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640A -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640A
KR20150041640A KR1020157005215A KR20157005215A KR20150041640A KR 20150041640 A KR20150041640 A KR 20150041640A KR 1020157005215 A KR1020157005215 A KR 1020157005215A KR 20157005215 A KR20157005215 A KR 20157005215A KR 20150041640 A KR20150041640 A KR 2015004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likelihood ratio
input signal
log likelihoo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547B1 (ko
Inventor
이정원
권혁준
강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4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05Joint sequence estimation and interference remo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원하는 입력 신호 및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1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2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셀 사이즈가 점점 작아져서 셀간 간섭이 패킷 에러(packet error) 성능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차세대 셀룰라 시스템이 개발중에 있다. 게다가, 피코 셀(pico-cell) 및 펨토 셀(femto-cell) 서비스들은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이런 로컬 셀(local cell)들로부터의 간섭 신호는 또한 상기 원하는 신호에 대한 성능을 열화시키는 중요한 소스(source)가 되어 왔다. 신호 송신기가 지정된 수신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포인트 대 포인트(point-to-point) 통신의 경우, 상기 서빙 노드(serving node)(eNodeB)와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간에는 상기 원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따라서 상기 eNodeB 와 UE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and-coding scheme: MCS), 핸드쉐이크(handshake) 신호들(ACK/NACK) 및 제어 정보와 같은 시스테매틱 파라미터(systematic parameter)들을 공유할 수 있다.
증가하는 개수의 간섭 소스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반복 검출 및 디코딩(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IDD) 기술들을 사용하는 상기 간섭-인지 수신기(interference-aware receiver)가 생성된 바 있다. 상기 간섭-인지 수신기들의 성능은 비대칭 채널 정보의 다중 사용자 간섭 경우에 대해서 지능형 간섭-인지 검출 전략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간섭-인지 수신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다른 접근 방식은 최소 거리(minimum-distance: MD) 검출기들의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검출의 유효성을 증명한다. 이런 접근 방식들 중 어떤 것도 신뢰성 있는 성능, 속도, 상업적 실행 가능성을 위해 필요로 되는 비용의 밸런스를 성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전히 간섭 소스들을 가지는 지역에서 신뢰성 있게 메시지들을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개인 통신 디바이스들의 증가되는 요구와 간섭 소스들에서의 기하 급수적인 증가 측면에서,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답이 찾아지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증가되는 소비자 기대들 및 시장에서의 의미있는 제품 차별화의 감소하는 기회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업 경쟁 압력의 관점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게다가,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 및 성능을 개선시키고, 경쟁 압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요구는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찾는 것에 대한 중요한 필요성에 대해 보다 큰 긴급성을 부여한다.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오래 동안 찾아져 왔지만, 이전의 개발들은 어떤 해결 방안들도 제시하거나 혹은 제안하지 못했고,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을 오래 동안 회피해왔다.
본 발명은 원하는 입력 신호 및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1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2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심볼 검출기와;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심볼 검출기와;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2 심볼 검출기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원하는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간섭 소스들을 가지는 영역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중요하고 현재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유용하지 않은 해결 방식들, 능력들 및 기능적 측면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단일 채널 디코드가 설명될지라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결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와, 장치와, 디바이스와, 제품 및/혹은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높은 융통성을 가지며, 효율적이며, 또한 공지의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의외이면서도 자명하지 않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생산 방법들 혹은 프로세스들 혹은 기술들과 완벽하게 호환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생산 및 운영하는 것에 쉽게 적합하게 된다. 상기 결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와, 장치와, 디바이스와, 제품 및/혹은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높은 융통성을 가지며, 정확하고, 민감하고, 효율적이며, 준비되어 있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 적용, 사용을 위해 공지의 컴포넌트들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가격 감소, 시스템 간략화, 성능 개선의 역사적 트렌드를 중요하게 지원하고 서비스한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 심볼 검출기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조인트 반복 검출 및 디코딩 프로세스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용에 추가하여 혹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용을 대체하여 다른 단계들 혹은 엘리먼트들을 가진다. 상기 단계들 혹은 엘리먼트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설명을 리딩함으로써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구현하고 또한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기반으로 분명해질 것이며, 그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 혹은 기계적인 변경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많은, 특정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통해 제공되도록 주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런 특정한 구체적인 사항들 없이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공지의 회로들과, 시스템 구성들 및 프로세스 과정들은 구체적으로 게시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은 반도식적이며, 크기가 조정되지 않으며, 특히 차원들 중 일부는 도면들에서 도시의 간략성을 위해서 존재하며, 도면들에서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면들에서의 관점들이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향들을 도시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도면들에서의 이런 묘사는 대부분에 대해서 임의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어떤 방향에서라도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특징들을 동일하게 가지는 다수의 실시예들이 게시 및 설명되며, 명료성 및 도시, 설명, 그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특징들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엘리먼트들에 관련되어서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번호들이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등과 같이 번호가 부여되지만, 본 발명에 대해서 다른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도 않고,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떤 제한들도 제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칭해지는 용어 “모듈(module)"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트프웨어는 기계 코드(machine code)와, 펌웨어(firmware)와, 임베디드 코드(embedded code)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processor), 컴퓨터(computer),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 코어(integrated circuit core)들, 압력 센서(sensor), 관성 센서,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패시브 디바이스(passive device)들,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은 조인트 다중 입력 다중 출력(joint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J-MIMO) 검출기, 간섭 화이트닝(interference whitening)을 사용하는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 혹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ngle-in-single-out: SISO) LLR 블록 다음의 간섭 화이트닝을 사용하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와 같은, 원하는 입력 신호(desired input signal)(104)를 수신하는 제1 심볼 검출기(102)를 도시하고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검출기와 같은 제2 심볼 검출기(106)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상응하는 간섭 입력 신호(108)를 수신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는 eNodeB, 무선 기지국, 통신 송수신기, 혹은 무선 핫 스팟(hot spot)과 같은 통신 소스(communication source)로부터의 상기 선택된 입력 주파수 및 신호 진폭으로 정의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는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존재에 의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전기 소스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으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동시에 진입하는 상기 주파수 및 신호 진폭으로 정의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제2 eNodeB, 상기 무선 기지국과 다른 무선 기지국들, 제2 통신 송수신기, 혹은 상기 무선 핫 스팟과 다른 무선 핫 스팟을 포함하는 송신 소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적절하게 디코딩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효과들은 무효화되거나 혹은 감소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는 상기 원하는 신호의 귀납적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와 같은,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출력한다.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는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텀(term) “P(*)”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으로 정의된다.
상기 텀 “H*”는 상기 입력 신호의 채널 행렬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D”는 상기 입력되는 원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I”는 상기 입력되는 간섭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텀 “bn ,m”는 m번째 심볼(symbol)의 n번째 비트(bit)를 나타내는 바이폴라 비트(bipolar bit)들로 정의된다.
상기 텀 “y”는 샘플(sample) 시간에서 상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간섭 텀들은 넓은 스펙트럼 잡음(broad spectrum noise)으로는 처리되지 않지만, 대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유사하게 디코드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및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프로세싱 및 디코딩을 번갈아 함으로써, 드롭되는 호(dropped call)의 가능성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제1 eNodeB와 제2 eNodeB간의 천이 포인트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의 새로운 소스로부터 상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모드 변경을 필요로 할 것이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의 새로운 소스는 상기 천이 포인트 이전의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가장 강한 소스라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및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 둘 다를 프로세싱 및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및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가 단지 스위치되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모드 변경이 보장되며,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새로운 소스는 즉각적인 결과들을 사용하여 무효화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간섭 텀들은 간섭 채널 디코더(114)의, 연역적 간섭 비트 LLR과 같은, 간섭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섭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는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로 입력되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효과들의 일부를 무효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간섭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는 “L(A,2,I)”로 지정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와 같은 수학식 2에서, 상기 텀 “
Figure pct00003
”은 실행 평균 값과 상기 간섭 채널 행렬로부터의 간섭 신호의 분산의 함수이다.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의 추가적인 개선 및 프로세싱을 위해서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에 연결되는 제1 가산기(116)로 입력될 수 있다. 레지스터(register) 혹은 샘플(sample) 및 홀드(hold) 회로와 같은, 원하는 신호 버퍼(118)는 안정적 현재 비트 귀납적 LLR 정보를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 및 제2 가산기(122)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산기(116)에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산기(122)는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의 출력의 부분들과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산기(122)는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 원하는 비트 버퍼(126)에 연결되어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의 부분들과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의 출력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는 “L(A,2,D)”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와 같은 수학식 3에서, 상기 텀 “
Figure pct00005
”은 실행 평균 값과 상기 원하는 채널 행렬로부터의 원하는 신호의 분산의 함수이다.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는 또한 상기 제2 심볼 검출기(106)에 연결되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컴포넌트(component)들의 보다 나은 식별을 제공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컴포넌트들은 제2 eNodeB, 상기 무선 기지국, 상기 통신 송수신기, 혹은 상기 무선 핫 스팟 등과 같은 대체 통신 소스로부터의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대상으로 하는 동일한 통신 소스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서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 혹은 샘플 및 홀드 회로와 같은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는 상기 제2 가산기(122)에 연결된다.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의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출력은 상기 디코딩된 혹은 부분적으로 디코딩된 비트의 연역적 LLR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 제1 가산기(116), 제2 심볼 검출기(106)에 연결된다.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는 “L(a,1,D)” 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수학식 4에서, 상기 텀 “Ln ,m”는 m번째 심볼의 n번째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원하는 비트의 상기 로그 우도 비로 정의된다.
상기 제1 가산기를 통한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 및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결합은 원하는 외부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9)를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로 제공한다. 상기 원하는 외부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9)는 “L( ext ,1,D)”로 지정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의 귀납적 LLR 정보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조합은 3G 무선 통신의 최저 코드 레이트(code rate)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현재의 스테이트를 통해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에서 7 dB 이상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코드 레이트가 증가할 경우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에서의 개선은 7 dB 성능 마진(margin)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간섭 필터(filter)(130)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대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상기 제2 심볼 검출기(106)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 LLR)(124),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와 결합될 경우,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는 “L(A,1,I)”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상기 제2 심볼 검출기(106)는 “L( ext ,1,I)”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될 수 있는 상기 간섭 외부 로그 우도 비(138)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 및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3 가산기(136)에 연결된다:
Figure pct00009
레지스터 혹은 샘플 및 홀드 회로와 같은 간섭 버퍼(140)는 안정적 현재 간섭 비트 귀납적 LLR 정보를 상기 간섭 채널 디코더(114) 및 제4 가산기(142)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3 가산기(13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가산기(142)는 간섭 비트 버퍼(144)에 연결되고, 상기 디코딩된 혹은 부분적으로 디코딩된 간섭의 연역적 LLR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와, 상기 제3 가산기(136)와, 상기 제2 심볼 검출기(106)에 연결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반복적 검출 및 디코딩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열화시킬 수 있는 상기 간섭 채널의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를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는 즉시 시작되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부정적인 효과들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의 조인트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프로세스는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가 디코딩된 비트(148)를 임계 검출기(150)로 전달하는 능력에 있어 7dB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임계 검출기(150)의 출력은 수신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입력을 위한 필터링된 수신 비트(152)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간섭 소스(interference source)들을 가지는 영역에서 무선 통신에 대한 중요하고, 현재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이용 불가능한 해결 방식들, 능력들 및 기능적 측면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단일 채널 디코딩이 논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도 1의 제1 심볼 검출기(102)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102)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은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에 연결되는 제1 반복 결정 모듈(20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는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6) 및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6)은 도 1의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수신되는 간섭을 무효화시키는 필터를 제공하기 위해 도 1의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8)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와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로부터의 업데이트(update)들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계산할 수 있다.
첫 번째 반복의 필터링 동안, 상기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는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도 1의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상기 프로세스의 시작 포인트로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프로세스의 이후의 반복에서,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은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를 적용할 수 있다.
LLR들은 3개의 타입들: 연역적 LLR, 귀납적 LLR 및 외부 LLR로 분할된다. 3개의 LLR들이 비트 혹은 심볼 확률들과 등가이기 때문에,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는 상기 필터링 프로세스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디코딩된 비트(148) 및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에 대한 소프트(soft) 추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은 상기 원래의 수신 베이스 밴드 신호와 같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간섭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부터 감산된다.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은 다음 레벨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간섭 화이트닝 모듈(interference whitening module)(212)에 연결된다.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은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한 후 상기 해당하는 채널 행렬과 곱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의 유효 잡음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상기 텀 “P(*)”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으로 정의된다.
상기 텀 “H*”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상기 채널 행렬로서 정의된다.
상기 텀 “D”는 상기 입력되는 원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텀 “I”는 상기 입력되는 간섭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텀 “y”는 샘플 시간에서 상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은 상기 해당하는 채널 행렬과의 곱셈을 추정함으로써 실행 오버헤드를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상기 수학식 9에서 상기 행렬 nv의 분산은 하기 수학식 10에 의해 나타내진다:
Figure pct00012
상기 텀 Q는 상기 소프트 추정값일 경우의 공분산(covariance) 행렬이다.
상기 원하는 데이터와 관련되는 간섭의 화이트닝은 상기 원하는 데이터의 전체적인 성능 및 에러 레이트(error rate)에서 실질적인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복 검출 및 디코딩 프로세스는 가장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서 추가적인 7dB 의 사용 가능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에서 증가된 마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은 최대 우도 검출기 모듈(21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우도 검출기 모듈(214)은 상기 반복 검출 및 디코딩 프로세스의 각 반복에 대한 상기 소프트 데이터 추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상기 수학식 11에서, y는 상기 베이스 밴드 입력 데이터의 순시 값이다.
상기 최대 우도 검출기 모듈(214)은 상기 프로세스의 각 반복으로 개선되는 상기 실제 수신된 데이터의 소프트 추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우도 검출기 모듈(214)은 선형 등화기, 결정-피드백 등화기(decision-feedback equalizer: DFE), 혹은 상기 실제 수신된 데이터의 소프트 추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 혹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를 사용하는 어떤 등화기라도 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21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216)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검출기(218)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및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이트닝된 간섭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단일 입력 단일 출력 검출기(218)는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업데이트되고 개선된 버전(version)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를 상기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216)의 출력에 적용한다. 각 반복을 사용하여 상기 간섭이 최소화된다.
상기 심볼 검출기(102)는 연속적 반복들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뿐만 아니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대한 디코딩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본 발명의 이런 측면은 연속적 반복들에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혹은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를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로그 우도 비의 적합한 버전을 선택할 수 있는 반복 멀티플렉서(iteration multiplexer)(220)에 의해 제공된다.
디코드 선택 라인(decode select line)(222)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혹은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를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심볼 검출기(10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코드 선택 라인(222)은 또한 디코드 스위치(decode switch)(224)에 연결된다. 상기 디코드 스위치(224)는 상기 디코드 선택 라인(222)의 스테이트를 기반으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 혹은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드라이브(drive)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첫 번째 반복 후의 홀수 번째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가 디코딩될 것이다. 상기 디코드 선택 라인(222)은 상기 반복 멀티플렉서(220)를 통해 상기 간섭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를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 및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20)에 대한 입력으로서 선택할 것이다. 상기 반복 멀티플렉서(220)의 다른 부분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를 상기 최대 우도 검출 모듈(214) 및 상기 단일 입력 단일 출력 검출기(218)의 입력으로 선택할 것이다. 이 구성에서, 상기 디코드 스위치(224)는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드라이브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짝수 번째 반복에서, 상기 간섭 신호가 디코딩될 것이다. 상기 디코드 선택 라인(222)은 상기 반복 멀티플렉서(220)를 통해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를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 및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에 대한 입력으로 선택할 것이다. 상기 반복 멀티플렉서(220)의 다른 부분은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를 상기 최대 우도 검출기 모듈(214) 및 상기 단일 입력 단일 출력 검출기(218)에 대한 입력으로 선택할 것이다. 이런 구성에서, 상기 디코드 스위치(224)는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드라이브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예제는 상기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를 가지지는 않는, 하나의 가능한 구현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하드웨어 블록 다이아그램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수신하는, 조인트 다중 입력 다중 출력(joint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J-MIMO) 검출기, 간섭 화이트닝(interference whitening)을 사용하는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 혹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ngle-in-single-out: SISO) LLR 블록 다음의 간섭 화이트닝을 사용하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검출기와 같은, 제1 심볼 검출기(302)를 도시하고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검출기와 같은 제2 심볼 검출기(304)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상기 상응하는 간섭 입력 신호(108)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는 상기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6) 및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6)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함께 수신되는 간섭 신호를 무효화시키는 필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208)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및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 로부터의 업데이트(update)들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심볼 검출기(304)는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306) 및 상기 제4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306)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수신되는 간섭을 무효화시키는 필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4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308)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와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로부터의 업데이트들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는 eNodeB, 무선 기지국, 통신 송수신기, 혹은 무선 핫 스팟(hot spot)과 같은 통신 소스로부터의 상기 선택된 베이스 밴드 입력 주파수 및 신호 진폭으로 정의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는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존재에 의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전기 소스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으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와 동시에 진입하는 상기 주파수 및 신호 진폭으로 정의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제2 eNodeB, 상기 무선 기지국의 다른 eNodeB들, 제2 통신 송수신기, 혹은 상기 무선 핫 스팟의 다른 통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신 소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적합하게 디코딩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효과들은 무효화되거나 혹은 감소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는 상기 원하는 신호의 귀납적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와 같은,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을 출력한다.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은 수학식 1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4
상기 수학식 12에서:
상기 텀 “P(*)”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으로 정의된다.
상기 텀 “H*”는 상기 입력 신호의 채널 행렬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D”는 상기 입력되는 원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I”는 상기 입력되는 간섭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텀 “bn ,m”는 m번째 심볼의 n번째 비트를 나타내는 바이폴라 비트들로 정의된다.
상기 텀 “y”는 샘플 시간에서 상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간섭 텀들은 상기 간섭 채널 디코더(114)의 연역적 간섭 비트 LLR과 같은 상기 간섭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섭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는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로 입력되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효과들의 일부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간섭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는 “L(A,2,I)” 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5
상기와 같은 수학식 13에서, 상기 텀 “
Figure pct00016
”는 실행 평균 값과 간섭 채널 행렬로부터 상기 간섭 신호의 분산의 함수이다.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의 추가적인 개선 및 프로세싱을 위해서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에 연결되는 상기 제1 가산기(116)로 입력될 수 있다. 레지스터(register) 혹은 샘플(sample) 및 홀드(hold) 회로와 같은,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는 안정적 현재 비트 귀납적 LLR 정보를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 및 상기 제2 가산기(122)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산기(116)에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산기(122)는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의 출력의 부분들과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산기(122)는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에 연결되어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의 부분들과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의 출력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는 “L(A,2,D)”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7
상기와 같은 수학식 14에서, 상기 텀 “
Figure pct00018
”은 실행 평균 값과 상기 원하는 채널 행렬로부터의 원하는 신호의 분산의 함수이다.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4)는 또한 상기 제2 심볼 검출기(304)에 연결되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컴포넌트들의 보다 나은 식별을 제공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컴포넌트들은 제2 eNodeB, 상기 무선 기지국, 상기 통신 송수신기, 혹은 상기 무선 핫 스팟 등과 같은 대체 통신 소스로부터의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대상으로 하는 동일한 통신 소스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서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 혹은 샘플 및 홀드 회로와 같은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는 상기 제2 가산기(122)에 연결된다.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의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드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출력은 상기 디코딩된 혹은 부분적으로 디코딩된 비트의 연역적 LLR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 제1 가산기(116), 제2 심볼 검출기(304)에 연결된다.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는 “L(a,1,D)” 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1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상기 수학식 15에서, 상기 텀 “Ln ,m”는 m번째 심볼의 n번째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원하는 비트의 상기 로그 우도 비로 정의된다.
상기 제1 가산기를 통한 상기 원하는 로그-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 및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드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결합은 원하는 외부 로드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9)를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로 제공한다. 상기 원하는 외부 로드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9)는 “L( ext ,1,D)”로 지정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0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0)의 귀납적 LLR 정보와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조합은 3G 무선 통신의 최저 코드 레이트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현재의 스테이트를 통해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에서 7 dB 이상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코드 레이트가 증가할 경우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에서의 개선은 7 dB 성능 마진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간섭 필터(130)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대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상기 제2 심볼 검출기(304)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 상기 원하는 비트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 LLR)(124),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와 결합될 경우,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는 “L(A,1,I)”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17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1
상기 제2 심볼 검출기(304)는 “L( ext ,1,I)”로 지정될 수 있고, 하기 수학식 18과 같이 계산될 수 있는 상기 간섭 외부 로그 우도 비(138)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 및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4)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상기 제3 가산기(136)에 연결된다:
Figure pct00022
레지스터 혹은 샘플 및 홀드 회로와 같은 상기 간섭 버퍼(140)는 안정적 현재 간섭 비트 귀납적 LLR 정보를 상기 간섭 채널 디코더(114) 및 상기 제4 가산기(142)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3 가산기(13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가산기(142)는 상기 간섭 비트 버퍼(144)에 연결되고, 상기 디코딩된 혹은 부분적으로 디코딩된 간섭의 연역적 LLR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 상기 제3 가산기(136)와, 상기 제2 심볼 검출기(304)에 연결된다.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반복적 검출 및 디코딩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열화시킬 수 있는 상기 간섭 채널의 순방향 에러 정정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32)를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는 즉시 시작되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부정적인 효과들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볼 검출기(302)의 조인트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프로세스는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120)가 상기 디코딩된 비트(148)를 상기 임계 검출기(150)로 전달하는 능력에 있어 7dB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임계 검출기(150)의 출력은 수신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입력을 위한 상기 필터링된 수신 비트(152)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간섭 소스들을 가지는 영역에서 무선 통신에 대한 중요하고, 현재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이용 불가능한 해결 방식들, 능력들 및 기능적 측면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단일 채널 디코딩이 논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300)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조인트 반복 검출 및 디코딩 프로세스(401)의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반복 검출 및 디코딩 프로세스(401)의 플로우 차트는 베이스 밴드 입력 신호가 도 1의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 수신 블록(402)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이벤트는, 무선 메시지 또는 컨텐트를 구성하는, 비트들 또는 심벌들의 열의 시작임을 보여준다.
상기 플로우는 귀납적 LLR들과, 외부 LLR들과, 연역적 LLR들의 생성이 개시되는 조인트 검출기 블록(404)으로 진행한다. 상기 귀납적 LLR들과, 외부 LLR들과, 연역적 LLR들은 도 1의 간섭 입력 신호(108)뿐만 아니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에 대해 프로세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LLR들 계산 블록(406)으로 진행한다.
상기 LLR들 계산 블록(406)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리드(read)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을 통한 상기 데이터에 충분한 마진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의 터보 코드(turbo code) 원리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채널 디코딩 블록(408)으로 진행한다.
상기 채널 디코딩 블록(408)은 상기 무선 메시지의 비트들 혹은 컨텐트(content)를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충분한 양이 무효화되었다는 것을 반드시 확인해야만 한다. 상기 채널 디코딩 블록(408)은 지시(indication)를 원하는 신호 디코딩 블록(4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 블록(410)은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를 보다 완벽하게 무효화시키기 위해 귀납적 LLR들과, 외부 LLR들과, 연역적 LLR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스가 반복해야만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블록이다. 상기 프로세스가 반복되어야만 한다고 결정될 경우, 상기 프로세스는 귀납적 LLR들 업데이트 블록(412)으로 진행한다.
귀납적 LLR들 업데이트 블록(412)은 도 1의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 및 도 1의 상기 간섭 비트 버퍼(144)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도 1의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 및 도 1의 상기 간섭 비트 버퍼(144) 버퍼의 활성화는 상기 귀납적 LLR들이 상기 도 1의 상기 원하는 비트 버퍼(126) 및 도 1의 상기 간섭 비트 버퍼(144) 버퍼의 현재 상태들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허여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및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에 대한 귀납적 LLR들 둘 다는 이 프로세스에 의해 업데이트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연역적 LLR들 업데이트 블록(414)으로 진행한다.
상기 연역적 LLR들 업데이트 블록(414)은 도 1의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와 도 1의 상기 간섭 버퍼(14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도 1의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와 도 1의 상기 간섭 버퍼(140)는 도 1의 상기 원하는 신호 버퍼(118)와 도 1의 상기 간섭 버퍼(140)의 현재 상태들을 기반으로 상기 연역적 LLR들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허여한다.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 및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에 대한 연역적 LLR들 둘 다는 이 프로세스에 의해 업데이트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간섭-인지 조인트 IDD 결정 블록(416)으로 진행한다.
상기 간섭-인지 조인트 IDD 결정 블록(416)은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 혹은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 심볼 검출기의 결합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반드시 결정해야만 한다. 상기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상기 플로우에 의해 상기 조인트 검출기 블록(404)으로의 반복이 실행된다. 하지만,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조인트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ML) 검출기(204)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플로우는 연속적 간섭 제거 블록(418)으로 진행한다.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 블록(418)은 도 1의 상기 간섭 비트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12)를 수락하고, 상기 귀납적 LLR들 및 상기 연역적 LLR들의 업데이트에 의해 개선된 바 있는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모듈(21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화이트닝 블록(420)으로 진행한다.
상기 화이트닝 블록(420)은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열화시킬 수 있는 간섭의 레벨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간섭 화이트닝 모듈(212)은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의 추가적인 필터링을 위해서 상기 귀납적 LLR들 및 상기 연역적 LLR들의 업데이트된 값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심볼 검출기 블록(422)으로 진행한다.
상기 심볼 검출기 블록(422)은 상기 화이트닝 블록(420)으로부터 상기 감소된 간섭 행렬을 수신하고, 도 1의 상기 원하는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 LLR)(128)의 업데이트된 값을 적용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상기 LLR들 계산 블록(406)으로 진행하여 상기 반복을 완료한다.
상기 원하는 신호 디코딩 블록(410)이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로부터 상기 비트들을 읽기에 충분한 마진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경우, 상기 플로우는 하드(hard) 비트들 계산 블록(424)으로 진행한다.
상기 하드 비트들 계산 블록(424)은 상기 메시지의 더 높은 레벨의 컨텐트를 구성하는 상기 코드 워드(code word)의 하드 비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 기능(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로우는 엔드 블록(end block)(426)으로 진행하여 상기 프로세싱을 완료한다.
첫 번째 코드 워드 프로세싱에 대한 귀납적 LLR들, 외부 LLR들, 연역적 LLR들에 대한 마지막 값들이 새로운 코드 워드에 대한 다음 프로세싱에 대한 초기 값들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또한, 모든 원하는 신호들이 동일한 간섭 채널들이 될 다수의 채널 입력에 대해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필터링 프로세스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귀납적 LLR들, 외부 LLR들, 연역적 LLR들의 프로세싱된 값들을 공유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도 1의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501)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501)의 기능적 블록 다이아그램은 eNodeB, 무선 기지국, 통신 송수신기, 혹은 무선 핫 스팟과 같은 제1 통신 소스(504)로부터의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502)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2)는 셀룰라 전화기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2)는 이동형 컴퓨터, 자동차, 혹은 개인용 통신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제2 통신 소스(506)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502)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수신되는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2)가 상기 제2 통신 소스(506)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104)의 세기는 상기 제1 통신 소스(504)로부터의 거리(508)의 함수인 진폭 측면에서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상기 간섭 입력 신호(108)는 증가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1% 패킷 에러 레이트(packet error rate)에서 신호 대 잡음 비에서 최소 7dB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상기 제1 통신 소스(504)와 제2 통신 소스(506)간의 스위칭에서의 결과적인 감소는 상기 통신 플로우가 인터럽트(interrupt)되지 않을, 보다 높은 확률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통신 소스(504)와 제2 통신 소스(506)간의 스위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02)는 상기 제2 통신 소스(506)에 보다 더 가까워질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더욱 강한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상기 거리(508)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의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600)의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600)은: 블록(602)에서 원하는 입력 신호 및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블록(604)에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1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블록(606)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2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블록(608)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결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와, 장치와, 디바이스와, 제품 및/혹은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높은 융통성을 가지며, 효율적이며, 또한 공지의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의외이면서도 자명하지 않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생산 방법들 혹은 프로세스들 혹은 기술들과 완벽하게 호환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생산 및 운영하는 것에 쉽게 적합하게 된다. 상기 결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와, 장치와, 디바이스와, 제품 및/혹은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높은 융통성을 가지며, 정확하고, 민감하고, 효율적이며, 준비되어 있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 적용, 사용을 위해 공지의 컴포넌트들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가격 감소, 시스템 간략화, 성능 개선의 역사적 트렌드를 중요하게 지원하고 서비스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런 중요한 측면 및 다른 중요한 측면은 또한 결과적으로 상기 기술의 스테이트를 적어도 다음 레벨로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최적 모드로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상기한 바와 같은 설명의 관점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모든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혹은 첨부 도면에서 도시되는, 현재까지의 모든 사항들은 도시를 위한 것이고,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입력 신호 및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1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2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과정은: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비를 상기 제1 심볼 검출기 및 제2 심볼 검출기로 커플링(coupl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로부터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는 간섭 화이트닝 모듈(interference whitening module)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과정은:
    디코딩되는 비트들을 조인트 디코딩하기 위해 귀납적 LLR들을 업데이트(update)하고 연역적 LLR들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직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첫 번째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생성하는 조인트 최대 우도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이후의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비를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입력 신호 및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 모듈(module) 및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1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 및 제4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2 심볼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을 통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4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을 통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 디코딩(joint decoding)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과정은: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비를 상기 제1 심볼 검출기 및 제2 심볼 검출기로 커플링(coupl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간섭 버퍼(buffer) 및 간섭 비트 버퍼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로부터 상기 간섭 비트 연역적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는 간섭 화이트닝 모듈(interference whitening module)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in-single-out) 검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최대 우도 검출 모듈 혹은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d error)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는 과정은:
    계산 LLR들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되는 비트들을 조인트 디코딩하기 위해 귀납적 LLR들을 업데이트(update)하고 연역적 LLR들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직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첫 번째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생성하는 조인트 최대 우도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간섭 화이트닝(whitening)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후의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비를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원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심볼 검출기와;
    간섭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심볼 검출기와;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원하는 로그 우도 비(log-likelihood ratio)를 생성하는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2 심볼 검출기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로부터 간섭 로그 우도비를 생성하는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비 모듈과;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상기 간섭 로그 우도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고,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반복적으로 개선시켜 디코딩된 비트를 조인트(joint) 디코딩하는 원하는 채널 디코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에 연결되고,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 디코딩하는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는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비를 개선시키는 원하는 비트 신호 버퍼(buff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서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 및 간섭 화이트닝(whitening)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볼 검출기에 연결되어 귀납적 LLR들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원하는 비트 버퍼(buffer)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심볼 검출기는:
    첫 번째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생성하는 조인트 최대 우도 검출기와;
    이후의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서 제1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과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과;
    상기 제2 심볼 검출기에서 제3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과 상기 제4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디코딩되는 비트를 조인트 디코딩하는 상기 원하는 채널 디코더는 상기 제2 간섭 인지 로그 우도 비 모듈에 연결되는 간섭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는,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개선하는 원하는 비트 신호 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in-single-out) 검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최대 우도 검출 모듈 혹은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d error) 검출기를 포함하는, 상기 간섭 입력 신호를 무효화시키는,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서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 및 간섭 화이트닝 모듈(interference whitening module)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원하는 채널 디코더에 연결되어 연역적 LLR들을 업데이트하는 원하는 신호 버퍼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심볼 검출기에 연결되어 귀납적 LLR들을 업데이트하는 원하는 비트 버퍼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1 심볼 검출기는:
    첫 번째 반복에서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생성하는 조인트 최대 우도 검출기와;
    이후의 반복에서 상기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에 연결되는 간섭 화이트닝(whitening)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원하는 로그 우도 비를 개선시키는 연속적 간섭 제거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57005215A 2012-07-27 2013-03-18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5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60,330 2012-07-27
US13/560,330 US20130156139A1 (en) 2011-12-15 2012-07-27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CT/KR2013/002195 WO2014017723A1 (en) 2012-07-27 2013-03-18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640A true KR20150041640A (ko) 2015-04-16
KR102115547B1 KR102115547B1 (ko) 2020-05-28

Family

ID=499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215A KR102115547B1 (ko) 2012-07-27 2013-03-18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56139A1 (ko)
EP (1) EP2878108B1 (ko)
KR (1) KR102115547B1 (ko)
CN (1) CN104509055B (ko)
WO (1) WO2014017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3369B2 (en) * 2012-02-24 2014-12-02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225468B1 (en) * 2013-04-01 2015-12-29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ata in a received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signal
US9521558B2 (en) 2013-06-1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coordin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02236B2 (en) 2013-06-18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decoding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215017B2 (en) 2013-06-18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decoding sequenc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391685B2 (en) 2013-08-15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pr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806827B2 (en) 2013-09-13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071316B2 (en) * 2013-10-04 2015-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etection of symbols in communication signals
US9526016B2 (en) * 2014-02-14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feedback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75545B1 (ko) 2014-03-21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2265220B1 (ko) * 2015-03-09 2021-06-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컨트롤러,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35554B1 (ko) * 2015-03-17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06885B1 (ko) 2015-08-11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31480A1 (en) 2016-01-26 2017-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257181A1 (en) * 2016-03-07 2017-09-07 National Taiwan University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Inter-Antenna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69145A (ko) 2017-12-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윈도우 수퍼포지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N111835461B (zh) * 2019-04-23 2024-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提供多输入多输出检测器选择的系统和方法
CN112929058B (zh) * 2021-01-21 2022-03-04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干扰对齐的mimo网络缓存放置方法
US11558115B1 (en) 2021-07-14 2023-01-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optical transmission
CN114465853B (zh) * 2022-03-18 2023-09-08 河南科技大学 一种基于神经网络的多符号非相干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239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49394A (ko) * 2009-09-02 2012-05-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Harq 결합 및 소프트 판정 지시 채널 추정을 통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KR20120064100A (ko) * 2009-09-02 2012-06-1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조인트 llr 추출 및 연역적인 확률을 사용하는 단일화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6813B1 (en) * 2000-03-16 2006-09-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soft-decision bas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decoding
JP3714910B2 (ja) * 2001-02-20 2005-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ターボ受信方法及びその受信機
KR100566241B1 (ko) * 2001-11-19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연성 심볼 결합 장치 및 방법
DE60215153T2 (de) * 2002-08-21 2007-10-25 Lucent Technologies Inc. Drahtloses MIMO Telekommunikationssystem mit Multilevel-Coded Modulation unter Verwendung von iterativer Ermittlung von Soft-Schätzwerten und entsprechende Methode
US7394412B2 (en) * 2004-01-15 2008-07-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fied interleaver/de-interleaver
KR100888502B1 (ko) * 2006-12-05 2009-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복 수신 장치 및 그의 송신 신호 검출 방법
KR100929850B1 (ko) * 2007-04-02 200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8229013B2 (en) * 2008-09-17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aximum-likelihood detection using post-squaring compensation
US9264097B2 (en) *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9320B2 (en) * 2009-09-02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Hardware simplification of sic-MIMO decoding by use of a single hardware element with channel and noise adapt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ed streams
US8831149B2 (en) * 2009-09-03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Symbol estim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8634332B2 (en) * 2010-04-29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joint decoding engine in a wireless device
US8660217B2 (en) * 2010-11-05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complexity soft-input soft-output group detection
US8644866B2 (en) * 2011-02-20 2014-02-04 Novelsat Ltd. Satellite receiver with interfering signal cancel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239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49394A (ko) * 2009-09-02 2012-05-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Harq 결합 및 소프트 판정 지시 채널 추정을 통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KR20120064100A (ko) * 2009-09-02 2012-06-1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조인트 llr 추출 및 연역적인 확률을 사용하는 단일화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6139A1 (en) 2013-06-20
WO2014017723A1 (en) 2014-01-30
EP2878108A4 (en) 2016-04-13
EP2878108B1 (en) 2023-04-26
CN104509055B (zh) 2018-04-17
KR102115547B1 (ko) 2020-05-28
EP2878108A1 (en) 2015-06-03
CN104509055A (zh)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1640A (ko) 간섭 필터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458009B1 (ko) Harq 결합 및 소프트 판정 지시 채널 추정을 통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KR101409905B1 (ko) 조인트 llr 추출 및 연역적인 확률을 사용하는 단일화된 반복 디코딩 아키텍처
EP2474117B1 (en) Hardware simplification of sic-mimo decoding by use of a single hardware element with channel and noise adapt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ed streams
EP25266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single user detection and multi user detection
JP6116032B2 (ja) 高電力高性能受信機又は低電力基本受信機を選択するためのデータスケジューリングアクティビティの監視
EP3621208A1 (en) Efficient frequency domain (fd) mmse equalization weight updates in a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EP23161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CN112866154B (zh) 使用增强学习在串行干扰消除接收器中发现码字解码顺序的方法和装置
CN102882653A (zh) 信道质量指示上报的方法和用户设备
WO2020238867A1 (zh) 一种相位噪声抑制方法及装置
US9374175B2 (en) Joint spatial processing for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and/or non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channels
EP3282657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ransmission signal
EP253605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controlling interference
CN112654034B (zh) 用于管理多sim ue的控制信道上的解码的方法及系统
EP1906559B1 (en) Process for mitigation of interference in a mobile cellular network and base station of a mobile cellular network
WO2010066287A1 (en) Apparatus for rejecting co-channel interference and correspond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18595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igh-mobility state of mobile terminal and related device
US91972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demodulation with max-log MAP (MLM)
US9853665B2 (en) Method for selection between VAMOS receiver and non-VAMOS receiver in user equipment
WO2010128612A1 (ja) 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738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hannel estimation using matching pursuit
KR10221435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JP612832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リソース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6119B2 (ja) 干渉信号低減機能制御装置、干渉信号低減機能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