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792A -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792A
KR20150043792A KR20130122639A KR20130122639A KR20150043792A KR 20150043792 A KR20150043792 A KR 20150043792A KR 20130122639 A KR20130122639 A KR 20130122639A KR 20130122639 A KR20130122639 A KR 20130122639A KR 20150043792 A KR20150043792 A KR 2015004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leaning
air
air bubb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4038B1 (en
Inventor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윤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정 filed Critical 윤희정
Priority to KR102013012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38B1/en
Publication of KR2015004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ubble type shoes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completely cleaning not only the outer sides but also the inner sides of shoes for a short time by applying the disclosed air bubble type cleaning method and additionally including a unit for cleaning the inner sides of the shoes. The air bubble type shoe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which includes a cleaning space into which a detergent, water, and the shoes are inputted together inside, an air bubble generat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body and generates air bubbles in the cleaning space, and the unit for cleaning the inner sides of the shoes which is formed in the cleaning space of the body, supports the shoes to prevent the shoes from moving in the cleaning space by being fitted into the shoes, and cleans the inner sides of the shoes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방울을 통해 신발을 세척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공기방울 세탁방식이 적용됨과 동시에 신발내부세척수단이 별도 구비됨에 따라 신발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까지도 단시간 내에 완벽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 공기방울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ubble shoe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shoes through air bubbles, more particularly, So that the inner surface can be completely cleaned in a short time.

일반적으로 의류와 같은 세척대상물은 세탁기를 통해 손쉽게 세척할 수 있지만, 운동화와 같은 세척대상물의 경우 일반세탁기로 세척할 경우 손상이 많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솔 등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깨끗이 세척하기가 매우 힘든 관계로 근래에는 운동화 전용 세탁업소에 운동화를 맡겨 세척하는 사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In general, a cleaning object such as clothes can be easily cleaned by a washing machine. However, in the case of a cleaning object such as a sneaker,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damage is caused when washing with a general washing machine. In addition, Recently,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of washing shoes by letting the sneakers to the laundry shops dedicated to sneakers.

최근에는 공기방울을 통해 신발을 세척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가 개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86963호(2002.08.12. 공개)에는 운동화가 담겨지는 운동화 불림통이 덮개로 씌워지고, 상부 내측으로는 타공판 덮개로 씌워지며, 회전솔로 운동화를 세탁하는 운동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불림통의 하부에 타공판 받침덮개를 설치하되 타공판 받침덮개의 하부에 받침구를 설치하여 바닥과 일정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불림통의 하부에는 공기방울 발생기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공기방울 발생기에는 호스를 통하여 공기 압축기의 공기를 공급받게 설치하되 상기 호스는 금속관으로 씌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불림장치가 공개되어 있다.Recently, an air-blowing sho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shoes through air bubbles has been developed. A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air-bodied shoe cleaning devic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6963 (Au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eaker washing machine in which a sneaker box containing a sneaker is covered with a cover and a sneaker cov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neaker, The air bubble generator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air of the air compressor is supplied through the hose to the air bubble generator, And a hose is covered with a metal pip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경우에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불림통 내에서 신발이 유동됨에 따라 공기방울에 의한 집중세탁효과가 떨어지고, 실제로 효과적인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concentrated shampooing effect due to air bubbles is deteriorated due to the movement of shoe in the shoemaker which forms the washing space, and the effective washing time is long There is a problem.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경우에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탁효과가 신발의 외부면에만 집중됨에 따라 실제 세탁이 필요한 신발의 내부면이 제대로 세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which requires actual washing, can not be washed properly because the washing effect by air bubbles is concentrat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지된 공기방울 세탁방식이 적용됨과 동시에 신발내부세척수단이 별도 구비됨에 따라 신발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까지도 단시간 내에 완벽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bag washing method, So that the air can be cleaned.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에 세제와 물이 신발과 함께 투입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공간 내로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는 공기방울발생수단과, 상기 본체의 세척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 내로 끼워져 상기 신발이 상기 세척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발 내부를 세척하는 신발내부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washing space in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put together with shoes; air bubble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ir bubbles into the washing space; And shoe cleaning means provided in the cleaning space and fitted in the shoe to support the shoe so that the shoe does not flow in the cleaning space and to clean the inside of the sho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inner cleaning means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which is fitted into the sho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상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신발이 끼워진 후 하향회동되어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수평으로 유지되는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수직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수직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경사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shoe cleaning means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oe insert which is horizontally held in the shoe seating groove by being pivoted downward after the shoe is fitted upright in an upright direction, The sho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hoelace fitting rod inserted into the shoe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is inserted into the shoe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ant shoe fitting r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의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shoe cleaning means is rotatably formed, and the surface of the shoe clean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riction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는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of a planar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wo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방울발생수단은 소형 공기발생기, 소형 산소발생기 또는 고주파 미세공기방울발생기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is formed of a small air generator, a small oxygen generator or a high frequency micro air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공간은 격벽구조물에 의해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안착홈으로 양분되고, 상기 신발안착홈에는 상기 공기방울발생수단과 연통되는 공기방울토출공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space is divided into shoe seating grooves in which shoes are seated by the septum structure, and the shoe seating grooves are formed with air bubble discharg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방울토출공은 상기 신발안착홈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도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ubble discharge hole is formed not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eating groove but also on the four side wal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안착홈의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iction memb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는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of a planar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wo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신발안착홈의 표면에 구비되는 회전롤러 또는 진동판 상에 적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member is applied on a rotating roller or a diaphragm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입수구가 설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por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n inlet 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n upper co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sp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공기방울로 인해 발생되는 거품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거품상승방지용 미세망구조체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ver has a foam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oam from rising upward due to air bubbl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공간 내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수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means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lies dry air into the cleaning sp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세척공간 내로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발생기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means is formed of a warm air generator which provides warm air into the cleaning sp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세척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다시 상기 세척공간 내로 제공하는 제습기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means is formed of a dehumidifier that sucks air in the cleaning space, dehumidifies the air, and then supplies the dehumidified air into the cleaning space.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의하면, 공기방울 세탁방식에 의해 신발이 전체적으로 세탁됨과 동시에 특히 신발내부세척수단을 통해 신발 내부가 별도 세탁됨으로써 발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까지도 단시간 내에 완벽히 세척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ir-bodied sho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is entirely washed by the air-bubble washing method, and the inside of the shoe is separately washed through the cleaning means inside the shoe, so that not only the outer surface but also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can be completely wash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의하면, 신발내부세척수단의 외부면과 신발안착홈의 박닥면과 사방측벽에 마찰부재가 적용됨에 따라 마찰부재에 의해 신발의 세탁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iction member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inner cleaning means and the foil surface and the four sidewalls of the shoe seating groove, the washing effect of the shoe is further doubled by the friction member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의하면, 세척공간 내의 신발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까지 포함됨에 따라, 신발의 세탁후 건조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bodied sho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shoe can be washed and dried up to include drying means for drying the shoe in the cleaning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구조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있어서,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의 상세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에 적용된 마찰부재의 개략구조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에 있어서, 회전롤러에 적용된 마찰부재의 개략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bubble sho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bubble sho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of a shoe-in-shoe inner shoe cleaning means in an air-bodied sho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friction member applied to a diaphragm in an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friction member applied to a rotating roller in an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airbag sho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FIG.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1)는, 공지된 공기방울 세탁방식이 적용됨과 동시에 신발내부세척장치(30)가 별도 구비됨에 따라 신발(3)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까지도 단시간 내에 완벽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세제와 물이 신발(3)과 함께 투입되는 세척공간(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고 세척공간(11) 내로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는 공기방울발생수단(20)과, 본체(10)의 세척공간(11) 내에 구비되고 신발(3) 내로 끼워져 신발(3)이 세척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신발(3) 내부를 세척하는 신발내부세척수단(30)을 포함한다.The air bubble shoe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pplicab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3 but also to the inside of the shoe 3, 1 to 6, a body 10 (see FIG. 1) in which a washing space 11 into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put together with the shoe 3 is formed, An air bubble generating means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generating air bubbles into the cleaning space 11; (30) for supporting the footwear (3) so that the footwear (3) does not flow in the cleaning space and simultaneously clean the inside of the shoe (3).

여기서, 본체(10)는 신발(3)의 세탁을 위한 세척공간(11)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세척대상인 신발(3)과, 세척수 형성을 위한 세제와 물이 투입되는 세척공간(11)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족욕기와 유사하게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 주입을 통해 형상이 갖춰지는 튜브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forms a cleaning space 11 for washing the shoe 3.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hoe 3 to be cleaned, a cleaning space 11 into which detergents and water for forming the wash water are inputted, . The main body 10 may be injection-molded into a synthetic resin material similar to a foot bath as shown in the figure, or may be formed into a tube body having a shape through air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세척공간(11)은 본체(10)의 내부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격벽구조물(13)에 의해 신발(3)이 양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안착되도록 신발안착홈(1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구조물(13)에는 양측으로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물유동구(13')가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space 11 preferably includes a shoe seating groove 11 'so that the shoe 3 is separated and seated on both sides by the septum structure 13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flow port 13 'is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13 so that water can flow to both sides.

특히 신발(3)이 상하로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되는 신발안착홈(11')에는 신발(1)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공기방울이 집중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공기방울토출공(15)이 형성되는데, 이 공기방울토출공(15)은 차후에 설명될 공기방울발생수단(30)과 연결되어 신발안착홈(11') 내에 공기방울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신발안착홈(11')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bag discharge hole 15 is formed in the shoe seating groove 11 'in which the shoe 3 is vertically turned upside down so that air bubbles can be intensively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1 The air bubble discharging hole 15 is connected to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air bubbles can be provided in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But also on the four side walls.

신발안착홈(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15)은 신발안착홈(11')에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된 신발(3)의 내부면에 집중적으로 제공되고, 신발안착홈(11')의 사방측벽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15)은 신발안착홈(11')에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된 신발(3)의 외부면에 집중적으로 제공된다.The air bubble ejection hole 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is provided intens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3 which is seated in a state of being inverted in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The air bubble ejection holes 15 formed on the four side walls of the shoe 11 'are provided intensi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3 seated in the shoe seating groove 11'.

또한 신발안착홈(11')의 표면, 즉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는 마찰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마찰부재(17)는 마찰을 통해 신발(3)의 외부면의 세탁하는 것으로,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공기방울토출공(15)은 마찰부재(17)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관통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that is, the bottom surface as well as the four side walls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member 17, which frictionally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3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flat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hair. At this time, the air-droplet discharging holes 15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friction member 17 is formed.

또한 마찰부재(17)는 신발안착홈(11')의 표면, 즉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 단순히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마찰에 의한 세정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신발안착홈(11')의 표면, 즉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 별도 구비되는 회전롤러(17') 또는 진동판(17") 상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riction member 17 is not simp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that is, the bottom surface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but the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That is, on the rotating roller 17 'or diaphragm 17' 'separately provided on the four side walls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마찰부재(17)가 회전롤러(17') 상에 적용되는 경우에 회전롤러(17')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탈가능한 축결합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case where the friction member 17 is applied on the rotating roller 17 ',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roller 17' is implemented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on the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Such a detachable shaft coupling structure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본체(10)의 일측, 특히 하측에는 배수구(19)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수구(19)는 신발(3)의 세탁 후 오염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마개 또는 캡으로 개폐가능한 통상의 배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거치가능하고 모든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 배수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유연배수관의 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가 본체(10)에 별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rain port 19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particularly below the drain port 19. The drain port 19 is used for draining polluted cleansing water to the outside after washing the shoe 3,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drain pipe which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and bent in all directions. In the latter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rain pipe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의 상측에는 세척공간(11) 내로 물을 넣을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되는 유입구(19')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let 19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so as to insert water into the washing space 11.

전술한 본체(10)에는 공기방울발생수단(20)이 설치되는데, 이 공기방울발생수단(20)은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신발안착홈(11')의 바닥면 및 사방측벽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15) 또는 차후에 설명될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33)을 통해 공기방울이 신발안착홈(11') 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 구조의 소형 공기(기포)발생기, 소형 산소발생기 및 고주파 미세공기방울발생기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irbag generating means 20 generates air bubbles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air bubbles in the bottom surface and four sidewalls of the shoe seat groove 11 ' The air bubble is discharged into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through the ball 15 or the air bubble discharging hole 33 formed in the in-shoe cleaning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 A small oxygen generator, and a high frequency micro air bubble generator.

본체(10)의 세척공간(11) 내에는 신발내부세척수단(30)이 구비되는데, 이 신발내부세척수단(30)는 신발(3) 내로 끼워져 신발(3)이 세척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신발(3)의 내부를 공기방울 또는 마찰 등의 방법을 통해 세척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안착홈(11')에 설치되고 신발(3)이 끼워지는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hoe cleaning means 30 is provided in the clean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hoe inner cleaning means 30 is inserted into the shoe 3 to prevent the shoe 3 from flowing in the cleaning space 2 and 3, the shoe 3 is installed in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and the shoe 3 is attached to the shoe 3,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referable to form it in the form of a shoe-fitting rod to be fitted.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은 신발(3)의 끼움과 신발안착홈(11') 내로의 신발(3)의 장착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발안착홈(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신발(3)이 끼워진 후 하향회동되어 신발안착홈(11') 내에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측에 힌지부(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hoe inner cleansing means 30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is provided in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so that the shoe 3 can be inserted and the shoe 3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The hinge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held downward in the state where the shoe 3 is fitted and then downwardly turned and is held horizontally in the shoe seating groove 11 '.

이 외에도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신발(3) 내로 끼워지는 수직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신발(3) 내로 끼워지는 수평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태로 신발(3) 내로 끼워지는 경사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hoe cleaning means 30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hoe fitting rod inserted into the shoe 3 in a state of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shoe-fitting rod to be fitted, or in the form of an inclined shoe-fitting rod fitted into the shoe 3 in an upwardly inclined extended state.

또한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는 차후에 설명될 공기방울발생수단(20)과 연결되어 신발(3) 내로 공기방울을 제공하는 다수의 공기방울토출공(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23)은 신발(3)의 내부면에 공기방울이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신발(3)의 내부면에 대한 세정력이 배가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shoe-in-shoe inner shoe cleaning means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bubble discharging holes 33 connected to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2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ir bubbles into the shoe 3 desirable. The air bubble discharging hole 23 formed in the shoe in-shoe cleaning means 30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is configured to inject air bubbles intensively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3 so that the cleaning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3 is doubled .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은 실시예에 따라 내장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표면에 마찰부재(35)가 구비됨에 따라, 마찰에 의해 신발(3)의 내부면에 대한 세정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발안착홈(11')의 표면, 즉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 형성되는 마찰부재(17)와 마찬가지로,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oe-inside cleaning means 30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is rotatab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driving a built-in motor (not show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a frictional member 35 is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serves to double the cleaning force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3 by friction. The friction member 17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seating groove 11 ', that is, the bottom surface as well as the four side walls Likewis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surface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hair.

또한 마찰부재(35)는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의 외주면에 단순히 부착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찰에 의한 세정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롤러 상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friction member 35 may be simp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e-inner rod cleaning means 3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hoe- Is preferably applied on a rotating roll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eans (30).

마찰부재(35)가 회전롤러 상에 적용되는 경우에 회전롤러는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 구비되는 모터의 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탈가능한 축 결합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friction member 35 is applied on the rotating roll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roll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shoe-in-the-shoe cleaning means 30 in the form of a shoe fitting rod. Such a detachable shaft coupling structure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부커버(40)는 세척공간(11)의 개방상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본체(10)와 분리된 덮개 형태로도 형성되어 착탈에 따라 세척공간(11)의 개방상단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세척공간(11)의 개방상단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over 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cover 40 may be formed as a lid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0 by opening /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washing space 11 according to the detachment, and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open and close the open top of the washing space 11 .

상부커버(41)의 하부에는 거품상승방지수단(41)이 구비되는데, 이 거품방지수단(41)은 공기방울로 인해 발생되는 거품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거품이 접촉과 동시에 붕괴될 수 있는 미세망구조체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됨없이 단순한 막구조체 또는 커버구조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41 is provided at its lower part with a foam rising prevention means 41 which serves to prevent the foam generated by air bubbles from further rising,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simple membrane structure or a cover structure.

또한 거품상승방지수단(41)은 평면체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돔 형상과 같이 상부를 향해 만곡지는 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foam rising preventing means 41 may be formed as a flat body,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oam rising preventing means 41 is formed as a curved body curved toward the upper part, for example, a dome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또한 전술한 본체(10)에는 건조수단(50)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건조수단(50)은 공기방울에 의한 신발(3)의 세척 후에 세척공간(11) 내의 신발(3)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세척공간(11) 내로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발생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세척공간(1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다시 세척공간(11) 내로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제습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온풍기 및 제습기의 구성은 이임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body 1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drying means 50 for drying the shoe 3 in the washing space 11 after washing the shoe 3 with air bubbles And may be formed of a warm air generator for providing warm air into the washing space 11 or a dehumidifier for sucking and dehumidifying the air in the washing space 11 and then supplying dry air into the washing space 11 have. The structure of the hot air fan and the dehumidifier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이 때 온풍이나 건조공기의 제공은 관로 구성에 의해 신발안착홈(11')의 바닥면 및 사방측벽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15) 또는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에 형성된 공기방울토출공(33)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vision of warm air or dry air is performed by the air duct droplet ejection holes 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our side walls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Through the air bubble discharge hole (33).

또한 본체(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1)의 전체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6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60)에는 전원스위치, 타이머, 공기방울발생수단(30) 또는 건조수단(50) 등의 작동을 위한 기능선택스위치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ntroller 6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bubble shoe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controller 60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A function selection switch for operation of the droplet generating means 30 or the drying means 50, and the lik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1)의 경우에는, 신발(3)을 본체(10)의 세척공간(11) 내에 구비된 신발끼움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20)에 끼워 신발(3)이 신발안착홈(1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에 신발(3)의 외부면 및 내부면으로 공기방울을 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기방울세탁에 의해 신발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까지도 단시간 내에 완벽히 세척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ir-bodied sho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oe 3 is attached to the shoe- By intensively supplying air bubbles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3 after the shoe 3 is sandwiched by the inner cleaning means 20 and fixed so as not to come off the shoe receiving groove 11 ' Not only the outer surface but also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can be completely cleaned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1)의 경우에는, 신발안착홈(11')과 신발고정봉 형태의 신발내부세척수단(30) 상에 마찰부재(17, 35)가 예를 들어 회전롤러 또는 진동판 구조에 의해 적용됨에 따라 마찰부재(17, 35)에 의해 신발의 세탁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ir-bodied sho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members 17 and 35 are provided on the shoe seating groove 11 'and the shoes inner cleaning means 30, As a result, the washing effect of the shoe can be further doubled by the friction members 17, 35 as applied by the rotating roller or the diaphragm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1)의 경우에는 , 세척공간(11') 내의 신발(3)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0)까지 포함됨에 따라, 공기방울에 의한 신발(3)의 세탁후 건조까지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 때 세척공간(11)의 개방 상단은 상부커버(40)의 의해 폐쇄됨으로써 온풍이나 건조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air bubble sho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es 3 in the cleaning space 11 'are also included in the drying means 50 for drying the shoe 3, Washing and drying can be carried ou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 upper end of the washing space 11 is closed by the upper cover 40, so that hot air or dry ai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1 :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3 : 신발
10 : 본체
11 : 세척공간
11' : 신발안착홈
13 : 격벽구조물
15 : 공기방울토출공
17 : 마찰부재
19 : 배수구
20 : 공기방울발생수단
30 : 신발내부세척수단
40 : 상부커버
41 : 거품상승방지수단
50 : 건조수단
60 : 컨트롤러
1: Bubble shoe cleaning device
3: Shoes
10: Body
11: Cleaning space
11 ': Shoe seating groove
13: Bulkhead structure
15: air bubble discharge ball
17: Friction member
19: Sewer
20: air bubble generating means
30: Means for cleaning the inside of shoe
40: upper cover
41: Bubble rising prevention means
50: drying means
60: controller

Claims (18)

내부에 세제와 물이 신발과 함께 투입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공간 내로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는 공기방울발생수단; 및
상기 본체의 세척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 내로 끼워져 상기 신발이 상기 세척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발 내부를 세척하는 신발내부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A body in which a cleaning space is formed in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put together with shoes;
An air bubble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ir bubbles into the cleaning space; And
And shoe cleaning means provided within the clean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fitted in the shoe to support the shoe so that it does not flow in the cleaning space and to clean the inside of the sho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e cleaning means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oe-fitting rod fitted into the sho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상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신발이 끼워진 후 하향회동되어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수평으로 유지되는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수직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수직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발 내로 끼워지는 경사 신발끼움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e inner cleansing mean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hoe insert which is horizontally held in the shoe seating groove by being pivoted downward after the shoe is fitted in a state of being upright in the upper direction, The shoe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hoe fitting rod or in the form of a vertical shoe fitting rod inserted into the shoe in a state of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form of an inclined shoe fitting rod fitted into the shoe in an upwardly inclined state Wherein said air bubble cleaning device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상기 공기방울발생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신발 내로 공기방울을 제공하는 다수의 공기방울토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e internal cleaning mean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bubble discharge holes connected to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to provide air bubbles into the sho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신발내부세척수단의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e cleaning means is rotatably formed, and a friction memb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hoe cleaning mea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of a planar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wo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울발생수단은 소형 공기발생기, 소형 산소발생기 또는 고주파 미세공기방울발생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is formed by a small air generator, a small oxygen generator, or a high frequency micro air bubble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은 격벽구조물에 의해 신발이 안착되는 신발안착홈으로 양분되고, 상기 신발안착홈에는 상기 공기방울발생수단과 연통되는 공기방울토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space is divided into a shoe seating groove in which the shoe is seated by the septum structure, and an air bubble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ir bubble generating means is formed in the shoe seating groov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울토출공은 상기 신발안착홈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사방측벽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ir bubble discharging hole is formed not only on the bottom surface but also on the four side walls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발안착홈의 표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friction memb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극세사천, 스폰지 또는 모를 포함하는 면상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of a planar brush including a microfiber cloth, a sponge or a woo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신발안착홈의 표면에 구비되는 회전롤러 또는 진동판 상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riction member is applied to a rotating roller or a diaphragm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hoe receiv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입수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in port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water inlet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upper cover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cleaning spa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공기방울로 인해 발생되는 거품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거품상승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pper cover is provided with a bubble rising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bubbles generated due to air bubbles from being further rais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공간 내의 신발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Further comprising dry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drying the shoe in the cleaning spa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세척공간 내로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발생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rying means is formed by a hot air generator for providing hot air into the washing spa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세척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다시 상기 세척공간 내로 제공하는 제습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rying unit is formed of a dehumidifier that sucks air in the cleaning space, dehumidifies the air, and then provides the dehumidified air into the cleaning space.
KR1020130122639A 2013-10-15 2013-10-15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for inside surface of shoes KR101534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39A KR101534038B1 (en) 2013-10-15 2013-10-15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for inside surface of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39A KR101534038B1 (en) 2013-10-15 2013-10-15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for inside surface of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92A true KR20150043792A (en) 2015-04-23
KR101534038B1 KR101534038B1 (en) 2015-07-07

Family

ID=5303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639A KR101534038B1 (en) 2013-10-15 2013-10-15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for inside surface of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3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795B1 (en) * 2019-09-02 2019-09-30 원동춘 Boots cleaner
KR102030684B1 (en) * 2018-11-07 2019-10-10 원동춘 Boots cleaner
KR102042691B1 (en) * 2019-03-20 2019-11-27 원동춘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KR20230069408A (en)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록서 Bathroom shoes wash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04B1 (en) 2018-11-28 2019-08-09 주식회사 두레마을 Shoes of inside clean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63Y1 (en) * 2002-06-03 2002-08-24 허미경 Athletic shoes soak out device
KR20040087039A (en) * 2003-04-04 2004-10-13 이강오 Washing machine for sport shoes
KR100991307B1 (en) * 2008-03-18 2010-11-01 최영순 Shoes washer
KR20130018068A (en) * 2011-08-12 2013-02-20 김종득 Washing apparatus of sho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684B1 (en) * 2018-11-07 2019-10-10 원동춘 Boots cleaner
KR102042691B1 (en) * 2019-03-20 2019-11-27 원동춘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KR102026795B1 (en) * 2019-09-02 2019-09-30 원동춘 Boots cleaner
KR20230069408A (en)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록서 Bathroom shoes was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038B1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503B1 (en)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KR101534038B1 (en)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for inside surface of shoes
RU2512079C1 (en) Device for clothes processing and device control method
US20160136697A1 (en) Helmet cleaner
JP4613232B2 (en) Washing machine
JP2010046125A (en) Washing machine
JP2004167131A (en) Washing machine
KR101974614B1 (en) Wig-washer
JP2014054404A (en) Washing machine
JP6047759B2 (en) Washing machine
JP4610646B2 (en) Dryer
JP4613233B2 (en) Washing machine
JP6609442B2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JP2015119886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7044228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3636107B2 (en) Washing machine
JP2017018467A (en) Washing machine
KR100602587B1 (en) Body dryer
JP4708461B2 (en) Washing machine
JP4610645B2 (en) Mist water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same
JP6157948B2 (en) Washing machine
JP6118990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6250500B2 (en) Drum washing machine
WO2008016071A1 (en) Washing machine
US20230076023A1 (en) Pedestal assemblies for laundry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