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354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354B1
KR102214354B1 KR1020140134549A KR20140134549A KR102214354B1 KR 102214354 B1 KR102214354 B1 KR 102214354B1 KR 1020140134549 A KR1020140134549 A KR 1020140134549A KR 20140134549 A KR20140134549 A KR 20140134549A KR 102214354 B1 KR102214354 B1 KR 10221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hreshold value
probability
dtx
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209A (ko
Inventor
김호일
정다해
여수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1,132 priority Critical patent/US9826569B2/en
Publication of KR2015013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정보를 non-DTX 정보로 판정하는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된 non-DTX 정보를 DTX 정보로 판정하는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송신기가 ACK(acknowledge)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에 근거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SCHEME FOR detecting indicato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채널에서 송신되는 인디케이터 정보의 검파 기법에 관한 것으로써, 임계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 값을 이용하여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의 경우 여러 종류의 인디케이터 채널(indicator channel)이 존재한다. 일례로, 수신기(예를 들어, 단말)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송신기(예를 들어, 기지국)는 AICH(Acquisition Indicator Channel)를 통해 획득 지시자(acquisition indicator)를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preamble)에 대한 응답인 획득 지시자에는 예를 들어, ACK(acknowledge), NACK(negative-acknowledge), NoResponse(: 무응답)가 포함될 수 있다.
송신기로부터 인디케이터 정보를 수신한 수신기는 수신 값을 임계 값(threshold)과 비교하여 인디케이터 정보가 무엇인지를 결정(decision)하는 동작 즉, 검파(detection) 동작을 한다. 이러한 임계 값은 다양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오경보 확률 검파기(CFAR detector; constant false alarm rate detector)는 일정 오경보 확률 임계 값(CFAR threshold)을 검파에 사용함으로써 일정 기준의 오경보(false alarm) 확률을 만족시키게 한다.
다른 예로써, 일정 손실 확률 검파기(CMDR detector; constant missed detection rate detector)는 일정 손실 확률 임계 값(CMDR threshold)을 검파에 사용함으로써 일정 기준의 손실 확률(MDR, missed detection rate) 만족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을 동시에 고려하여 임계 값을 설정하는 검파 방법이 있다. 이때,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을 각각 일정 기준을 동시에 만족하는 임계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예외적 처리(예를 들어, 오경보 확률 또는 손실 확률 중 어느 하나를 우선 만족하는 임계 값을 선택)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PDF(probability density function; 확률밀도함수) 그래프를 이용하여 인디케이터 정보의 검파를 위한 임계 값(threshold)을 설정하는 방법들을 예시한다.
도 1은 일정 오경보 확률을 만족하는 검파기 1(즉, CFAR 검파기)과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한다.
도 1(a)는 이진 가설 H0일 때 수신 신호의 확률밀도함수(PDF) 그래프(100)와 이진 가설 H1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110)가 겹치는(overlapped) 경우를 예시한다. 오경보 확률은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일 때 ACK으로 결정할 확률이고, 손실 확률은 인디케이터 정보가 ACK일 때 DTX로 결정할 확률이다. 이때,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 eta)(10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오른쪽 평면에서 H0일 때 PDF 그래프(100) 및 수평 축(1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106)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손실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 (10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왼쪽 평면에서 H1일 때 PDF 그래프(110) 및 수평 축(1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104)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b)는 H0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120)와 H1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130)가 겹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 (12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오른쪽 평면에서 H0일 때 PDF 그래프(120) 및 수평 축(1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124)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임계 값 η (12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과 H1일 때 PDF 그래프(13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0이다. 즉, H0 일 때 PDF 그래프(120)와 H1일 때 PDF 그래프(130)가 겹쳐지지 않는 경우에는 손실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제 ACK 정보가 송신될 경우의 PDF 그래프(120)와 DTX 정보가 송신될 경우의 수신 정보의 PDF 그래프(130)가 겹치지 않고(non-overlapped) 분리된 경우(well-separated)에, 일정 오경보 확률 검파기는 손실 확률(MDR, missed detection rate)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오경보 확률을 더 감소시키도록 임계 값(CFAR threshold)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운영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즉, 도 1(b)의 검파기는 임계 값을 적응적으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
도 2는 일정 손실 확률을 만족하는 검파기 2(즉, CMDR 검파기)와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한다.
도 2(a)는 H0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200)와 H1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210)가 겹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20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오른쪽 평면에서 H0일 때 PDF 그래프(200) 및 수평 축(2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206)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손실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 (20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왼쪽 평면에서 H1일 때 PDF 그래프(210) 및 수평 축(2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204)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b)는 H0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220)와 H1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230)가 겹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손실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은 임계 값 η (22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의 왼쪽 평면에서 H1일 때 PDF 그래프(230) 및 수평 축(29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224)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임계 값 η (222)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축과 H0일 때 PDF 그래프(22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0이다. 즉, H0 일 때 PDF 그래프(220)와 H1일 때 PDF 그래프(230)가 겹쳐지지 않는 경우에는 오경보 확률을 나타내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제 ACK 정보가 송신될 경우의 PDF(220)와 DTX 정보가 송신될 경우의 수신정보의 PDF(230)가 겹치지 않고 분리된 경우에, 일정 손실 확률 검파기는 오경보 확률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손실 확률을 더 감소시키도록 임계 값(CMDR threshold)을 (더 작게) 설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운영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즉, 도 2(b)의 검파기 2도 역시 임계 값을 적응적으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 단, 도 2의 검파기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실제로 ACK으로 전송되었을 경우의 수신 정보의 품질율(SNRACK; signal to noise ratio for ACK)을 상위 계층(higher layer)의 보조 정보를 통해 추정하거나 블라인드 추정(blind estimation) 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정 오경보 확률과 일정 손실 확률을 만족하는 검파기 3과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한다.
도 3(a)는 일정 오경보 확률과 일정 손실 확률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임계 값 η (302)은 H1일 때 수신 신호의 PDF 그래프(310)의 평균 값 μ (: ACK 신호의 이득에 해당)의 1/2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었다.
도 3(b)는 일정 오경보 확률과 일정 손실 확률을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두 확률의 단순 산술 합을 최소화하는 검파기의 임계 값 η (=μ/2) (322) 설정을 예시하였다. 다른 예로써,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의 두 가지 기준 중 특정 하나만 만족하도록 임계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단순히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이 각각 일정 기준을 만족시키거나,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 각각의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임계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어느 하나의 기준만을 만족시키는 임계 값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의 합만을 최소화하도록 검파기의 임계 값을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최적의 임계 값을 결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검파기의 임계 값 결정을 위한 개선된 기법이 요구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검파기의 임계 값 결정 기법들은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려하거나 또는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인디케이터 정보 결정에 적용할 임계 값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 기법들은 단순히 오경보 사건 및 손실 사건 각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cost)은 같다고 가정하고,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 각각의 최소화 또는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의 단순 합에 대한 최소화만 고려하고 있어서 검파기의 성능을 최적화할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검파기에서는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로 인해 발생하는 실제적 비용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AICH의 경우에 호 수발신 지연시간(call setup delay)과 같은 비용은 오경보 및 손실에 대해 서로 현저히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에 따른 실제적 비용을 고려하여 임계 값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심볼의 오류율(symbol error probability)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의 트래픽 정보와 달리, 인디케이터 채널의 인디케이터 정보에 대해서는 오경보 또는 손실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질적 비용이 크기 때문에 임계 값 결정에 비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오경보 확률과 손실 확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실제적 비용을 비용 함수 모델링에 반영하여, 전체 비용을 최소화(cost minimizing)하는 임계 값 결정 방식 및 이를 이용한 검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정보를 non-DTX 정보로 판정하는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된 non-DTX 정보를 DTX 정보로 판정하는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송신기가 ACK(acknowledge)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에 근거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정보를 non-DTX 정보로 판정하는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된 non-DTX 정보를 DTX 정보로 판정하는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검파부를 포함하되,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송신기가 ACK(acknowledge)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에 근거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검파기는 손실 확률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오경보 확률을 줄이는 임계 값을 검파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검파기는 오경보 확률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손실 확률을 줄이는 임계 값을 검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검파기는 수신기가 지불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적용함으로써 본 개시의 수신기(또는 단말)는 호 수발신 지연 시간과 같은 비용을 최소화 시키며, 따라서 사용자 체험 품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정 오경보 확률을 만족하는 CFAR 검파기와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일정 손실 확률을 만족하는 CMDR 검파기와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일정 오경보 확률과 일정 손실 확률의 조합을 만족하는 검파기와 그 임계 값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라서 인디케이터정보를 검파하는 무선통신 수신기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의한 검파용 수신 품질율 임계 값을 이용하는 검파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서 송신기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BS, NodeB(NB), eNod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수신기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device),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검파기란 수신기에 구비되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수신 정보의 값을 결정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상기 검파기는 수신기의 구성 모듈임을 나타내기 위해 검파부와 같이 호칭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개시에서 송신기가 송신하는 인디케이터 정보는 이진(binary) 즉, non-DTX(예를 들어, ACK)와 DTX 두 가지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내용은, 일례로 3GPP E-HICH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 acknowledgement indicator channel)처럼, 송신되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비이진(non-binary) (예를 들어, ACK, NACK, DTX와 같이 3 가지)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제안 기법은 일례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WCDMA의 AICH(Acquisition Indicator Channel)의 인디케이터 정보(ACK/NACK/DTX)를 검파하는 방법에 적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법은, 3GPP WCDMA AICH 뿐만 아니라, 수신 값을 임계 값과 비교하여 수신 정보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검파 방법을 적용하는 모든 무선 통신 수신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채널의 인디케이터 정보를 임계 값과 비교하여 검파하는 모든 수신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로써, 본 개시의 검파 기법은 WCDMA 시스템의 PICH(paging indicator channel), MICH(MBMS(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indicator channel), E-HICH, 및 E-RGCH(E-DCH relative grant channel)의 수신기에 적용 가능하며,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인코딩 정보를 수신하는 S-SCH(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의 수신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검파 기법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시스템의 업링크(uplink) HS-DPCCH(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ACK/NACK 정보 수신기의 검파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고,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의 수신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라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무선통신 수신기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수신기는 RF(radio frequency) 신호처리부(400), 기저대역 신호처리부(405), 검파부(410), 및 제어부(415)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는 전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처리부(405)는 특정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채널의 영향을 제거하여 인디케이터 신호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처리부(405)는 상기 인디케이터 신호로부터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신 품질율 SNRy 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품질율 SNRy 를 검파부(410)에게 전달 한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처리부(405)는 예를 들어,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와 같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파부(410)는 상기 채널의 영향이 제거된 인디케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인디케이터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파부(410)은 수신된 인디케이터 신호 y 와 임계 값 η 를 비교하거나, 수신 품질율 SNRy 와 수신 품질율 임계 값 SNRth를 비교하여 인디케이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5)는 오경보 사건의 비용에 대한 기대 값과 손실 사건의 비용에 대한 기대 값을 이용하여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는 수신 품질율 임계 값(η 또는 SNRth)를 결정하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검파부(410)에게 상기 임계 값을 전달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는 본 개시의 수신기에 포함되는 RF 신호처리부(400), 기저대역 신호처리부(405), 검파부(410) 및 제어부(415)를 별도의 구성부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부들은 제어부(415)와 같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검파 방법의 모든 동작들은 상기 제어부(415)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되는 수신 품질율 임계 값(SNRth)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수신 신호의 시스템 모델에 대해 설명한다.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신 신호 y는 다음과 같이 모델링한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1
여기서, a는 인디케이터 정보이고, μ (: mu)는 이득 항(gain term)이고, w는 평균 0 및 잡음 전력 σ2를 갖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다. a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2
Hn는 가설(hypothesis)을 나타낸다. H0 일 때 a = 0 이고, 이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임을 나타낸다. DTX는, 송신기가 인디케이터 정보를 보내지 않았을 때, 수신기에서 0으로 처리되는 인디케이터 정보이다. H1일 때 a=-1이고, 이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NACK임을 나타낸다. H2일 때 a=+1이고, 이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ACK임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개시에서는 인디케이터 정보의 종류를 아래와 같이 이진(즉, On-Off Keying)으로 간소화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예시가 비이진(non-binary)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경우로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검파 기법은 삼진의(ternary) 인디케이터 정보(즉, ACK/NACK/DTX)를 검파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3
즉,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및 ACK 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할 것이다. H0 일 때 a = 0 이고, 이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임을 나타낸다. H1일 때 a=+1이고, 이는 인디케이터 정보가 ACK임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의 w는 다음과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4
N은 평균(0)과 잡음 전력을 인자로 갖는 잡음 함수이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잡음 전력(σ2)을 추정하여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송신기가 인디케이터 정보로써 ACK 을 송신할 때 수신기에서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신 품질율 SNRACK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5
수신기는 수신 품질율 정보의 분자항인 ACK 신호의 전력(σ2)을 상위 계층(higher layer)으로부터 직접 전달받아 알고 있거나 또는 이미 전송되어 DTX가 아닌 것(non-DTX)으로 판정된 정보의 수열로부터 간접 추정하여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3GPP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이득 항(μ2)을 지시하는 AICH 전력 옵셋(power offset)를 이용하여 P-CPICH(primary common pilot channel)의 SNR 추정 값으로부터 ACK 신호의 전력을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CPICH 대비 전력 옵셋(power offset)을 알 수 없는 인디케이터 채널(예: 3GPP E-HICH)의 경우에, 상기 수신기는 P-CPICH 대비 E-HICH의 전력 옵셋을 추정하여, E-HICH의 ACK 신호 전력 값을 계산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수신 신호 y는 이진 가설(즉, H1 및 H0) 각각의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은 확률분포(PDF) f 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6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7
예를 들어, 네이만-피어선(Neyman-Pearson) 검파기에 적용될 수 있는, 일정 오경보 확률 검파기(CFAR detector)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목표 오경보 확률 PFA를 만족하는 제약 조건(constraint)하에서 검파 확률 PD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수학식 8의 우도비 검정(likelihood ratio test)이나 수학식 9의 로그 우도비 검정(log-likelihood ratio test)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8
Figure 112014095247411-pat00009
여기서, ‘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0
’는 정의상(by definition) 등가임을 의미하고, γ (: gamma)는 우도비 검정에 이용되는 임계 값이다. 즉, 우도비 검정은 인디케이터 정보가 0 인 경우의 확률분포에 대한 인디케이터 정보가 1인 경우의 확률분포의 비율을 임계 값 γ와 비교하는 검정이다.
송신된 ACK (H1)을 수신기가 ACK으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1
=H1)할 확률 즉, 검파 확률 PD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2
여기서, P는 확률 함수이다. 송신된 DTX (H0)를 수신기가 ACK으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3
=H1)할 확률 즉, 오경보 확률 PF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우도비 검정의 임계 값 γ는 PFA 정의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4
수학식 6과 수학식7을 이용함으로써, 수학식 9의 로그 우도비 검정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5
여기서, 임계 값 η (: et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으로써 수신 신호 관찰(observation) 값 y를 검정 통계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6
수신기는 수신 신호 관찰 값 y를 임계 값 η와 비교함으로써 수학식 14과 같이 오경보확률 PFA 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7
수신기는 수신 신호 관찰 값 y를 임계 값 η와 비교함으로써 수학식 15과 같이 검파 확률 PD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8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수학식 14 및 수학식 15를 정리하면, 검파 확률 PD와 오경보 확률 PFA는 수학식 16 또는 수학식 17과 같은 수식관계를 가짐을 쉽게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19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0
여기서, Q 함수와 erf 함수(: error function)의 정의는 각각 수학식 18 및 수학식 19와 같으며, 기술분야에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1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2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수신 신호의 시스템 모델에서 본 개시에서 제안되는 수신 품질율 임계 값(η 또는 SNRth)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수학식 14의 결과에 대해 Q-1 함수(: Q 함수의 역함수)와 erf-1 함수(: erf 함수의 역함수)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임계 값 η를 PFA로 기술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3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4
수신 인디케이터 신호의 수신 품질율은 SNRy= y22 이고, 인디케이터 정보 판정에 이용되는 수신 품질율의 임계 값은 SNRth= η22이다. 따라서, 신호 관찰 값 y를 임계 값 η와 비교하는 동작은 사실상 y22 를 η22와 비교하는 동작과 동일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y를 η와 비교하는 동작은 SNRy 를 SNRth 와 비교하는 동작과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검파기의 임계 값을 상기 수학식 16 및 수학식 17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의 검파기 1은 일정 오경보 확률 검파기로써, 목표치를 달성하는 임계 값 η를 만족하는 PFA를 설정한다. 그러나, 도 1(b)의 상기 검파기 1은 SNRACK 정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검파 확률 PD의 감소 없이 오경보 확률 PFA를 감소할 수 있는 성능향상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 즉, 도 1(b)의 상기 검파기 1은 이진 가설 각각의 경우에 대한 수신 신호 y의 두 확률분포가 겹치지 않고 분리된 경우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도 2(b)의 검파기 2는 목표 검파율(target detection rate 또는 desired detection rate)을 달성하는 검파 기법이어서 SNRACK정보를 사용하여 목표 검파율(detection rate)를 만족하는 임계 값 η를 설정한다. 비록, 도 2(b)의 상기 검파기 2도 SNRACK 정보를 사용하지만 목표 검파 확률 PD만 고려함으로써 오경보확률 PFA의 증가 없이 검파 확률 PD를 증가할 수 있는 성능향상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 즉, 도 2(b)의 검파기 2도 이진 가설 각각의 경우에 대한 수신 신호 y의 두 확률분포가 겹치지 않고 분리된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도 3(a)의 검파기 3은 목표 검파 확률 PD와 목표 오경보 확률 PFA를 동시에 만족하는 임계 값 η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임계 값을 사용하거나, 그러한 임계 값이 존재하지 않을 때 도 3(b)의 검파기 3는 다양한 정책에 따라 오경보 확률이나 목표 검파 확률 중 우선시 하는 하나의 성능지표를 선택하거나, 오경보 확률과 검파 확률의 단순 합(즉 1:1 가중치)을 최소화하지만, 검파기를 사용하는 수신기 시스템의 전체적 비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도 1 내지 도 3의 상기 검파기 1, 2, 3은 단순히 목표로 하는 오경보 확률 또는 검파 확률을 각각 또는 동시에 만족시키거나 단순 합을 고려하고 있을 뿐 시스템 전체적 비용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개시의 수신기는, 인디케이터 정보를 다른 정보(예를 들어, 일반적인 데이터 채널을 통한 트래픽 정보)의 심볼 오류율과는 달리 취급함으로써, 검파기가 최적의 임계 값 η 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인디케이터 정보의 오판정에 따른 비용(cost)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는 오판정에 따른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임계 값 η 을 설정하는 검파 기법 및 검파 장치를 제안한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의 수신기는 임계 값 η 과 등가 관계에 있는 수신 품질율 임계 값 SNRth22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예로써 WCDMA FDD 시스템의 수신기가 AICH를 검파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체험하는 호 수발신 지연시간(call setup delay)을 비용으로 간주하여 최적의 임계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방법은 단순히 예시일 뿐이므로, 본 개시의 내용을 가능한 다른 환경에 확장하여 적용함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을 것이다. 즉, 실제 ACK 수신시의 SNRACK을 상위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하거나 또는 이미 수신하여 ACK 정보로 판정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과거 수열 정보로부터 SNRACK을 간접 추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본 개시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수신기의 사용자가 체험하는 호 수발신 지연시간을 이용한 비용 함수는 다음과 같이 모델링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5
여기서, Cxy는 가설 Hx을 가설 Hy로 판정할 시의 비용이다.
비용을 호 수발신 지연 시간으로 적용하면 수학식 2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6
여기서, Txy 는 가설 Hx을 가설 Hy로 판정할 시의 시간적 비용이다. 본 개시에서는 시간을 비용으로 간주하였으므로, Cxy를 Txy 로 표기하였다.
T00은 DTX를 DTX로 판단하는 경우 즉, 정기각(correct reject)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다. 본 개시에서 T00은 T10와 같다고 가정한다.
T01은 DTX를 non-DTX(예를 들어, ACK)로 판단하는 경우 즉, 오경보 (false alarm)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며 일례로 대략 1초로 간주할 수 있다.
T10은 non-DTX(예를 들어, ACK)를 DTX로 판단하는 경우 즉, 손실 (missed detection)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으로 WCDMA FDD 표준에 의하면 수신기에 부여된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일례로 16ms 로 간주할 수 있다.
T11은 non-DTX(예를 들어, ACK)를 non-DTX(예를 들어, ACK)로 판단하는 경우 즉, 적중(detection)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다. 적중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은 없다고 가정함으로써, T11은 0ms 라고 간주할 수 있다.
예시적 값이지만, T01의 비용이 T10대비 동등하지 않고 수배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송신된 ACK (H1)을 수신기가 DTX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7
=H0)하는 손실(missing) 확률 PM과 ACK으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8
=H1)하는 적중 확률 PD의 합은 1이므로, 손실 확률 PM 는 1- PD과 같다. 또한, 수신기가 송신된 DTX (H0)을 DTX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29
=H0)하는 정기각 확률과 ACK으로 결정(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0
=H1)하는 오경보 확률 PFA의 합은 1이므로, 정기각 확률 P(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1
=H0|H0)은 1 - PFA와 같다. 수학적 처리(mathematical manipulation)을 거쳐 상기 수학식 23의 비용 C를 간략화 하면 수학식 24와 같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2
또한, 수학식 24의 유도 과정중에 수학적 엄격성(mathematical formality)을 위해 다음을 가정하였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3
수학식 24의 비용 함수 C는 η22에 대해 최소 값을 항상 갖는 특성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수학식 24의 비용 함수 C에 대해 수학식 26의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최적의 임계 값 η (또는 SNRy=y22에 대한 임계 값 SNRth22)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4
약간의 수학적 처리(mathematical manipulation)를 통해 수학식 26의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최적의 임계 값 SNRth (즉, SNRth _ MinCost)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5
수학식 27의 유도 과정상 수학식 28 및 수학식 29의 조건들을 가정하였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6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7
이진 가설에 대한 통계적 사전정보(A-priori probability)가 부재하여 Ho과 H1을 일례로 등가발생(Equi-probable) 사건으로 가정하여, P(H0)=P(H1)=1/2로 취급하면 최적의 임계 값 SNRth 에 관한 수학식 29는 다음과 같이 더 단순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4095247411-pat00038
수학식 3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 SNRth 는 실제 ACK 수신 시 인디케이터 수신 신호의 수신 품질율 SNRACK를 인자로써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용 최소화 임계 값은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 각각에 대해 수신기(또는 사용자)가 지불하는 실질적 비용 T01 및 T10 에 대한 고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검파기는 종래의 검파기에 비해 더 나은 성능을 가지게 된다. 성능 지표로써 비용에 관한 구체적 개선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의한 검파용 수신 품질율 임계 값을 이용하는 검파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수신기는 도 5에서 표기되는 동작의 일부만을 수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검파 기법을 구현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즉, 도 5에 표기된 모든 절차를 모두 수행해야만 본 개시의 기법이 구현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수신기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RF 신호로부터 인디케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기는 인디케이터 채널을 통해 인디케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인디케이터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율 SNRy을 계산한다(500).
상기 수신기는 실제 ACK 정보수신 시의 예상되는 수신 품질률 SNRACK 을 상위 계층의 정보를 이용해 계산하거나, 상위 계층의 도움을 받을 수 없을 시엔 기 수신된 DTX가 아닌 것(non-DTX)으로 판정한 인디케이터 수신 정보의 수열 값으로부터 간접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상위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SNRACK의 계산이 가능한지 체크한다(505). 상기 체크(505)의 결과가 가능인 경우, 상기 수신기는 상위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SNRACK 을 계산할 수 있다(510). 상기 체크(505)의 결과가 가능이 아닌 경우, 상기 수신기는 이전에 수신되어 non-DTX 판정된 인디케이터 수신 정보의 수열 값을 이용하여 SNRACK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515).
상기 수신기는 필요할 때마다 비용(Cxy)을 계산할 수 있다(520).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비용(Cxy)으로 계산된 값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용 CXY 는 상기 수신기(또는 사용자)가 겪는 시간일 수 있으며, TXY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Cxy 및 SNRACK 정보에 기반하여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SNRth 또는 η)을 계산할 수 있다(525). 상기 임계 값 SNRth는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30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매번 임계 값을 계산하지 않고, 미리 계산된 임계 값을 (예를 들어, 룩업(look-up) 테이블 등에) 저장해두고 상기 저장된 임계 값을 상기 수신기의 검파부가 사용할 임계 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는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신 품질율 SNRy과 상기 결정된 임계 값 (SNRth또는 η)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인지 ACK 인지에 대한 결정(즉, 검파)을 수행할 수 있다(530).
이상에서는 본 개시가 수신 품질율에 대한 임계 값 SNRth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품질율 SNRy 와 비교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법은 수신 정보 y를 임계 값 η와 비교하는 검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5가 예시하는 수신기 장치의 구성도 및 검파 방법의 예시도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기재된 모든 구성부, 또는 동작의 단계가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본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수신기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수신기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정보를 non-DTX 정보로 판정하는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된 non-DTX 정보를 DTX 정보로 판정하는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신호 전력, 에러 함수(error function)의 역함수, 및 상기 오경보 확률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손실 확률은 상기 에러 함수의 역함수, 상기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가 ACK(acknowledge)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비용은 상기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호 수발신 지연시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 y에 대한 임계 값 η 이며,
    Figure 112021500352912-pat00039
    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σ는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신호 전력이고, erf-1는 에러 함수의 역함수이고, PFA는 오경보 확률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signal to noise ratio of y)에 대한 임계 값 SNRth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를 계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를 상기 임계 값 SNRth 과 비교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상기 임계 값 SNRth
    Figure 112014095247411-pat00040

    Figure 112014095247411-pat0004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T01은 오경보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고, T10은 손실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고, P(H0)는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임을 가정한 확률이고, P(H1)은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가 non-DTX 임을 가정한 확률이고, SNRACK은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경보 확률 및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계 값을 선택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 SNRACK은 수신된 상위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거나 이전에 수신되어 non-DTX로 판정된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열로부터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는 y22 또는 y2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는 이진(binary) 정보이며, 상기 non-DTX 정보는 ACK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는 비이진(non-binary) 정보이며, 상기 non-DTX 정보는 ACK 정보 및 NACK(negative-acknowledge)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정보를 non-DTX 정보로 판정하는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된 non-DTX 정보를 DTX 정보로 판정하는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임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검파하는 검파부를 포함하되,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신호 전력, 에러 함수(error function)의 역함수, 및 상기 오경보 확률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손실 확률은 상기 에러 함수의 역함수, 상기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송신기가 ACK(acknowledge)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비용은 상기 오경보 확률 및 상기 손실 확률에 의해 발생하는 호 수발신 지연시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 y에 대한 임계 값 η 이며,
    Figure 112021500352912-pat00042
    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σ는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신호 전력이고, erf-1는 에러 함수의 역함수이고, PFA는 오경보 확률임.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값은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signal to noise ratio of y)에 대한 임계 값 SNRth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를 계산하는 기저대역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파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 를 상기 임계 값 SNRth 과 비교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상기 임계 값 SNRth
    Figure 112014095247411-pat00043

    Figure 112014095247411-pat0004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T01은 오경보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고, T10은 손실 발생시 호 수발신 지연시간이고, P(H0)는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가 DTX 임을 가정한 확률이고, P(H1)은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가 non-DTX 임을 가정한 확률이고, SNRACK은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을 계산하거나 또는 상기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계 값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계 값을 선택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임계 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위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 SNRACK을 계산하거나 또는 이전에 수신하여 non-DTX로 판정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열로부터 상기 ACK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율 SNRACK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인디케이터 정보의 품질율 SNRy는 y22 또는 y2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는 이진(binary) 정보이며, 상기 non-DTX 정보는 ACK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정보는 비이진(non-binary) 정보이며, 상기 non-DTX 정보는 ACK 정보 및 NACK(negative-acknowledge)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0134549A 2014-05-13 2014-10-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KR10221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1,132 US9826569B2 (en) 2014-05-13 2015-05-13 Method of detecting indicato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2522P 2014-05-13 2014-05-13
US61/992,522 2014-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09A KR20150130209A (ko) 2015-11-23
KR102214354B1 true KR102214354B1 (ko) 2021-02-09

Family

ID=5484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49A KR102214354B1 (ko) 2014-05-13 2014-10-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5371A1 (en) * 2005-09-08 2008-06-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tection method for ack/nack signals and detector thereof
US20110110240A1 (en) * 2008-02-21 2011-05-12 Gunnar Bergquist Adjustment of radio detection level for request signals based observed false detection
US20130288629A1 (en) * 2012-04-25 2013-10-3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etection of Binary Signaling in Communications Radio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5371A1 (en) * 2005-09-08 2008-06-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tection method for ack/nack signals and detector thereof
US20110110240A1 (en) * 2008-02-21 2011-05-12 Gunnar Bergquist Adjustment of radio detection level for request signals based observed false detection
US20130288629A1 (en) * 2012-04-25 2013-10-3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etection of Binary Signaling in Communications Radio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09A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8377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user equipment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RU2532248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ередачи по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с разнесением
US20120307648A1 (en) User device, base station,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9955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37646A1 (en) Method for feeding back acknowledgement information subjected to unlicensed transmiss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873100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es for recognizing an out-of-sync base station
US20180083733A1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WO2022006832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558062B2 (en) Cyclic redundancy check (CRC) false detection reduc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90021083A1 (en) Narrowband uplink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RU2633384C2 (ru) Распределенная координ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точечная связь по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основанная на буферной памяти
KR10221435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 정보 검파 기법
US8654720B2 (en) Spectrum sharing enabled by strong interfering pulse handling
US11245492B2 (en) Detection of inconsistent data in a data transmission
EP31236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635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for small block encoded signals
US9826569B2 (en) Method of detecting indicato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1472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non-linear symbol detection in td-scdma
KR102338860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간섭 신호 제거 기법
WO2022147852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assisted by noise estimation
CN114402693B (zh)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CN11345493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不连续传输dtx的方法和装置
WO20221706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artial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using channel estimation data
EP30624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anceling a bias of a radio channel sequence
Chou et al. Code Detection in a CDMA-based Comm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