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620B1 -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620B1
KR101967620B1 KR1020170053651A KR20170053651A KR101967620B1 KR 101967620 B1 KR101967620 B1 KR 101967620B1 KR 1020170053651 A KR1020170053651 A KR 1020170053651A KR 20170053651 A KR20170053651 A KR 20170053651A KR 101967620 B1 KR101967620 B1 KR 10196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fat layer
liposuction
safety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922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05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5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measuring tissue layers, e.g. skin,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A61B8/565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involving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연결되어 상기 캐뉼라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며, 장갑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와 상기 착용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및 상기 제어부 또는 착용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으로,수술자가 캐뉼라의 삽입된 깊이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하는 것보다 자동으로 정확한 깊이를 측정하기 때문에 수술자의 피로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방층에 삽입된 캐뉼라의 깊이를 측정하기 때문에 지방층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고, 지방층의 지방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어 수술및 시술의 결과의 안정성과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SAFETY OF LIPOSUCTION TO DETECT CANNULA INSERTED INTO THE FAT LAYER}
본 발명은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하 지방층 속에 삽입되는 캐뉼라의 깊이를 감지하여 균일한 지방흡입과 출혈 등의 수술위험을 예방하여 수술의 안정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이 외적인 모습을 가꾸는데 많은 투자를 하면서 성형수술, 지방 흡입 수술및 시술등 성형을 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지방흡입 수술은 미용목적 외에도 건강, 치료의 목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가지고 있는 수술로, 지방 흡입은 일반적으로 캐뉼라를 지방층에 삽입하여 캐뉼라에 형성된 홀로 지방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즉, 지방 흡입술은 피부층, 지방층, 근육층으로 이루어진 피부에 캐뉼라를 지방층에 삽입하여 지방읍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복부, 허벅지, 엉덩이, 팔 뿐만 아니라 얼굴의 지방까지도 제거할 수 있고, 지방종 제거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방 흡입은 외부의 육안이나, 수술자의 촉감에 에 의존하여 캐뉼라가 삽입된 깊이를 감지하기 때문에 수술및 시술부위가 균일하게 지방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울퉁불퉁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캐뉼라를 너무 깊이 삽입하여 출혈, 근육 파열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자가 피방 층에 삽입된 캐뉼라의 깊이를 수술및 시술하는 동안 계속해서 신경써야 하기때문에 수술자의 피로도가 높은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3049호(발명의 명칭: 지방흡입 수술로봇 시스템, 공개일자: 2010년 10월 20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6574호(발명의 명칭: 레이저 지방분해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자: 2008년 01월 16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피하 지방층 속에 삽입되는 캐뉼라의 깊이를 감지하여 균일한 지방흡입과 출혈 등의 수술위험을 예방하여 수술의 안정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은,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연결되어 상기 캐뉼라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며, 장갑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와 상기 착용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및 상기 제어부 또는 착용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더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를 더 포함한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탈부착가능한 테이프형태 또는 밴드형태로 이루어진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스캔부는 스캔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저장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가능하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은, 수술자의 손에 착용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수술자의 손으로 피부의 일면을 지지하고, 캐뉼라가 지방층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착용부 내부에 측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착용부와 상기 캐뉼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캐뉼라가 지방층에 삽출되는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수술자가 설정한 거리의 범위를 벗어나면 표시부를 통하여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의 정보를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되어, 지방층 촬영이 가능하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영상데이터 또는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송수신된 데이터정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확인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수술자가 캐뉼라의 삽입된 깊이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하는 것보다 자동으로 정확한 깊이를 측정하기 때문에 수술자의 피로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방층에 삽입된 캐뉼라의 깊이를 측정하여 지방층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고, 지방층의 지방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어 수술및 시술의 결과의 안정성과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술자가 사용하는 캐뉼라와 착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술자가 사용하는 캐뉼라와 착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10), 제어부(120), 착용부(130), 측정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뉼라(110)는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지방을 흡입한다.
캐뉼라(110)는 몸속에 삽입하는 관으로서, 선단부는 밀폐되고, 후단부는 개방되며, 수술부위인 지방층에 삽입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방세포를 파괴하여 지방세포를 외부로 추출한다.
캐뉼라(110)의 밀폐되는 선단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술부위 삽입시, 신체 내부 기관 또는 근육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하고, 홀의 사이즈와 갯수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수술 부위 및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수술이 가능하다.
캐뉼라(110)는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는 의료기구이며, 흉강이나 복강에 삽입하여 액체를 추출 또는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採血)하거나, 기관절개술(氣管切開術)때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을 시키기 위한 것 등 여러가지 용도로 쓰인다.
캐뉼라(110)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11)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카메라(111)는 캐뉼라(110)의 직경보다 작아 캐뉼라(110)가 지방층에 삽입될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카메라(111)는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수술부위 내부를 영상 또는 이미지로 촬영을 한다.
제어부(120)는 캐뉼라(110)와 연결되어 캐뉼라(110)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20)는 캐뉼라(110)가 흡입하는 지방의 양을 조절하고, 캐뉼라(110)와 착용부(130)의 거리를 설정하여 측정부(140)가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영상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영상출력부(121)를 더 포함한다.
영상출력부(121)는 초음파 스캔부(131)를 통하여 스캔한 데이터를 바로 출력할 수 있어 수술자가 수술중에 수술부위에 대해 확인하고 싶을 경우나 특정 부위의 캡쳐화면을 봐야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선 통신부(122)를 더 포함하고, 무선 통신부(122)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통신부(122)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 로그인을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자가 로그인을 하면 수술중에 초음파 스캔부(131)를 통하여 스캔된 영상데이터를 재생 및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가 로그인할 경우에 수술의 결과정보나 의사가 수술결과나 진단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착용부(130)는 제어부(120)와 연동되며, 장갑형태로 이루어진다.
착용부(130)는 장갑형태로 수술자가 수술시에 걸리적거리거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하는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캐뉼라(110)를 사용하는 반대편에 착용하게 된다.
착용부(130)는 인체의 일부에 부착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착용부(130)는 일반적으로 장갑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수술자의 손바닥, 손등 등 신체의 일부에 부착하는 테이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 손등 등의 신체 일부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는 밴드형태의 착용부(130)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형태, 밴드형태 등은 신체와 밀착되어 수술자가 수술하는 동안에 걸리적 거리거나 수술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착용부(130)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131)를 더 포함한다.
초음파 스캔부(131)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이다.
초음파 스캔부(131)는 스캔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저장 가능하고, 제어부(120)는 영상데이터를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가능하다.
초음파 스캔부(131)는 스캔한 영상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기도 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입체 영상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입체 영상데이터를 통하여 지방층의 단면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어 지방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데이터를 통하여 캐뉼라(110)가 삽출되는 영상을 수술 도중이나 수술 후에 확인가능하여 수술도중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수술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측정부(140)는 착용부(130)의 내부에 결합되어 캐뉼라(110)와 착용부(130)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부(140)는 캐뉼라(110)와 착용부(130)의 거리를 측정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사용자게에 음성, 발광 등의 다양한 표시로 알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방층에 삽출되는 캐뉼라(110)와 피부층 외부에 밀착되어 있는 착용부(130)의 거리가 3.5cm 이상일 경우에는 수술자에게 캐뉼라(110)의 삽출 깊이를 조절하라는 경고 알림을 하게 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20) 또는 착용부(130)의 일면에 결합되어 측정부(140)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영상출력이 가능하여, 착용부(130)와 캐뉼라(110)의 거리를 표시하거나, 알림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S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자의 손에 착용부를 구비하는 단계(S110); 상기 수술자의 손으로 피부의 일면을 지지하고, 캐뉼라가 지방층에 삽입되는 단계(S120); 상기 착용부 내부에 측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착용부와 상기 캐뉼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캐뉼라가 지방층에 삽출되는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S130);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수술자가 설정한 거리의 범위를 벗어나면 표시부를 통하여 알리는 단계(S140);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의 정보를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비단계(S110)는 수술자의 손에 착용부(130)를 구비한다.
착용부(130)는 장갑형태를 이루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테이프형태, 밴드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부(130)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131)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를 통하여 영상데이터 또는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한다.
초음파 스캔부(131)는 스캔한 영상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기도 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입체 영상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등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입체 영상데이터를 통하여 지방층의 단면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어 지방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삽입단계(S120)는 캐뉼라(110)가 지방층에 삽입된다.
또한,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110)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11)가 구비되어, 지방층 촬영이 가능하다.
캐뉼라(110)는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지방을 흡입하며, 캐뉼라(110)는 몸속에 삽입하는 관으로서, 선단부는 밀폐되고, 후단부는 개방되며, 수술부위인 지방층에 삽입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방세포를 파괴하여 지방세포를 외부로 추출한다.
또한, 동영상데이터를 통하여 캐뉼라(110)가 삽출되는 영상을 수술 도중이나 수술 후에 확인가능하여 수술도중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수술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측정단계(S130)는 착용부(130)와 캐뉼라(110)의 거리를 측정하여 캐뉼라(110)가 지방층에 삽출되는 깊이를 측정한다.
알림단계(S140)은 측정부(130)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부(150)에 출력하고, 수술자가 설정한 거리의 범위를 벗어나면 표시부(150)를 통하여 알린다.
저장단계(S150)은 측정부(140)가 측정한 거리의 정보를 제어(120)부에 저장한다.
제어부(120)는 무선 통신부(122)를 통하여 측정단계(S13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서버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에 송수신된 데이터정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확인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버를 통하여 수술자가 로그인을 하면 수술중에 초음파 스캔부(131)를 통하여 스캔된 영상데이터를 재생 및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가 로그인할 경우에 수술의 결과정보나 의사가 수술결과나 진단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110 : 캐뉼라
111 : 카메라
120 : 제어부
121 : 영상출력부
122 : 무선 통신부
130 : 착용부
131 : 초음파 스캔부
140 : 측정부
150 : 표시부
S100 :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S110 : 구비단계
S120 : 삽입단계
S130 : 측정단계
S140 : 알림단계
S150 : 저장단계

Claims (11)

  1.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연결되어 상기 캐뉼라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며, 장갑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와 상기 착용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및
    상기 제어부 또는 착용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착용부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더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장갑형태가 아닌 탈부착가능한 테이프형태 또는 밴드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스캔부는 스캔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저장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8. 수술자의 손에 구비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착용부는 초음파로 지방층을 스캔이 가능한 초음파 스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상기 착용부와 상기 캐뉼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캐뉼라가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수술자가 설정한 거리의 범위를 벗어나면 표시부를 통하여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거리의 정보를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면에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되어, 지방층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영상데이터 또는 입체 영상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송수신된 데이터정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방법.
KR1020170053651A 2017-04-26 2017-04-26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6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51A KR101967620B1 (ko) 2017-04-26 2017-04-26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51A KR101967620B1 (ko) 2017-04-26 2017-04-26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22A KR20180119922A (ko) 2018-11-05
KR101967620B1 true KR101967620B1 (ko) 2019-04-11

Family

ID=6432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51A KR101967620B1 (ko) 2017-04-26 2017-04-26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304B1 (ko) * 2020-10-21 2023-05-30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KR102586775B1 (ko) * 2020-12-22 2023-10-11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층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85B1 (ko) * 2010-09-14 2015-07-14 (주)미래컴퍼니 지방흡입 수술용 로봇
KR101352402B1 (ko) * 2010-09-14 2014-01-17 (주)미래컴퍼니 지방흡입 수술로봇 시스템
KR101647781B1 (ko) * 2014-06-18 2016-08-12 주식회사 테뷸라 지방흡입용 케뉼라장치
KR101709494B1 (ko) * 2015-07-08 2017-02-23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시술 추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22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237B (zh) 用于自动流体响应测量的系统及方法
US20220079516A1 (en) Ultrasound-based closed-loop control of patient therapy
US116421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fluid response measurement
JP5748870B2 (ja) 非侵襲性経頭蓋超音波照射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518518A5 (ko)
US20160038004A1 (en) Endoscope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ndoscope apparatus
US9031186B2 (en)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work-state detection and X-ray dosage control
JP2018202042A (ja) 穿刺システム、穿刺制御装置及び穿刺針
CA3005078C (en) Ultrasoni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iration monitoring
US11185245B2 (en) Catheter for monitoring pressure for muscle compartment syndrome
JP2008537694A5 (ko)
KR20220050146A (ko) 휴대용 초음파 가이드 캐뉼러 삽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5223435A (ja) 脊髄・神経手術用器具及びシステム
KR101967620B1 (ko)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9559A (ko) 지능형 지방흡입 수술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293B1 (ko) 혈관외유출을 검출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WO2013071293A1 (en) Device and process to confirm occlusion of the fallopian tube
WO2017040612A1 (en) Blood volume assessment using high frequency ultrasound
US20140221837A1 (en) Ultrasou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49771A1 (en) Vessel locator
KR20100091319A (ko) 지방흡입 수술용 로봇
CN216257308U (zh) 具有多重保护功能的超声治疗系统及保护装置
EP4230157A1 (en) Mountable device for autonomous blood vessel interfacing and instrument actuation
KR101178345B1 (ko) 초음파를 이용한 광대 라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2058A (ko) 흡입 시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