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282A - 천장형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형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282A
KR20150041282A KR20130119589A KR20130119589A KR20150041282A KR 20150041282 A KR20150041282 A KR 20150041282A KR 20130119589 A KR20130119589 A KR 20130119589A KR 20130119589 A KR20130119589 A KR 20130119589A KR 20150041282 A KR20150041282 A KR 2015004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dust
ceiling
static electricity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홈
Priority to KR2013011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282A/ko
Publication of KR2015004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8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walls, ceilings, roof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경량철골 천장틀의 천장마감재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할 수 있는 천장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철골 천장틀에 정전기발생기를 설치하고, 정전기발생기를 통하여 경량철골에 정전기를 전도시킴으로써 천장마감재로부터 건물 바닥으로 분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형 집진장치 {Ceiling embedded dus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천장마감재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경량철골 천장틀에 설치되는 천장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철골 천장틀에 정전기발생기를 설치하고, 정전기발생기를 통하여 경량철골에 정전기를 전도시킴으로써 천장마감재로부터 건물 바닥으로 분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공사 중의 하나인 마감공사는 건물의 내부에다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덧붙이는 작업을 말한다. 이와 같은 마감공사 중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공사는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천장면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천장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천장틀에 조명기구, 각종장식, 닥트, 배선 및 배관용 선반(turnery) 등과 같은 것을 설치하기 때문에 천장틀 자체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기 위한 경량철골공사가 많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경량철골공사는 천장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앵커와, 열 또는 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앵커의 하단에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철골 및 철골에 설치되어 천장면을 마감하는 천장마감재를 포함하며 학교나 관공서 등의 천장공사로 주로 사용되었다.
이때 경량철골공사에 사용되는 천장마감재는 과거에 석면을 포함하는 제품이 다수 사용되었으며,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문을 여닫을 때 공기의 압축으로 인한 진동으로 인해 천장마감재로부터 석면가루 및 미세먼지 등이 비산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에는 시공된 천장마감재에 별도의 도포액을 도포하여 석면가루 및 미세먼지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도포액은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어 도포액이 천장마감재에서 탈락되는 등 그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시공된 천장마감재를 철거하고 재시공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석면이 포함된 천장마감재를 철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재시공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천장마감재의 규격 등이 일치하지 않아 시공 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천장공사 중 경량철골 공사에 시공된 천장마감재로부터 비산된 석면가루가 사람에게 장기간 노출되면 심각한 호흡기 질환이나 기타 다른 질병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829호 '천장부착형 혈액순환촉진장치' (등록일 2002.09.06)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4155호 '경량철골 천장틀' (공개일 2003.0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장에 설치되는 경량철골에 정전기발생기를 구비하여 정전기발생기와 경량철골의 철골을 각각 연결한 후 정전기를 철골에 인가시키면 정전기를 통하여 석면가루나 미세먼지 등이 천장마감재에 흡착되어 공기 중이나 바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형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이 지나 천장마감재에 흡착된 석면가루나 미세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분진처리기를 구비하여 기존에 설치된 천장마감재를 철거하지 않고 천장마감재에 흡착된 석면가루 및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천장형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장형 집진장치는 일측이 건물의 천장면에 고정되는 달대(100); 상기 달대(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철골(200); 상기 제1 철골(20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철골(200)에 체결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되는 제2 철골(300); 상면이 상기 제2 철골(300)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 철골(300)에 고정되는 천장마감재(400);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정전기를 발생하는 정전기발생기(500); 상기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되, 상기 정전기발생기(500)로부터 생성된 정전기가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전도(傳導)되어 상기 천장마감재(400)의 하면에 분진(S)이 흡착되도록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체결되는 고정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00)는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외부하우징(610); 상기 외부하우징(6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접촉되는 접촉판(620); 일측이 상기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접촉판(620)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기발생기(500)로부터 생성된 정전기를 상기 접촉판(620)으로 전달하는 전선(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장마감재(400)에 흡착된 분진(S)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처리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진처리기(700)는 내부에 흡입모터(711)가 형성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모터(711)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천장마감재(400)의 하면에 부착된 분진(S)을 흡입하는 흡입구(720); 상기 흡입모터(711)와 상기 흡입구(720) 사이에 형성되어 흡입된 분진(S)을 보관하는 집진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72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구(720)가 흡입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흡입구(720)와 연통되며 상하방향으로 접철(摺綴)되는 주름관(7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720)에는 상기 천장마감재(400)와 접촉되는 클리너(721) 및 상기 클리너(72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상기 클리너(721)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구(7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대(7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철골에 설치되는 정전기발생기와 연결되며, 경량철골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되고 고정부를 통하여 정전기가 경량철골에 전도되면 천장마감재와 인접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천장마감재의 상호간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분진(천장마감재가 포함하는 석면가루 등)이 정전기에 의해 천장마감재에 흡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천장마감재를 철거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전기발생기의 설치 개수에 따라 넓은 면적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착된 미세먼지와 석면가루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분진처리기를 구비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천장형 집진장치의 정전기발생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확대도 및 고정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천장마감재에 분진이 흡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작동상태 및 흡입구에 설치된 클리너와 고정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천장형 집진장치의 정전기발생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확대도 및 고정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천장마감재에 분진이 흡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작동상태 및 흡입구에 설치된 클리너와 고정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진처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장형 집진장치는 건물의 천장면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달대(100)를 갖는다. 달대(100)의 일측은 건물의 천장면에 고정되는데, 이때 건물의 천장면에 일정한 깊이로 홀을 형성한 후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달대(100)를 고정시킨다. 이때 달대(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달대(100)의 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철골(200)이 체결된다. 제1 철골(200)은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상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달대(10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클립(110)에 의해 달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철골(200)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설치된 달대(100)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철골(200)은 달대(100)에 배열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1 철골(200)과 교차되도록 체결되는 제2 철골(300)이 형성된다. 제2 철골(3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철골(200)과 제2 철골(300)은 연결구(미도시)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 나사못 등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제2 철골(300)은 다수개 형성되되, 이웃한 제2 철골(3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제1 철골(2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2 철골(300)에 부착되는 천장마감재(400)가 구비된다. 천장마감재(4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제2 철골(300)의 하면과 밀착되어 제2 철골(300)에 체결된다. 천장마감재(400)는 체결볼트, 나사못 등에 의해 제2 철골(3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발생기(500)가 구비된다. 정전기발생기(500)는 제1 철골(200) 또는 제2 철골(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철골(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정전기발생기(500)는 제1 철골(200)에 설치된 브라켓(51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어 정정기발생기(500)로부터 발생된 정전기를 전달받는 고정부(600)가 형성된다. 고정부(600)는 제1 철골(200) 또는 제2 철골(3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정전기발생기(500)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제1 철골(200) 또는 제2 철골(300)에 전도(傳導)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철골(200) 및 제2 철골(300)에 정전기가 전도되면 제1 철골(200) 및 제2 철골(300) 주변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천장마감재(400)의 하면과 인접한 실내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천장마감재(400)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마감재(400)가 노후되어 천장마감재(400)에서 탈락되는 분진(S)과 천장마감재(400) 상호간 마찰로 인해 탈락되는 분진(S) 등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못하고 정전기에 의해 천장마감재(400)에 흡착될 수 있다.
한편 정전기발생기(500)는 분진(S)의 성분에 따라 음이온, 양이온, 자기장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천장마감재(400)에서 탈락되는 다양한 성분의 분진(S)을 천장마감재(400)에 흡착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부(600)는 외부하우징(610), 접촉판(620), 전선(630)을 포함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외부하우징(610)은 개방된 제1 철골(200)의 측벽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외부하우징(610)은 제1 삽입로드(611)와 제2 삽입로드(612)로 구성되되, 제1 삽입로드(611)의 일측과 제2 삽입로드(612)의 일측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철골(200)의 측벽이 제1 삽입로드(611)와 제2 삽입로드(61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철골(200)의 측벽에 삽입된 제1 삽입로드(611)와 제2 삽입로드(612)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삽입로드(611)와 제2 삽입로드(612)가 연결된 일측 내부에 탄성부재(6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철골(200)에 삽입된 외부하우징(610)이 탄성부재(6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철골(20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탄성부재(640)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삽입로드(611)와 제2 삽입로드(612)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그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를 참조하면 접촉판(620)은 외부하우징(610) 내부에 설치되되, 제1 삽입로드(611)에 형성되는 제1 접촉판(621)과 제2 삽입로드(612)에 형성되는 제2 접촉판(622)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접촉판(621)과 제2 접촉판(622)은 제1 철골(200) 또는 제2 철골(30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전선(300)은 정전기발생기(500)로부터 생성된 정전기를 접촉판(620)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된다. 전선(300)의 일측은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접촉판(621) 및 제2 접촉판(622)과 연결된다. 따라서 정전기가 전선(300) 및 제1 접촉판(621) 및 제2 접촉판(622)으로 전달되고 이후 제1 철골(200) 또는 제2 철골(300)로 전도되어 천장마감재(400)에 분진(S)이 흡착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천장마감재(400)에 흡착된 분진(S)을 처리하기 위한 분진처리기(700)가 구비된다. 분진처리기(700)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 천장마감재(400)에 분진(S)이 흡착되면 천장마감재(400)의 하면에 밀착되어 분진(S)을 흡입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분진처리기(700)는 분진(S)을 흡입할 수 있기 위해 몸체(710), 흡입구(720), 집진부(730)를 포함한다.
몸체(710)에는 내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모터(711)가 형성된다. 흡입모터(71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모터와 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710)에는 흡입모터(711)를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712)가 구비되며 제어부(712)에 의해 흡입모터(711) 및 분진처리기(700)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도 6 을 참조하면 몸체(710)의 하단에는 몸체(7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7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진처리기(700)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동선을 그리며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흡입구(720)는 몸체(710)의 상측에 설치되되 흡입모터(711)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흡입모터(711)와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구(720)가 천장마감재(400)에 밀착됨으로써 분진(S)을 흡입할 수 있다.
집진부(730)는 흡입모터(711)와 흡입구(720) 사이에 형성된다. 집진부(730)는 분진(S)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7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710)에서 탈부착 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집진부(730)는 흡입구(720)를 통해 유입된 분진(S)이 필터(731)에 걸러지면 흡입된 분진(S)을 보관하고, 집진부(730)를 몸체(710)에서 탈착하여 흡입되어 보관된 분진(S)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흡입구(720)와 집진부(730) 사이에는 주름관(740)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740)은 내부로 분진(S)이 집진부(7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구(720)와 연통되고, 상하방향으로 접철(摺綴)되어 흡입구(720)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이때 주름관(740)에는 주름관(740) 내부에 잔존하는 분진(S)을 제거하고 분진처리기(700)를 이동하거나 주름관(740)을 접철시킬 때 분진(S)이 흡입구(720)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주름관(740) 내부면에 부착된 분진(S)의 잔여물을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관(740)은 사람의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지만 제어부(712)를 통하여 주름관(740)을 상하방향으로 접철시켜 흡입구(7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주름관(740) 내외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흡입구(720)에는 천장마감재(400)와 접촉되는 클리너(721) 및 클리너(721)가 안착될 수 있는 고정대(722)가 형성된다. 고정대(722)는 흡입구(720)의 내측에 형성되며 흡입구(720)로 흡입되는 공기가 고정대(722)의 가장자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72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되어 있다. 클리너(721)는 고정대(722)의 상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벨크로(Velcro), 스냅단추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클리너(721)는 천장마감재(400)와 마찰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분진(S)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이처럼 1차적으로 클리너(721)의 정전기에 의해 분진(S)을 클리너(721)로 끌어당기고 2차적으로 흡입모터(711)에 의해 분진(S)을 흡입하면 천장마감재(400)에 흡착된 분진(S)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장형 집진장치는 정전기발생기(500)와 고정부(600)를 통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천장마감재(400)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분진(S) 등을 천장마감재(400)에 흡착시키고, 분진처리기(700)를 통해 분진(S)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달대 200 : 제1 철골
300 : 제2 철골 400 : 천장마감재
500 : 정전기발생기 600 : 고정부
610 : 외부하우징 620 : 접촉한
630 : 전선 700 : 분진처리기
710 : 몸체 711 : 흡입모터
720 : 흡입구 721 : 클리너
722 : 고정대 730 : 집진부
731 : 필터 740 : 주름관
S : 분진

Claims (6)

  1. 일측이 건물의 천장면에 고정되는 달대(100);
    상기 달대(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철골(200);
    상기 제1 철골(20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철골(200)에 체결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되는 제2 철골(300);
    상면이 상기 제2 철골(300)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 철골(300)에 고정되는 천장마감재(400);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정전기를 발생하는 정전기발생기(500);
    상기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되, 상기 정전기발생기(500)로부터 생성된 정전기가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전도(傳導)되어 상기 천장마감재(400)의 하면에 분진(S)이 흡착되도록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체결되는 고정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00)는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외부하우징(610);
    상기 외부하우징(6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철골(200) 또는 상기 제2 철골(300)에 접촉되는 접촉판(620);
    일측이 상기 정전기발생기(5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접촉판(620)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기발생기(500)로부터 생성된 정전기를 상기 접촉판(620)으로 전달하는 전선(6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마감재(400)에 흡착된 분진(S)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처리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처리기(700)는
    내부에 흡입모터(711)가 형성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모터(711)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천장마감재(400)의 하면에 부착된 분진(S)을 흡입하는 흡입구(720);
    상기 흡입모터(711)와 상기 흡입구(720) 사이에 형성되어 흡입된 분진(S)을 보관하는 집진부(7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72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구(720)가 흡입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흡입구(720)와 연통되며 상하방향으로 접철(摺綴)되는 주름관(7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720)에는 상기 천장마감재(400)와 접촉되는 클리너(721) 및 상기 클리너(72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상기 클리너(721)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구(7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대(7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집진장치.
KR20130119589A 2013-10-08 2013-10-08 천장형 집진장치 KR20150041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589A KR20150041282A (ko) 2013-10-08 2013-10-08 천장형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589A KR20150041282A (ko) 2013-10-08 2013-10-08 천장형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282A true KR20150041282A (ko) 2015-04-16

Family

ID=5303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589A KR20150041282A (ko) 2013-10-08 2013-10-08 천장형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12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386A (zh) * 2017-05-25 2017-07-21 浙江北圣建设有限公司 一种新型房建吊顶结构
CN109044205A (zh) * 2018-07-05 2018-12-21 安徽横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型扫地机器人
CN112869665A (zh) * 2021-01-11 2021-06-01 江西旅游商贸职业学院 一种轻便吊顶辅助铺设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386A (zh) * 2017-05-25 2017-07-21 浙江北圣建设有限公司 一种新型房建吊顶结构
CN109044205A (zh) * 2018-07-05 2018-12-21 安徽横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型扫地机器人
CN112869665A (zh) * 2021-01-11 2021-06-01 江西旅游商贸职业学院 一种轻便吊顶辅助铺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lec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P0818242B1 (en) Electrostatic air-cleaning apparatus
KR101530637B1 (ko) 환기배관 청소장치
KR20150041282A (ko) 천장형 집진장치
WO2008143453A3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ceiling
JPH01168316A (ja) 空気清浄装置
JP3155876U (ja) 喫煙室
EP2080958A3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27321Y1 (ko) 개인대응형 테이블 고정 베큠 장치
CN113163922A (zh) 用于美甲师工作区域的空气净化器
JPH11306853A (ja) 天井取り付け空気清浄機付照明器具
KR100566717B1 (ko) 공동주택의 거실 우물천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6449798U (zh) 一种窗户新风系统
CN205894430U (zh) 一种可净化空气的吊顶
CN212037386U (zh) 多功能清洁机器人
JP658066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玄関
JP2009092260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20170121918A (ko) 멀티 공기청정시스템
EP038003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lec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PS6475835A (en) Clean working booth
CN210166367U (zh) 一种吸气式防水感烟探测器
KR102230078B1 (ko) 설치위치의 제한이 없고 토출구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시스템
KR20190112360A (ko) 물로 공기 씻는 청정기
CN209978272U (zh) 除尘空调新风装置
JP6499265B1 (ja)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玄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