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171A -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171A
KR20150044171A KR20130123208A KR20130123208A KR20150044171A KR 20150044171 A KR20150044171 A KR 20150044171A KR 20130123208 A KR20130123208 A KR 20130123208A KR 20130123208 A KR20130123208 A KR 20130123208A KR 20150044171 A KR20150044171 A KR 2015004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purifier
oil purifie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민
남병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171A/ko
Publication of KR2015004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63H21/386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for handling lubrication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윤활유 또는 연료유, 그 밖의 선박용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 상기 유류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유류청정기로 이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이송펌프를 통해 이송된 유류에서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한 후 청정한 유류를 유류탱크로 이송하고 불순물과 수분을 슬러지탱크로 이송하는 유류청정기; 상기 유류청정기에서 이송된 불순물과 수분을 저장하는 슬러지탱크; 상기 유류청정기와 슬러지탱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탱크; 상기 감지탱크의 감지신호를 통해 유류청정기의 이상 여부 판단하여 이상 발생시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유류청정기의 고장이 발생하고 청정 연료가 유실되는 때에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유류청정기의 고장 여부 및 청정 연료 유실 여부를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 OIL CLEANING APPARATUS FOR VESSEL }
본 발명은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연료유, 윤활유, 그 밖의 선박에서 사용되는 각종 유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수분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연료유, 윤활유를 청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의 유류 청정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대개 유류탱크, 이송펌프, 유류청정기, 슬러지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서 이송펌프는 유류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유류청정기로 공급하며, 유류청정기는 유류에서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한 후 청정한 유류만을 다시 유류탱크로 이송한다.
상기에서 유류청정기를 통해 제거되는 이물질과 수분은 슬러지탱크로 이송되고, 슬러지탱크에 저장되는 슬러지는 양육되거나 소각기를 통해 소각처리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원심분리 방식의 유류청정기를 사용하는 선박용 연료 저질중유의 정제 및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서 유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유류청정기(Oil Purifier)는 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원심분리 방식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원심분리 방식의 유류청정기는 본체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반의 보울 사이에 분리효과가 최고인 온도로 가열된 유류가 주입되면 유류의 무거운 성분과 가벼운 성분을 원심분리한다.
상기 원심분리 방식의 유류청정기는 유류를 분리한 후 비교적 불순물과 수분이 포함된 무거운 물질을 슬러지탱크로 배출하고, 청정한 유류가 대부분인 가벼운 성분을 선박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시 유류탱크로 이송한다.
상기 원심분리 방식의 유류청정기의 사용과정에서 유류청정기 본체 내부에서 유류에 효과적인 원심력을 전달하고 내부 유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보울의 손상이 있을 경우 비교적 가벼운 성분, 즉 청정한 유류도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슬러지탱크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027호(2011년 9월 8일 공고)
그러나 종래의 유류 청정장치는 보올의 손상 등 유류청정기의 고장을 감지하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유류청정기의 고장의 발생된 경우 청정 유류의 누출 여부를 늦게 인지하게 되어 많은 양의 청정 유류가 유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올 손상 등 유류청정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청정 유류가 슬러지탱크로 유입될 때에 이를 빠른 시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류청정기의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윤활유 또는 연료유, 그 밖의 선박용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 상기 유류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유류청정기로 이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이송펌프를 통해 이송된 유류에서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한 후 청정한 유류를 유류탱크로 이송하고 불순물과 수분을 슬러지탱크로 이송하는 유류청정기; 상기 유류청정기에서 이송된 불순물과 수분을 저장하는 슬러지탱크; 상기 유류청정기와 슬러지탱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탱크; 상기 감지탱크의 감지신호를 통해 유류청정기의 이상 여부 판단하여 이상 발생시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유류청정기가 본체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반의 보울 사이에 유류가 주입되는 원심분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감지탱크가 상기 감지탱크의 일측 하단과 슬러지탱크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감지탱크가 감지탱크의 유면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유면감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감지탱크가 감지탱크의 상단에 설치되어 감지탱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감지탱크가 감지탱크의 일측 상단과 슬러지탱크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른 감지탱크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제어유니트가 유류청정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송펌프 및 유류청정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제어유니트가 유류청정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접속된 표시패널의 경고등과 경고알람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제어유니트가 유류청정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관리자에게 유류청정기의 이상을 알리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는 상기 이송펌프와 유류청정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로 이송되는 유류를 슬러지 분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유류가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 의하면, 유류청정기의 고장이 발생하고 청정 연료가 유실되는 때에 유류청정기 및 이송펌프의 작동을 정지하여 더이상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에 의하면, 유류청정기의 고장 여부 및 청정 연료 유실 여부를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신속한 고장 수리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의 제어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의 제어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100)는 유류탱크(110), 이송펌프(120), 유류청정기(130), 슬러지탱크(140), 감지탱크(150), 제어유니트(160)를 포함한다.
유류탱크(110)는 윤활유 또는 연료유, 그 밖의 선박용 유류를 저장한다.
이송펌프(120)는 상기 유류탱크(110)에 저장된 유류를 유류청정기(130)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유류청정기(130)는 상기 이송펌프(120)를 통해 이송된 유류에서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한 후 청정한 유류를 유류탱크(110)로 이송하고 불순물과 수분을 슬러지탱크(140)로 이송한다.
상기 유류청정기(130)는 본체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반의 보울 사이에 유류가 주입되는 원심분리 방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류청정기(130)는 이송펌프(120)를 통해 이송된 유류를 무거운 성분의 슬러지와 가벼운 성분의 청정 연료로 분리한다.
상기 유류청정기(130)를 통해 분리된 청정 유류는 유류탱크(110)로 이송되고, 불순물과 수분의 슬러지는 슬러지탱크(140)로 이송된다.
슬러지탱크(140)는 상기 유류청정기(130)에서 이송된 불순물과 수분의 슬러지를 저장한다.
상기 슬러지탱크(140)에 저장된 슬러지는 양육되거나 소각기에서 소각처리된다.
감지탱크(150)은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류청정기(130)와 슬러지탱크(140)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유류청정기(13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감지탱크(150)를 거쳐 슬러지탱크(140)로 유입된다.
상기 감지탱크(150)에는 슬러지배출관(151), 유면감지기(152), 에어벤트(153), 오버플로우관(154)이 마련된다.
슬러지배출관(151)은 상기 감지탱크(150)의 일측 하단과 슬러지탱크(14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탱크(150)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140)로 배출한다.
유면감지기(152)는 상기 감지탱크(150)의 내부의 유면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16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에어벤트(153)는 상기 감지탱크(150)의 상단에 설치되어 감지탱크(15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오버플로우관(154)은 상기 감지탱크(150)의 일측 상단과 슬러지탱크(14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른 감지탱크(150)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140)로 배출한다.
제어유니트(160)는 상기 감지탱크(150)의 유면감지기(152)를 통한 감지신호를 통해 유류청정기(13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송펌프(120) 및 유류청정기(1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그에 접속된 표시패널(170)의 경고등(171)을 점등하고, 경고알람(172)을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관리자에게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문자메세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100)는 상기 이송펌프(120)와 유류청정기(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130)로 이송되는 유류를 슬러지 분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유류가열기(1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100)에 있어서 유류탱크(110)의 청정되지 않은 유류는 이송펌프(120)를 통해 유류청정기(130)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펌프(120)를 통한 유류 공급과정에서 유류가열기(180)는 유류를 슬러지 분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한다.
유류청정기(130)는 유류에서 무거운 성분의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하여 가벼운 성분의 청정 유류를 유류탱크(110)로 이송하고, 분리한 불순물과 수분을 감지탱크(150)로 이송한다.
감지탱크(150)로 이송된 불순물과 수분은 슬러지배출관(154)를 통해 슬러지탱크(150)로 배출되고, 슬러지탱크(150)에 저장되는 슬러지는 양육되거나 소각기에서 소각처리된다.
한편, 유류청정기(130)의 보올이 손상되는 등 유류청정기(130)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불순물과 수분뿐만 아니라 청정 연료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감지탱크(150)로 유입되므로 감지탱크(150)의 유면이 급격하게 높아지게 된다.
이때 감지탱크(150)의 유면감지기(152)는 상기 유면 상승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유니트(160)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유니트(160)는 이송펌프(120), 유류청정기(130), 유류가열기(180)의 작동을 정지하고, 표시패널(170)의 경고등(171)과 경고알람(172)을 작동한다.
따라서 표시패널(170)을 통해 작업자가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을 즉시 알 수 있게 되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유니트(160)는 그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사전이 지정된 관리자에게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을 알리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원상복구에 필요한 지원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유류 청정장치
110 : 유류탱크
120 : 이송펌프
130 : 유류청정기
140 : 슬러지탱크
150 : 감지탱크
160 : 제어유니트
170 : 표시패널

Claims (10)

  1. 윤활유 또는 연료유, 그 밖의 선박용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110);
    상기 유류탱크(110)에 저장된 유류를 유류청정기(130)로 이송하는 이송펌프(120);
    상기 이송펌프(120)를 통해 이송된 유류에서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한 후 청정한 유류를 유류탱크(110)로 이송하고 불순물과 수분을 슬러지탱크(140)로 이송하는 유류청정기(130);
    상기 유류청정기(130)에서 이송된 불순물과 수분을 저장하는 슬러지탱크(140);
    상기 유류청정기(130)와 슬러지탱크(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탱크(150);
    상기 감지탱크(150)의 감지신호를 통해 유류청정기(130)의 이상 여부 판단하여 이상 발생시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제어유니트(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청정기(130)는 본체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반의 보울 사이에 유류가 주입되는 원심분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탱크(150)는 상기 감지탱크(150)의 일측 하단과 슬러지탱크(14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탱크(150)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슬러지탱크(140)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1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탱크(150)는 감지탱크(150)의 유면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16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유면감지기(1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탱크(150)는 감지탱크(150)의 상단에 설치되어 감지탱크(15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벤트(1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탱크(150)는 감지탱크(150)의 일측 상단과 슬러지탱크(14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른 감지탱크(150)의 슬러지를 슬러지탱크(140)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관(1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송펌프(120) 및 유류청정기(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접속된 표시패널(170)의 경고등(171)과 경고알람(172)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60)는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관리자에게 유류청정기(130)의 이상을 알리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120)와 유류청정기(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류청정기(130)로 이송되는 유류를 슬러지 분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유류가열기(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KR20130123208A 2013-10-16 2013-10-16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KR20150044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208A KR20150044171A (ko) 2013-10-16 2013-10-16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208A KR20150044171A (ko) 2013-10-16 2013-10-16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71A true KR20150044171A (ko) 2015-04-24

Family

ID=5303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208A KR20150044171A (ko) 2013-10-16 2013-10-16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2389389B1 (ko) 2020-12-17 2022-04-21 한국기계연구원 선박 청정기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10967319B2 (en) 2017-11-27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2389389B1 (ko) 2020-12-17 2022-04-21 한국기계연구원 선박 청정기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841B1 (ko) 스크러버의 정수 시스템
EP2878352B1 (en) Fuel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draining water from a fuel filter assembly
US736806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minant in a fuel system
CA2587124A1 (en)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 water
KR101470837B1 (ko) 수분배출구조를 갖는 원심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퓨리파이어 시스템
KR20150044171A (ko) 선박의 유류 청정장치
KR101064740B1 (ko) 선박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5739578B (zh) 一种智能真空脱气机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9226116A (ja) 溶剤浄化装置
KR101280581B1 (ko) 공작기계용 고압 절삭유 공급 장치
KR102354091B1 (ko) 엔진용 연료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KR100948270B1 (ko) 선박의 빗물 처리 시스템
KR100876548B1 (ko) 산업용 정수장치
KR102076676B1 (ko)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
KR20130099615A (ko) 독립된 증발기를 통한 폐유 중 침출수 분리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957106A (zh) 一种除尘污水循环系统
EP097646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a waste object
KR20140067702A (ko) 누설 유체 재사용 장치
KR20110050604A (ko) 선박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2396129U (zh) 一种除尘污水循环系统
KR101318683B1 (ko) Fpso 슬롭 워터 처리 시스템
JP2009226360A (ja) 溶剤浄化装置および溶剤濾過装置
KR950010434B1 (ko) 정수기의 급수장치
KR20160003432A (ko)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KR20150144473A (ko) 오일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