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691B1 -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 Google Patents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91B1
KR102042691B1 KR1020190031922A KR20190031922A KR102042691B1 KR 102042691 B1 KR102042691 B1 KR 102042691B1 KR 1020190031922 A KR1020190031922 A KR 1020190031922A KR 20190031922 A KR20190031922 A KR 20190031922A KR 102042691 B1 KR102042691 B1 KR 10204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cleaning brush
coupling groov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동춘
Original Assignee
원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동춘 filed Critical 원동춘
Priority to KR102019003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hoes clean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sassembly and assembly of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es clean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sassembly and assembly of a cleaning brush cleans shoes by rotating, with a drive member, the cleaning brush integrated with a rotary shaft and installed in an accommodation portion of a housing. A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n end of a drive shaft installed on on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has a connection end inserted in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in an axially rotational direction. A rotation support body rotatively supporting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on an opposit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 shaft. The rotation support body has a shaft support groove opened upward such th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seated thereon by being inserted therein from above, or separated by being moved upward. The connection end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by lifting up the end of the rotary shaft seated on the shaft support groove with the connection end fitted 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and then pulling the end in an axial direction. The connection end is fitted to the drive shaft to be connected thereto by fitting the connection end 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and then lowering down the end of the rotary shaft such that the end is seated on the shaft support groove.

Description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본 발명은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솔 회전축의 분해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전발판의 분해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정비는 물론 청소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ash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nd more particularly,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rotating shaft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safety scaffold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leaning dev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s a cleaning brush, which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quickly maintained.

일반적으로 식료품 가공공장이나 축산 농장 등에서는 상 하의가 일체로 된 작업복이나, 목이 긴 장화를 신고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장화를 신고 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장화의 바닥면과 옆면에 많은 이물질과 흙 등이 달라붙어 이로 인해 식료품이 위생상 불결해지거나 축산 농장의 가축들이 세균에 감염되어 각종 질병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general, food processing plants, animal husbandry farms, etc. work in wearing the upper and lower work clothes and long-sleeved boots. However, when wearing boots, many foreign substances and soil stick to the bottom and side of the boots, which causes foodstuffs to become unclean for hygiene and livestock farms are infected with germs and various diseases. It is happen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식료품 가공공장이나 축산 농장에서는 흐르는 물에 장화를 세척하거나 솔을 이용하여 착용자가 직접 장화에 부착된 이물질을 떼어내고 있으나, 장화의 바닥면에 부착된 흙과 작은 돌은 쉽게 제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장화를 신은 상태에서 세척 작업을 함으로써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st food processing factories or livestock farms wash the boots in running water or use a brush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directly to the boots, but the soil and small stone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ots Not only was not easily removed, but a lot of inconvenience caused by the washing operation while wearing boots.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0055909호(공고일 : 2002.03.14)에는 장화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화 세척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 내지 제 3 브러시(21,22,23)와,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3 브러시(21,22,23)들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장화를 신은 작업자가 통과할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브러시(21,22,23)의 회전마찰에 의한 세척 작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판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브러시(21,22,2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브러시(21,22,23)와 상기 발판과 상기 구동수단들이 내측에 설치되고 세척액이 저장될 수 있는 액체 저장조로 구성된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5909 (Date: 2002.03.14) discloses a rain boots washing machine. The rain boots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e first Located between the three brushes (21, 22, 23), the footrest provided so that the washing action by the rotational friction of the first to third brushes (21, 22, 23) can occur when a worker wearing boots And, the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to third brushes (21, 22, 23) and the first to third brushes (21, 22, 23) and the scaffold and the driving means are installed inside It consists of a liquid reservoir in which the wash liquor can be stored.

이와 같은 종래의 장화 세척기는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되는 제 1 내지 제 3 브러시를 통해 장화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장화의 전면을 고루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장화 세척기는 브러쉬가 결합된 축을 분리하기 곤란하여 브러쉬의 교체와 같은 정비나 내부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rain boots clean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venly wash the entire surface of the rain boot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boots through the first to third brushes rotated through the drive means. In addition, the rain boots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shaft to which the brush is coupled, such as maintenance or internal cleaning, such as replacement of the brush.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0055909호(공고일 : 2002.03.14).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5909 (Notification Date: 2002.03.14)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세척장치에서 세척솔을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세척솔을 신발 세척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신발 세척장치의 정비는 물론 청소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cleaned as well as maintenance of the shoe cleaning device by being able to separate the cleaning brush from the shoe cleaning device by only lifting the cleaning brush upward in the shoe washing device.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속의 분리 및 조립은 물론, 발판의 분리도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지고, 조립도 하향으로 내리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세척솔의 정비는 물론 하우징의 청소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washing, as well as the separation of the scaffolding is made only by the operation to lift upwards, the assembly is also made only by the operation to lower downward, as well as maintenance of the cleaning brush as well as the cleaning of the housing is quick and easy To provide a means that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축과 일체화되어 하우징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세척솔을 구동부재로 회전작동시켜 신발을 세척하도록 된 신발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한쪽 내벽에 설치되는 구동축의 단부에는 연결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의 반대쪽 내벽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체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지지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상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안착되거나 상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축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상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연결단을 상기 연결 결합홈에 끼운 후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하향으로 내려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단이 상기 구동축과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shaft is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shaft includes a shoe washing device to wash the shoes by rotating the washing brush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housing with a drive member, the drive shaft is installed on one inner wall of the housing A connect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so that a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in an axial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pposite to the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haft. Rotational support is provided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rotation support, the rotational support is formed with a shaft support groove which is opened upwardly so th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be seated or moved upward.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in the state coupled to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After lifting upwards, the connecting end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by pull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and then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lowered and seated on the shaft supporting groove. It is achieved by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end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상기 하우징의 입구 쪽에는,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진입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출구 쪽에는 사용자의 진출을 감지하기 위한 진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entry may be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housing, and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entrance may be installed at an exit side.

상기 연결 결합홈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 결합홈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각 모서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단의 각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측면 모깍이 영역이 형성되고, 각 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전면 모깍이 영역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polygon,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in a polyg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s transmitted,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So that the corners between each side and side of the connecting end are raised to form side lateral areas, and the corners between each side and the end face are raised to prevent the corners from interfering when being joined or separated. The mower areas can each be formed.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상기 연결단의 경계영역 둘레에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연결 결합홈의 입구 영역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Arou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connection end, the avoiding portion may be formed conca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let region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when the connection end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상기 연결 결합홈은,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과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작동시 양쪽 중간면이 상기 연결 결합홈의 양쪽 내측면에 지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축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지지공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축이 설치된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결합되는 축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연결 결합홈이 일치될 때 상기 연결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향으로부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거나 상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by open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connecting end, both intermediate surfaces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shaft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t is supported by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e shaft support hol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drive shaft in which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the shaft support hole is formed, And a shaft support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driving shaft is upward, so that the opening faces upward. When the opening coincides with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the connecting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from the upward through the opening. It can be inserted or separated upwards.

상기 연결단은, 각 양쪽 단부의 폭이 상기 중간면 간의 폭보다 더 작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면과 각 양쪽 단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공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분리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end is formed of a polygon whose width of each end is small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s,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 and each of the both ends,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opening or the coupling hole. Guide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at.

상기 연결단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제1 돌출 지지부; 및 상기 제1 돌출 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제2 돌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결합홈은, 상기 제2 돌출 지지부 및 제1 돌출 지지부가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돌출 지지부가 지지되는 제1 결합홈이 입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돌출 지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제2 결합홈이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와 상기 제1,2 결합홈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돌출 지지부를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한 후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하향으로 내려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시키면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가 상기 제1,2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와 상기 제1,2 결합홈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가 상기 제1,2 결합홈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end is formed of a polygon,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of the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 triangular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ncludes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supported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A first coupl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let region,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 successively insert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groove. When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n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lowered and seated on the shaft support groov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vertical to each other so th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upward. When lifting,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고 사용자가 밟고 보행하도록 된 안전발판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발판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안내 경사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 지지체; 상기 중앙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 안내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3,4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면 지지체; 및 상기 세척솔의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중앙 지지체의 양쪽 중앙 수직부와 각 상기 측면 지지체의 각 측면 수직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afety footrest to cover the housing and the user to step on and walk, the safety footrest, the central suppor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are inclin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side suppo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upport and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And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s coupl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both central vertical parts of the central support and each side vertical part of each of the side supports b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a part of the cleaning brush protrudes upward.

상기 수용부의 양쪽 측벽 쪽으로 치우친 위치의 각 상기 내벽에는, 상기 안전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재가 평행하게 각각 구비되고, 각 상기 측면 지지체의 저면에는 각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전발판의 한쪽 측면 지지체를 들어올려 상기 수용부를 개방할 경우에, 반대쪽 상기 지지부재가 해당 상기 측면 지지체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반대쪽의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safety scaffold are provided in parallel on each of the inner walls of the receiving side toward both side walls, and a coupling groove for inserting the supporting members into the bottom of each of the side supports. Each of which is formed, when lifting the one side support of the safety footrest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and suppo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of the side support the safety footrest on the opposite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while rotating the support member upward to the rotation center.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제1,2 안내 경사면의 각 중앙 하단부 사이의 폭보다 상기 중앙 수직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각 상기 중앙 하단부와 각 상기 중앙 수직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세척솔의 일부를 감싸 상기 세척솔과 상기 중앙 지지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 공간형성 방지부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체는, 상기 제3,4 안내 경사면의 각 측면 하단부와 상기 측면 수직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제1 공간형성 방지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척솔의 일부를 감싸 상기 세척솔과 각 상기 측면 지지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2 공간형성 방지부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supporter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each central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and connects each of the central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each central vertical portion to connect a part of the cleaning brush. The first space forming prevention part is formed to be an arc or an inclination, respectively, so that an empty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washing brush and the central support, and the side support is formed by the lower end of each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and the side vertical part. The second space forming preven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be arced or inclined, respectively,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leaning brush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pace forming prevention portion by connecting an upper end so that an empty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cleaning brush and each of the side supports. Can be.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축 지지홈의 상향 개구부에는 상기 지지 베어링이 간섭없이 진입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면이 하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groove, the support bearing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is coupled, and the guide surface for allowing the support bearing to enter without interference in the upward opening of the shaft support groove is inclined downwardly forward. Can be formed.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세척수 노즐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장화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측면 세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세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측면세척 구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상기 측면세척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측면 세척솔로 구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ide washing device for washing the side of the shoe including the boots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nozzle, the side washing device, each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eing a side cleaning drive member; And a side cleaning brush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which is vertically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es.

상기 측면 세척솔은, 조립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되,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단 지지봉; 상면 양쪽에 걸림단들이 각각 돌출 구비되고, 키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하단 지지봉에 지지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면 세척솔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들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측면 세척솔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측면 세척솔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될 수 있다. The side cleaning brush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by the assembly means, the assembly means, the lower support rod is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Engaging member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by a key and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rods; A seating portion recess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side cleaning brush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hooking ends are selectively caught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Hanging engaging portion consisting of;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while the side cleaning brush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to prevent the side cleaning brush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측면 세척솔의 주변에는, 세척수나 이물질이 사용자의 진입방향과 진출방향 및 상부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튐 방지판들이 각각 설치되되, 진입한 신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발을 향한 양쪽 영역만 개방되도록 서로 쌍을 이루어 각 상기 측면 세척솔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At the periphery of the side cleaning brush, splash prevention plates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splashing into the entry direction, the exit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side, respectively, so that only two areas facing the shoe are opened with the shoes in between. Paired with each other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ide cleaning brush in between.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진입하는 신발 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의 저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가 마련되되, 상기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며, 발판이 설치되는 이물질 수용부; 및 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바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진입감지센서가 감지한 진입감지신호 또는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 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발판을 밟은 신발의 저면으로 분사하도록 된 각각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of the shoe by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bottom of the shoes to enter, the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and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is installed scaffold; And respective injectio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to spray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or by manipulation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or the operation switch detected by the entry detection senso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on which the foot is stepped. It may consist of a nozzle.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발판을 밟는 신발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jection nozzle may be formed in a "-" form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on the footrest.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세척장치에서 세척솔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세척솔을 신발 세척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신발 세척장치의 정비는 물론 청소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nly lifting the washing brush upward in the shoe washing apparatus can remove the washing brush from the shoe washing apparatus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cleaned as well as maintenance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You can do it.

또한, 세척속의 분리 및 조립은 물론, 발판의 분리도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지고, 조립도 하향으로 내리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세척솔의 정비는 물론 하우징의 청소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as well as the separation of the scaffolding is made only by the operation to lift upwards, the assembly is also made only by the operation to lower downwards, as well as maintenance of the cleaning brush and the effect of cleaning the housing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Can be provided.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 측면 세척장치 또는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 신발의 측면과 바닥에 붙은 이물질을 미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ide cleaning device or shoe sol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worker shoes in advanc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 (b)는, 도 5의 'A' 부분 확대하여 표시한 개략적 확대도로, 회전축이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c)는 연결 결합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회전축과 구동축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일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를 도시한 회전축과 구동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9에 도시된 회전축과 구동축의 연결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구동축과 회전축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의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의 회전축과 구동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구동축과 회전축의 연결구조가 작동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의 하우징 일측에 물기 제거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측면 세척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측면 세척솔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구비된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shoe washing devic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shown i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6 (a) and 6 (b) are schematic enlarged views of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5,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separated, and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coupling end. (D)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tion shaft and the drive shaft connecting structure.
7 (a) and 7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scaffold shown in FIG.
8 (a) and 8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tion shaft shown in FIG.
Figure 9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hoe washing devic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driving shaft illustrated in FIG. 9.
11 (a) and 11 (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driving shaft shown i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connecting structure shown in FIG.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footrest of the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of the washing brush shown in FIG. 1.
14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driving shaft of a shoe washing device in which the cleaning brush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driving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shown in FIG. 14 is operated.
1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remov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housing of a shoe washing device in which the cleaning brush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de washing device is provided in a shoe washing device in which the washing brush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side cleaning brush shown in FIG. 18.
2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e sol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is provided in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a washing brush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sol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provided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B-B선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washing devic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shoe washing apparatus,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장화를 포함하는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가 걸어가는 과정에서 장화나 안전화, 작업화 등을 포함하는 신발의 바닥을 세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회전작동하는 세척솔(130)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밟고 이동하는 안전발판(140) 등의 개폐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shoe cleaning device 100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including the boots or safety shoes, work shoes, etc. in the process of walking the user wearing the shoes, including the boots It is configured to wash the bottom of the shoe.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washing brush 130 that operates in rotation is made easy, and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afety footrest 140, such as the user steps on and moves.

이러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중앙에 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양쪽 측벽에는 세척수와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12)이 구비된 수용부(114)를 갖는 하우징(110)과, 구동부재(1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회전축(132)에 각각 결합되어 수용부(114)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세척솔(130)와, 세척솔(130)의 솔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용부(114)의 상부를 커버하는 안전발판(140)을 포함한다.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is recessed downward in the center thereof and has a housing 1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14 having nozzles 112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leaning liquid on both sidewalls, and a driving member. A pair of washing brushes 130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32 and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114 so as to be rotated by the 120, and a portion of the brush of the washing brush 130 protrudes upwards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unit. And a safety footrest 140 covering the top of the 114.

그리고, 수용부(114)의 한쪽 내벽(114C)에는, 각 회전축(132)의 일단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체(150)가 각각 마련되고, 수용부(114)의 반대쪽 내벽(114B)에는, 구동부재(120)에 의해 구동되는 각 구동축(122)의 단부가 수용부(114) 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축(132)의 타단(132A)과 구동축(122)은,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회전축(132)의 타단(132A)을 구동축(122)의 단부에 끼우는 동작에 의해 타단(132A)이 구동축(122)과 결합되어 연결되고, 회전축(132)의 타단(132A)을 구동축(122)으로부터 빼내는 동작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And one inner wall 114C of the accommodating part 114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support body 150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one end of each rotating shaft 132, and is provided in the inner wall 114B opposite the accommodating part 114, An end of each driving shaft 122 driven by the driving member 12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114, and the other end 132A and the driving shaft 122 of the rotating shaft 132 may be fitted or separated. have. That is, the other end 132A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22 by an operation of fitting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to the end of the driving shaft 122, and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 12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operation.

이러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shoe washing device 100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하우징(110)은, 상향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중앙부로 경사진 수용부(114)가 형성되며, 수용부(114)의 바닥 일측에는 세척수와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양쪽 상단에는 사용자의 보행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 레일이 각각 마련된다. 노즐(112)은 세척수 노즐과 세정액 노즐로 이루어져 세척수와 세정액을 신발의 저면 또는 세척솔(130)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각각의 노즐(112)과 펌프, 전자밸브 및 구동부재(1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시작버튼, 정지버튼, 작동램프, 경고램프 등이 마련된다. The housing 110 is opened upwardly and has an accommodating part 114 inclined to a central part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and foreign matter is provided at on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14. In addition, both upper ends of the housing 110 are provided with a handle rail for supporting the user's walking. The nozzle 112 is composed of a washing water nozzle and a cleaning liquid nozzle is configur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and the cleaning liquid to the bottom of the shoe or the cleaning brush 130. 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a start button, a stop button, an operation lamp, a warning lamp for controlling each nozzle 112, the pump, the solenoid valve and the driving member 120, and the like.

또한, 하우징(110)의 입구와 출구에는 사용자가 진입하고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진입 감지센서(S1)와 진출 감지센서(S2)가 마련된다. 따라서 진입 감지센서(S1)가 감지한 사용자 진입 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구동부재(120)와 펌프를 작동시키고, 전자밸브 등을 개방 작동시켜 세척솔(130)이 회전 작동하도록 하고, 진출 감지센서(S2)가 사용자의 진출을 감지하면 각 구성품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S1) and exit detection sensor (S2) for detecting the user entering and exiting.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ing member 120 and the pump by the user entry signal detected by the entry detection sensor S1, and opens the solenoid valve and the like so that the washing brush 130 rotates, and the entrance detection sensor ( When S2) detects the user's entry, it stop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와 같은 하우징(110)의 진출부 쪽에는 신발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물기 제거수단(2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기 제거수단(2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펀지 지지체(210)의 상면에 직물, 솔 또는 스펀지(220) 등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The outlet portion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removal means 200 for removing water on the shoe. As shown in FIG. 17, the water removing means 200 is used by installing a fabric, a brush, or a sponge 2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onge support 210 installed to be rotatable upward by a hinge.

한편, 수용부(114)의 양쪽 측벽(114A) 쪽으로 치우친 위치의 양쪽 각 내벽(114B,114C)에는, 안전발판(140)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재(116)가 평행하게 각각 구비되고, 안전발판(140)의 각 측면 지지체(144)의 저면에는 각 지지부재(116)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144A)이 각각 형성되며, 안전발판(140)의 한쪽 측면 지지체(144)를 들어올려 수용부(114)를 개방할 경우에, 반대쪽 지지부재(116)가 해당 측면 지지체(144)의 결합홈(1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하여 안전발판(140)이 반대쪽의 지지부재(116)를 회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부(114)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on each of the inner walls 114B and 114C of the position biased toward both sidewalls 114A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116 for supporting the safety scaffold 140 are provided in parallel, respectively. On the bottom of each side support 144 of the safety footrest 140, coupling grooves 144A for inserting each support member 116 are formed, respectively, and lifts one side support 144 of the safety footrest 140. When opening up the receiving part 114, the support member 116 rotates while the opposite support member 11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4A of the corresponding side support member 144 so that the safety footrest 140 supports the opposite support member ( It is configured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114 while rotating 116 upwards to the center of rota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 지지체(144)의 결합홈(144A)에 지지부재(116)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측면 지지체(144)를 들어 올리면, 반대쪽 측면 지지체(144)는 해당 지지부재(116)에 회전 지지 되므로, 안전발판(140)은 해당 지지부재(116)를 축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4)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양쪽의 각 측면 지지체(144)의 결합홈(144A)에 각 지지부재(116)가 삽입되어 지지하므로 안전발판(140)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상향 또는 우측상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4)를 개방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16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engaging groove 144A of each side support 144, lifting one side support 144, the opposite side Since the support 14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16, the safety scaffold 140 may open the receiving portion 114 by rotating the support member 116 upwardly. At this time, since each support member 116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coupling groove 144A of each side supporter 144 on both sides, the safety footrest 140 rotates upwardly or upwardly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FIG. 4. 114) can be opened.

이와 같이, 안전발판(140)이 한 쌍의 지지부재(116)에 의해 지지되고, 안전발판(140)의 한쪽을 들어 수용부(114B)를 개방할 때 어느 한쪽의 지지부재(116)가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안전발판(14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양쪽을 향상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는 그대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114B)를 청소하거나 각중 부품을 정비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afety footrest 140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16 and lifts one side of the safety footrest 140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114B, either of the supporting members 116 rotates. Since the role is to be able to quickly and easily open the safety footrest 140 and can be separated as it is when lifted up both sides. Therefore, the operation such as cleaning the receiving portion 114B or maintenance of each component can be made easily.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4)의 양쪽 측벽(114A)에는, 안전발판(140)의 각 양쪽 측면 지지체(144)를 지지하기 위한 발판 지지브라켓(118)이 각각 마련된다. 발판 지지브라켓(118)이 각각 마련됨으로써 안전발판(40)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양쪽 측벽(114A)에 발판 지지브라켓(118)이 각각 마련됨으로써, 양쪽 측면 지지체(144)의 각 외측지지단(144B)에는, 안전발판(140)이 어느 한쪽의 지지부재(116)를 회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할 때, 발판 지지브라켓(118)이 회피되기 위한 회피홈(144C)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지지체(144)가 지지부재(116)를 축으로 향상으로 회전할 때 회측지지단(144B)이 발판 지지브라켓(118)에 간섭되지 않도록 발판 지지브라켓(118)기 회피홈(144C)으로 회피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4, on both sidewalls (114A)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18 for supporting each side support 144 of the safety footrest 140 is Each is prepared. Since the footrest support brackets 118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safety footrest 40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Since the footrest support brackets 118 are provided on both sidewalls 114A, respectively, the safety footrest 140 rotates one of the support members 116 on each of the outer support ends 144B of the side support members 144. When rotating upwardly to the center, the avoidance grooves 144C for avoiding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18 are respectively formed. That is,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4, when the side support 144 rotates in the axis of the support member 116, the foot support bracket is not interfered with the foot support bracket 118. (118) Evacuate to the plane avoidance groove 144C.

이 구조에 의해 안전발판(140)의 좌측상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4)를 개방하거나 우측 상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4)를 개방할 때 회측지지단(144B)이 발판 지지브라켓(118)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개방 작동될 수 있다. By this structure, when the support part 144B rotates to the left side of the safety footrest 140 to open the receiving part 114 or rotates to the right upward to open the receiving part 114, the foot support bracket 118 is provided. Ope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의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scaffolding of the shoe cleaning devic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14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안내 경사면(142A)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 지지체(142)와, 중앙 지지체(14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제1,2 안내 경사면(142A)과 대응되는 제3,4 안내 경사면(144C)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면 지지체(144)와, 세척솔(130)의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중앙 지지체(142)의 양쪽 중앙 수직부(142D)와 각 측면 지지체(144)의 각 측면 수직부(144D)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판부재(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safety scaffold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supporter 142 and a central supporter 142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A inclin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side supports 14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42 and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144C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A, respectively, and a cleaning brush A plurality of 130 are coupled by connecting both central vertical portions 142D of the central support 142 and each side vertical portions 144D of each side support 144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protrude up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affold member (146).

그리고, 중앙 지지체(142)는, 제1,2 안내 경사면(142C)의 각 중앙 하단부(142E) 사이의 폭(W1)보다 중앙 수직부(142D)의 폭(W2)이 좁게 형성되고, 각 중앙 하단부(142E)와 각 중앙 수직부(142D)의 상단을 연결하여 세척솔(130)의 일부를 감싸 세척솔(130)과 중앙 지지체(142)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 공간형성 방지부(142F)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다. The center support 142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W2 of the center vertical portion 142D is narrower than the width W1 between the center lower end portions 142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C, and each center By connecting the lower end 142E and the upper end of each central vertical part 142D to surround a part of the cleaning brush 130 to prevent a first space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cleaning brush 130 and the central support 142. The portions 142F are formed to be arcs or inclined, respectively.

또한, 측면 지지체(144)는, 제3,4 안내 경사면(144C)의 각 측면 하단부(144E)와 측면 수직부(114D)의 상단을 연결하여 제1 공간형성 방지부(142F)와는 반대 방향으로 세척솔(130)의 일부를 감싸 세척솔(130)과 각 측면 지지체(144)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2 공간형성 방지부(144F)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144 connects the lower end portions 144E of the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144C and the upper ends of the side vertical portions 114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space forming prevention portion 142F. The second space forming prevention part 144F is formed to have an arc or inclination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cleaning brush 130 so that an empty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cleaning brush 130 and each side support 144.

이와 같이, 중앙 지지체(142)에 제1,2 안내 경사면(142A)가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에도 제3,4 안내 경사면(144C)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발판(140)을 밟고 보행할 때 발을 헛딛어 제1,2 안내 경사면(142A) 또는 제3,4 안내 경사면(144C)에 안내되어 발판부재(146)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특히, 중앙 지지체(142)와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에 제1,2 공간형성 방지부(142F,144F)가 형성됨으로써, 세척솔(130)과 중앙 지지체(142) 및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신발이 세척솔(130)과 각 지지체(142,144) 사이로 끼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중앙 지지체(142)와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에 경사면 또는 원호형의 제1,2 공간형성 방지부(142F,144F)가 형성됨으로써 중앙 지지체(142)와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가 세척솔(130)에 최대로 근접(접촉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근접)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중앙 지지체(142) 및 양쪽의 측면 지지체(144)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그 사이에 신발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A are formed on the central support 142, and the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144C are formed on both side supports 144, respectively. When the user walks on the foot 140, the foot is inclined to be guid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A or the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144C to be stably seated on the scaffold member 146. First and second space forming prevention portions 142F and 144F are formed at the 142 and the side supporters 144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leaning brush 130 and the central support 142 and both side supports 144 are separated. The space can be minimized, and thus a phenomenon in which the user's shoes are sandwiched between the cleaning brush 130 and the respective supports 142 and 144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pace forming prevention portions 142F and 144F of the inclined surface or the arc shape are formed on the central support 142 and the side supporters 144 on both sides, so that the central support 142 and the side supporters 144 on both sides are formed. Can be as close to the cleaning brush 130 as possible (without contact),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entral support 142 and both side supports 144 can be minimized so that shoes This jamm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세척솔(130)은,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지지체의 외주면에 무수히 많은 솔들이 심어진 구조를 갖으며, 축공에는 회전축(132)이 결합된다. 회전축(132)의 일단(132B)에는 회전축(132)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B)이 각각 결합된다. 한편, 회전축(132)의 타단(132A)에는 구동축(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연결 결합홈(162)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연결단(164)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연결단(164)과 연결 결합홈(162)의 끼움 결합구조를 회전 연결수단(160)이라 한다. 이러하 회전 연결수단(160)의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2 and 4, the washing brush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countless brushes are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in which the shaf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rotating shaft 132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One end 132B of the rotation shaft 132 is coupled to a support bearing B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132.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is formed with a polygonal connection end 164 to be fitted into the polygonal coupling coupling groove 162 formed 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122. Hereinafter, the fitting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end 164 and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connection means (160). Thi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will be described later.

회전 지지체(150)는, 도 2,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4)의 한쪽 내벽(114C)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각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 지지체(150)에는, 회전축(132)의 일단(132B)에 결합되는 지지 베어링(B)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축 지지홈(15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축 지지홈(152)의 상향 개구부(152A)에는 지지 베어링(B)이 간섭없이 진입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면(152B)이 하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지지체(15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볼트 등에 의해 내벽(114C)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2, FIG. 5, and FIG. 7, the rotation support body 150 is each provided in one inner wall 114C of the accommodating part 114, and rotates the one end 132B of each rotating shaft 132. FIG. It is to support. In the rotary support 150, a shaft support groove 152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bearing B coupled to one end 132B of the rotation shaft 132 is formed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a guide surface 152B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upward opening 152A of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to allow the support bearing B to enter without interference. The rotary support 15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114C by a bolt or the like.

이와 같이 회전 지지체(150)에 상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52A)가 형성됨으로써, 세척솔(130)이 결합된 회전축(132)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전발판(140)이 제거된 상태에서 세척솔(130)이 결합된 회전축(132)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지지 베어링(B)이 회전 지지체(150)의 축 지지홈(152)에서 상향으로 빠지면서 회전축(132)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지지 베어링(B)을 축 지지홈(152)에 삽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지지 베어링(B)의 장착이 완료되어 회전축(132)의 안정적인 회전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회전 지지체(150)에 지지 베어링(B)을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축(132) 일단(132B)의 장착과 분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the opening 152A opened upward in the rotational support 150 as described above, separation and mounting of the rotation shaft 132 to which the cleaning brush 130 is coupled may be easily performed. That is, the support bearing (B)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of the rotary support 150 in the operation of lifting up the rotary shaft 132 coupled to the cleaning brush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safety scaffold 140 is removed. The rotary shaft 132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pulled upward, and by inserting the support bearing B into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to be seated, the mounting of the support bearing B is completed and stabl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32 is achieved. Support is possible. In other words, by being able to easily mount and detach the support bearing (B) on the rotary support 150,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mount and detach the end of the rotary shaft 132 (132B).

안전발판(14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걸어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세척솔(130)의 솔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용부(114)의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발판(14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안내 경사면(142A)이 각각 형성된 중앙 지지체(142)와, 중앙 지지체(14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체(144)들과, 세척솔(130)의 솔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중앙 지지체(142)와 양쪽의 각 측면 지지체(144)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판부재(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 지지체(142)의 제1,2 안내 경사면(142A)은 사용자가 발을 헛딛더라도 사용자의 신발을 발판부재(146)로 안내하기는 역할을 한다. Safety footrest 140, as shown in Figures 2 to 5,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user's weight so that the user can walk, and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brush of the washing brush 130 protrudes upwards It serves to cover the top of 114. The safety scaffold 14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a central support 142 and a central support 142 having a first and a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 142A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plurality of side supporters 144 and a plurality of side supporters 144 coupl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central supporter 142 and each side supporter 14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of the sole of the cleaning brush 130 is projected up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affold member (146).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142A of the central supporter 142 serve to guide the user's shoes to the scaffold member 146 even if the user steps down.

한편, 회전 지지체(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발판(140)의 양쪽 발판부재(146) 저면에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과 결합된 지지 베어링(B)이 축 지지홈(152)에 안착되었을 때 지지 베어링(B)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 베어링(B)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46A)가 각각 마련된다. 이 이탈방지부재(146A)는 지지 베어링(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단부에 원호형 홈이 형성되고,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부재(146)에 이탈방지부재(146A)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축(132)의 일단(132B)에 결합된 지지 베어링(B)이 작동 중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both scaffold member 146 of the safety scaffold 14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150, as shown in Figure 7 (a) and (b),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132 When the support bearing (B) is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is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member (146A)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earing (B) so as to prevent the flow or separation of the support bearing (B).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146A has an arc-shaped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 stably support the support bearing B,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suc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46A is provided in the scaffold member 146,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bearing B coupled to the one end 132B of the rotation shaft 132 from flowing during operation and preventing the separation. Can be.

그리고, 안전발판(140)의 양쪽 측면 지지체(144)의 외측지지단(144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피홈(144C)이 각각 형성된다. 이 회피홈(144C)는 발판 지지브라켓(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지지단(144B)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And, 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grooves 144C are formed in the outer support ends 144B of both side supports 144 of the safety scaffold 140. The avoidance groove 144C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outer support end 144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18.

구동부재(120)는, 각각의 세척솔(130)가 결합된 양쪽의 각 회전축(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2개로 구성되며 각각 제어부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부재(120)의 구동축(122)은 수용부(114)의 내벽(114B)을 통하여 수용부(114)로 노출된다. The driving member 120 is for driving each of the rotating shafts 132 on which both of the cleaning brushes 130 are coupled. The driving member 120 is composed of two pieces, each of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 driving shaft 122 of the driving member 120 is expos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4 through the inner wall 114B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한편, 전술한 회전 연결수단(60)은, 세척솔(130)이 결합된 회전축(132)의 타단(132A)을 구동축(122)에 신속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회전 연결수단(160)은 회전축(132)의 타단(132A)이 구동축(122)의 연결 결합홈(162)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축(132)의 축선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으로 타단(132A)에 형성된 연결단(164)이 구동축(132)의 연결 결합홈(162)으로부터 분리되고, 연결단(164)을 연결 결합홈(162)에 끼운 후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내려 지지 베어링(B)을 회전 지지체(150)의 축 지지홈(152)에 안착시키는 동작으로 연결단(164)이 구동축(122)과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rotation connecting means 60, to quickly combine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the cleaning brush 130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22 in a one-touch manner, or to separate in the coupled state It is for. That is, the rotary connecting means 160 lifts one end 132B of the rotary shaft 132 upward while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ry shaft 132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of the drive shaft 122. The connecting end 164 formed at the other end 132A is pulled from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of the drive shaft 132 by the pul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32, and the connection end 16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And the connecting end 164 is fitted with the drive shaft 122 by lowering one end 132B of the rotary shaft 132 and seating the support bearing B o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of the rotary support 150. Will be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수단(160)은, 구동축(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연결 결합홈(162)과,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회전축(132)의 타단(132A)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연결단(164)으로 이루어진다.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and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of the polygon formed 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122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s transmitted. It consists of a polygonal connection end 164 formed on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이때, 회전축(132)의 타단(132A)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각 모서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단(164)의 각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측면 모깍이 영역(164B)이 형성되고, 각 측면(164A)과 단부면(164C)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전면 모깍이 영역(164D)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 모깍이 영역(164D)의 R값은 측면 모깍이 영역(164B)의 R값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이는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의 내부에서 간섭없이 소정의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end 164 of the polygon formed on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so that each corner of the connection end 16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corner The corners between the side surfaces and the side surfaces are formed to form side surface area 164B, and the corners between each side surface 164A and end surface 164C are formed to form front surface area 164D, respectively. . Here, the R value of the front side ridge area 164D is made larger than the R value of the side ridge area 164B. This is to allow the connection end 164 to mov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interference inside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그리고, 연결 결합홈(162)의 깊이(D)는 연결단(164)의 폭(W)보다 작거나 같은 깊이(D)로 형성되고, 연결단(164)의 폭(W)은 연결 결합홈(162)의 내경(ID)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단(164)과 연결 결합홈(162) 사이에 소정의 유격(대략 1-3mm)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132)을 연결 결합홈(162)에서 빼내거나 삽입하기 위해서는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소정각도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전면 모깍이 영역(164D)과 유격에 의해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의 내부에서 간섭없이 소정각도로 들어 올려지도록(소정의 각도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depth D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is formed to have a depth D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W of the connection end 164, and the width W of the connection end 164 is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ID of 162 so that a predetermined play (approximately 1-3 mm) is generat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164 and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In this structure, in order to remove or insert the rotating shaft 132 from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162, one end 132B of the rotating shaft 132 is lif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onnection is made by the front fillet area 164D. The stage 164 is for lifting (mov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interference inside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이와 같이, 각 모서리에 측면 모깍이 영역(164B)과 전면 모깍이 영역(164D)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연결단(164)을 연결 결합홈(162)에 끼워 결합하거나 빼내어 분리하는 작업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side chamfer area 164B and the front chamfer area 164D are formed at each corner, so that the operation of inserting or removing the connection end 164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Can be done.

이러한 회전 연결수단(160)에 의해 회전축(132)의 타단(132A)과 구동축(122)이 결합되어 연결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The process in which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and the driving shaft 12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is connected and separated.

도 5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의 일단(132B) 쪽을 들어올린 후 회전축(132)을 축의 길이방향(축선방향)으로 당김으로써(구동축 반대방향)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에서 빠지면서 회전축(132)은 구동축(12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단(164)을 연결 결합홈(162)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축(132)의 일단(132B)를 하향으로 내려 지지 베어링(B)을 축 지지홈(152)에 안착시킴으로써 연결단(164)은 연결 결합홈(162)에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a), as shown in FIGS. 5 and 6 (b) with the connecting end 164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the rotating shaft 132 The shaft 132 is driven by lifting the one end 132B of the shaft and pulling the rotation shaft 1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May be separated at 122. In addition, the connecting end 16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162 to lower the one end 132B of the rotating shaft 132 to seat the support bearing B on the shaft supporting groove 152 to connect the connecting end 164. ) May be stably fit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축(132)을 구동축(122)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분리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은 연결단(164)의 각 모서리에 측면 모깍이 영역(164B)과 전면 모깍이 영역(164D)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에 간섭없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고, 결합시 동력은 전달될 수 있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rotation shaft 132 can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22 so as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and sepa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and this action is per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onnection end 164. 164B) and the front side fillet area 164D are forme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on end 164 can be coupled and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and power can be transmitted during the coupling.

한편,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의 타단(132A)과 연결단(164)의 경계영역(132D) 둘레에는,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연결 결합홈(162)의 입구 영역(162A)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164E)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계영역(132D)에 오목한 회피부(164E)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단(164)을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연결단(164)의 진입 또는 인출 각도가 축선(L)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입구 영역(162A)의 끝부분이 회피부(164E)로 회피되어 연결단(164)의 진입과 인출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즉, 연결단(164)의 진입과 인출이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회전축(132)을 구동축(122)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D, the connection end 16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around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and the boundary area 132D of the connection end 164. The avoidance part 164E is formed concave so that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inlet area 162A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when it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As such, the concave avoidance 164E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132D, so that the entry or withdrawal angle of the connection end 164 becomes an axis when the connection end 164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Even if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L), the end portion of the inlet region 162A is avoided by the avoiding portion 164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try and withdrawal of the connecting end 164. That is, the entry and withdrawal of the connecting end 164 can be made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so that the operation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132 with the driving shaft 122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in a one-touch manner.

이러한 연결단(164)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end 164 may be formed of various polygons,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안전발판(140)을 밟으면서 진입하면, 진입 감지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는 펌프를 구동시키고 밸브를 개방하여 세정액과 세척수가 각 노즐(112)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재(120)를 작동시켜 양쪽의 회전축(132)을 구동시켜 세척솔(130)가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1개의 구동부재(120)로 2개의 구동축(122)를 구동시킬 수도 있고, 2개의 구동부재(120)로 각 구동축(122)을 독립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First, when the user enters while stepping on the safety footrest 140 while wearing shoes, the entrance detection sensor S1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and opens the valve so that the washing liquid and the washing water are discharged to the nozzles 112. At the same time by operating the drive member 120 to drive both of the rotating shaft 132 so that the cleaning brush 130 is driven to rotate. At this time, two drive shafts 122 may be driven by one drive member 120, and each drive shaft 122 may be independently configured by two drive members 120.

양쪽의 세척솔(130)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쪽의 발판부재(146)들을 밟으면서 걸어가게 되면 회전하는 세척솔(130)의 솔들이 신발의 저면을 구석 구석에 묻은 이물질을 닦아내게 된다. 이 과정으로 신발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수용부(114)의 바닥에 수용된다. In the state in which both of the cleaning brushes 130 are rotated, the user walks while stepping on the foot members 146 on both sides, so that the brushes of the rotating cleaning brush 130 wipe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corners of the shoes. .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hoe in this process is receiv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사용자가 안전발판(140)으로부터 벗어남이 진출 감지센서(S2)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는 노즐(112)의 밸브를 닫고, 구동부재(120)를 정지시켜 세척솔(1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When the user detects the deviation from the safety footrest 140 by the advance detection sensor S2, the control unit closes the valve of the nozzle 112 and stops the driving member 120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brush 13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발판(140)을 걷는 것만으로 신발의 저면에 묻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of the shoe simply by walking the safety footrest 140.

한편, 신발 세척장치(100)의 사용후 수용부(114)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에, 안전발판(140) 전체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안전발판(140)이 양쪽의 지지부재(116)와 발판 지지브라켓(118)에 얹혀져 지지되기 때문에, 안전발판(140) 전체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안전발판(14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수용부(114)가 개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leaning the accommodating part 114 after use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lift the entire safety footrest 140 upwards to separate from the housing 110. This is because the safety footrest 140 is supported on both support members 116 and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18, the safety footrest 140 in the operation to lift the entire safety footrest 140 upwards housing 110 Can be separated from, and the receptacle 114 can thus be opened.

그러나, 안전발판(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상향 또는 우측상향으로 회전시켜 수용부(114)를 개방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발판(140)의 한쪽 측면 지지체(144)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반대방향 측면 지지체(144)가 해당 지지부재(116)에 회전 지지되므로 안전발판(140)은 해당 지지부재(116)를 축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부(114)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발판(14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부(114)를 개방할 수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However, the safety scaffold 140 may rotate to the left upward or right upward as shown in FIG. 4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114.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one side support 144 of the safety scaffold 140 is lifted upward, the opposite side support 14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16 so that the safety scaffold ( 140 is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114 while rotat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16 as an axis. In addition, the safety footrest 140 may open to the receiving portion 114 while rotating to the left or right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operator.

한편, 안전발판(14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4)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척솔(130)를 교체하는 등의 정비를 위하여 회전축(132)를 분리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회전축(132)의 일단(132B)를 상향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회전축(132)의 일단(132B)에 에 결합된 지지 베어링(B)은 축 지지홈(152)에 안착된 상태이고, 이탈방지부재(146A)가 구비된 안전발판(140)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회전축(132)의 일단(132B)은 간섭없이 축 지지홈(152)으로부터 상향으로 들려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132)의 일단(132B)를 상향으로 들어 올린 후 회전축(132)의 길이방향으로, 즉 구동축(122)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으로 연결단(164)이 연결 결합홈(162)으로부터 간섭없이 빠져 분리된다. 이는 연결단(164)의 각 모서리에 측면 모깍이 영역(164B)과 전면 모깍이 영역(164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fety scaffold 14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or rotated in one direction to remove the rotating shaft 132 for maintenance, such as replacing the cleaning brush 130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114 is opened The worker lifts one end 132B of the rotating shaft 132 upward. At this time, the support bearing (B) coupled to one end (132B) of the rotary shaft 132 is in a state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the safety footrest 140 is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member (146A) is removed Since one end 132B of the rotating shaft 132 can be lifted upward from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without interference. As such, the connection end 164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162 by lifting one end 132B of the rotary shaft 132 upward and pulling the rod 132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132,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22. ) Are separated without interference. This is because the side chamfer area 164B and the front chamfer area 164D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onnection end 164.

이와 같이 세척솔(130)이 결합된 회전축(132)의 한쪽을 들어올려 당기는 동작만으로 회전축(132)의 연결단(164)이 하우징(110)에 고정된 구동축(122)의 연결 결합홈(162)으로부터 간섭없이 빠져 분리되므로 회전축(132)은 구동축(122)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는 세척솔(130)를 교체하는 등의 정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132)을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of the drive shaft 122 in which the connecting end 164 of the rotating shaft 132 is fixed to the housing 110 by only lifting and pulling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132 to which the cleaning brush 130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tating shaft 132 can be quickly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122 because it is separated without interference, the operator can perform maintenance such as replacing the cleaning brush 130. This structure can complet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ich was configured to be inseparable from the rotating shaft 132.

한편, 회전축(132)를 다시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164)을 연결 결합홈(162)에 삽입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하향으로 내려 지지 베어링(B)을 축 지지홈(152)에 안착시킨다. 이때, 지지 베어링(B)은 안내면(152B)에 안내되므로 개구부(152A)를 통하여 축 지지홈(152)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지지 베어링(B)이 축 지지홈(152)에 안착되므로 회전축(132)의 타단(132A)에 형성된 연결단(164)은 구동축(122)의 끝단면에 형성된 연결 결합홈(16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o re-engage the rotating shaft 132, as shown in Figure 6 (b), after inserting the connecting end 164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162, as shown in Figure 5 the rotating shaft 132 One end 132B is lowered to seat the support bearing B o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In this case, since the support bearing B is guided to the guide surface 152B, the support bearing B may be easily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through the opening 152A. Since the support bearing B is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the connection end 164 formed at the other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is stably in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2 formed at the end surface of the drive shaft 122. Inserted and combin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안전발판(140)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동작 및 회전축(132)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신발 세척장치(100)를 청소하거나 정비하는 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oe washing device 100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or combining the safety footrest 140 and the operation of separating or combining the rotating shaft 132 is quick and easy. By doing so, the cleaning or maintenance work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can be made smoothly and quickl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의 회전 연결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회전 연결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의 (a) 및 (b)는 도 9에 도시된 회전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9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connection means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connection means shown in FIG. 11 (a) and (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shown in FIG.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0)는, 회전 연결수단(160)이 수용부(114)로 노출된 구동축(122)의 단부에, 구동축(1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과 구동축(122)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결합공(166)과, 결합공(166)이 형성된 구동축(122)의 단부(125)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축 지지공(168A)이 형성되고, 축 지지공(168A)에는 개구부(168B)가 형성되며, 개구부(168B)가 상향을 향하도록 내벽(114B)에 결합되는 축 지지체(168)와, 결합공(166)에 삽입되었을 때 양쪽 중간면(169A)이 결합공(166)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중간면(169A) 간의 폭(W2)이 결합공(166)의 폭(W3)보다 작게 형성되고, 각 양쪽 단부(169C)의 폭(W4)은 중간면(169A) 간의 폭(W2)보다 더 작은 다각형으로 회전축(132)의 단부(132A)에 형성되는 연결 결합단(1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driving shaft at an end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122 in which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is expos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4. The coupling hole 166 is formed to be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2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22, and the end 125 of the drive shaft 122, the coupling hole 166 is formed is supported A shaft support hole 168A is formed, the shaft support hole 168A is formed with an opening 168B, the shaft support 168 coupled to the inner wall 114B so that the opening 168B faces upward, and a coupling hole. When inserted into 166, the width W2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s 169A is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coupling holes 166 so that both intermediate surfaces 169A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upling holes 166, respectively. And the width W4 of each end 169C includes a connection coupling end 169 formed at the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in a polygon smaller than the width W2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s 169A. Ha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이때, 연결 결합단(169)은 마름모꼴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결합단(169)의 중간면(169A)과 단부(169C)들 사이에는, 연결 결합단(169A)이 개구부(168B)를 통하여 결합공(166)으로 삽입되거나 결합공(166)에서 개구부(168B)를 통하여 분리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 경사면(169C)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is formed of a polygon of a rhombic shape. In addition,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 169A and the end 169C of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A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66 through the opening 168B or at the coupling hole 166. Guide inclined surfaces 169C are respectively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168B.

이러한 구조의 회전 연결수단(160)은, 개구부(168B)와 결합공(166)이 일치될 때 연결 결합단(169)이 개구부(168B)를 통하여 결합공(166)에 삽입되거나 결합공(16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of this structure has a connection coupling end 169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66 through the opening 168B or the coupling hole 166 when the opening 168B and the coupling hole 166 coincide with each other. ) Can be separated.

즉, 회전축(132)의 연결 결합단(169)이 개구부(168B)를 통하여 결합공(166)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는, 축 지지체(168)가 연결 결합단(169)을 지지하기 때문에 연결 결합단(169)이 결합공(16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축(122)의 회전력이 회전축(132)에 전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32)을 구동축(122)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회전축(132)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결합공(166)과 개구부(168B)를 일치시킨 후 회전축(132)을 상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연결 결합단(169)이 결합공(16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단(169)을 개구부(168B)를 통하여 결합공(166)에 끼워 결합하거나 빼낼 때 연결 결합단(169)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69C)이 연결 결합단(169)의 진행을 안내하게 되므로 연결 결합단(169)은 간섭없이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빠져 분리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of the rotary shaft 13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66 through the opening 168B is coupled because the shaft support 168 supports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The coupling end 169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66.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122 may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132. In order to separate the rotary shaft 132 from the drive shaft 122, the rotary shaft 132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match the coupling hole 166 and the opening 168B, and then the rotary shaft 132 is lifted upward to connect the coupling. Stage 169 may be separated from coupling hole 166. As such, when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is inserted into o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66 through the opening 168B, the guide inclined surface 169C formed in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guides the progress of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Therefore,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may be inserted or comb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interference.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수단(160)은, 구동축(122)의 단부(125)에, 양쪽에 중간면(169A)이 각각 형성되는 마름모꼴의 연결 결합단(169)이 형성되고, 연결 결합단(169)이 삽입되는 축 지지공(168A)이 형성되고, 축 지지공(168A)에는 개구부(168B)가 형성되며, 개구부(168B)가 상향을 향하도록 연결 결합단(169)이 축 지지공(168A)에 위치하도록 내벽(114B)에 결합되는 축 지지체(168)와, 회전축(132)의 단부(132A)에, 회전축(132)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과 회전축(132)의 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결합공(1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구동축(122)에 연결 결합단(169)이 형성되고, 회전축(132)에 결합공(166)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2,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coupling of the lozenge in which the intermediate surface (169A) is formed on each side, the end 125 of the drive shaft 122, respectively The end 169 is formed, the shaft support hole 168A is formed into which the coupling coupling end 169 is inserted, the opening 168B is formed in the shaft support hole 168A, and the opening 168B faces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2 to the shaft support 168 coupled to the inner wall 114B and the end 132A of the rotating shaft 132 so that the connecting coupling end 169 is located in the shaft support hole 168A.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hole 166 formed to be ope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the axis of rotation 132. Tha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is formed on the drive shaft 122 and the coupling hole 166 is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132.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연결수단(160)은, 연결 결합단(169)이 세워져 개구부(168B)와 일치될 때 결합공(166)이 형성된 회전축(132)의 단부(132A)를 개구부(168B)로 삽입시켜 연결 결합단(169)이 결합공(166)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serts the end portion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in which the coupling hole 166 is formed into the opening 168B when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is set up to match the opening 168B. The connection coupling end 169 may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66.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0)는 안전발판(140)이 회전축(132)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되거 다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발 세척장치(100)의 정비 및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afety scaffold 140 is quickly and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again, the maintenance and cleaning operation of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This can be done easil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의 회전축과 구동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구동축과 회전축의 연결구조가 작동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rotating shaft and a driving shaft of a shoe washing device in which the cleaning brush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driving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shown in FIG. 14 is operated.

도 1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구동축(122)과 회전축(132)의 연결구조가 아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As shown in FIGS. 14 to 6, in the shoe washing apparatus 100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washing brus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rive shaft 122 and the rotating shaft 132 is configured as follows. Except for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즉, 구동축(122)과 회전축(132)을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회전 연결수단(160)은, 회전축(132)의 일단(132A)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연결단(165)과 구동축(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 결합홈(167)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60 connecting the drive shaft 122 and the rotation shaft 132 so that rotation power is transmitted is a polygonal connection end 165 and the drive shaft 122 formed at one end 132A of the rotation shaft 132. It consists of a connecting coupling groove 167 formed at the end of the).

연결단(165)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회전축(132)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제1 돌출 지지부(165A)와 제1 돌출 지지부(165A)에서 돌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제2 돌출 지지부(165B)로 이루어지고, 연결 결합홈(167)은, 제2 돌출 지지부(165B) 및 제1 돌출 지지부(165S)가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1 돌출 지지부(165A)가 지지되는 제1 결합홈(167A)이 입구 영역에 형성되고, 제1 결합홈(167A)의 내측에는 제2 돌출 지지부(165B)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제2 결합홈(167B)이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connecting end 165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has a rectangular first protruding support 165A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132 and a triangular second protruding support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165A ( 165B, and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167 is supported by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165A such that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165B and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165S are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supported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coupling groove 167A is formed in the inlet region,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67B is continuously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groove 167A to support the second protrusion 165B. .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연결수단(16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The action of the rotary connecting means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돌출 지지부(165A,165B)와 제1,2 결합홈(167A,167B)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제2 돌출 지지부(165B)를 제1 결합홈(167A)에 삽입한 후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하향으로 내려 축 지지홈(152)에 안착시키면 제1,2 돌출 지지부(165A,165B)가 제1,2 결합홈(167A,167B)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돌출 지지부(165A,165B)와 제1,2 결합홈(167A,167B)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회전축(132)의 일단(132B)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제1,2 돌출 지지부(165A,165B)가 제1,2 결합홈(167A,167B)에서 빠져 이탈된다. As shown in FIG. 15,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165A and 165B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67A and 167B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165B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165A and 165B may be form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67A, when the one end 132B of the rotary shaft 132 is inserted downward and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52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167A. 167B) to be joined.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165A and 165B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67A and 167B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one end 132B of the rotation shaft 132 is upward. When lifted up,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165A and 165B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67A and 167B.

이러한 작용은 제2 돌출 지지부(165B)가 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제2 결합홈(167B)가 삼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돌출 지지부(165B)를 끼우고 빼내는 동작을 할 때 삼각형의 경사면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회피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This action is because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165B has a triangl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67B has a triangular shape, whereby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165B interfer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iangle when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165B is inserted and removed. It is possible because it is not avoided.

이때, 제2 돌출 지지부(165B)와 제2 결합홈(167B)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165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67B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측면 세척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측면 세척솔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de washing device is provided in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a washing brus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shown in FIG. 18.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ide cleaning brush.

제5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세척수 노즐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장화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측면 세척장치(3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Shoe cleaning device 100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side for washing the side of the shoe including boots when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from the washing water nozzle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the cleaning device 300 is provided.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세척장치(3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측면세척 구동부재(310)와,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측면세척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2)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측면 세척솔(320)로 구성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side cleaning device 300 includes a side washing driving member 310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side the housing 11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t is composed of a side washing brush 320 is coupled to each of the drive shaft 312 of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310 is installed vertically exposed to rotate.

여기서, 측면세척 구동부재(310)와 측면 세척솔(320)은 서로 짝을 이루어 각각 3개가 설치되며, 각 측면 세척솔(320) 사이의 간격은 신발이 통과되기 위한 폭을 갖는다. Here,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310 and the side washing brush 320 is paired with each other are installed three, each interval between the side washing brush 320 has a width for passing the shoes.

전술한 측면 세척솔(320)은, 조립수단에 의해 구동축(312)과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The side cleaning brush 320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312 by assembly means.

여기서 조립수단은, 구동축(312)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동축(312)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34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단 지지봉(330)과, 중앙에 구동축(312)가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 걸림단(342)들이 각각 돌출 구비되며, 키(KEY)(312A)에 의해 구동축(312)과 결합되어 하단 지지봉(330)에 지지되는 연결부재(340)와, 연결부재(340)가 삽입되도록 측면 세척솔(320)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322)와, 연결부재(340가 안착부(322)에 삽입될 때 걸림단(342)들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안착부(322)의 바닥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324)으로 이루어진 걸림 결합부(326)과, 측면 세척솔(320)이 구동축(312)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축(312)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측면 세척솔(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부재(350)로 구성된다.Here, the assembly means, the lower support rod 330 is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312, the coupling member 340 is fitted to the drive shaft 312 so as not to touch the floor, and the drive shaft 312 in the center A shaft hole into which the shaft is inserted is formed, and hooking ends 342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312 by a key 312A and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rod 330. ), A seating portion 322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cleaning brush 320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40 is inserted, and the locking ends 342 when the connection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322. The engaging coupling portion 326 made up of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2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322 to selectively engage, and the driving shaft 312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cleaning brush 32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312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is composed of a fastening member 350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ide cleaning brush (320).

여기서, 걸림단(342)들은 연결부재(340)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볼트가 연결부재(340)에 체결 결합되어 걸림단(342)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볼트가 체결되어 걸림홈(324)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단(342)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 세척솔(32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축공이 형성되어 구동축(312)이 끼워진다. Here, the locking end 342 may be formed integrally projecting upward from the connection member 340, the bol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340 to serve as the locking end (342). In this embodiment, two bolts are fastened to serve as a locking end 342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4. And in the center of the side cleaning brush 320 is formed a shaft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rive shaft 312 is fitted.

걸림홈(324)은 4개로 이루어져 각각 90°각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와 개수는 180°로 배치된 각 걸림단(342)이 용이하게 각 걸림홈(324)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걸림홈(324)은 3개 또는 4개 이상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cking grooves 324 are made up of four and are disposed at 90 ° angles, respectively. This arrangement and number is for each engaging end 342 disposed at 180 ° to be easily inserted into each engaging groove 324. At this time, the locking groove 324 may be made of three or more than four of course.

이와 같이, 측면 세척솔(320)이 연결부재(340)에 의해 구동축(312)에 결합됨으로써, 조임부재(350)을 풀어 제거하고 측면 세척솔(320)을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측면 세척솔(320)을 구동축(312)에 끼워 연결부재(340)가 안착부(322)에 삽입되면서 걸림단(342)들이 걸림홈(324)에 삽입되어 걸리고, 조임부재(350)로 조이는 동작으로 측면 세척솔(320)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측면 세척솔(320)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side cleaning brush 320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312 by the connecting member 340, by removing the fastening member 350 to remove the separation just by lifting the side washing brush 320 upwards. When it is possible, the side washing brush 320 is inserted into the driving shaft 312, the connecting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322, the locking end 34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4, the fastening member ( Installation of the side cleaning brush 320 is completed by tightening to 350. Therefore,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or assembling the side cleaning brush 320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한편, 측면 세척솔(320)의 주변에는, 세척수나 이물질이 사용자의 진입방향과 진출방향 및 상부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튐 방지판(370)들이 각각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round the side cleaning brush 320, the splash prevention plate 370 for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or foreign matters to splash into the user's entry and exit direction and the top is respectively installed.

이 튐 방지판(370)은 측면 세척솔(320)이 회전 작동할 때 세척수나 이물질이 정해진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튐 방지판(370)들은 진입한 신발을 사이에 두고 신발을 향한 양쪽 영역만 개방되도록 서로 쌍을 이루어 각 측면 세척솔(3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즉, The splash prevention plate 370 is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or foreign matters from splashing in a direction other tha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the side cleaning brush 320 is rotated. To be placed in pairs with each other so as to open only the two areas facing to the shoe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each side washing brush 320 in between. In other words,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 세척솔(320)들 사이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371)을 제외한 방향으로 세척수나 이물질이 튀지 않도록 각 튐 방지판(370)들이 짝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각 튐 방지판(370)들은 측면 세척솔(320)보다 높게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다중 절곡되고, 상단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371)을 제외한 방향으로 세척수나 이물질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서로 짝을 이루는 튐 방지판(370)들 사이의 간격은 측면 세척솔(320)을 상향으로 원활하게 뺄 수 있고, 하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측면 세척솔(320)의 직경보다 더 크다. As shown in FIG. 18, the splash prevention plates 370 are pair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washing water or foreign matter does not splash in a direction except for the direction 371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side cleaning brushes 320. It is installed. At this time, each splash prevention plate 370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cleaning brush 320, and is multi-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nt to the top to prevent splashing water or foreign matter in the direction except the direction (371) facing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the splash prevention plate 370 paired with each other can be smoothly pulled out the side cleaning brush 320 upwar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ide cleaning brush 320 to be inserted downwar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튐 방지판(370)들의 내측에는 세척수와 세정액 등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leaning liquid, etc. are installed inside each of the splash prevention plate 370.

이와 같이 구성된 측면 세척장치(300)는 사용자가 세척위치로 진입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측면세척 구동부재(310)를 구동시킴으로써, 세척위치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발 양쪽을 각 측면 세척솔(320)이 회전하면서 닦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신발을 앞뒤로 이동시키거나 측면 세척솔(320)에 밀착시킴으로써 해당 영역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발이 세척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측면세척 구동부재(310)는 정지된다. The side cleaning device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is when the user enters the washing position and drives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310, so that both sides of the user's shoes located at the washing position are cleaned on each side of the brush 320. This turns and wipes off. At this time, the user may move the shoes back and forth or close contact with the side cleaning brush 320 may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area more easily. Then, when the user's foot is out of the washing position,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310 is stopp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에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구비된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e sole debris removing device is provided in a shoe washing device that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a washing brush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FIG.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provided in.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진입하는 신발 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의 저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400)가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As shown in FIG. 20 and FIG. 21, the shoe cleaning device 100, which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sprays compressed air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enter a shoe bottom.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a shoe sole debris removing device 400 for removing debris on the bottom of the shoe is provided.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40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이물질 배출부(117A)가 형성되며, 발판(149)이 설치되는 이물질 수용부(117)와, 이물질 수용부(117)의 바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진입감지센서410)가 감지한 진입감지신호 또는 작동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 발생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발판(149)을 밟은 신발의 저면으로 분사하도록 된 각각의 분사노즐(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분사노즐(420)은, 발판(149)을 밟는 신발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분사노즐(420)로 신발 바닥에 압축공기를 효율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400, is formed by reces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ion 117A is formed,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117, the footrest 149 is installed, and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 117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foot plate 149,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or (not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or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detected by the entry sensor 410 It consists of each injection nozzle 420 to be sprayed to the bottom of the shoe on the foot. At this time, the injection nozzle 420 is formed of a "-" form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on the footrest 149. This is for efficiently injecting compressed air to the sole of the shoe with one injection nozzle (420).

이와 같이, 폭이 널은 분사노즐(420)로 발판(149)을 밟은 신발 저면으로 압출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신발의 바닥 틈 사이에 끼인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by spraying the extruded air to the bottom of the shoe stepped on the footrest 149 with the jet nozzle 420 having a wide width,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the bottom gap of the shoe.

그리고,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400)가 하우징(110)의 일측, 즉 사용자의 진입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세척솔(130)로 신발을 세척하기에 앞서 신발 바닥을 미리 세척함으로써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And, the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at is, the entry position of the user, so as to wash the shoe bottom in advance before washing the shoe with the cleaning brush 130 can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hav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신발 세척장치 110 : 하우징
120 : 구동부재 122 : 구동축
130 : 세척솔 132 : 회전축
140 : 안전발판 150 : 회전 지지체
160 : 회전 연결수단 200 : 물기 제거수
300 : 측면 세척장치 400 :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
100: shoe washing device 110: housing
120: drive member 122: drive shaft
130: cleaning brush 132: rotating shaft
140: safety footing 150: rotating support
160: rotation connection means 200: water removal water
300: side cleaning device 400: shoe sol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Claims (16)

회전축과 일체화되어 하우징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세척솔을 구동부재로 회전작동시켜 신발을 세척하도록 된 신발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한쪽 내벽에 설치되는 구동축의 단부에는 연결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의 반대쪽 내벽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체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지지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상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안착되거나 상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축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상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연결단을 상기 연결 결합홈에 끼운 후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하향으로 내려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시키면 상기 연결단이 상기 구동축과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Including a shoe washing device to wash the shoes are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cleaning brush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housing with a drive member,
A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drive shaft installed at on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is formed,
A rotating support for rotationally supporting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wall opposite to the receiving shaf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haft, and the rotating support is opened upwardly so th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be seated or moved upward. Shaft support groove is formed,
The connecting end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by lifting up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seated on the shaft supporting groove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ng end is fit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and pull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fter inserting the connection end into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lowered and seated on the shaft suppor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end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 쪽에는,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진입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출구 쪽에는 사용자의 진출을 감지하기 위한 진출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entry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housing, and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entrance is installed at the exit side.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결합홈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 결합홈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각 모서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단의 각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측면 모깍이 영역이 형성되고, 각 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모서리가 모깍이 되어 전면 모깍이 영역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polygon, the coupl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in a polyg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s transmitted,
When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upling groove and is coupled or separated, the corner between each side and the side of the connecting end becomes a fillet so that side corners are formed, and each side and the end ar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s between the facets are inclined to form front facet areas, respectively.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상기 연결단의 경계영역 둘레에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연결 결합홈의 입구 영역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rou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the connection end, the avoiding portion is formed conca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let region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when the connection end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결합홈은,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과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작동시 양쪽 중간면이 상기 연결 결합홈의 양쪽 내측면에 지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구동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축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지지공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축이 설치된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결합되는 축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연결 결합홈이 일치될 때 상기 연결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향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거나 상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by open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connecting end, both intermediate surfaces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shaft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t is supported by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polyg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An axial support hole is formed in which an end of the drive shaft in which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is inserted,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axial support hole, and an axial support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drive shaft is upwardly directed. Including more,
When the opening and the coupling coupling groove is match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rom the upward through the opening or separated upward,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각 양쪽 단부의 폭이 상기 중간면 간의 폭보다 더 작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면과 각 양쪽 단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홈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분리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end,
The width of each end is formed into a polygon small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urface and each of the both ends, th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rough the opening or the opening in the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separated through,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제1 돌출 지지부; 및 상기 제1 돌출 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제2 돌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결합홈은, 상기 제2 돌출 지지부 및 제1 돌출 지지부가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축 회전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돌출 지지부가 지지되는 제1 결합홈이 입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돌출 지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제2 결합홈이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와 상기 제1,2 결합홈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돌출 지지부를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한 후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하향으로 내려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시키면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가 상기 제1,2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와 상기 제1,2 결합홈이 수직이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1,2 돌출 지지부가 상기 제1,2 결합홈에서 이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end is formed of a polygon,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of the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 triangular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The connection coupl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is supported in the inlet area such that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and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are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supported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nside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succession,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is inserted and suppor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n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lowered to the shaft support groove. When seated,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When lifting upwards,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supports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ing of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고 사용자가 밟고 보행하도록 된 안전발판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발판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안내 경사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 지지체;
상기 중앙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 안내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3,4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면 지지체; 및
상기 세척솔의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중앙 지지체의 양쪽 중앙 수직부와 각 상기 측면 지지체의 각 측면 수직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afety footrest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user to step on and walk,
The safety scaffolding,
A central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inclined on both sides thereof;
A pair of side suppo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upport and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inclined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s;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 which is coupled to connect both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of the central support and each side vertical portion of each of the side support b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of the cleaning brush protrudes upwards,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ing of cleaning brus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양쪽 측벽 쪽으로 치우친 위치의 각 상기 내벽에는,
상기 안전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재가 평행하게 각각 구비되고, 각 상기 측면 지지체의 저면에는 각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전발판의 한쪽 측면 지지체를 들어올려 상기 수용부를 개방할 경우에, 반대쪽 상기 지지부재가 해당 상기 측면 지지체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반대쪽의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In each said inner wall of the position biased toward both side walls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safety footrest are provided in parallel, respectively, the bottom of each side support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inserting each of the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and lifts one side support of the safety footrest When opening the accommodating part, the support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the opposit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orresponding side support member, and the safety footrest opens the accommodating part while rotating the support member opposite to the rotation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제1,2 안내 경사면의 각 중앙 하단부 사이의 폭보다 상기 중앙 수직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각 상기 중앙 하단부와 각 상기 중앙 수직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세척솔의 일부를 감싸 상기 세척솔과 상기 중앙 지지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 공간형성 방지부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체는,
상기 제3,4 안내 경사면의 각 측면 하단부와 상기 측면 수직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제1 공간형성 방지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척솔의 일부를 감싸 상기 세척솔과 각 상기 측면 지지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2 공간형성 방지부가 원호 또는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entral support,
The width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each of the central lower end of the first, second guide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central lower portion and each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leaning brush and the cleaning brush; The first space form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arc or inclined so that empty spaces are not formed between the central supports,
The side support,
An empty space between the cleaning brush and each of the side supports by connecting a lower end of each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guide slopes and an upper end of the side vertical part to surround a part of the cleaning brush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pace forming preven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pace form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arc or inclined so that it is not formed,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축 지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축 지지홈의 상향 개구부에는 상기 지지 베어링이 간섭없이 진입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면이 하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for seating in the shaft support groove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The upward opening of the shaft suppor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surface for inclining the support bearing to enter without interfer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ownwardly forward,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세척수 노즐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장화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측면 세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세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측면세척 구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상기 측면세척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측면 세척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On one side of the housing,
When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from the washing water nozzle is provided with a side cleaning device for washing the side of the shoe including the boots,
The side cleaning device,
A side washing driv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hous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ide washing brush which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ide washing driv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rotate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세척솔은, 조립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되,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단 지지봉;
상면 양쪽에 걸림단들이 각각 돌출 구비되고, 키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하단 지지봉에 지지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면 세척솔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들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측면 세척솔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측면 세척솔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ide cleaning brush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by an assembly means,
The assembly means,
A lower support rod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Engaging member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by a key and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rods;
A seating portion recess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side cleaning brush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hooking ends are selectively caught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Hanging engaging portion consisting of;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leaning brus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drive shaft is composed of a fastening memb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ide cleaning brush,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세척솔의 주변에는,
세척수나 이물질이 사용자의 진입방향과 진출방향 및 상부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튐 방지판들이 각각 설치되되, 진입한 신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발을 향한 양쪽 영역만 개방되도록 서로 쌍을 이루어 각 상기 측면 세척솔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vicinity of the side cleaning brush,
Each of the side washes is paired with each other so that only two areas facing the shoes are opened with the shoes inserted therebetween, respectively, with splash prevention plates installed to prevent splash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splashing into the user's entry direction, exit direction and upper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rush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진입하는 신발 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의 저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가 마련되되, 상기 신발바닥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며, 발판이 설치되는 이물질 수용부; 및
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바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진입감지센서가 감지한 진입감지신호 또는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 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발판을 밟은 신발의 저면으로 분사하도록 된 각각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On one side of the housing,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is provid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of the shoe by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bottom of the shoes entering, the shoe sole debris removal device,
A debris accommodating part formed by being recessed i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have a debris discharge part formed therein and a footrest installed therein; And
Each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unit and sprays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or the operation switch detected by the entry detection sensor to the bottom of the shoe on which the foot rest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발판을 밟는 신발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jection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the "-" form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on the footrest,
Shoe cleaning devic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cleaning brush.


KR1020190031922A 2019-03-20 2019-03-20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KR1020426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22A KR102042691B1 (en) 2019-03-20 2019-03-20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22A KR102042691B1 (en) 2019-03-20 2019-03-20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91B1 true KR102042691B1 (en) 2019-11-27

Family

ID=6872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922A KR102042691B1 (en) 2019-03-20 2019-03-20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9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365A (en) * 2019-12-07 2020-06-02 李世航 A high-efficient cleaning equipment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urface earth clearance
CN111248836A (en) * 2020-03-13 2020-06-09 四川鞋唰唰科技有限公司 Shoe washing machine
CN112139107A (en) * 2020-07-30 2020-12-29 福涞堡造纸技术(上海)有限公司 Silk screen cleaning and drying device and method
CN112238074A (en) * 2020-09-08 2021-01-19 温州大学平阳智能制造研究院 Full-automatic mechanical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travel shoe processing
CN112775062A (en) * 2021-01-25 2021-05-11 杭州富阳正茂进出口有限公司 Workpiece cleaning device for machining of mechanical equipment
CN112775061A (en) * 2021-01-25 2021-05-11 杭州富阳正茂进出口有限公司 Workpiece cleaning device for machining of mechanical equip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290825B1 (en)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Rain boots washer
KR102290935B1 (en)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Shoe floor wash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09A (en) 1999-02-11 2000-09-15 강정석 Boots cleaner
KR20110116729A (en)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연무기술 Shoe hairy device
KR20150043792A (en) * 2013-10-15 2015-04-23 윤희정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KR20150097083A (en) * 2014-02-18 2015-08-26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hoe cleaner
KR101846157B1 (en) * 2017-10-17 2018-04-06 원동춘 Washing device for sho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09A (en) 1999-02-11 2000-09-15 강정석 Boots cleaner
KR20110116729A (en)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연무기술 Shoe hairy device
KR20150043792A (en) * 2013-10-15 2015-04-23 윤희정 Air bubble type cleaning apparatus
KR20150097083A (en) * 2014-02-18 2015-08-26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hoe cleaner
KR101846157B1 (en) * 2017-10-17 2018-04-06 원동춘 Washing device for shoe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365A (en) * 2019-12-07 2020-06-02 李世航 A high-efficient cleaning equipment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urface earth clearance
CN111215365B (en) * 2019-12-07 2021-07-30 青岛市中心医院 A high-efficient cleaning equipment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urface earth clearance
CN111248836A (en) * 2020-03-13 2020-06-09 四川鞋唰唰科技有限公司 Shoe washing machine
CN111248836B (en) * 2020-03-13 2020-12-29 四川鞋唰唰科技有限公司 Shoe washing machine
CN112139107A (en) * 2020-07-30 2020-12-29 福涞堡造纸技术(上海)有限公司 Silk screen cleaning and drying device and method
CN112139107B (en) * 2020-07-30 2023-10-31 福涞堡造纸技术(上海)有限公司 Silk screen washs drying device
CN112238074A (en) * 2020-09-08 2021-01-19 温州大学平阳智能制造研究院 Full-automatic mechanical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travel shoe processing
CN112238074B (en) * 2020-09-08 2021-09-21 温州大学平阳智能制造研究院 Full-automatic mechanical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travel shoe processing
CN112775062A (en) * 2021-01-25 2021-05-11 杭州富阳正茂进出口有限公司 Workpiece cleaning device for machining of mechanical equipment
CN112775061A (en) * 2021-01-25 2021-05-11 杭州富阳正茂进出口有限公司 Workpiece cleaning device for machining of mechanical equip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290825B1 (en)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Rain boots washer
KR102290935B1 (en)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Shoe floor 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691B1 (en) Shoes cleaneing apparatus for easy disassembley and assembley of cleaneing brush
CA2464005C (en) A brush assembly for a cleaning device
KR200392190Y1 (en) The air shower
CN110192806A (en) Dust catcher
JP2005046777A (en) Suction device and nozzle device
US20030046754A1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KR200336953Y1 (en) A treadmill for pet
KR102026795B1 (en) Boots cleaner
JP2008043250A (en) Apparatus for cleaning multistage type barn
KR102030684B1 (en) Boots cleaner
KR100881173B1 (en) Air shower device having a rotating and spraying function
US20070240276A1 (en) Flexible pickup lips for use with fixed vacuum shoes on self-contained and propelled carpet cleaning equipment
KR102290825B1 (en) Rain boots washer
KR200194954Y1 (en) Vacuum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washing agent and drug
KR101035684B1 (en) Cleansing device for grill
KR101135851B1 (en) A sump mounting structure of a dish washer
CN215534164U (en) Rubber boot cleaning machine special for pasture
KR102290935B1 (en) Shoe floor washer
IES20060704A2 (en) A washing apparatus
KR100329726B1 (en) A cleansing device for Boots
JP2003164491A (en) Wheel cleaning device for wheelchair
CN215424264U (en) Food preparation machine and be convenient for clean system that sprays of dismouting
KR20100079263A (en) Bidet for toilet stool
CN214073212U (en) Clean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for working rubber boots of livestock and poultry farm
JP3809128B2 (en) Wheel washing machine and wheel was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