상기 일 부위의 형상에 따라, 상기 압박 고정부(30)가 변형되면서 압박되므로 종래 고정 부재의 피부 쏠림 및 피부 손상을 개선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용 물질의 주입량에 따른 압력 팽창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팽창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부(42)를 통해 작용 물질의 주입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20)의 팽창이 정지되어, 의료용 검사기기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검사의 측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42)에 의하여 주입된 작용 물질이 상기 출입부(21)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가변부(20)는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일 부위와 밀착된 피사체 고정 장치(1)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됨으로써, 피사체의 일부위를 빼낼 수 있고, 의료용 검사기기의 측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고정 장치(1)는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 고정틀부(10), 상기 고정틀부(10)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하는 가변부(20), 상기 가변부(2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일 부위와 접촉하여 압박·이완하며 착탈 가능한 압박 고정부(30)에 상기 압력 감지 센서부(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피사체 고정 장치(1)는 정밀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 및 고정이 우수하면서 단단한 고정력을 가지고, 위생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고정장치는 의료용 검사기기에 구비되어 피사체의 일 부위를 의료용 검사기기에 고정하는 역할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서는 의료용 검사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사체에 고정하는 역할 등으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일례로, 말과 같은 대형 동물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서는 X선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와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검출기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사이에 두고 두 사람이 각각 제너레이터와 검출기를 들고 엑스레이 촬영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검출기와 피사체의 일 부위를 함께 감싸 고정하면 별도로 검출기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피사체의 일 부위에 검출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들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이 기술사상 범주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피사체 고정 장치: 1 고정틀부: 10
가변부: 20 출입부: 21
배출밸브:211 압박 고정부: 30
압력감지센서부: 40 압력 감지 센서: 41
제어부: 42

Claims (6)

  1. 피사체의 일 부위를 여유있게 수용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가변적으로 수축·팽창함으로써 상기 일 부위를 압박·이완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와 상기 일 부위 사이의 상기 가변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 시 상기 일 부위를 직접 압박·이완하는 압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을 조절하는 압력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부는
    상기 가변부의 팽창 압력값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팽창 압력값에 따라 상기 가변부의 수축·팽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고정부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고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고정부는 연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인체 고정부재.
KR20130125196A 2013-10-21 2013-10-21 피사체 고정 장치. KR20150045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196A KR20150045666A (ko) 2013-10-21 2013-10-21 피사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196A KR20150045666A (ko) 2013-10-21 2013-10-21 피사체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66A true KR20150045666A (ko) 2015-04-29

Family

ID=5303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196A KR20150045666A (ko) 2013-10-21 2013-10-21 피사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81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ssessment of body cavity pressures
US10959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s deep vein thrombosis prevention and diagnosis system utilization compliance
US10952601B2 (en) Otoscope tip and methods of use
JPH05115487A (ja) 大腿部を圧迫する装置
WO2003070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stigating force-deformation properties in muscles in walls of bodily hollow systems
JP5251447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CN110916709B (zh) 提高在医学影像检查过程中被检部位稳定性的方法及装置
JP2012516183A (ja) 2つの異なるタイプのクッションを多数使用した固定
RU2731309C2 (ru) Система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обследования молочных желез
JP2000175904A (ja) 呼吸センサー
KR101850507B1 (ko) 어깨 위팔 치료용 운동장치
KR20150045666A (ko) 피사체 고정 장치.
KR101456938B1 (ko) 비침습적 대뇌 관류 증강 장치
KR101967620B1 (ko)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N211068924U (zh) 脊柱侧弯反馈训练设备
CN109561871A (zh) 用于促进患者的浅呼吸的设备和方法
CN111820933A (zh) 配合冠状动脉ct成像的屏气系统及其使用方法
EP3677184A1 (en) Stress support system
US20180338693A1 (en) Use of a multi-compartment bladder in a finger cuff
WO2006002313A1 (en) Device and methods for assessment of body cavity pressures
CN210990291U (zh) 一种磁共振线圈自动辅助固定装置
KR20200095839A (ko) 신체센서
KR20190073123A (ko) 휴대성이 용이한 혈압 및 당뇨측정기
JP2008228995A (ja) 体脂肪測定装置
JP2010538730A (ja) 医療システム内の関心対象をモニタ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