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628A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3628A KR20150043628A KR20130121784A KR20130121784A KR20150043628A KR 20150043628 A KR20150043628 A KR 20150043628A KR 20130121784 A KR20130121784 A KR 20130121784A KR 20130121784 A KR20130121784 A KR 20130121784A KR 20150043628 A KR20150043628 A KR 20150043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terminal
- shared
- service
- local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단말기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서비스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하는 공유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들이 모바일 단말에 대부분 탑재되고, 모바일 단말이 스마트 폰 등으로 진화하면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컨텐츠들을 생성 및 가공하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개인들이 생성 및 가공한 컨텐츠들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들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SNS를 통한 컨텐츠 공유는 서버를 경유하는 공유 서비스이고, 컨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방법으로 근거리 통신을 통한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종래의 방법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단말기들은 상호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WiFi, BT 등)으로 페어링(pairing)을 한다. 블루투스로 연결고자 할 경우, 상대 단말기의 블루투스가 동작 상태로 설정되어야 하고, 상호간 블루투스 식별정보(ID)의 연결 승인을 통해 페어링(pairing)을 맺어야 한다. WiFi(-Direct)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 상대 단말도 같은 WiFi 서비스 세트 식별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에 접속되어 있어야 하고, 원하는 상대 단말기 식별정보(ID 또는 IP 주소)를 인지해야 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페이링된 단말기들 중 해당 단말기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전송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 단말기는 다운로드 폴더에서 해당 컨텐츠를 확인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서비스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하는 공유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키(key)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파일명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상기 공유 파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공유 파일이 송신된 퍼센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서비스 연결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하는 공유 파일 요청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파일명은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하나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연결하는 키(key)로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각각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공유 파일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은, 근거리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대칭키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 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대칭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은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대칭키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 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대칭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서비스 생성부(112), 공유 파일 생성부(114), 인증부(115), 파일 공유부(116), 근거리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적외선 통신 등이 가능하다.
저장부(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전화부,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와 공유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공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인증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생성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이벤트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발생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이름을 기설정된 식별정보로 할 수 있다.
서비스 생성부(112)는 근거리 통신의 보안을 위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키(key)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된 비밀정보는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생성부(112)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키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된 비밀정보는 별도의 공유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될 수 있고, 서비스 생성부(112)는 공유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공유 데이터베이스(16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서비스 생성부(112)는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거나 또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수신을 완료했음을 알리는 공유 파일 수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 생성부(112)는 복수의 컨텐츠 요청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서비스에 접속된 경우를 고려하여 공유 파일을 적어도 한번 송신하고, 마지막으로 공유 파일을 송신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 생성부(112)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종료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부(120)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부(120)에 여러 종류의 근거리 통신이 포함된 경우, 서비스 생성부(112)는 동일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근거리 통신 별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20)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 블루투스(Bluetooth)가 포함된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블루투스를 통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 별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는 동일한 공유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 파일 생성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파일명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이름을 기설정된 파일명으로 할 수 있다.
공유 파일 생성부(114)는 컨텐츠의 보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다.
공유 파일 생성부(114)는 인증부(115)를 대칭키(Symmetric-key)를 공유하는 경우, 대칭키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인증부(115)는 인증 서버(150)로부터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공유 파일 생성부(114)에서 생성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5)는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며, 컨텐츠의 보안의 강화를 위해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인증부(115)의 동작을 인증 서버(150)의 종류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인증부(115)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인증서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서에 포함된 서명을 인증 서버(150)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5)는 인증서에 포함된 서명을 복호화해서 추출할 수 있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부(130)의 전화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이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부(115)는 인증에 성공하면,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확인하고, 대칭키를 인증서에 포함된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는 사용자가 생성한 공개키와 비밀키 중에서 공개키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한다. 이때, 인증서는 서명과 사용자의 공개키를 포함하며, 서명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 되며, PKI 서버의 공개키로 복호화 될 수 있다.
인증 서버(150)가 KDC(Key Distribution Center) 서버인 경우, 인증부(115)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200)부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전화번호가 저장부(130)의 전화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여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5)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가 저장부(130)의 전화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이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부(115)는 인증에 성공하면,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확인하고,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KDC(Key Distribution Center) 서버는 식별정보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서버로서, 전화번호를 공개키로 사용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KDC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개인키의 생성을 요청 받으면, 개인키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인키를 생성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파일 공유부(116)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공유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파일 공유부(116)는 공유 파일이 송신된 퍼센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파일 공유부(116)는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면 공유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서비스 생성부(112), 공유 파일 생성부(114) 및 파일 공유부(11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 서비스 생성부(112), 공유 파일 생성부(114) 및 파일 공유부(116)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서비스 생성부(112), 공유 파일 생성부(114) 및 파일 공유부(116)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비스 생성부(112), 공유 파일 생성부(114) 및 파일 공유부(116)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서비스 연결부(212), 인증부(213), 공유 파일 요청부(214), 컨텐츠 추출부(216), 근거리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적외선 통신 등이 가능하다.
저장부(23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전화부,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제공받은 공유 파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공유 파일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24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40)는 인증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부(212)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부(212)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하나이면,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연결부(212)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서비스 연결부(212)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서비스 연결부(212)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각각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들 중에서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연결부(212)는 근거리 통신의 보안을 위하여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연결하는 키(key)로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된 비밀정보는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연결부(212)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키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된 비밀정보는 별도의 공유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될 수 있고, 서비스 연결부(212)는 공유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공유 데이터베이스(16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서비스 연결부(212)는 공유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면,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부(212)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종료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부(120)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부(220)에 여러 종류의 근거리 통신이 포함된 경우, 서비스 연결부(212)는 근거리 통신 별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통신부(220)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 블루투스(Bluetooth)가 포함된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블루투스를 통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부(212)는 동일한 서비스를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근거리 통신 별로 검색이 되면, 통신 상태가 가장 좋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인증부(213)는 인증 서버(150)로부터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대칭키를 자신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213)는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며, 컨텐츠의 보안의 강화를 위해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인증부(213)의 동작을 인증 서버(150)의 종류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인증부(213)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고, 공개키를 인증 서버(150)로 송신하여 인증서의 발급을 요청하고, 인증 서버(150)로부터 인증서를 수신한다. 이후, 인증부(213)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연결되고 공유 파일을 요청하기 이전에, 인증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인증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200)기의 공캐기로 암호화된 대칭키를 자신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가 KDC (Key Distribution Center) 서버인 경우, 인증부(213)는 인증 서버(150)로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송신하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인키의 발급을 요청하고, 인증 서버(150)로부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개인키를 수신한다. 이후, 인증부(213)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연결되고 공유 파일을 요청하기 이전에,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와 쌍을 이루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할 수 있다.
공유 파일 요청부(214)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파일명은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출부(216)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공유 파일을 제공받으면, 공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추출부(216)는 공유 파일이 암호화된 경우, 공유 파일을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추출부(216)는 공유 파일이 대칭키로 암호화된 경우, 인증부(213)에서 획득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추출부(216)는 컨텐츠를 추출하면 공유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서비스 연결부(212), 공유 파일 요청부(214) 및 컨텐츠 추출부(21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 서비스 연결부(212), 공유 파일 요청부(214) 및 컨텐츠 추출부(216)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서비스 연결부(212), 공유 파일 요청부(214) 및 컨텐츠 추출부(216)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서비스 연결부(212), 공유 파일 요청부(214) 및 컨텐츠 추출부(216)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근거리 통신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와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 간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310)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공유 이벤트를 발생 시킬 수 있다(322).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액세스 포인트(AP)로 동작하도록 활성화(on)하고, 서비스 세트 식별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사용자(310)의 이름(James)로 하고 키(key)를 사용자(310)의 전화번호(0103371224)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334).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31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공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335). 이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310)의 전화번호(0103371224)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할 수 있고, 인증을 통해 대칭키를 공유하는 경우 랜덤값의 대칭키를 생성하고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중심 네트워킹(CCN: Content-Centric Networking)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CCN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공유파일은 ccn을 파일의 확장자로 할 수 있다. 즉, 사용자(310)의 이름을 파일명으로 하고, ccn을 확장자로 하는 James.ccn을 공유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사용자(320)에 의한 공유 요청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근거리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사용자(310)의 전화번호부(Phone Book)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이름으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스트를 사용자(320)에게 제공할 수 있다(338).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사용자(320)가 선택한 사용자 이름(James)와 전화번호(0103371224)를 확인하여, 사용자 이름(James)을 SSID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전화번호(0103371224)의 키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336).
이후,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하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대칭키를 제공할 수 있다(339).
339단계는 생략 가능한 단계로 이후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이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사용자 이름(James)을 파일명으로 하는 공유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340).
340단계에서 컨텐츠 중심 네트워킹(CCN: Content-Centric Networking)으로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Interest 패킷을 방송하여 공유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Interest 패킷에는 요청하는 공유 파일의 정보(James.ccn)와 요청자의 정보(Alice)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이름(James)을 파일명으로 하는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공유 파일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342).
이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자의 정보(Alice)와 공유 파일이 송신된 퍼센트(%)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310)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344).
한편,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수신을 완료하면, 공유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346). 이때, 공유 파일이 전화번호로 암호화된 경우, 사용자(310)의 전화번호(0103371224)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파일이 대칭키로 암호화된 경우, 339단계에서 획득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추출한 켄텐츠를 사용자(320)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348).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공유 파일의 수신을 완료 했음을 알리는 공유 파일 수신 완료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고, 설정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350).
이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수신한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354).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354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종료한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이벤트의 종료를 감지하면,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352).
이때,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수신을 완료했음을 알리는 공유 파일 수신 완료 메시지 또는 공유 파일 송신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공유 이벤트의 종료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복수의 컨텐츠 요청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서비스에 접속된 경우를 고려하여 공유 파일을 적어도 한번 송신하고, 마지막으로 공유 파일을 송신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352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한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간 대칭키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을 통해 대칭키를 공유하는 경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인증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한다(410).
이때,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인증요청 메시지는 인증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서명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인증요청 메시지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한다(412). 인증 서버(150)의 종류에 따른 인증 방법은 도 1의 인증부(115)의 설명과 같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인증에 성공하면 공유 파일 생성부(114)에서 생성한 대칭키를 확인한다(414).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송신한다(416).
이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화하여 대칭키를 획득한다(418).
한편,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와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컨텐츠의 보안을 위해 대칭키를 공유할 수도 있지만,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암호화 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암호화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하는 방식은 안전하기는 하나 처리 속도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도 4와 같이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대칭키를 공유하고, 공유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암호화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510),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512).
이때, 공유 이벤트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발생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512단계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보안을 위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서비스하는 근거리 통신의 키(key)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514).
이때, 기설정된 파일명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514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컨텐츠의 보안을 위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고, 인증을 통해 대칭키를 공유하는 경우 랜덤값의 대칭키를 생성하고 대칭키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하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대칭키를 제공할 수 있다(516). 516단계는 생략 가능한 단계로 이후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518), 공유 파일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520).
520단계에서 공유 파일을 제공할 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파일이 송신된 퍼센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522).
이때,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공유 파일의 수신을 완료했음을 알리는 공유 파일 수신 완료 메시지 또는 공유 파일 송신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공유 이벤트의 종료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복수의 컨텐츠 요청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서비스에 접속된 경우를 고려하여 공유 파일을 적어도 한번 송신하고, 마지막으로 공유 파일을 송신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522단계의 확인결과 공유 이벤트의 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518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522단계의 확인결과 공유 이벤트의 종료가 감지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524),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526).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526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종료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근거리 통신부(120)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 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대칭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610),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한다(612).
이때, 인증 서버(150)의 종류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인증서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서에 포함된 서명을 인증 서버(150)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서버(150)가 KDC(Key Distribution Center) 서버인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200)부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전화번호가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여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인증에 성공하면(614) 공유 파일을 생성할 때, 공유 파일을 암호화하기 위해 생성한 대칭키를 확인한다(616).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다(618).
그리고,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는 암호화된 대칭키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로 송신한다(620).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710),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712).
이때,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 중 하나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714).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송신한다(716).
716단계에서 인증 요청 메시지는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인증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서명과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716단계에서 인증 요청 메시지는 인증 서버(150)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버인 경우,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자신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한다(718).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연결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720).
이때, 기설정된 파일명은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공유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722).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수신한 공유 파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724).
724단계에서 컨텐츠를 추출할 때, 공유 파일이 암호화된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공유 파일을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수신한 공유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726).
그리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728).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728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종료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근거리 통신부(220)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810).
810단계의 확인결과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음을 출력하고(812),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810단계의 확인결과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존재하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두개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814).
814단계의 확인결과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한 개이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816).
814단계의 확인결과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두개 이상이면,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검색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818).
818단계에서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는 방법,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각각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들 중에서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 등이 가능할 수 있다.
818단계 이후에, 컨텐츠 요청 단말기(200)는 선택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820).
816단계, 818단계 및 820단계는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때,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보안을 위해 키(key)를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키로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연결하고자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컨텐츠 제공 단말기
112: 서비스 생성부
114: 공유 파일 생성부
115: 인증부
116: 파일 공유부
150: 인증 서버
200: 컨텐츠 요청 단말기
212: 서비스 연결부
213: 인증부
214: 공유 파일 요청부
216: 컨텐츠 추출부
112: 서비스 생성부
114: 공유 파일 생성부
115: 인증부
116: 파일 공유부
150: 인증 서버
200: 컨텐츠 요청 단말기
212: 서비스 연결부
213: 인증부
214: 공유 파일 요청부
216: 컨텐츠 추출부
Claims (29)
-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서비스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하는 공유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공유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키(key)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파일명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파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공유 파일이 송신된 퍼센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공유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인증서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증서에 포함된 서명을 인증 서버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확인하고, 상기 대칭키를 상기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 파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한 대칭키를 확인하고, 상기 대칭키를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 파일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파일로 생성할 때,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파일을 암호화 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서비스 연결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하는 공유 파일 요청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파일명은,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직책, 주소, 별명, 생일 또는 이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하나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연결하는 키(key)로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는 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유된 비밀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둘 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들 각각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공유 파일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면, 상기 공유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부는,
상기 공유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종료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인증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공개키로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공유 파일을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쌍을 이루는 개인키로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화해서 대칭키를 획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공유 파일을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 -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서비스의 식별정보로 하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의 제공을 요청 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서비스하는 근거리 통신의 키(key)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 근거리 공유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기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기설정된 파일명을 가지는 공유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유 파일을 제공받으면, 상기 공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진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하나이면,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근거리 통신 서비스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사전에 공유된 비밀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키(key)로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컨텐츠 요청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1784A KR102226836B1 (ko) | 2013-10-14 | 2013-10-14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1784A KR102226836B1 (ko) | 2013-10-14 | 2013-10-14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3628A true KR20150043628A (ko) | 2015-04-23 |
KR102226836B1 KR102226836B1 (ko) | 2021-03-11 |
Family
ID=5303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1784A KR102226836B1 (ko) | 2013-10-14 | 2013-10-14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68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186B1 (ko) | 2015-11-16 | 2016-11-09 | 주식회사 지유비 |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KR20200137520A (ko) * | 2019-05-30 | 2020-12-09 | 문성욱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lan) 환경에서 기기 간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6904B1 (ko) * | 1999-10-20 | 2001-04-16 | 남궁종 | 분산 pc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
JP2002199326A (ja) * | 2000-10-13 | 2002-07-12 | Seiko Epson Corp | 遠隔アクセス可能なプログラミング |
WO2008087739A1 (ja) * | 2007-01-19 | 2008-07-24 | Panasonic Corporation | 近距離通信装置およびファイル共有方法 |
KR20120003917A (ko) * | 2009-04-02 | 2012-01-11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파일 전송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2013
- 2013-10-14 KR KR1020130121784A patent/KR1022268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6904B1 (ko) * | 1999-10-20 | 2001-04-16 | 남궁종 | 분산 pc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
JP2002199326A (ja) * | 2000-10-13 | 2002-07-12 | Seiko Epson Corp | 遠隔アクセス可能なプログラミング |
WO2008087739A1 (ja) * | 2007-01-19 | 2008-07-24 | Panasonic Corporation | 近距離通信装置およびファイル共有方法 |
KR20120003917A (ko) * | 2009-04-02 | 2012-01-11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파일 전송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186B1 (ko) | 2015-11-16 | 2016-11-09 | 주식회사 지유비 |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KR20200137520A (ko) * | 2019-05-30 | 2020-12-09 | 문성욱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lan) 환경에서 기기 간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6836B1 (ko) | 2021-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9072B2 (ja) | 共有エフェメラル・キー・データのセットを用いるエクスチェンジを符号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9843575B2 (en) |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and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apparatus | |
KR101889495B1 (ko) | 패시브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 구성 | |
CN104539439B (zh) | 数据传输方法及终端 | |
CN101366299B (zh) | 使用特殊随机询问的引导认证 | |
CN110192381B (zh) | 密钥的传输方法及设备 | |
CN105337740B (zh) | 一种身份验证方法、客户端、中继设备及服务器 | |
US10769615B2 (en) |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706117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 |
EP2879421B1 (en) | Terminal identity verification and service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and terminal | |
EP37357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d-to-end secure communic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 |
WO2014180296A1 (zh) | 一种设备之间建立连接的方法、配置设备和无线设备 | |
CN102739642A (zh) | 许可访问网络 | |
CN107306261B (zh) | 一种加密通讯方法及装置、系统 | |
JP2017538321A (ja) | 認証相互運用性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N109922474A (zh) | 触发网络鉴权的方法及相关设备 | |
US11006464B2 (en) |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for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 |
CN112566119A (zh) | 终端认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CN103491183A (zh) | 一种数据分享的方法、移动终端及云服务器 | |
CN110519760A (zh) | 网络接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CN113556227A (zh) | 网络连接管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 |
CN103368735B (zh) | 应用接入智能卡的认证方法、装置和系统 | |
US2007015702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ssion key for WUSB securit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the session key | |
CN104980919A (zh) | 网络服务信息的获取方法及设备 | |
CN115868189A (zh) | 建立车辆安全通信的方法、车辆、终端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