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640A -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640A
KR20150042640A KR20130121540A KR20130121540A KR20150042640A KR 20150042640 A KR20150042640 A KR 20150042640A KR 20130121540 A KR20130121540 A KR 20130121540A KR 20130121540 A KR20130121540 A KR 20130121540A KR 20150042640 A KR20150042640 A KR 2015004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group
light
optical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강경구
김현영
우제하
이수경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640A/ko
Priority to PCT/KR2014/007136 priority patent/WO2015053468A1/ko
Priority to TW103134955A priority patent/TW201514176A/zh
Publication of KR2015004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마린계 발광물질을 포함하며, 380 내지 480nm의 파장대역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학필름은 굴절률의 저하없이 휘도가 우수하고 및 시야각이 넓은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OPTICAL FILM COMPRISING LUMINESCENT MATERIAL AND BACK 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에 있어서, 광학필름을 사용하는 영상표시 수단의 성능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광학필름을 통해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시켜 빛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이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영상표시 수단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다양한 광학필름이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광학필름 중 프리즘 시트는 액정표시장치(LCD)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름이다. 액정표시장치(LCD)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기 때문에 광원(CCFL 또는 LED)을 사용하여 광을 얻고, 이 광을 도광판을 통해 전체 면적으로 분포시키고, 확산시트를 이용하여 보다 균일한 밝기의 면광원으로 변형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효율은 점점 떨어지게 된다. 프리즘 시트는 측광(side light)을 정면광으로 바꾸고 반사광을 집광시켜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집광 시트로서 프리즘 시트는 박막 유연성을 갖는 광학필름으로서, 한쪽 면에 프리즘 형상이 선형 배열로 구조화된 광학 패턴을 형성하여 휘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프리즘 형상의 광학 시트는 렌티큘러 형상의 광학 시트에 비하여, 프리즘 형상의 구조적인 문제인 사이드-로브 광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평 시야각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필름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굴절률이 높을수록 프리즘 필름의 성능이 향상되어 높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고굴절률 수지로는 브롬이 치환된 에폭시 수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형의 에폭시 수지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에 아크릴산을 부가하고 여기에 스틸렌, 디비닐벤젠,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에폭시 수지는 굴절률이 1.558로 여전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아베수 역시 32 정도로 낮아서 광학용으로는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또한, 상기 할로겐계 수지는 연소시 폴리할로겐화 아로마 다이옥신(Polyhalogenated aromatic dioxin) 또는 폴리할로겐화 디벤조퓨란(polyhalogenated dibenzofuran) 등의 유독성 발암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브롬화수소나 염화수소 등과 같이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가 인체 및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황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폴리티올인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혼합물에 내부 이형제를 첨가하여 주형 중합된 우레탄 결합 또는 티오카르 바인산 S-알킬에스테르 결합을 가진 광학용 소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열안정성이 낮아서 하드 코팅시 광학제품이 부분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휘도가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야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광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쿠마린계 발광물질을 포함하며, 380 내지 480nm의 파장대역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굴절률의 저하없이 휘도가 우수하고 및, 사이드-로브 광 손실 없이 시야각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필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필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의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2의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3의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비교예 1 대비 비교예 2의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비교예 1 대비 비교예 3의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광학필름(100)은 기재필름(110) 및 기재필름(110)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120)을 포함하고, 기재필름(110)과 프리즘(120) 중 하나 이상은 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광원의 특정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휘도 상승에 효과적인 파장 대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고굴절률 수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광학필름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굴절률 수지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백라이트 유닛에 광원으로 사용되는 CCFL 또는 LED 램프의 발광 파장대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청색 영역 또는 자외선 파장 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녹색 영역의 에너지를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물질은 흡수 파장이 240~380nm 또는 420~480nm이고, 발광 파장은 520~580nm가 될 수 있다. 흡수 파장과 발광 파장은 低농도(통상 샘플 기준으로 0.02g/100ml 샘플)로 THF, CH2Cl2,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서 측정된 것이다.
광학필름에 포함되는 발광물질의 종류는 광학필름이 포함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왜냐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광학필름을 통해 반사되거나 투과되어 빛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LED 램프 또는 CCFL이 사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이 LED 램프일 때, 발광물질은 청색 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녹색 영역의 에너지를 발광하는 물질로서, 흡수 파장이 420~480nm, 발광 파장이 520~580nm인 발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이 CCFL일 때, 발광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녹색 영역의 에너지를 발광하는 발광물질로서, 흡수 파장이 240~380nm, 발광 파장이 520~580nm인 발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380 내지 4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0.8 이하일 수 있으며, 520 내지 5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1.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필름은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380 내지 4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0.6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는 LED 램프 광원의 발광 피크 강도로 정규화된 파라미터로서, ‘LED 램프 광원의 발광 피크 강도’에 대한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발광 피크 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상기 ‘LED 램프 광원의 발광 피크 강도’는 발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광학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의 발광 피크 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발광물질은 유기 형광 또는 인광물질, 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형광 또는 인광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형광 또는 인광물질은 하나의 물질에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이 동시에 포함되는 발광물질을 의미한다. 무기 형광 또는 인광물질은 광원 예를 들면 LED 램프의 광에서 R, G, B 중 특정 영역만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R, G, B 각각에 대한 파장 흡수를 보완하기 위해 복수 개의 무기 형광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무기 형광물질을 수지에 복수 개 포함시킬 경우 분산성, 색좌표 균일성에 문제가 있다. 반면에, 유기 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발광물질은 단독으로 R, G, B에 대한 파장 흡수 보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쿠마린(coumarin), 피란(pyran),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아미노안트라센(amino-anthracene), 나프타센(naphthacene), 페닐렌 비닐렌(phenylene vinylene), 플루오렌(fluorine), 나프탈렌 비닐렌(naphthalene vinylene), 페리-나프탈렌(peri-naphthalene) 또는 이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쿠마린계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상기 발광물질은 피리딘 이리듐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Tris[2-(p-tolyl)pyridine]iridium(III)(제품명Ir(mppy)3), Bis[3,5-difluoro-2-(2-pyridyl)phenyl-(2-carboxypyridyl)iridium(III)(제품명 FlrPic), Tris(2-phenylpyridine)iridium(III)(제품명 Ir(ppy)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발광물질은 광학필름 중 0.01~0.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5~0.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휘도 상승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기재필름(110)은 가시 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아세탈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릴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필름(110)의 두께는 30㎛~300㎛가 될 수 있다.
프리즘(120)은 상술한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불포화 화합물, 개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경화형 불포화 화합물로서 플루오렌 유도체 불포화 수지와 페녹시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티오디페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티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이들의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투명기재와의 접착력을 높이고, 프리즘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리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발광물질의 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프리즘(120)은 밑변의 길이가 25 내지 60㎛ 이고, 높이가 12.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프리즘은 휘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반면, 모아레(moire)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 기재필름과 프리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필름은 1매 이상으로 조합되어 복합광학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광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추가적으로 광학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필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합광학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필름 및 상기 프리즘 중 하나 이상은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제1 광학필름(200)과 제1 광학필름(200) 상부에 제1 광학필름과 동일한 필름으로서 프리즘의 배열 방향이 동일하거나 또는 수직인 제2 광학필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복합광학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필름 및 상기 프리즘 중 하나 이상은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제1 광학필름과 상기 제1 광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마이크로 렌즈, 프리즘, 렌티큘러 렌즈, 엠보 형상 중 하나 이상의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2 광학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 광학필름(400) 및 제1 광학필름(400) 상부에 마이크로 렌즈 패턴이 형성된 제2 광학필름(500)이 구비된 복합광학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에서 상기 광학필름은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또는 도광판으로 포함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액정표시장치에서 광원은 LED 램프 또는 CCFL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은 광원(610), 광원(61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620), 도광판(6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630), 도광판(6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시트(640), 확산시트(64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필름(600), 및 광학필름(6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시트(6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610) 외부에는 광원 커버(610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백라이트 유니트(1000) 상에 액정표시패널과 반사방지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광원(610)은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광원 램프 또는 면광원 램프, CCFL 또는 LED 등 다양한 광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620)은 광원(61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트(640)로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직하형 광원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반사시트(630)는 광원(610)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확산시트(640)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산시트(640)는 도광판(620)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산 및 산란시켜 광학필름(6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필름(600)은 확산시트(64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의 평면에 집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필름은 높은 집광효율, 사이드-로브 광 손실 없이 개선된 넓은 시야각, 모아레 현상 방지, 다른 필름과의 광학적 결합(wet out) 방지 등 다양한 설계 목표에 따라 집광부의 형태 및 집광부 경사면의 각도 등 다양한 설계치의 변형 및 조합들이 가능하며, 상업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발광물질:
(A1) 하기 화학식 5의 기본 구조를 갖는 화합물(흡수파장: 469nm(in CH2Cl2), 광발광 파장: 554nm(in CH2Cl2))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5
(A2) 하기 화학식 6의 기본 구조를 갖는 화합물(흡수파장: 462nm(in CH2Cl2), 광발광 파장: 532nm(in CH2Cl2))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6
(B) 자외선 경화형 불포화 화합물:
(B1) 플루오렌계 유도체 불포화 수지(BPF-022, 한농화성, 굴절률: 1.601)
(B21) 페녹시벤질 아크릴레이트(굴절률: 1.56)
(B22) 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굴절률: 1.54)
(C) 개시제:
(C1) Irgcure 184
(C2) Iragacure TPO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하기의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물성 측정 후 결과 값을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광학필름 제조
PET필름의 일면 상에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준비한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면서 프리즘 패턴이 인각된 금속 몰드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190~400㎚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몰드 상의 프리즘 패턴을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전사하고 금속 몰드를 분리시킴으로써, 기재필름의 일면에 프리즘 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광학필름 층의 높이는 35~40㎛가 되도록 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굴절률 : 굴절계(모델명 :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필름의 굴절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하였다.
(2) 휘도 : 32 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에 상기 제작된 프리즘 필름을 고정하고, 휘도계 (모델명: SR3,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13 지점 및 5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LED 램프를 사용하였다. 휘도는 직경 60㎛ MLA 시트를 2층으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 광학필름의 휘도를 기준값으로 하여 %로 나타내었다.
(3) 시야각 : 시야각 역시 휘도 장비와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여 좌우(0°에서 180°) 기울기를 가하면서 측정하였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LED 램프를 사용하였다.
(4) 상대 발광 피크 강도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필름에 대해LED 램프 광원을 사용하여 측정기기(모델명: CS-2000, 일본 TOPCON社)로 발광피크(arbituary unit)를 각각 측정하였다. 380 내지 480nm 및 520 내지 580nm의 발광 파장 대역에서 각각 측정된 상대 발광 피크 강도를 하기 표 1에 각각 나타내었으며, 도5 내지 9는 발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3 및 비교예 2-3의 발광 피크 강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A1 0.1 0.05 0.05 - - -
A2 - - 0.05 - 0.1 0.05
B B1 50 50 50 50 50 50
B21 15.90 15.95 15.90 16.0 15.90 15.95
B22 30 30 30 30 30 30
C C1 1 1 1 1 1 1
C2 3 3 3 3 3 3
굴절률 1.558 1.558 1.558 1.558 1.558 1.558
휘도 (%) 120 104 112 100 105 102
시야각 65 65 65 65 65 65
상대발광피크강도
(380~480nm)
0.32 0.63 0.49 1 0.66 0.81
상대발광피크강도
(520~580nm)
1.70 1.26 1.45 1 1.38 1.19
[단위 : 중량%]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광물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실시예 1-2는 발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또는 화학식 1에 포함되지 않는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2-3에 비하여 굴절률 및 시야각의 저하 없이 휘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2는 발광물질을 미량 포함하더라도 비교예 2-3 대비 동등 수준의 휘도 확보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발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1-3의 발광 파장 대역에 따른 발광 피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 및 9는 비교예 1 대비 비교예 2 및 3의 발광 파장 대역에 따른 발광 피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9를 참고하면, 실시예 1-3의 광학필름은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380 내지 4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0.8 이하이며, 520 내지 5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1.2 이상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 및 3은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380 내지 480nm 발광 파장 대역에서 0.6 이하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물질의 청색 영역의 에너지 흡수능 및 녹색 영역의 에너지 발광능이 우수하여 휘도 상승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쿠마린계 발광물질을 포함하며,
    380 내지 480nm의 파장대역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0.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마린계 발광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520 내지 580nm의 파장대역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380 내지 480nm의 파장대역에서 상대 발광 피크 강도가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2,3,6,7-Tetrahydro-1,1,7,7,-tetramethyl-1H, 5H,11H-10-(2-benzothiazolyl)quinolizino[9,9a,1gh] coumarin, 3-(2'-benzothiazolyl)-7-N,N-diethylamino coumarin, 4-(Dicyanomethylene)-2-tert-butyl-6-(1,1,7,7-tetramethylejulolidin-4-yl-vinyl)-4H-pyran(E), N,N'-Dimethyl-quinacridone, 9,10-bis[N,N-di-(p-tolyl)-amino]anthracene, 9,10-bis[phenyl(m-tolyl)-amino]anthracene, 5,6,11,12-Tetraphenylnaphthacene, PPV(poly(p-phenylene vinylene)), Polyfluorene, PNV(poly(naphthalene vinylene), 및 PPN(poly peri nanphtha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광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발광물질을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40의 알킬기, C2~C40의 알케닐기, C1~C40의 알콕시기, C3~C40의 시클로알킬기, C3~C4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C40의 아릴기 또는 C5~C4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상기 광학필름 중 0.01 내지 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광학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 패턴은 밑변의 길이가 25㎛ 내지 60㎛이고, 높이가 12.5 내지 30㎛인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1 광학필름; 및 상기 제1 광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제2 광학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필름 및 제2 광학필름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광학필름.
  11. 제1 광학필름; 및 상기 제1 광학필름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제2 광학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필름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필름이고,
    상기 제2 광학필름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광학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필름과 제2 광학필름의 프리즘 배열 방향은 동일하거나,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광학필름.
KR20130121540A 2013-10-11 2013-10-11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5004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540A KR20150042640A (ko) 2013-10-11 2013-10-11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CT/KR2014/007136 WO2015053468A1 (ko) 2013-10-11 2014-08-01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W103134955A TW201514176A (zh) 2013-10-11 2014-10-08 含有發光材料的光學膜、含有該光學膜的背光單元以及複合光學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540A KR20150042640A (ko) 2013-10-11 2013-10-11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640A true KR20150042640A (ko) 2015-04-21

Family

ID=5281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540A KR20150042640A (ko) 2013-10-11 2013-10-11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042640A (ko)
TW (1) TW201514176A (ko)
WO (1) WO20150534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257B2 (en) 2016-06-22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0750B2 (ja) * 2001-04-11 2011-11-09 Dic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重合性液晶組成物及びその重合体
JP2004077719A (ja) * 2002-08-15 2004-03-11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板および円偏光板
TWI413809B (zh) * 2004-12-27 2013-11-01 Dainippon Ink & Chemicals 光學薄膜、橢圓偏光板、圓偏光板、液晶顯示元件、及該光學薄膜之製法
JP2009244296A (ja) * 2008-03-28 2009-10-2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色変換フィルタ
KR101805917B1 (ko) * 2010-12-24 2017-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257B2 (en) 2016-06-22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4176A (zh) 2015-04-16
WO2015053468A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377B1 (ko) 면광원 장치, 조명 기구 및 백라이트 장치
TWI244559B (en) Optical device, area light apparatus and display
JP5519317B2 (ja) 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WO2013154133A1 (ja) 光散乱体、光散乱体膜、光散乱体基板、光散乱体デバイス、発光デバイス、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985916B1 (ko) 광산란층용 수지 조성물, 광산란층, 및 유기 전계 발광 장치
US20110069510A1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KR20120024737A (ko) 면 광원 장치, 조명 기구 및 백라이트 장치
US7993046B2 (en) Flexible light-emitting apparatus
KR10206320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0102965A (ja) 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26004B1 (ko)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6901B1 (ko) 광학 성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20170315283A1 (en) Display device
KR20150042640A (ko)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10218839A (ja) El素子、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装置、照明装置、電子看板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光取り出しフィルム
KR20140110677A (ko) 색 개선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653B1 (ko) 도광판 및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1924567B1 (ko) 방열 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1465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8580A (ko)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80028798A (ko) 유리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9844A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부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13464A (ko) 시인성 개선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광학표시장치
KR20180132386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용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60000102A (ko) 광학시트, 이를 위한 광학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