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011A -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011A
KR20150044011A KR20140195675A KR20140195675A KR20150044011A KR 20150044011 A KR20150044011 A KR 20150044011A KR 20140195675 A KR20140195675 A KR 20140195675A KR 20140195675 A KR20140195675 A KR 20140195675A KR 20150044011 A KR20150044011 A KR 2015004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oating layer
thickness
mixture
pv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9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희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Priority to KR2014019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011A/ko
Publication of KR2015004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은, PVC, 안정제, 난연제 및 발포제를 110도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80℃에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삽입하는 단계; 실린더에서 상기 삽입된 혼합물을 150 내지 240℃로 융화하는 단계; 문짝 선틀재 심재를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융화된 혼합물로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PVC 코팅층이 형성된 문짝 선틀재 심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선틀재의 뒤틀림이나 벤딩을 방지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OR FRAME}
본 발명은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VC가 심재에 코팅 성형되어 일체화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축자재 또는 토목자재는 눈, 비, 그리고 계절적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강도와 형태가 항상 변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이를 대체할 합성소재를 계속적으로 연구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합성소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배합 순서를 제어하여 다양한 강도를 얻고 형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합성 목재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합성 목재는 유기섬유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유기섬유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합성 목재를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성 목재는 수축 팽창율을 제어하기 힘들고, 수분의 함유에 따른 비틀림 현상을 제어하지 못하여 여전히 수요자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구나 문짝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사용 미감을 극대화시키고, 수축 팽창율이 상대적으로 좋은 목재를 심재로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심재로서 목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목재가 수분을 함유하는 성질 때문에 중심부 또는 하부가 벤딩되어 미감이 저하되거나 문짝이 레일에 견고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지 않아 문짝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심재 자체를 ABS 등으로 합성소재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가격이 매우 고가로 형성되고, 중량이 증가하여 내구성면에서 상당한 불편을 따르는 결점이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1.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POLYURETHANE FOAM DOOR FRAME AND ITS PROCESS (특허출원번호 제10-1996-0001386호)
2. 골조를 갖는 압출성형재 문짝과 문틀 및 그 제조방법 (The door anddoorframe which are made of extrusionmolding material, that have skeletons,and themanufacturing method)(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87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틀재의 뒤틀림이나 벤딩을 방지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문짝 선틀재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은, PVC, 안정제, 난연제 및 발포제를 110도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80℃에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삽입하는 단계; 실린더에서 상기 삽입된 혼합물을 150 내지 240℃로 융화하는 단계; 문짝 선틀재 심재를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융화된 혼합물로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PVC 코팅층이 형성된 문짝 선틀재 심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PVC 코팅층의 길이 방향 두께(t)는 상기 폭 방향 두께(T)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폭 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는 0.46 내지 0.7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문짝 선틀재 심재는 제1길이(L1)와 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제2길이(L2)를 갖고, 상기 폭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와는 다음의 [수학식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1] L2/L1 + 0.2 < t/T
본 발명은 선틀재의 뒤틀림이나 벤딩을 방지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문짝 선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틀재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켜 사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목재 또는 중공의 금속 재질를 활용하여 선틀재를 제조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에서의 A-A′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가 포함된 문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에서의 B-B′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도 1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틀재(100)는 선틀재 심재(110) 및 선틀재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PVC 코팅층(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선틀재 심재(110)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데, 보통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PVC 코팅층은 tri-basic-lead-sulphate, Poly-basic-lead-stearate, Calcium-stearate, Hydro-carbon Wax 및 Anti-oxidants Lubricant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정제; 인계, 브롬계, 염소계, 수산화알루미늄계, 안티몬계, 수산화마그네슘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난연제; 및 Azodicarbonamide를 포함하는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PVC 코팅층(120)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두께(T)가 수직방향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벤딩이나 뒤틀림 현상이 주로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인한다. 이때, 수평 방향의 두께(T)는 4mm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수직 방향의 두께(t)는 3mm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다 상세하게 폭 방향 두께(T)에 대한 길이 방향 두께(t)의 두께비는 0.4 내지 0.7로 형성된다. 두께비가 0.4 보다 작게 형성되면 도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벤딩시 장력에 의해 부착된 유리가 이탈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커지게 되고, 두께비가 0.7 보다 크게 형성되면 수평 방향의 벤딩시 장력보다 벤딩을 억제하는 지지력이 더 커지게 되어(포화되어) 경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나무 재질의 문짝 선틀재 심재(110)의 상대적으로 넓은 쪽 제1길이(L1)와 이에 직교하는 제2길이(L2)의 비율과 폭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와는 다음의 [수학식1]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1] L2/L1 + 0.2 < t/T
문짝 선틀재 심재(110)는 길이 방향의 두께(L1)가 폭 방향 두께(L2) 보다 크게 되면 습기 조건에서 그 만큼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의 벤딩이 더욱 많이 유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폭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가 상기 수학식1을 만족하는 경우에 벤딩이 최소화됨을 도출하였다. 즉, 벤딩을 방지하기 위해 t/T의 최적 범위값은 항상 선틀재 심재의 길이 방향의 두께(L1)에 대한 폭 방향 두께(L2)의 비율(L2/L1) 보다 0.2 이상 형성되는 경우 최적의 효과가 도출됨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대한 더욱 자세한 실험예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가 포함된 문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4에서의 B-B′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이상과 같은 선틀재 심재(110)와 PVC 코팅층(120)이 적용된 문짝(100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문짝(1000)은 페어유리(130)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페어유리(130)와 선틀재(100)의 고정을 위한 유리 고정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200)는 심재(210)가 중공의 알루미늄 재질 또는 철 재질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PVC 코팅층(220)은 심재(210) 상에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팅된다. 즉, PVC 코팅층의 폭 방향 두께(T)에 대한 길이 방향 두께(t)의 비는 0.4 내지 0.7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200)는 심재(21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제1길이(L1)와 상기 제1길이와 직교하는 제2길이(L2)를 갖는다고 정의하고 다음의 수학식2를 만족할 때 벤딩 억제력이 극대화됨을 도출해 내었다.
[수학식2] L1′/L2′+ 0.18 < t/T
이는 심재가 나무 재질인 경우보다 금속 재질인 경우에 더욱 휨 억제력이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기인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PVC 코팅층이 다양한 심재에 최적화된 비율로 코팅되어 문짝 선틀재의 벤딩을 방지하면서 선틀재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보다 친환경적 제품의 생산이 가능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선틀재의 제조 방법은 문짝 선틀재 심재에 PVC 코팅층을 형성하여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VC, 안정제, 난연제 및 발포제를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110), 혼합물을 20 내지 80℃에서 냉각하는 단계(S120), 냉각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삽입하는 단계(S130), 실린더에서 상기 삽입된 혼합물을 150 내지 240℃로 융화하는 단계(S140), 문짝 선틀재 심재를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S150), 융화된 혼합물로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1차 성형 단계(S160), PVC 코팅층이 형성된 문짝 선틀재 심재를 냉각하는 2차 성형 단계(S170), 및 제단하고 필요한 색상으로 랩핑하는 단계(S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110 단계에서는 교반기에 PVC 수지를 우선 투입하여 PVC 수지를 가열하고, 연속적으로 안정제 및 난연제 및 발포제를 투입하여 함께 교반한다. 이때, 온도조건은 110 내지 130℃로 형성한다. 110℃ 보다 낮은 경우에는 혼합물의 습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점도가 높아져 혼합물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130℃보다 높은 경우에는 PVC 외부에서 발포제가 먼저 발포하여 PVC 코팅층 자체의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S120 단계에서는 교반된 혼합물을 냉각하는데, 20분 미만에서 냉각하는 경우에는 혼합된 원료의 뭉침 방지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고, 30분 이상 냉각하는 경우에는 전체 혼합물의 온도가 실온과 비슷해지므로 습기가 내부에 농축되기 때문에 오히려 점도가 상승해 뭉침 방지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S130 단계에서는 냉각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삽입하는데, 냉각된 혼합물을 이송장치를 통해 압출기로 삽입하게 된다. 이에서 S140 단계에서는 실린더에서 혼합된 PVC 코팅층의 원료를 융화시키고, S150 단계에서는 심재에 금형을 삽입하여, S160 단계에서 PVC 코팅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PVC 코팅층은 폭 방향 두께(T)에 대한 길이 방향 두께(t)의 두께비가 전술한 바와 같이 0.46 내지 0.72로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나무 재질의 문짝 선틀재 심재(110)의 길이 방향 두께(L1)와 폭 방향 두께(L2)의 비율과 폭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는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이 형성된다.
[수학식1] L2/L1 + 0.2 < t/T
실험예1
PVC 전체 중량에 대하여 tri-basic-lead-sulphate와 Poly-basic-lead-stearate로 구성된 안정제 5wt%, 염소계 난연제 0.1wt%, Azodicarbonamide 발포제 0.1wt%를 혼합된 PVC 혼합물을 120℃에서 25분간 교반하여 만들고, 50℃에서 냉각한 후, 200℃에서 용융하여 가변 금형에서 나무 재질의 선틀재에 코팅을 수행하였다. 이때, 코팅층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PVC가 코팅된 선틀재 (L2 : 70mm, L1 : 25mm)에 페어유리를 부착하고 수평으로 세운 후 25℃에서 습도 100% 환경에서 15일간 방치한 후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1을 통해 비교하였다.
시험항목 발명예1
(t/T = 0.40))
발명예1
(t/T = 0.50)
발명예2
(t/T = 0.60)
발명예3
(t/T = 0.70)
비교예1
(t/T = 0.40)
비교예2
(t/T = 0.80)
인장강도
(MPa)
12.1 12.6 13.1 12.7 10.6 10.5
수평연신율
(밴딩길이/수직길이)
0.002 0.001 0.0015 0.001 0.020 0.021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의 코팅층을 갖는 선틀재의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충분히 확보됨을 알 수 있고, 수평연신율이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낮아 밴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실험예2에서는 발명예1 내지 4를 다시 15일간 동일 환경에 방치한 후 수평연신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전술한 L2/L1은 0.357이며, 본 수치에 0.2를 더한 값과 t/T를 비교한 것을 표 2에 도시하였다.
시험항목 발명예1
(t/T = 0.40)
t/T < 0.557
발명예2
(t/T = 0.50)
t/T < 0.557
발명예3
(t/T = 0.60)
t/T > 0.557
발명예4
(t/T = 0.70)
t/T > 0.557
수평연신율
(밴딩길이/수직길이)
0.004 0.003 0.0015 0.001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의 코팅층을 갖는 선틀재의 경우에, 발명예1 및 2의 경우에는 t/T값이 L2/L1의 값에 0.2을 더한 값보다 작게 형성되었고, 이 경우에는 다른 발명예에 비해 수평연신이 보다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3
실험예2에서는 나머지 조건은 발명예1 내지 4와 동일하지만, 심재로서 중공 알루미늄(L2′: 68mm, L1′: 23mm, L1′/L2′= 0.338 )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이때, 시험결과를 표 3에 도시하였다.
시험항목 발명예1
(t/T = 0.40)
t/T < 0.538
발명예2
(t/T = 0.50)
t/T < 0.538
발명예3
(t/T = 0.60)
t/T > 0.538
발명예4
(t/T = 0.70)
t/T > 0.538
수평연신율
(밴딩길이/수직길이)
0.002 0.002 0.0015 0.001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의 코팅층을 갖는 선틀재의 경우에, 발명예1 및 2의 경우에는 t/T값이 L2′/L1′의 값에 0.2을 더한 값보다 작게 형성되었고, 이 경우에는 다른 발명예에 비해 수평연신이 보다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선틀재
110 : 선틀재 심재
120 : PVC 코팅층
130 : 페어유리
140 : 유리 고정대
200 : 선틀재
210 : 선틀재 심재
220 : PVC 코팅층
1000 : 문짝

Claims (4)

  1. 문짝 선틀재 심재에 PVC 코팅층을 형성하여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VC, 안정제, 난연제 및 발포제를 110도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80℃에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삽입하는 단계;
    실린더에서 상기 삽입된 혼합물을 150 내지 240℃로 융화하는 단계;
    문짝 선틀재 심재를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융화된 혼합물로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PVC 코팅층이 형성된 문짝 선틀재 심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PVC 코팅층의 길이 방향 두께(t)는 상기 폭 방향 두께(T)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는 0.4 내지 0.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 선틀재 심재는 제1길이(L1)와 상기 제1길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제2길이(L2)를 갖고, 상기 폭방향 두께(T)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두께(t)의 비와는 다음의 [수식1]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문짝 선틀재의 제조방법.
    [수학식1] L1/L2 + 0.2 < t/T
KR20140195675A 2014-12-31 2014-12-31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KR20150044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5675A KR20150044011A (ko) 2014-12-31 2014-12-31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5675A KR20150044011A (ko) 2014-12-31 2014-12-31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85A Division KR101529085B1 (ko) 2013-10-11 2013-10-11 문짝 선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011A true KR20150044011A (ko) 2015-04-23

Family

ID=5303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95675A KR20150044011A (ko) 2014-12-31 2014-12-31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8353B1 (en) Flooring
DE103261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thermoplastischen Elastomeren
KR100875272B1 (ko) 펄 감을 갖는 수지조성물
CN101405125A (zh) 制备强度提高的组合元件的方法
WO2003042268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mousse a base de resine synthetique
KR101731366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04497417A (zh) 一种电动汽车内饰用阻燃、环保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356509A (zh) 一种高硬度耐划伤高光泽改性聚丙烯材料
EP3480243B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foam particle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oam particles
JP2011256290A (ja) 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体
CN105504626B (zh) 一种pmma/pvc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29085B1 (ko) 문짝 선틀재
KR101645218B1 (ko) 문짝 선틀재
KR20150044011A (ko) 문짝 선틀재 제조방법
CN105440425A (zh) 一种有机纤维增强发泡材料及制备方法
JP2022522466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からなる軟質粒子フォーム
US10240036B2 (en) Polymer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lded article
KR20160022469A (ko) 친환경 연질 mbs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닐레자
CN105440503A (zh) 一种阻燃pvc防水卷材
KR101113114B1 (ko)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CN104927390B (zh) 一种木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19294B1 (ko) 연질 pet-g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연질필름, 지퍼백용 지퍼
US11807706B2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foam product with high flatness,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767975B1 (ko)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가구용 자재
KR20170098757A (ko) 복수의 기능성 발포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