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933A -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933A
KR20150042933A KR20130121734A KR20130121734A KR20150042933A KR 20150042933 A KR20150042933 A KR 20150042933A KR 20130121734 A KR20130121734 A KR 20130121734A KR 20130121734 A KR20130121734 A KR 20130121734A KR 20150042933 A KR20150042933 A KR 2015004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ator core
vertical
coupled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512B1 (ko
Inventor
장정철
정왕규
김희상
Original Assignee
뉴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모텍(주) filed Critical 뉴모텍(주)
Priority to KR102013012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12B1/ko
Priority to US14/324,262 priority patent/US9306435B2/en
Publication of KR2015004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다수 개의 제1 홀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티스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표면 중, 상기 베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제1 홀의 주변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형성된 절연 코팅층; 및 상기 원형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하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내측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Stator Assembly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을 절연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슐레이터나 절연 필름을 적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모터의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stator)와 이 스테이터의 외주 또는 내주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로터(rotor)로 이루어진다. 이 중 스테이터는 원형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외주 또는 내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티스(teeth)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한다.
티스(teeth)에 코일(coil)을 권선하기 위하여 티스를 포함한 스테이터 코어 표면에 절연 처리를 해야 하는데, 스테이터 코어 표면을 절연하기 위하여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인슐레이터를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하거나, 스테이터 코어의 표면에 절연성 파우더 등을 이용하여 절연 코팅을 하는 방법, 또는 티스와 티스 사이의 공간인 슬롯(slot)에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 필름을 삽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세탁기의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터의 경우, 스테이터를 포함한 모터를 세탁기 본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스테이터의 내측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기술은 대한민국특허 제10-301492호(선행기술 1), 제10-0808194호(선행기술 2), 및 제10-1135333호(선행기술 3)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 제시되어 있는 스테이터는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테이터 코어 낱장마다 결합부를 형성하여 타발한 다음, 이들을 적층함으로써 스테이터 코어를 완성하는 동시에 결합부가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 2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인슐레이터를 결합하는데, 각각의 인슐레이터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가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될 때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 3은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에 L형 결합부를 부착한 다음, 스테이터 전체 표면에 절연성 파우더를 코팅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경우 결합부를 스테이터 코어 낱장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소요되는 전기 강판의 양이 증대되고, 버려지는 스크랩(scrap)의 양도 상당하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를 낱장씩 적층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스테이터 코어를 스파이럴 형태로 감아 올려 제조하는 형태의 스파이럴 코어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2의 경우, 인슐레이터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고, 나아가 인슐레이터를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시킬 경우, 인슐레이터 자체 두께에 의하여 티스와 티스 사이의 공간인 슬롯의 크기가 감소하여 코일의 권선수에 제약이 생김으로써 스테이터에 필요한 전자기적 특성이 사용자의 요구에 미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수지의 사용량이 증대되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야기하고 있다.
선행기술 3의 경우, L형 결합부를 결합한 다음에 절연성 파우더 코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테이터 전체 표면에 절연성 파우더를 도포하여야 하므로 절연 코팅의 양이 증대된다. 나아가 L형 결합부를 부착하기 위해 통상 용접의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용접에 의하면 L형 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홀센서 어셈블리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갖는 모터의 스테이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과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센서 어셈블리를 스테이터 코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들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다수 개의 제1 홀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티스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표면 중, 상기 베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제1 홀의 주변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형성된 절연 코팅층; 및
상기 원형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하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내측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에 형성된 상부 브라켓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 수평부에 형성된 하부 브라켓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결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돌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돌출 결합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매그메이트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그메이트 삽입부에 삽입되는 전원단자핀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티스 이어 삽입부가 형성된 수직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홀센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말단 부분이 상기 수직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에 형성된 하부 보강 브라켓 결합부에 다른 말단 부분이 결합되는 하부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홀센서 어셈블리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원단자핀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로 형성되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이어가 결합되는 티스 이어 삽입부를 갖는 수직 브라켓; 및 상기 수직 브라켓의 하부에 말단 부분이 결합되는 하부 보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홀센서 어셈블리를 스테이터 코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에서 결합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브라켓을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하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하부 브라켓을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홀센서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홀센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는 스테이터 코어(10), 절연 코팅층(20) 및 결합부(30)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홀센서 어셈블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0)의 더 자세한 구성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사용되는 스테이터 코어(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10)는 원형의 코어 베이스(11)와 코어 베이스(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티스(12) 및 상기 티스(12)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티스 이어(13)로 이루어진다. 티스(12)는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권선되는 부분이다. 도 1에는 티스(12)가 코어 베이스(11)의 바깥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코어 베이스(11)의 안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테이터 코어(10)는 일반적으로 얇은 전기 강판을 타발한 것을 다수 개를 적층하여 제조하거나, 원형으로 감아 올리면서 적층하는 스파이럴 방식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터 코어(10)는 이러한 두 가지 제조 형태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10)의 코어 베이스(11)의 내측 면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 홈(1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14)은 결합부(30)를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할 때, 정확한 위치를 가이드 하면서 견고한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홈(14)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부(30)를 결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개수를 형성하여야 하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코어 베이스(11) 내측 면 전체에 형성하여도 좋다.
코어 베이스(11)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제1 홀(15)과 제2 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홀(15)은 결합부(30)를 스테이터 코어(10)의 코어 베이스(1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데, 제1 홀(15)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부(30)를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개수 이상을 형성하여야 하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코어 베이스(11) 전체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2 홀(16)은 코어 베이스(11)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는데, 결합부(30)나 홀센서 어셈블리(40)를 결합할 때 보조적으로 결합을 강화시킬 때 사용 수 있다. 또는, 코일을 가이드하기 위한 목적 또는 기타의 목적으로 추가적인 부품을 결합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2 홀(16)의 개수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정한 위치나 적당한 개수를 형성하면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10)의 표면에는 절연 코팅층(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코팅층(20)은 스테이터 코어(10)의 표면을 절연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티스(11)에 코일(도시되지 않음)을 권선할 때, 스테이터 코어(10)와 코일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것이다.
절연 코팅층(20)은 바람직하게 절연성 수지를 파우더 형태로 분사하여 코팅하여 형성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핑(dipping) 등의 방법과 같이 다양한 절연 코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절연 코팅층(20)은 스테이터 코어(10)의 표면에 1차적으로 접착성 수지를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성 수지의 표면에 2차적으로 절연성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두 번의 코팅을 통해 절연 코팅층의 절연 성능과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절연 코팅층(20)은 스테이터 코어(10) 표면 전체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티스(12) 표면 전체와 코어 베이스(11)의 일부 표면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코어 베이스(11)의 내주면과, 코어 베이스(11) 상부 및 하부의 제1 홀(15) 주위 부분에는 절연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절연 코팅층(20)은 티스(12)의 표면과 코어 베이스(11)의 상부 및 하부의 제1 홀(15)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한다. 제1 홀(15) 부분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면 제1 홀(15)의 내부가 코팅 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코어 베이스(11)의 내측면에는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절연 도포 물질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0)는 스테이터 코어(10)의 코어 베이스(11) 내측 면에 형성된다. 결합부(30)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를 세탁기 등과 같은 전기 기기의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결합부(3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모터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2 개 이상을 대칭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과 같이 최소한 3 개 이상을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부(30)의 자세한 구성은 아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서 결합부(3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100)의 결합부는 상부 브라켓(31), 하부 브라켓(32) 및 결합용 부쉬(33)로 이루어진다.
상부 브라켓(31)은 스테이터 코어(10)의 코어 베이스(11)의 상부 면 쪽에 닿는 부분인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와 코어 베이스(11)의 내측 면 부위에 닿는 부분인 상부 브라켓 수직부(312)로 이루어지며,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와 상부 브라켓 수직부(312)는 스테이터 코어(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상부 내측 결합부(313)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하부 브라켓(32)은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와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로 이루어지며,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와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는 스테이터 코어(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하부 내측 결합부(323)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 내측 결합부(313)와 하부 내측 결합부(323)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 내측 결합부(313)와 하부 내측 결합부(323)가 스테이터 코어(10)의 코어 베이스(11)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 내측 결합부(313)에 형성된 제1 상부 결합홀(313a)과 하부 내측 결합부(323)에 형성된 제1 하부 결합홀(323a)은 서로 마주보게 되어 관통하는 하나의 홀을 형성하게 된다. 이 하나로 형성된 홀에 결합용 부쉬(33)가 삽입됨으로써 상부 내측 결합부(313)와 하부 내측 결합부(323)를 결합시킨다. 상부 브라켓(31)의 상세한 구성은 아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결합부(30)를 이루는 상부 브라켓(31)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부 브라켓(31)을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31)의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11a)는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브라켓(31)이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되었을 때,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브라켓(31)의 형상에 따라 상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11a)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도 좋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의 배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부 브라켓 결합 돌기(3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브라켓 결합 돌기(311b)는 스테이터 코어(10)의 제1 홀(15)에 삽입되어, 상부 브라켓(31)과 스테이터 코어(1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브라켓(31)의 상부 브라켓 수직부(312)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12a)는 상부 브라켓 수직부(3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브라켓(31)이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되었을 때, 연직 방향으로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브라켓(31)의 형상에 따라 상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12a)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도 좋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브라켓(31)의 상부 브라켓 수직부(312)의 배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부 브라켓 수직 가이드 돌기(3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브라켓 수직 가이드 돌기(312b)는 스테이터 코어(10)의 내측면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브라켓(31)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 내측 결합부(313)에는 상부 내측 결합홀(3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외에도 별도의 홀인 상부 내측 정렬홀(313b)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어셈블리(100)가 모터 세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때, 모터 세트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용 돌기의 위치에 상부 내측 정렬홀(313b)을 정렬시킴으로써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정확한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상부 내측 결합부(31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상부 내측 결합부 보강 리브(313c)는 상부 브라켓(31)과 하부 브라켓(32)이 결합되었을 때, 상부 내측 결합부(313)와 하부 내측 결합부(323)가 맞닿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부 브라켓 수평부(311)의 상부에는, 홀 센서 어셈블리(40)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돌출 결합부(314)가 형성된다. 상부 돌출 결합부(314)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매그메이트 삽입부(314a), 제1 고정홀(314b), 제2 고정홀(314c)이 형성되어 있다.
매그메이트 삽입부(314a)는 스테이터 코어(10)의 티스(12)에 권선된 코일(도시되지 않음)의 말단이 매그메이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소로서, 매그메이트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된 3상 모터의 경우, 가장 좌측의 매그메이트 삽입부(314a)에는 중성점을 형성하기 위해 3 개의 코일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3 핀 매그메이트를 적용한다. 그 우측의 매그메이트 삽입부(314a)는 3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각 상의 코일의 말단이 홀센서 어셈블리(40)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홀(314b)과 제2 고정홀(314c)은 홀센서 어셈블리(40)를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하는데, 자세한 구성은 아래 도 8의 홀센서 어셈블리(40)를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하부 브라켓(32)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하부 브라켓(32)을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 브라켓(32)은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와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로 이루어지며, 하부 브라켓(32)이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되었을 때, 스테이터 코어(10)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내측 결합부(323)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라켓(32)의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하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2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21a)는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브라켓(32)이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되었을 때,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브라켓(32)의 형상에 따라 하부 브라켓 수평 보강 리브(321a)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도 좋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의 배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하부 브라켓 결합 돌기(3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브라켓 결합 돌기(321b)는 스테이터 코어(10)의 제1 홀(15)에 하부 쪽으로 삽입되어, 하부 브라켓(32)과 스테이터 코어(1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부 브라켓(32)의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하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22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22a)는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브라켓(32)이 스테이터 코어(10)에 결합되었을 때, 연직 방향으로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브라켓(32)의 형상에 따라 하부 브라켓 수직 보강 리브(322a)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도 좋다.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 브라켓 결합부(322b)를 형성하여도 좋은데, 이 하부 보강 브라켓 결합부(322b)는 홀센서 어셈블리(40)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하부 보강 브라켓(43)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브라켓(32)의 하부 브라켓 수직부(322)의 배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하부 브라켓 수직 가이드 돌기(322c)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 수직 가이드 돌기(322c)는 스테이터 코어(10)의 내측면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하부 브라켓(32)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 내측 결합부(323)에는 상부 내측 결합홀(313a)과 맞닿아 결합용 부쉬(33)가 관통되는 하부 내측 결합홀(323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내측 결합부(32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하부 내측 결합부 보강 리브(323b)는 상부 브라켓(31)과 하부 브라켓(32)이 결합되었을 때, 상부 내측 결합부(313)와 하부 내측 결합부(323)가 맞닿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하부 브라켓 수평부(321)에는 상부로 돌출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출 지지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지지부(324)의 높이는 스테이터 코어(10)의 티스(12)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 뭉치의 두께보다 높도록 형성한다. 돌출 지지부(324)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0)가 바닥에 놓여 있거나, 하부 브라켓(32) 방향으로 어떠한 부품이 결합될 때, 코일이 바닥에 직접 닿거나 부품에 접촉함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홀센서 어셈블리(4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홀센서 어셈블리(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는 홀센서 어셈블리(40)가 결합된다. 홀센서 어셈블리(40)는 본체부(41), 수직 브라켓(42) 및 하부 보강 브라켓(4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41)에는 본체부 고정홀(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 고정 돌기(41b)와 전원단자핀(41c)은 하부 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고정홀(41a)은 상부 브라켓(31)의 상부 돌출 결합부(314)에 형성된 제1 고정홀(314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체부 고정홀(41a)과 제1 고정홀(314b)이 맞닿음으로써 형성하는 하나의 홀에는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44)이 결합되어 본체부(41)를 상부 브라켓(31)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 고정 돌기(41b)는 상부 돌출 결합부(314)에 형성된 제2 고정홀(314c)에 삽입 및 결합된다. 전원단자핀(41c)은 매그메이트 삽입부(314a)에 위치하는 각 상의 매그메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직 브라켓(42)은 본체부(41)의 연직방향 하부로 형성되는데, 수직 브라켓(42)에 형성되어 있는 티스 이어 삽입부(42a)는 티스(12)의 말단 부분인 티스 이어(1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수직 브라켓(42)의 하부에는 하부 보강 브라켓(43)이 결합된다. 수직 브라켓(42)의 내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다.
하부 보강 브라켓(43)에는 개구부(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말단에 결합 돌부(43b)가 형성된다. 개구부(43a)에는 티스(12)에 권선된 코일이 위치한다. 결합 돌부(43b)는 하부 브라켓(32)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보강 브라켓 결합부(322b)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되는 방식은 후크에 의한 방식이나 기타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테이터 코어 11: 베이스
12: 티스 13: 티스 이어
14: 가이드 홈 15: 제1 홀
16: 제2 홀 20: 절연 코팅층
30: 결합부 31: 상부 브라켓
32: 하부 브라켓 33: 결합용 부쉬
40: 홀센서 어셈블리 41: 본체부
42: 수직 브라켓 43: 하부 보강 브라켓
44: 고정 수단 100: 스테이터 어셈블리

Claims (6)

  1. 다수 개의 제1 홀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티스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표면 중, 상기 베이스의 내측 면과 상기 제1 홀의 주변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형성된 절연 코팅층; 및
    상기 원형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수평부, 상기 하부 브라켓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 수직부,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내측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부 내측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에 형성된 상부 브라켓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 수평부에 형성된 하부 브라켓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수평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돌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돌출 결합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매그메이트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그메이트 삽입부에 삽입되는 전원단자핀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티스 이어 삽입부가 형성된 수직 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홀센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말단 부분이 상기 수직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에 형성된 하부 보강 브라켓 결합부에 다른 말단 부분이 결합되는 하부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6.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원단자핀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로 형성되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이어가 결합되는 티스 이어 삽입부를 갖는 수직 브라켓; 및
    상기 수직 브라켓의 하부에 말단 부분이 결합되는 하부 보강 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홀센서 어셈블리.
KR1020130121734A 2013-10-14 2013-10-14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KR10154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4A KR101543512B1 (ko) 2013-10-14 2013-10-14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US14/324,262 US9306435B2 (en) 2013-10-14 2014-07-07 Stator assembly for motor with hall sensor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4A KR101543512B1 (ko) 2013-10-14 2013-10-14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3A true KR20150042933A (ko) 2015-04-22
KR101543512B1 KR101543512B1 (ko) 2015-08-11

Family

ID=5280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734A KR101543512B1 (ko) 2013-10-14 2013-10-14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06435B2 (ko)
KR (1) KR101543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430A (ko) * 2013-08-01 2015-02-17 뉴모텍(주) 세탁기용 모터 어셈블리
US10784751B2 (en) * 2016-04-08 2020-09-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or, motor, blower,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attaching hall effect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492B1 (ko) 1998-11-07 2001-09-07 구자홍 세탁기의모터취부구조
US20020158542A1 (en) * 2001-04-26 2002-10-31 Bobay Dennis P. Method and system for mounting a rotor position sensor
KR101033574B1 (ko) 2004-02-26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US7663274B2 (en) * 2004-09-21 2010-02-16 Nidec Corporation Motor
KR200408923Y1 (ko) * 2004-10-29 2006-02-15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와이어 라우팅 구성요소를 갖는 절연된 고정자
KR100808194B1 (ko) 2006-05-19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
KR101135333B1 (ko) 2011-04-13 2012-04-17 뉴모텍(주) 모터의 스테이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KR101294546B1 (ko) * 2011-08-16 2013-08-07 뉴모텍(주) 볼트 클램프를 적용한 스테이터 어셈블리
KR101303550B1 (ko) 2012-02-20 2013-09-03 뉴모텍(주) 수분 침투 방지 구조를 갖는 모터용 홀센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이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06435B2 (en) 2016-04-05
KR101543512B1 (ko) 2015-08-11
US20150102709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879B2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US7608954B2 (en) Electric motor
US8269387B2 (en) Coil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having bent drawn-out ends
US20090102310A1 (en) Stator of motor
JP5827840B2 (ja) Vr型レゾルバ
US9534940B2 (en) Resolver
WO2012141135A1 (ja) 集配電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82987B (zh) 具有径向安装的齿的定子
US20170163118A1 (en) Stator of motor and inner rotor-type motor including stator
KR20110048796A (ko) 압축기용 모터의 스테이터
US20130106237A1 (en) Stator assembly for motor
CN104620477A (zh) 能够接收温度传感器的线圈绝缘器,和相应的定子互连器以及用于温度传感器的支撑件
WO2008066216A2 (en) Motor
US9054570B2 (en) Stator assembly for motor having hall sensor part fixed to end of tooth of stator
US20170155299A1 (en) Motor with bus-bar assembly
US20140159520A1 (en) Stator assembly with magmate holder
CN104167847A (zh) 卷线轴和旋转电机
JPWO2019142289A1 (ja) 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KR101543512B1 (ko)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JP6671447B1 (ja)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51825A (ja) Vr型レゾルバ
JP2014011901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9118636A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H09322439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328438A1 (en) Stator of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