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061A -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 Google Patents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061A
KR20150045061A KR20130124276A KR20130124276A KR20150045061A KR 20150045061 A KR20150045061 A KR 20150045061A KR 20130124276 A KR20130124276 A KR 20130124276A KR 20130124276 A KR20130124276 A KR 20130124276A KR 20150045061 A KR20150045061 A KR 2015004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ring
circular
ring
filler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관
Original Assignee
이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관 filed Critical 이병관
Priority to KR2013012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061A/ko
Publication of KR2015004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는 제1 원형링; 상기 제1 원형링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내부 중앙에 제1 원형링과 평행하게 위치된 제2 원형링; 상기 제1 원형링의 내주면과 제2 원형링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원형링과 제2 원형링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원형링 및 제2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제3 원형링;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원형링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제에 복수 개의 링과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충진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충진제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유해가스가 물에 더 효율적으로 흡착되고, 가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gas purification device filler}
본 발명은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장치 내부에 충진되는 것으로, 충진제가 세정액을 더 오래 머금고 있어 유해가스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 섬유공장, 정유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는 제조 공정 중에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를 정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정화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화장치에 충진되는 충진제로써,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정화장치 내에 충진된다. 다수의 충진제가 충진된 정화장치 내부로 유해가스를 통과시키면 내부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물 또는 세정액이 분사되고, 충진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충진제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물질전달 작용을 하면서 유해가스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즉, 효율적으로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정화장치 내부에 충진된 충진제가 물과 유해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유해가스가 물에 더 효율적으로 흡착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원발명의 충진제는 복수 개의 링과 연결부재를 추가로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물과 유해가스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2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는 충진제는 표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나, 구조상 견고성이 떨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침하현상이 발생하며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진제에 복수 개의 링과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충진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충진제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유해가스가 물에 더 효율적으로 흡착되고, 가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진제를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써 견고하면서 제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는 제1 원형링(110); 상기 제1 원형링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내부 중앙에 제1 원형링과 평행하게 위치된 제2 원형링(120); 상기 제1 원형링의 내주면과 제2 원형링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원형링과 제2 원형링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원형링 및 제2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제3 원형링(130);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원형링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재(140);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15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10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원형링과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평행한 형태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160);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3 원형링(13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복수 개의 제3 원형링에 격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연결부재(150)는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원형링(120)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제에 복수 개의 링과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충진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충진제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유해가스가 물에 더 효율적으로 흡착되고, 가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제를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써 견고하면서 제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가 충진된 가스 정화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100)는 제1 원형링(110)과, 상기 제1 원형링(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내부 중앙에 제1 원형링(110)과 평행하게 위치된 제2 원형링(120)과, 상기 제1 원형링(110)의 내주면과 제2 원형링(120)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원형링(110)과 제2 원형링(120)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원형링(110) 및 제2 원형링(120)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제3 원형링(130)과,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원형링(13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11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재(140),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130)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1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100)는 제1 원형링(110), 제2 원형링(120), 제3 원형링(130), 제1 연결부재(140) 및 제2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가 충진된 가스 정화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스 정화장치(200)에 충진되는 충진제(100)로, 다수의 충진제가 충진된 정화장치 내부로 유해가스(10)를 통과시키면 내부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물 또는 세정액이 분사되고, 충진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충진제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물질전달 작용을 하면서 유해가스(10)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이때, 정화장치 내부에 충진된 충진제는 물과 유해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유해가스가 물에 더 효율적으로 흡착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원발명의 충진제(100)는 복수 개의 링과 연결부재를 추가로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물과 유해가스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100)는 제1 원형링(110), 제2 원형링(120), 제3 원형링(130), 제1 연결부재(140) 및 제2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 원형링(110)은 가장 큰 크기의 링으로 제2 원형링(120)과 제3 원형링(13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으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2 원형링(120)은 제1 원형링(1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중앙에 제1 원형링(110)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 원형링(110)보다 둘레는 작으나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제2 원형링(120)은 세 개의 원형링 중 가장 작은 지름을 갖는다.
제3 원형링(130)은 제1 원형링(110)의 내주면과 제2 원형링(120)의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어 제1 원형링(110)과 제2 원형링(120)을 연결한다. 이때, 제3 원형링(130)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130)은 제1 원형링(110)과 제2 원형링(12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제1 원형링(110)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3 원형링(130)은 제1 원형링(110) 및 제2 원형링(120)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제3 원형링(130)은 제1 원형링(110) 및 제2 원형링(120)과 수직으로 위치되고, 제1 원형링(110)과 제2 원형링(120)은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1 연결부재(14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원형링(13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11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부재(140)는 제3 원형링(130)의 지름선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3 원형링(13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제3 원형링(130)에 격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1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제3 원형링(130) 각각에 모두 연결될 수도 있고, 제3 원형링에 격순으로 즉, 제1 연결부재가 형성된 제3 원형링에 인접한 다른 제3 원형링에는 제1 연결부재가 형성되지 않고, 제1 연결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제3 원형링에 인접한 또 다른 제3 원형링에는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구조로 복수 개의 제3 원형링에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다. 쉽게 설명하면, 복수 개 중 어느 하나의 제3 원형링에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되면, 제1 연결부재가 연결된 제3 원형링의 양측에 위치된 제3 원형링에는 제1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는다. 제1 원형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어느 하나의 제3 원형링에 제1 연결부재가 결합되면 그 옆에 위치한 제3 원형링에는 결합되지 않고, 다시 그 옆에 위치한 제3 원형링에는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1 연결부재가 제3 원형링에 하나씩 건너뛰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2 원형링(120)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
제2 연결부재(15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130)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11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150)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된다. 이것은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어느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하측에는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고, 반대로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어느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하측에는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된다는 것이다.
이때, 제2 연결부재(150)는 복수 개의 제3 원형링(130)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재(150)는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되, 상측에만 또는 하측에만 결합될 수 있고, 상측 또는 하측에 무작위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에 교차적으로 번갈아가며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가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교차적으로 형성되면,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일단 상측에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어느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에 제2 연결부제가 결합되고,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양측에 인접한 제3 원형링에는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으며,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양측에 인접한 제3 원형링과 그 양측에 인접한 제3 원형링에는 다시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격순으로 결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측에도 제2 연결부재가 격순으로 결합되고, 이때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적으로 형성되어 상측 또는 하측에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쉽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어느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면,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과 그 양측에 인접한 제3 원형링의 하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된 인접한 제3 원형링과 그 양측에 인접한 제3 원형링의 상측에 다시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2 연결부재가 상측에 한 번, 하측에 한 번 교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150)는 상기 제2 원형링(120)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100)는 제3 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부재(16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원형링(110)과 제2 연결부재(150) 사이에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150)와 평행한 형태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을 연결한다. 즉, 제3 연결부재(160)는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된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130)에 제2 연결부재(150)와 평행한 형태로 제2 연결부재(150)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는 충진제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제1 원형링(110), 제2 원형링(120), 제3 원형링(130), 제1 연결부재(140), 제2 연결부재(150) 및 제3 연결부재(160)는 충진제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상기 구성을 통해 가스 정화장치(200) 내에서 분사된 물이 충진제의 넓은 표면적을 따라 흐르면서 물을 더 오래 머금고 있게 되어 유해가스(10)의 유해성분이 더욱 잘 흡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HOG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1은 본 발명의 비교예(Spider-0)와 실시예(Spider-Ⅰ)의 타입이고, 표 2는 본 발명의 비교예(Spider-0)와 실시예(Spider-Ⅰ)의 각 수치이며, 표 3은 하기 자료는 MWR에 근거 작성된 자료로 충전물별 최소액량 이상의 값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HOG는 가스의 이동계수 저항값으로 이동속도의 역수로 충전물의 접촉면적과 spray 액량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HOG 값의 실험값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pider-0 Hog = 0.164 × G^0.46 / L^0.36
Spider-1 Hog = 0.223 × G^0.46 / L^0.36
G : kg/m2 hr of gas
L : kg/m2 hr of spray water
NOG는 농도 구배 추진력에 의한 것으로 log(입구농도/출구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chemical: 운전 조건
표 1 및 표 2를 통해 압력손실을 예측한 결과 다음과 같다.
Spider-0 (kgf/m2)/m = 183 × (L/G)1/3 × r v^2/2g
Spider-1 (kgf/m2) /m= 127 × (L/G)1/3 × r v^2/2g
(L/G) : 액기비
r v^2/2g : 동압 kgf/m2
r : 비중량(kgf/m3)
v : section velocity (m/sec)
g : 중력가속도 (m/sec^2)
이하, 비교 실험에 의한 결과이다.
본 실험은 HF 가스를 대상으로 Q(송풍량)= 30m3/min, Temp(온도): 20도, Line Velocity(선속도): 1m/sec, Dia(지름): 800mm의 조건으로 HF(유입농도:10PPM)을 적용하여 30회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HOG의 산출식과 그래프를 얻었다.
비교예(tellerette S-2)와 실시예(spider-1)의 물리적 성상을 보여주는 표이다.
ea/m3 surface area(/) hold up(w%) 휨 강도(f/)
비교예
(tellerette S-2)

17,500

150

8

5
실시예
(spider-1)

17,000

160

10

50
이론식 : 0.223 G^(0.46) / L^(0/36) ( at HF 기준)
충전물은 동일한 용량을 투입했을 경우 유해성분 처리효율이 높은 충전물이어야 하고 동일한 효율을 나타낼 때에는 용량이 적게 투입된 것이 우수한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이동 전달 저항 높이(Height of over all 가스 transfer unit, 이하 'HOG'라 한다)에 의해 비교 평가할 수 있고, 우수한 충전물일수록 HOG값이 적다. 즉, HOG는 가스처리 장치의 설계 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HOG값이 적으므로, 유해성분 처리효율이 높아 우수한 충전물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충진제 110: 제1 원형링
120: 제2 원형링 130: 제3 원형링
140: 제1 연결부재 150: 제2 연결부재
160: 제3 연결부재 200: 가스 정화장치
10: 유해가스

Claims (5)

  1. 제1 원형링;
    상기 제1 원형링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내부 중앙에 제1 원형링과 평행하게 위치된 제2 원형링;
    상기 제1 원형링의 내주면과 제2 원형링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원형링과 제2 원형링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원형링 및 제2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제3 원형링;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원형링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원형링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원형링과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평행한 형태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3 원형링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되, 복수 개의 제3 원형링에 격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복수 개의 제3 원형링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원형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원형링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KR20130124276A 2013-10-18 2013-10-18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KR20150045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276A KR20150045061A (ko) 2013-10-18 2013-10-18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276A KR20150045061A (ko) 2013-10-18 2013-10-18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61A true KR20150045061A (ko) 2015-04-28

Family

ID=5303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276A KR20150045061A (ko) 2013-10-18 2013-10-18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15Y1 (ko) * 2018-10-23 2019-12-23 (주)창원에너텍 활성탄과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다이옥신 저감 제품
KR102634621B1 (ko) * 2023-02-17 2024-02-07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기액접촉 성능이 개선되는 충전재 유니트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15Y1 (ko) * 2018-10-23 2019-12-23 (주)창원에너텍 활성탄과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다이옥신 저감 제품
KR102634621B1 (ko) * 2023-02-17 2024-02-07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기액접촉 성능이 개선되는 충전재 유니트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5061A (ko) 가스 정화장치용 충진제
CN203954960U (zh) 一种废气净化环保装置
RU2015135485A (ru) Составной сажеобдуватель
CN204126784U (zh) 一种汽车空滤器的出气管总成以及空滤器
CN104923051A (zh) 一种涂装废气、废水、废渣一体净化系统
CN202700503U (zh) 一种鲍尔环填料
CN105080291A (zh) 一种提高工业尾气清洗效果的装置
CN104607135B (zh) 一种枣核形格栅式规整填料
CN205517310U (zh) 一种臭氧脱硝混合器
CN103203193B (zh) 网管式对流接触装置及其对流接触器
CN205435430U (zh) 混合酸碱废气生物净化喷淋处理装置
CN201260963Y (zh) 塑料环集成块填料
CN203874619U (zh) 工业粉尘、酸雾空气净化器
CN207722607U (zh) 一种带除尘设备的脱硫脱硝装置
CN202962480U (zh) 一种鲍尔环填料
KR102074975B1 (ko) 3d 메쉬 그리드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KR20130141342A (ko) 함입자 가스의 정화 장치
CN202569909U (zh) 一种异戊酰氯生产车间用空气净化装置
CN103908841A (zh) 一种工业用惯性力除尘器
CN103203164B (zh) 列管式对流接触装置及管式对流接触器
CN205288018U (zh) 废气净化塔
CN102698561B (zh) 净化回收废气中挥发有机物的板式吸附-脱附装置
CN204543930U (zh) 一种气体旋流填料
CN206499245U (zh) 一种过滤管销售架
CN205323439U (zh) 一种脱硝催化剂粉末制造的尾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