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585A -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585A
KR20150041585A KR20140134104A KR20140134104A KR20150041585A KR 20150041585 A KR20150041585 A KR 20150041585A KR 20140134104 A KR20140134104 A KR 20140134104A KR 20140134104 A KR20140134104 A KR 20140134104A KR 20150041585 A KR20150041585 A KR 20150041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media
medium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330B1 (ko
Inventor
박준호
고덕권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기획 filed Critical (주)소프트기획
Publication of KR2015004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자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사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적립된 포인트가 증가하여 기여도가 향상되면 운영자(관리자)가 운영하는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매체를 다양화 및 다변화할 수 있고, 광고주 겸 광고대행매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자사의 업종 또는 판매계통과 밀접히 연관되어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업체와 광고 쉐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쉐어 시스템의 운영자는 회원사 간의 광고쉐어시 시간, 노출정도, 클릭정도 등을 기준으로 회원사로부터 운영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사용자 매체와 하나의 운영자 매체를 포함하고, 각 사용자 매체는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을 포함한 매체를 통해 상호간에 광고를 쉐어하되,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운영자 매체로부터 포인트를 획득하고, 획득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타사의 사용자 매체의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을 포함한 매체를 통해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며, 운영자 매체는 각 사용자 매체의 상호 광고 쉐어시 일정 기준으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사용자 매체로부터 운영수익을 획득하는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System for one to one advertisement sharing based on web and application}
본 발명은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자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사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적립된 포인트가 증가하여 기여도가 향상되면 운영자(관리자)가 운영하는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매체를 다양화 및 다변화할 수 있고, 광고주 겸 광고대행매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자사의 업종 또는 판매계통과 밀접히 연관되어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업체와 광고 쉐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쉐어 시스템의 운영자는 회원사 간의 광고쉐어시 시간, 노출정도, 클릭정도 등을 기준으로 회원사로부터 운영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과 모바일 단말기 기술이 발전됨으로 인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앱(App, Application)이 등장하고 있고,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를 검색하여 조회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앱은 모바일 단말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모바일 단말은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즈 모바일, 심미안 또는 바다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되는 앱이나 브라우징되는 웹 사이트는 상업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고를 수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앱이나 웹을 통한 광고를 위해 카울리, 다음, 애드몹 등의 메이저 모바일 광고 에이전트사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광고주 특성을 지닌 중소 모바일 광고 에이전트들이 생겨나고 있다.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앱이나 웹 페이지에 카울리, 다음, 애드몹 등의 모바일 광고 에이전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들이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W Devilopment Kit)를 다운로드하여 삽입한다.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할 때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광고 에이전트로부터 송출되는 광고가 모바일 단말의 앱 또는 웹 페이지로 제공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 광고에서 광고의 유효 노출율은 30~40% 수준으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효 광고 노출율은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의 앱 실행 또는 웹 페이지 브라우징에 동기하여 100번의 광고 전송 요청이 있으면 유효한 광고 노출이 사용자에게 평균적으로 30~40번 정도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나머지 60~70번의 광고 기회는 사라지고, 그에 따라 앱을 개발한 개발자의 수익 기회도 상실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6306호(2013.5.22. 공고, 이하 "제1 선행기술")에는 광고단말, 통신서버, 광고서버, 회원관리모듈, 통계관리모듈, DB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광고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SMS 서버가 광고단말로 회원 인증코드 SMS 전송을 수행하며, 광고단말과 통신서버는 회원가입 요청, 회원 인증 요청, 통계 요청, 광고 노출 횟수 전달이 상호간에 수행되며, 광고단말이 광고서버로부터 광고 이미지 다운로드를 제공받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광고 시스템은 1:n 기반으로 본인의 광고를 웹 또는 앱에 노출하고자 하는 하나의 광고주 또는 광고회사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행하고, 광고시간, 유효클릭수, 방문자수 등을 기준으로 하여 광고비용을 지불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광고주 또는 광고회사와 이를 광고하는 광고대행 매체측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전통적인 방식을 탈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3013호(2010.11.24.공개, 이하 "제2 선행기술")에는 온라인 상에서 회원 상호간에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회원 상호간 광고 정보 제공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선행기술은 회원 모두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상대방 웹페이지에 광고를 보내는 것만 언급되어 있어 서로 광고를 주고받는 회사의 테두리 내에서만 영향력이 있고, 각 회원사끼리 상대방에게 자사의 광고를 할 수 있어 특정 회원이 수신자로 선정한 다른 회원과 회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측면만 제시되어 있어 일반 소비자가 특정 회원의 웹페이지를 방문하였을 때 해당 회원의 자사 광고와 타사 광고를 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광고주 또는 광고회사와 이를 광고하는 광고대행 매체측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전통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상호간 윈윈할 수 있는 광고쉐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사용자 매체와 하나의 운영자 매체를 포함하고, 각 사용자 매체는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을 포함한 매체를 통해 상호간에 광고를 쉐어하되,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운영자 매체로부터 포인트를 획득하고, 획득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타사의 사용자 매체의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을 포함한 매체를 통해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며, 운영자 매체는 각 사용자 매체의 상호 광고 쉐어시 일정 기준으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사용자 매체로부터 운영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매체간의 광고 쉐어의 조건은 시간측정제, 노출측정제, 클릭측정제를 포함한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되 서로 매체와 측정방식이 동일하도록 쉐어되고, 운영자 매체의 운영수익 획득시 특정 측정방식이 일정 기준으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매체는 각 사용자 매체의 기여도가 높을수록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로 사용자 매체의 광고를 노출시키되, 기여도는 적립 포인트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자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사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이렇게 적립된 포인트가 증가하여 기여도가 향상되면 운영자(관리자)가 운영하는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매체를 다양화 및 다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광고주 겸 광고대행매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자사의 업종 또는 판매계통과 밀접히 연관되어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업체와 광고 쉐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쉐어 시스템의 운영자는 회원사 간의 광고쉐어시 시간, 노출정도, 클릭정도 등을 기준으로 회원사로부터 운영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중 PC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홈페이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앱과 어플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며, 모바일 단말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는 운영 포털이 도시되어 있으나, 운영 포털은 상위 개념인 운영자(관리자) 매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운영자(관리자) 매체에는 운영 포털, 관리자 어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매체(100), 제2 사용자 매체(200), 운영포털(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편의상 제1 사용자를 "A사", 제2 사용자를 "B사"라 명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매체는 제3 사용자 매체, 제4 사용자 매체, ..., 제n 사용자 매체(n은 자연수)도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매체 간에 1:1 방식으로 광고를 쉐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은 기존의 1:n(여기서 1은 광고주 또는 광고회사, n은 광고를 대행하여 노출시키는 광고매체측) 기반의 광고 시스템을 탈피하여, 1:1 기반으로 광고주 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광고 컨텐츠나 광고 시간 등을 상호 교환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광고 시스템에서는 광고주(또는 광고회사)와 광고매체측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즉, 광고주(또는 광고회사)는 타사의 광고매체에 광고를 노출시키는 대신 광고매체측에 광고료를 지불하고, 광고매체측은 광고주(또는 광고회사)의 광고를 자사의 홈페이지, 모바일 웹 등에 노출시켜주는 대가로 광고수익을 올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은 광고주(또는 광고회사)가 광고매체측의 광고를 수행하기도 하므로, 광고주(또는 광고회사)와 광고매체측의 명확한 구분이 없고 특정 업체는 광고주(또는 광고회사)이면서 타사의 광고매체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각 업체는 타 업체와 1:1로 광고를 쉐어한다.
예컨대, A사가 자사의 PC 홈페이지를 통해 B사의 광고를 대행하되 노출되는 시간 단위로 포인트를 적립할 경우, B사도 자사의 PC 홈페이지를 통해 A사의 광고를 수행하되 노출되는 시간 단위로 포인트를 적립하게 된다.
한편, A사가 자사의 모바일 웹을 통해 B사의 광고를 대행하되 방문자수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적립할 경우, B사도 자사의 모바일 웹을 통해 A사의 광고를 대행하되 방문자수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적립하게 된다.
A사와 B사가 동종 업종을 영위하는 경쟁업체인 경우, A사와 B사 상호간에는 광고를 쉐어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A사와 B사가 둘다 미용업을 영위하는 미용실인 경우 A사의 홈페이지에는 B사의 미용실 광고를 싣지 않고 B사의 홈페이지에도 A사의 미용실 광고가 실리지 않도록 알고리즘을 설정함으로써, 경쟁업체간에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타사의 광고를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은 관리자 어플은 사용자 어플과 별도로 분리하여 운영된다. 관리자 어플은 사용자 앱과 별도로 분리 운용되어 광고 수익에 대한 관리 기능을 진행한다.
사용자 어플은 광고주(또는 광고회사) 이면서 동시에 광고매체측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각 업체의 어플이며, 제1 사용자 매체(100) 또는 제2 사용자 매체(200)의 광고매체 중 모바일 어플 측면에서 바라 본 것이다.
포인트 적립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관리자 어플에서 각 사용자 어플로 초기에 "기본 포인트"를 제공하고, 각 사용자 어플은 기본 포인트를 이용하여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각 사용자 어플은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면 타사로부터 관리자 어플을 거쳐 포인트를 적립받는다(이하, "추가 포인트"라 한다). 각 사용자 어플은 이와 같이 적립된 추가 포인트를 이용하여 계속하여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체로는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 관리자 어플, 운영포털 사이트, 및 기타 디지털 매체가 포함된다.
광고 송출 방식으로는 업종별, 매체별로 광고가 송출될 수 있고, 무작위 방식으로 송출될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서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타업종끼리 광고를 쉐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컨대, 야구경기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한 업체에서는 야구용품 판매업체와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호간 광고를 쉐어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송출 형태로는 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디지털 형태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송출 조건으로는 유료, 무료, 무작위, 시간측정제, 노출측정제, 클릭측정제, 어플 실행 빈도, 어플 실행 시간, 모바일 음성광고 송출횟수, 음성 광고 메시지 송출 시간 등이 가능하다.
시간측정제는 시간적립제라고도 하며, 노출되는 매체에 광고를 허용하였을 때 초단위 등의 시간단위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방식이다. 자사의 광고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켜 시간 기준으로 적립되는 포인트만큼 타사의 광고매체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노출측정제는 노출적립제라고도 하며, 노출되는 매체에 광고를 허용하였을 때 유효한 노출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방식이다. 유효한 노출은 예컨대 페이지뷰 수, 방문자 수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자사의 광고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켜 유효 노출수를 기준으로 적립되는 포인트만큼 타사의 광고매체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클릭측정제는 클릭적립제라고도 하며, 노출되는 매체에 광고를 허용하였을 때 유효한 클릭이 발생한 숫자만큼 일정 비율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방식이다. 자사의 광고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켜 유효 클릭수를 기준으로 적립되는 포인트만큼 타사의 광고매체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어플 실행 빈도는 방문자의 어플 실행 빈도(횟수)를 기준으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방식이고, 어플 실행 시간은 방문자가 어플에 접속한 시간(해당 어플을 켜두고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방식이다.
모바일 음성광고 송출횟수는 모바일 음성광고가 모바일기기로 송출된 빈도(횟수)를 기준으로 하고, 음성광고 메시지 송출시간(길이)은 모바일 음성광고가 모바일기기로 송출되어 음성 광고 메시지가 끝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운영 포털(300)을 제외한 각 사용자 매체(100, 200)는 1:1 의 조건으로 각각 대응된다. 예컨대, A사가 자사의 모바일 홈페이지에 B사의 광고를 시간측정제로 노출시킬 경우 A사는 이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B사의 모바일 홈페이지에 A사의 광고를 시간측정제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운영 포털(300)의 경우 기여도가 높을 수록 상위 위치로 광고를 노출시켜 준다. 기여도는 광고쉐어를 통해 적립한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며, 적립 포인트가 높을수록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위 위치는 광고효과가 높은 위치를 의미하며, 일례로 포털 사이트의 검색창 바로 아래 위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운영 포털(300)은 관리자 어플을 운영하는 관리자(운영자)와 운영주체가 동일하거나 동일 계통이다. 일례로, 관리자(운영자)는 각 업체의 사용자 매체에게 기본 포인트를 제공하고, 각 사용자 매체 상호간에 광고를 쉐어할 때 광고 노출시간, 페이지뷰 수, 방문자 수, 유효 클릭수 등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로 자사의 광고가 노출되는 업체에게 운영료(관리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관리자(운영자)의 수익창출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과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중 PC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홈페이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쉐어 영역에는 타사의 광고가 노출되고, 업체 노출 영역에는 자사의 광고가 노출된다.
한편, 도 2는 운영 포털 화면으로 상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는 운영자(관리자)는 운영 포털 화면에 본 광고쉐어 시스템의 회원사 중 기여도가 높은 업체의 광고를 검색창 바로 밑의 상위 위치에 노출시켜 주고,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낮은 업체의 광고를 기여도 순서대로 업체 노출 영역에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운영 포털에서 검색창 바로 밑의 상단 부위와, 하부의 업체 노출 영역 모두 누적 기여도에 따라 순위가 변경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사(편의상 A사)의 사용자 매체에 A사의 광고도 노출시키고(업체 노출 영역), 타사(편의상 B사)의 광고도 노출시키도록 설정한 것은 소비자들이 포털 사이트 검색 등을 통해 A사의 홈페이지(또는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 등)를 방문하여 A사의 아이템을 둘러보기도 하고, A사와 연관이 있는 B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기도 하며, 소비자가 B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한 경우 A사의 광고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호 광고 쉐어를 수행하는 A사와 B사는 서로 업종 또는 판매계통, 유통체인 등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업체인 것이 통상적이다.
본원발명의 사용자 매체는 자사의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킴(업체 노출 영역)과 동시에, 자사의 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광고 쉐어 영역)시킬 수 있도록, 광고 전용 매체(웹페이지, 홈페이지 등)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불특정 소비자는 상호 광고 쉐어를 수행하는 A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A사의 아이템에 대한 광고는 물론, A사와 업종, 판매계통, 유통체인 등이 연관된 B사의 아이템에 대한 광고도 함께 접할 수 있어 소비자의 웹페이지 1회 방문으로 A사와 B사의 광고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웹페이지는 서로 광고를 주고받는 A사와 B사끼리는 물론, A사와 B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 소비자들이 A사의 홈페이지만 방문하여도 A사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습득은 물론, 이와 연관된 B사의 아이템에 대해서도 한꺼번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홈페이지를 자유롭게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소비자들이 A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기만 하여도 A사의 광고는 물론, A사와 연관되어 있는 B사의 광고도 함께 볼 수 있도록 하여 광고의 시너지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모든 모바일 앱과 웹 사이트는 웹표준코딩으로 제작되어 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오페라, 파이어폭스 등 어떤 브라우저에서도 신속하게 작동하며, 브라우저별 특성을 모두 극복하여 동일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자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타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타사의 광고를 자사의 사용자 매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사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이렇게 적립된 포인트가 증가하여 기여도가 향상되면 운영자(관리자)가 운영하는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매체를 다양화 및 다변화할 수 있다.
광고 쉐어 시스템의 회원사는 광고주 겸 광고대행매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자사의 업종 또는 판매계통과 밀접히 연관되어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업체와 광고 쉐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자사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이 자사 매체를 방문하였을 때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고(제1 단계), 타사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이 타사 매체를 방문하였을 때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제2 단계), 운영자 매체를 통해 자사의 광고를 우선순위식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이 운영자 매체(포털 사이트 역할)를 방문하였을 때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다(제3 단계)..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사용자 매체 200 - 제2 사용자 매체
300 - 운영 포털

Claims (1)

  1. PC 홈페이지, 모바일 웹, 사용자 어플, 관리자 어플, 운영포털 사이트를 매체로 정의하고,
    자사의 광고를 자사의 매체와 타사의 매체 및 운영포털 사이트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들 간에 상호 일대일로 광고를 쉐어하는 복수개의 사용자 매체와, 각 사용자 매체의 상호 광고 쉐어시 일정 기준으로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사용자 매체로부터 운영수익을 획득하는 운영자 매체를 포함하며,
    각 사용자 매체는 자사의 매체에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업체 노출 영역과, 자사의 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 쉐어 영역을 포함하고,
    운영자 매체는 각 사용자 매체에게 기본 포인트를 제공하는 기본 포인트 제공 모듈을 구비하고,
    자사의 매체에 타사의 광고를 노출시킨 사용자 매체는 타사로부터 운영자 매체를 거쳐 추가 포인트를 제공받는 추가 포인트 적립 모듈을 구비하고,
    각 사용자 매체간의 광고 쉐어의 조건은 시간측정제, 노출측정제, 클릭측정제, 어플 실행 빈도, 어플 실행 시간, 모바일 음성광고 송출횟수, 음성 광고 메시지 송출 시간을 포함한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되 서로 매체와 측정방식이 동일하도록 쉐어되고, 운영자 매체의 운영수익 획득시 특정 측정방식이 일정 기준으로 반영되며, 운영자 매체는 각 사용자 매체의 기여도가 높을수록 운영 포털의 상위 위치로 사용자 매체의 광고를 노출시키되, 기여도는 적립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KR1020140134104A 2013-10-07 2014-10-06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KR101520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77 2013-10-07
KR20130119277 2013-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585A true KR20150041585A (ko) 2015-04-16
KR101520330B1 KR101520330B1 (ko) 2015-05-18

Family

ID=5303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104A KR101520330B1 (ko) 2013-10-07 2014-10-06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27B1 (ko) * 2022-06-30 2023-07-25 임수진 맞춤형 광고 스케줄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104B1 (ko) * 2019-10-21 2020-08-31 신인아 비즈니스 파트너 조합 솔루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013A (ko) * 2009-05-14 2010-11-24 (주)다글 회원 상호간 광고 정보 제공 방법
KR101206995B1 (ko) * 2010-11-30 2012-11-30 (주)위하드커뮤니케이션 광고주 상호 추천 광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27B1 (ko) * 2022-06-30 2023-07-25 임수진 맞춤형 광고 스케줄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330B1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568B2 (en) Method for identifying multiple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Buhalis et al. Social media return on invest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hotel industry context
Rakestraw et al. The mobile apps industry: A case study
US9536249B2 (en) Measuring inline ad performance for third-party ad serving
CN105190664B (zh) 报告移动应用的动作
US20090006180A1 (en) Multiple application advertising
US8843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sits to a target site
TW200935338A (en) System for serving advertisements targeted to geographic areas over mobile devices
JP200927693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270740B2 (en) Cross device visitor correlation
Betzing Beacon-based customer tracking across the high street: perspectives for location-based smart services in retail
EP2477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web sites
KR20130029768A (ko)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의 프로비저닝을 관리하는 방법, 관련 시스템 및 관련 서버
Di Ferdinando et al. MyAds: A system for adaptive pervasive advertisements
KR101520330B1 (ko) 웹 및 앱 기반의 일대일 광고쉐어 시스템
Aqeel et al. Untangling header bidding lore: Some myths, some truths, and some hope
US20190333086A1 (en) Identifying geographic market share
US8612274B2 (en) Pricing engine revenue evaluation
AU2011101398B4 (en) Electronic Promotional System
KR20200036643A (ko) Cctv 영상 기반의 패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Bourg et al. Enhanced buying experiences in smart cities: the SMARTBUY approach
KR101517486B1 (ko) 뉴스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웹/앱사의 광고수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3480B1 (ko) 순간 접속자 식별 장치 및 방법
KR20140047211A (ko) 사용자별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서버
KR102591820B1 (ko) 광고주와 피광고주를 매칭하고 피광고주의 온라인 광고 활동을 통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