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186B1 -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186B1
KR101669186B1 KR1020150160537A KR20150160537A KR101669186B1 KR 101669186 B1 KR101669186 B1 KR 101669186B1 KR 1020150160537 A KR1020150160537 A KR 1020150160537A KR 20150160537 A KR20150160537 A KR 20150160537A KR 101669186 B1 KR101669186 B1 KR 101669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nfc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유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유비
Priority to KR102015016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NFC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여 인증하고, NFC 매체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웹서버가 컨텐츠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유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안화된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앱스토어 및 컨텐츠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NFC매체는 유저단말기에 근접되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가 갖고 있는 매체정보를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NFC매체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NFC매체의 매체정보를 상기 웹서버에게 제공하고 컨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웹서버의 동작제어에 의하여 컨텐츠서버로부터 일부의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달받으며, 상기 웹서버는 유저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NFC매체의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절차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유저단말기로 스트리밍에 의하여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The Secur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hereof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NFC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여 인증하고, NFC 매체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웹서버가 컨텐츠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유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보안화된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의 보편화와 다기능화 및 고도화로 됨에 따라, 유,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컨텐츠를 유저의 기기를 통하여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의 통신기기는 근거리 통신방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통신기기 내부에 대부분 내장되어 있으며, 특히 휴대 통신기기인 스마트폰의 획기적인 진화와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유저들은 허가되지 않은 컨텐츠를 불법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자들은 이와 같이 불법적인 이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정상적으로 하가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증절차에 의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시도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먼저 단말기 상호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WiFi, BT 등)으로 페어링을 하고, 이때 블루투스(BT)로 연결할 경우 상호간에 블루투스 식별정보(ID)의 연결 승인을 통하여 페어링을 맺으며, WiFi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 간에 동일한 WiFi 서비스 세트 식별정보(Service Set Identifier)에 접속되어 있어야 하고, 원하는 상대 단말기의 식별정보(ID 또는 IP 주소)를 인지한 후에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페이링된 단말기들 중 해당 단말기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다운로드 폴더에서 해당 컨텐츠를 확인하는 인증과정에 의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3628, 2015. 04. 23. 공개).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프라인 유통을 위한 방법으로써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NFC 매체 고유 코드 등록 허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C 매체 고유 코드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고유 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NFC 매체 고유 코드에 매칭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개수가 한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NFC 매체 고유 코드 등록 허용 메시지 또는 NFC 매체 고유 코드 등록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의한 인증절차에 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한국 등록특허공보 10-1398766, 2014. 06. 02. 공고).
이와 같이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유통하는 경우는 요청된 컨텐츠가 인증절차를 통하여 단말기로 다운 로드되어 해당 단말기에 저장되기 때문에 컨텐츠의 저장에 따른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아울러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가 보안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법 복제가 가능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3628(2015. 04. 23.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398766(2014. 06. 02. 공고)
본 발명은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가 NFC매체의 매체정보 데이터를 유저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승인하고 승인된 유저단말기로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 자체를 분리하여 복수의 DB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웹서버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컨텐츠서버를 구비하며 분리되어 암호화된 컨텐츠를 각각 복수의 DB부 또는 복수의 컨텐츠서버에 각각 저장하여 웹서버의 용량을 극대화하였으며, 분리된 컨텐츠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컨텐츠서버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컨텐츠에 대한 서버의 보안성과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및 컨텐츠 자체의 보안성을 기반으로 하여 유저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전송속도와 컨텐츠 제공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하더라도 암호화된 컨텐츠를 대기데이터를 보관하는 컨텐츠서버와 인증데이터를 보관하는 컨텐츠서버를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의 서버에 분리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대기데이터 및 인증데이터가 보관된 컨텐츠 서버들을 관리하는 내부 관리자 조차도 컨텐츠의 복제 및 불법 유통이 불가능하도록 서버의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되어 보관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 각각을 유저단말기로 별도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파형식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해커에 의한 데이터의 해킹에도 대비할 수 있는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웹서버는 보안화된 영역의 대기데이터만 전송하여 유저단말기에 저장되게 하고 보안화된 영역의 인증데이터는 컨텐츠 이용 요청 시에만 스트리밍(인터넷 을 통한 실시간 재생)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형태의 보안화된 대기데이터만 유저단말기에 저장되고 인증데이터는 유저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 이용 요청 시에만 스트리밍 전송되고 컨텐츠 이용 종료 시 또는 사용 종료시에 인증데이터는 삭제되어 컨텐츠가 유저단말기 내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단말기를 사용하는 유저들에 의한 원천적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 배포 및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데이터구조 자체를 분리하여 일부의 대기데이터를 전송하고 컨텐츠 요청시에만 인증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하기 때문에 컨텐츠 전체를 스트리밍 전송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저단말기가 수회 반복적으로 요청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시간과 데이터 사용량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앱스토어 및 컨텐츠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NFC매체는 유저단말기에 근접되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가 갖고 있는 매체정보를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NFC매체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NFC매체의 매체정보를 상기 웹서버에게 제공하고 컨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웹서버의 동작제어에 의하여 컨텐츠서버로부터 일부의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달받으며, 상기 웹서버는 유저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NFC매체의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절차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유저단말기로 스트리밍에 의하여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및 앱스토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NFC매체는 유저단말기에 근접되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가 갖고 있는 매체정보를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NFC매체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NFC매체의 매체정보와 유저단말기의 계정을 상기 웹서버에게 제공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웹서버에 의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달받으며, 상기 웹서버는 유저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NFC매체의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절차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유저단말기로 컨텐츠서버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유저단말기가 사용 가능한 컨텐츠로 변환하여 스트리밍 방식에 의하여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며, 유저단말기가 상기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을 요청하여 실행하며, 상기 컨텐츠서버상기 웹서버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웹서버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앱스토어 및 컨텐츠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서의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NFC 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와 컨텐츠ID와 컨텐츠구동앱ID의 매체정보를 갖는 NFC매체를 유저단말기에 접촉하고, 유저단말기가 상기 NFC매체의 매체정보(컨텐츠구동앱ID, 컨텐츠 ID, NFC 고유ID, 보안인증코드)를 NFC통신부를 통한 NFC통신에 의하여 인식하는 단계(S10)와, 유저단말기의 구동처리부는 NFC매체로부터 제공된 상기 매체정보 중에서 컨텐츠구동앱ID를 인지하여 유저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시키는 단계(S20)와, 유저단말기는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30)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NFC매체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웹서버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40)와,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의 DB부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웹서버의 데이터변환부에서 암호화하여 웹서버의 보안인증부에 저장하고 웹서버의 제어부는 웹서버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인증되어 컨텐츠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단말기는 컨텐츠구동앱을 통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나열된 컨텐츠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처리부는 선택한 해당 컨텐츠의 요청정보 및 유저단말기의 DB부에 해당 컨텐츠의 대기데이터 유무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60)단계와,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유저단말기가 요청한 컨텐츠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컨텐츠서버에게 상기 유저단말기로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S70)와, 상기 제2컨텐츠서버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저단말기의 컨텐츠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2컨텐츠서버의 DB부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제2 컨텐츠서버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해당 유저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S80)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제1컨텐츠서버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제2컨텐츠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에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S90)단계 및 상기 (S90)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의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방법은, NFC 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와 컨텐츠ID와 컨텐츠구동앱ID의 매체정보를 갖는 NFC매체를 유저단말기에 접촉하고, 유저단말기가 상기 NFC매체의 매체정보(컨텐츠구동앱ID, 컨텐츠 ID, NFC 고유ID, 보안인증코드)를 NFC통신부를 통한 NFC통신에 의하여 인식하는 단계(S10)와, 유저단말기의 구동처리부는 NFC매체로부터 제공된 상기 매체정보 중에서 컨텐츠구동앱ID를 인지하여 유저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시키는 단계(S20)와, 유저단말기는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30)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NFC매체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웹서버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40)와,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의 DB부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웹서버의 데이터변환부에서 암호화하여 웹서버의 보안인증부에 저장하고 웹서버의 제어부는 웹서버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인증되어 컨텐츠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단말기는 컨텐츠구동앱을 통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나열된 컨텐츠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60)와, 상기 구동처리부는 선택한 해당 컨텐츠의 요청정보 및 유저단말기의 DB부에 해당 컨텐츠의 대기데이터 유무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1)와,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유저단말기가 요청한 컨텐츠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웹서버의 DB부의 제2컨텐츠DB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S81)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웹서버 DB부의 제1컨텐츠DB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DB부의 제2컨텐츠DB로로부터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에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S91) 및 상기 (S91))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의 구동제어부는 상기 웹서버 DB부의 제2컨텐츠DB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그 제공방법은 NFC매체의 매체정보를 유저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승인하고 승인된 유저단말기로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컨텐츠 자체를 분리하여 웹서버 내의 복수의 컨텐츠DB에 분리 저장하거나 또는 웹서버와 분리된 복수의 컨텐츠서버를 구비하여 분리된 컨텐츠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여 웹서버 저장영역의 용량을 극대화하는 효과 및 분리된 컨텐츠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컨텐츠서버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컨텐츠에 대한 서버의 보안성과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및 컨텐츠 자체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단말기에 요청되는 컨텐츠 파일의 전부가 저장되지 않고 유저단말기가 컨텐츠 요청할 경우에만 웹서버가 컨텐츠 중에서 유저단말기의 캐쉬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되는 보안성을 구비한 인증데이터 만을 스트리밍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유저단말기는 실행 및 저장 공간 측면에서 부하가 발생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웹서버는 보안화된 영역의 대기데이터만 전송하여 유저단말기에 저장되게 하고 보안화된 영역의 인증데이터는 컨텐츠 이용 요청 시에만 스트리밍(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재생)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형태의 보안화된 대기데이터만 유저단말기에 저장되고 인증데이터는 유저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 이용 요청 시에만 스트리밍 전송되고 컨텐츠 이용 종료 시 또는 사용 종료시에 인증데이터는 삭제되어 컨텐츠가 유저단말기 내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단말기를 사용하는 유저들에 의한 원천적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 배포 및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전송속도와 컨텐츠 제공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하더라도 암호화된 컨텐츠를 대기데이터를 보관하는 컨텐츠서버와 인증데이터를 보관하는 컨텐츠서버를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의 서버에 분리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대기데이터 및 인증데이터가 보관된 컨텐츠 서버들을 관리하는 내부 관리자에 의한 컨텐츠의 복제 및 불법 유통이 불가능하도록 서버의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분리되어 보관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 각각을 유저단말기로 별도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파형식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해커에 의한 데이터의 해킹에도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NFC매체의 보안된 영역에 보안인증코드를 입력하여 응용프로그램이 NFC매체가 정품인지 확인하도록 하는 1차적인 보안화 인증과정과, 컨텐츠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부 또는 각각의 컨텐츠 서버에 분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의 2차적인 보안화 보관과정과, 암호화 하여 분리된 컨텐츠를 각각 따로 전송하는 전송의 3차적인 보안화 전송과정 및 그리고 컨텐츠를 제공받은 단말기에 대기데이터만 저장하고 인증데이터는 플레시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여 단말기 해킹 또는 무단복제 그리고 유포 등으로부터 원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4차적인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안화된 컨텐츠의 제공 또는 거례방법을 통해 불법복제 및 컨텐츠의 제공자는 컨텐츠를 안전하게 제공 또는 거래 할 수 있도록 권익을 보호받고, 컨텐츠의 사용자는 정품인증을 통하여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컨텐츠를 이용 또는 사용 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본 발명과 같은 혁신적인 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안전하게 컨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매체를 보급할 수 있고 또한 컨텐츠의 안전한 거례와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컨텐츠의 보안이 확보되지 않은 국가 또는 지역에도 제공 또는 거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FC 매체와 유저단말기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웹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웹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제1컨텐츠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제2컨텐츠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한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각 구성별 데이터 송수신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매체(100)와, 유저단말기(200), 웹서버(300). 앱스토어(400) 및 복수의 컨텐츠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NFC매체(100)는, 유저단말기(200)에 근접되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NFC매체(100)가 갖고 있는 매체정보를 유저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NFC매체(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300)와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NFC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매체정보를 상기 웹서버(300)에게 제공하며, 상기 웹서버(400)에 의하여 복수의 컨텐츠서버(500)에 저장된 컨텐츠인 영상, 음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제공받아 실행한다.
상기 웹서버(300)는, 유저단말기(200)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유저단말기(20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와 앱스토어(400) 및 복수의 컨텐츠서버(500)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앱스토어(400)는, 상기 컨텐츠서버(500)로부터 상기 유저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이 저장되며, 상기 컨텐츠서버(5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저단말기(20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 및 웹서버(3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다.
즉, NFC매체 정보에 의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웹서버(300)에 접속되어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승인된 유저단말기(200)가 상기 컨텐츠서버(5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텐츠서버(500)는 유저단말기에게 컨텐츠 중에서 대기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컨텐츠서버(510)와, 유저단말기에게 컨텐츠 중에서 인증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하는 제2컨텐츠서버(52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FC 매체와 유저단말기(200)의 상세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FC매체(100)는, 유저단말기(200)에 근접되었을 경우에 동작되는 루프안테나(미도시)와, 상기 루프안테나에서 발생된 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되는 NFC칩(110)을 포함한다.
상기 NFC칩(110)은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에 접속되어 유저단말기(200)로 제1데이터(111)인 NFC고유ID와 제2데이터(112)인보안인증코드와, 제3데이터(113)인 앱스토어에 연결되는 컨텐츠구동앱ID와, 제4데이터(114)인 컨텐츠ID 및 제5데이터인 S/N(Serial Number)을 전송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은 무선랜, 블루투스, WI-Fi, 적외선통신 및 RFID 등이 속한다.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NFC통신부(210), 컨텐츠구동앱(220), 메모리부(230), 표시부(240), 통신부(250), 구동처리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NFC매체(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300) 및 상기 앱스토어(400)와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상기 NFC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매체정보를 상기 웹서버(300)에게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인 영상, 음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실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NFC매체(100)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NFC통신부(210)와. 상기 NFC매체(100)의 보안인증코드를 인증처리하고 상기 웹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하며, 웹서버의 제어동작에 따른 컨텐츠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병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컨텐츠구동앱(220)과, 상기 NFC매체(100)로부터 수신되는 제1데이터 내지 제4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30)와,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작동상태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240) 및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외부의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250) 및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전체적인 시스템 동작을 처리하는 구동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NFC매체의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컨텐츠ID 및 S/N과 유저단말기계정을 포함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S/N)를 웹서버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요청하면, 웹서버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제1컨텐츠서버(510)로부터 컨텐츠의 제1데이터인 대기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230)에 저장하고, 상기 제2컨텐츠서버(520)로부터 컨텐츠의 제2데이터인 인증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하여 캐쉬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합성하여 원래의 컨텐츠를 복원 생성하여 재생한 후 상기 생성된 원본컨텐츠를 삭제하면 상기 유저단말기(200)에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데이터만 남고 결과적으로 스트리밍 수신된 인증데이터는 삭제된다. 이후에 유저단말기(200)는 웹서버(300)로 컨텐츠를 요청하면 상기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서 컨텐츠를 이용 재생할 수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웹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서버(300)는, 인터페이스부(310), 보안인증부(320)와, 데이터변환부(330)와, DB부(340)와, 결제부(350)와,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0)는, 복수의 유저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제어한다.
상기 보안인증부(320)는, 상기 NFC매체(100)로부터 수신된 고유 데이터인 NFC고유ID를 인증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330)는, 제1 및 제2컨텐츠서버(510, 520)에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부호화하며,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DB부(340)에 저장하기 위하여 NFC매체 정보 및 유저단말기(200)의 단말기계정 정보를 데이터 변환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B부(340)는, 유저단말기(200)와 NFC매체(100)의 인증을 위한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보안DB와,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유저DB와, 웹서버(300)로 접속되는 각 종류별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정보DB와,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서버(500)의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경로의 정보인 컨텐츠ID가 저장되는 컨텐츠호출경로D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제부(350)는. 유저단말기(200)가 접속하여 컨텐츠의 구매 및 결제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웹서버(300)의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 모듈별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NFC매체(100)와 유저단말기(200)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 처리된 유저단말기(200)에게 웹서버(300)의 제어부(360) 동작 제어 명령에 의하여 컨텐츠서버(500)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유저단말기(200)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증 절차가 완료된 유저단말기(200)는 웹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무제한적으로 스트리밍 전송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제1컨텐츠서버 및 제2컨텐츠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텐츠서버(510)는, 인터페이스부(511)와, 제1컨텐츠DB부(512), 및 처리부(513)를 포함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텐츠서버(520)는, 인터페이스부(521)와, 제2컨텐츠DB부(522), 및 처리부(5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11, 521)는, 대기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컨텐츠DB부(512) 또는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컨텐츠DB부(522)에 웹서버(300)의 데이터변환부(330)에 의하여 암호화하여 변환 저장된 컨텐츠(대기데이터 및 인증데이터)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유저단말기(200)에게 상기 제1컨텐츠DB부(512) 또는 제2컨텐츠DB부(522)에 저장된 대기데이터 및 인증데이터를 전송 제어한다.
상기 제1컨텐츠DB부(512) 및 상기 제2컨텐츠DB부(522)는, 상기 웹서버(300)의 데이터변환부(330)로부터 데이터 변환된 각 종류별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즉, 음원DB, 이미지DB, 텍스트DB, 영상DB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513, 523),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에 의한 동작 지시명령에 의하여 상기 각 종류별 DB부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인 대기데이터 및 인증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와 같이, 상기 컨텐츠서버(500)는, 상기 웹서버(300)에서 암호화된 컨텐츠가 저장되는 서버로서, 제1컨텐츠서버(510) 및 제2컨텐츠서버(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컨테츠서버(510)에는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에 저장되는 대기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츠서버(520)에는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에 저장되지 않고 유저단말기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인증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웹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에서 컨텐츠서버(50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컨텐츠서버(500)를 웹서버(300) 내의 DB부(340) 내에 포함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웹서버의 DB부(340)는 암호화된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1컨텐츠DB 및 제2컨텐츠D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컨텐츠DB에는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로 제공되어 저장되는 대기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텐츠DB에는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200)에 저장되지 않고 유저단말기(200)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인증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한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각 구성별 데이터 송수신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단계 : NFC 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와 컨텐츠ID와 컨텐츠구동앱ID의 매체정보를 갖는 NFC매체(100)를 유저단말기(200)에 접촉하고, 유저단말기(200)가 상기 NFC매체(100)의 매체정보(컨텐츠구동앱ID + 컨텐츠 ID + NFC 고유ID + 보안인증코드)를 NFC통신부(210)를 통한 NFC통신에 의하여 인식하는 단계와;
(S20)단계 :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처리부(260)는 NFC매체(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매체정보 중에서 컨텐츠구동앱ID를 인지하여 유저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S30)단계 : 유저단말기(200)는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100)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100)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100)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S40)단계 :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NFC매체(100)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웹서버(300)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S50)단계 :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300)의 DB부(340)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웹서버(300)의 데이터변환부(330)에서 암호화하여 웹서버의 보안인증부(320)에 저장하고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웹서버(300)의 DB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와;
(S60)단계 :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인증되어 컨텐츠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단말기(200)는 컨텐츠구동앱(220)을 통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표시되어 나열된 컨텐츠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처리부(260)는 선택한 해당 컨텐츠의 요청정보 및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해당 컨텐츠의 대기데이터 유무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하여 웹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와;
(S70)단계 :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요청한 컨텐츠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컨텐츠서버(502)에게 상기 유저단말기(200)로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와;
(S80)단계 : 상기 제2컨텐츠서버(502)는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유저단말기(200)의 컨텐츠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2컨텐츠서버(502)의 인증데이터부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제2 컨텐츠서버(502)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해당 유저단말기(200)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와;
(S90)단계 :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제1컨텐츠서버(501)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제2컨텐츠서버(502)로부터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200)에 설치된 컨텐츠구동앱(220)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S100)단계 : 상기 (S90)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제어부(270)는 상기 제2 컨텐츠서버(502)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20)단계에서 상기 유저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유저단말기(200)의 통신부(250)를 통한 인터넷망으로 해당 컨텐츠구동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400)에 접속되어 컨텐츠구동앱 설치 파일을 요청하는 (S21)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앱스토어(400)로부터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을 다운받고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설치여부를 승인하여 컨텐츠구동앱을 설치하여 실행하는 (S2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0)단계에서 NFC매체(100)가 정품이 아닌 경우 컨텐츠구동앱은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정품이 아니라는 경고메세지를 표시한 후 종료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50)단계에서,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 상기 웹서버(300)의 DB부(340)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웹서버(300)의 DB부(340)에 저장되어 있던 Pre-컨텐츠와 NFC매체(100)의 S/N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유저단말기(200)의 컨텐츠구동앱(220)은 표시부(240)를 통하여 Pre- 컨텐츠를 제공하고 S/N 입력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S51)단계와; (여기서, “Pre-컨텐츠”라 함은 원본컨텐츠가 아닌 미리 듣기(보기)만이 가능한 제한된 컨텐츠를 의미하며, 이후에 정품 NFC매체의 S/N에 기초한 인증절차에 의하여 보완화된 원본컨텐츠를 제공함)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제공된 Pre-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웹서버(300)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S40)단계를 수행하는 (S52)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S70)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제1 컨텐츠서버(501)에게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대기대이터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고 제2컨텐츠서버(502)에게는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S71)단계와; 상기 (S71)단계 이후에,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유저단말기(200)의 컨텐츠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서버(501, 502) 각각의 제1 및 제2컨텐츠DB부에 저장된 대기데이터 또는 인증데이터를 기 제1 및 제2 컨텐츠서버(501, 502)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텐츠서버(501)는 대기데이터를 상기 제2 컨텐츠서버(502)는 인증데이터를 해당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S81)단계; 및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서버(501, 502) 각각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기 설치되어 동작되는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S91)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01)단계 : 상기 (S91)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제어부(270)는 상기 제2 컨텐츠서버(502)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방법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S10)단계 : NFC 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와 컨텐츠ID와 컨텐츠구동앱ID의 매체정보를 갖는 NFC매체(100)를 유저단말기(200)에 접촉하고, 유저단말기(200)가 상기 NFC매체(100)의 매체정보(컨텐츠구동앱ID + 컨텐츠 ID + NFC 고유ID + 보안인증코드)를 NFC통신부(210)를 통한 NFC통신에 의하여 인식하는 단계와;
(S20)단계 :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처리부(260)는 NFC매체(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매체정보 중에서 컨텐츠구동앱ID를 인지하여 유저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S30)단계 : 유저단말기(200)는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100)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100)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100)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S40)단계 :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NFC매체(100)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웹서버(300)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S50)단계 :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300)의 DB부(340)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웹서버(300)의 데이터변환부(330)에서 암호화하여 웹서버의 보안인증부(320)에 저장하고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웹서버(300)의 DB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와;
(S60)단계 :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인증되어 컨텐츠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단말기(200)는 컨텐츠구동앱(220)을 통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표시되어 나열된 컨텐츠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처리부(260)는 선택한 해당 컨텐츠의 요청정보 및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해당 컨텐츠의 대기데이터 유무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하여 웹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와;
(S70-1)단계 :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요청한 컨텐츠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웹서버의 DB부(340)의 제2컨텐츠DB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200)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와;
(S90)단계 :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웹서버(300) DB부(340)의 제1컨텐츠DB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DB부(340)의 제2컨텐츠DB로로부터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200)에 설치된 컨텐츠구동앱(220)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S100)단계 : 상기 (S90)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제어부(270)는 상기 웹서버 DB부(340)의 제2컨텐츠DB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20)단계에서 상기 유저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유저단말기(200)의 통신부(250)를 통한 인터넷망으로 해당 컨텐츠구동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400)에 접속되어 컨텐츠구동앱 설치 파일을 요청하는 (S21)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앱스토어(400)로부터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을 다운받고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설치여부를 승인하여 컨텐츠구동앱을 설치하여 실행하는 (S22)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30)단계에서 NFC매체(100)가 정품이 아닌 경우 컨텐츠구동앱은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에 정품이 아니라는 경고메세지를 표시한 후 종료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50)단계에서,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 상기 웹서버(300)의 DB부(340)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웹서버(300)의 DB부(340)에 저장되어 있던 Pre-컨텐츠와 NFC매체(100)의 S/N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유저단말기(200)의 컨텐츠구동앱(220)은 표시부(240)를 통하여 Pre- 컨텐츠를 제공하고 S/N 입력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S51)단계와; (여기서, “Pre-컨텐츠”라 함은 원본컨텐츠가 아닌 미리 듣기(보기)만이 가능한 제한된 컨텐츠를 의미하며, 이후에 정품 NFC매체의 S/N에 기초한 인증절차에 의하여 보완화된 원본컨텐츠를 제공함)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제공된 Pre-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웹서버(300)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S40)단계를 수행하는 (S52)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S70-1)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웹서버(300)의 제어부(360)는 컨텐츠DB부(370)의 제1컨텐츠DB(371)에 저장된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대기대이터를 유저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컨텐츠DB부(370)의 제2컨텐츠DB(372)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하는 (S71-1)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상기 제1 및 제2컨텐츠DB 각각에 저장되어 전송되는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기 설치되어 동작되는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의 표시부(240)를 통하여 유저단말기(200)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S81-1)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01)단계 : 상기 ((S81-1)단계 이후에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구동제어부(270)는 상기 웹서버(300) DB부(340)의 인증데이터DB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NFC매체(100)가 유저단말기(200)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유저단말기(200)가 NFC매체(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인식된 NFC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유저단말기(200)의 DB부(240)에 기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을 통한 NFC매체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제1인증절차와, 상기 유저단말기(200)가 웹서버(300)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계정정보 중에서 NFC고유ID,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30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웹서버(300)의 DB부(340)에 기저장된 NFC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호 비교, 확인하여 보안화된 인증데이터(캐쉬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단말기(200)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유저단말기(200)에는 인증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하여 웹서버(300)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DB부(260)에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은 보안화된 인증데이터(캐쉬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병합한 원본컨텐츠를 활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성을 구비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2단계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2단계의 인증과정을 수행한 유저단말기는 횟수에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보안화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NFC매체 110 : NFC칩
111 : 제1데이터부 112 : 제2데이터부
113 : 제3데이터부 114 : 제4데이터부
200 : 유저단말기 210 : NFC통신부
220 : 컨텐츠구동앱 230 : 메모리부
240 : 표시부 250 : 통신부
260 : 구동처리부
300 : 웹서버 310 : 인터페이스부
320 : 보안인증부 330 : 데이터변환부
340 : DB부 350 : 결제부
360 : 제어부 370 : 컨텐츠DB부
371 : 제1컨텐츠DB 372 : 제2컨텐츠DB
400 : 앱스토어 500 : 컨텐츠서버
510 : 제1컨텐츠서버 520 : 제2컨텐츠서버
511, 521 : 인터페이스부 512 : 대기데이터부
522 : 인증데이터부 513, 523 : 처리부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앱스토어 및 컨텐츠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C매체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근접되어 근거리통신을 수행하여 NFC 자체의 매체정보(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 컨텐츠구동앱ID, 컨텐츠ID)를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NFC매체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NFC매체의 매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구동앱ID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상기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을 요청하여 실행하며, 상기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에 구비되는 메모리부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며, NFC매체(100)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웹서버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웹서버의 동작 제어에 의하여 상기 웹서버의 동작제어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보안화된 컨텐츠(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전달받아 상기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구동앱에 의하여 실행하며,
    상기 웹서버는, 복수의 유저단말기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NFC매체로부터 수신된 고유 데이터인 NFC고유ID를 인증 처리하는 보안인증부와, 상기 컨텐츠서버에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해 부호화하며,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NFC매체 정보 및 유저단말기 단말기계정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유저단말기와 NFC매체의 인증을 위한 보안인증코드가 저장되는 보안DB부와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유저DB부와 웹서버로 접속되는 각 종류별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정보DB부와,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서버의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경로인 컨텐츠ID가 저장되는 컨텐츠호출경로DB부를 포함하는 DB부와, 유저단말기가 접속하여 컨텐츠의 구매 및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유저단말기에 의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유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NFC매체의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절차에 의하여 컨텐츠를 요청한 유저단말기로 컨텐츠서버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유저단말기가 사용 가능한 컨텐츠로 변환하여 스트리밍 방식에 의하여 보안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컨텐츠서버에게 요청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DB부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상기 데이터변환부에서 암호화하여 보안인증부에 저장하고,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며,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 모듈별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서버는, 상기 웹서버에서 암호화된 컨텐츠가 저장되는 서버로서,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에 저장되는 대기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컨텐츠서버와, 컨텐츠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컨텐츠 파일 중 유저단말기에 저장되지 않고 유저단말기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컨테츠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컨텐츠서버와 제2컨텐츠서버 각각은, 대기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와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에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변환부에 의하여 암호화하여 변환 저장되는 상기 컨텐츠(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 및 상기 유저단말기로는 상기 제1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에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상기 제2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전송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에 의한 동작 지시명령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제1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 및 상기 제2컨텐츠서버의 컨텐츠DB부에 암호화하여 저장된 상기 컨텐츠(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하는 처리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FC매체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근접되었을 경우에 동작되는 루프안테나와, 상기 루프안테나에서 발생된 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되는 NFC칩을 포함하며, 상기 NFC칩은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저단말기에 접속되어 유저단말기로 NFC매체의 매체정보인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 컨텐츠구동앱ID 및 컨텐츠ID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NFC매체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NFC통신부와. 상기 NFC매체의 보안인증코드를 인증처리하고 상기 웹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하며, 웹서버의 제어동작에 따른 컨텐츠서버로부터 수신된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병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컨텐츠구동앱과, 상기 NFC매체로부터 수신되는 매체정보(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 컨텐츠구동앱ID 및 컨텐츠ID)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유저단말기의 작동상태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외부의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유저단말기 자체의 전반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여 처리하는 구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NFC매체와, 유저단말기, 웹서버. 앱스토어 및 컨텐츠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서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NFC 고유ID와 보안인증코드와 컨텐츠ID와 컨텐츠구동앱ID의 매체정보를 갖는 NFC매체를 유저단말기에 근접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유저단말기가 상기 NFC매체의 매체정보(컨텐츠구동앱ID, 컨텐츠 ID, NFC 고유ID, 보안인증코드)를 NFC통신부를 통한 NFC통신에 의하여 인식하는 단계(S10)와;
    유저단말기의 구동처리부는 NFC매체로부터 제공된 상기 매체정보 중에서 컨텐츠구동앱ID를 인지하여 유저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을 실행시키는 단계(S20)와;
    유저단말기는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상기 NFC매체로부터 전송된 매체정보 중 NFC고유ID, 보안인증코드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인증되어 미리 저장된 NFC매체의 보안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NFC매체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30)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NFC매체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웹서버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40)와;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NFC 고유ID와 NFC매체 S/N을 상기 웹서버의 DB부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계정정보 중 NFC고유ID, 유저단말기계정, S/N을 웹서버의 데이터변환부에서 암호화하여 웹서버의 보안인증부에 저장하고 웹서버의 제어부는 웹서버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리스트 중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계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단계에서,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계정정보 중에서 식별정보(NFC고유ID, NFC매체 S/N)와 상기 웹서버의 DB부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웹서버의 제어부는 웹서버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던 Pre-컨텐츠와 NFC매체의 S/N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면, 유저단말기의 컨텐츠구동앱은 표시부를 통하여 Pre-컨텐츠를 제공하고 S/N 입력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S51)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된 Pre-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단말기는 웹서버로 계정정보(NFC고유ID, 컨텐츠ID, 유저단말기계정 및 NFC매체 S/N)를 전송하여 컨텐츠ID에 의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S40)단계를 수행하는 (S52)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로부터 인증되어 컨텐츠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단말기는 컨텐츠구동앱을 통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나열된 컨텐츠리스트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의 구동처리부는 선택한 해당 컨텐츠의 요청정보 및 유저단말기의 DB부에 해당 컨텐츠의 대기데이터 유무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60)단계와;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유저단말기가 요청한 컨텐츠 중에서 제1컨텐츠서버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컨텐츠서버에게 상기 유저단말기로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S70)와;
    상기 제2컨텐츠서버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저단말기의 컨텐츠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2컨텐츠서버의 DB부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제2 컨텐츠서버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해당 유저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S80)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제1컨텐츠서버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된 대기데이터와 제2컨텐츠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전송에 의하여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유저단말기에 설치된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S90); 및
    상기 유저단말기가 실행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의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S100); 를 포함하며,
    상기 (S70)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제1컨텐츠서버의 대기데이터가 유저단말기의 DB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웹서버의 제어부는 제1 컨텐츠서버에게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되는 대기대이터를 유저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고 제2컨텐츠서버에게는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S71)단계와; 상기 (S71)단계 이후에,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저단말기(200)의 컨텐츠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컨텐츠서버는 대기데이터를 상기 제2 컨텐츠서버는 인증데이터를 해당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S72)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텐츠서버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대기데이터와 인증데이터를 기 설치되어 동작되는 컨텐츠구동앱에 의하여 병합하여 유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유저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공하는 (S73)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서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 상기 유저단말기에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구동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유저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한 인터넷망으로 해당 컨텐츠구동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에 접속되어 컨텐츠구동앱 설치 파일을 요청하는 (S21)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는 앱스토어로부터 컨텐츠구동앱 설치파일을 다운받고 유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치여부를 승인하여 컨텐츠구동앱을 설치하여 실행하는 (S22)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서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에서 NFC매체가 정품이 아닌 경우 컨텐츠구동앱은 유저단말기의 표시부에 정품이 아니라는 경고메세지를 표시한 후 종료하는 (S31)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서의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160537A 2015-11-16 2015-11-16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6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37A KR101669186B1 (ko) 2015-11-16 2015-11-16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37A KR101669186B1 (ko) 2015-11-16 2015-11-16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186B1 true KR101669186B1 (ko) 2016-11-09

Family

ID=5752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537A KR101669186B1 (ko) 2015-11-16 2015-11-16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1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77A (ko) * 2003-11-03 2005-05-09 주식회사 이머텍 저속채널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100715143B1 (ko) * 2005-10-27 2007-05-10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기반의 컨텐츠 분산형 네트워크 시스템과 파일 분할, 병합 및 재생 방법
KR20130131090A (ko) * 2012-05-23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398766B1 (ko) 2013-08-22 2014-06-02 철 석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프라인 유통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43628A (ko) 2013-10-1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77A (ko) * 2003-11-03 2005-05-09 주식회사 이머텍 저속채널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100715143B1 (ko) * 2005-10-27 2007-05-10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기반의 컨텐츠 분산형 네트워크 시스템과 파일 분할, 병합 및 재생 방법
KR20130131090A (ko) * 2012-05-23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398766B1 (ko) 2013-08-22 2014-06-02 철 석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프라인 유통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43628A (ko) 2013-10-1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9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US113172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mobile device
US20190306688A1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82020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e provisioning of NFC credentials
US10353689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via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101794184B1 (ko)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 인증 정책
KR101458775B1 (ko) 페어장치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US20180324169A1 (en) Method of access by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to a database hosted by a service platform that is accessible via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869901B1 (ko) 설치 패키지 인가 방법 및 장치
WO2019134494A1 (zh) 验证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业务平台及存储介质
WO2016070611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服务器及终端
CN108924833A (zh) 一种用于授权用户设备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KR2023001469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가 레인징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220014353A1 (en) Method by which device shares digital key
CN111651408A (zh) 获取数据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925362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between two electronic entities
EP2981148B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0969437B (zh) 获得虚拟银行卡支付权限的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KR101669186B1 (ko) 보안화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9153975A1 (zh) 基于近场通信的资源转移
KR101853970B1 (ko) 인증번호 중계 방법
KR101537272B1 (ko)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7649A (ko) 아이템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289265B1 (ko) 간편 결제 수행을 위한 기록매체
KR101522989B1 (ko) Rfid/nfc를 이용한 vdi 클라이언트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