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912A -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912A
KR20150039912A KR20130118286A KR20130118286A KR20150039912A KR 20150039912 A KR20150039912 A KR 20150039912A KR 20130118286 A KR20130118286 A KR 20130118286A KR 20130118286 A KR20130118286 A KR 20130118286A KR 20150039912 A KR20150039912 A KR 2015003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flagpole
base
injection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239B1 (ko
Inventor
김상웅
Original Assignee
김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웅 filed Critical 김상웅
Priority to KR102013011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Shuttlecocks with several feathers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4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구형의 헤드와, 사출성형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종단에 형성될 날개가 겹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사출 성형된 후 열성형으로 오므려져서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와 대응되는 치수를 갖는 깃대, 상기 깃대의 종단에 깃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서로 분리되는 날개, 상기 깃대의 베이스와 날개 사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각 깃대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깃대와 함께 열성형되어 깃대들을 규격품의 셔틀콕 각도와 대응되게 잡아주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균일한 치수의 셔틀콕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huttlecock with artificial feather}
본 발명은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깃대와 날개를 사출성형하여 균일한 치수의 우수한 품질을 갖는 셔틀콕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 중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는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셔틀콕을 이용한 경기로는 배드민턴, 테크민턴 등이 있으며, 일반적인 배드민턴 경기용 셔틀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의 깃털(20)을 반구상(半球狀)의 코르크로 이루어진 헤드(10)에 꽂은 것으로, 무게는 4.5∼5.5g이고, 코르크의 지름은 2.5∼2.8 cm이며, 깃털의 수는 16장, 깃털 끝에서 헤드 상부면까지의 길이는 6.4∼7.0cm여야 하며, 깃털 끝의 지름은 58~68mm, 헤드(10)의 상부면과 깃털(20)의 외주면은 65°~75°정도의 각을 갖게 되고, 최고속도는 320km/h이며, 경기자가 코트의 한쪽 끝에서 언더핸드로 쳐서 반대편 백바운더리 라인 안쪽의 53~99cm 사이에 떨어져야 한다.
그리고, 테크민턴은 본원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기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65628호에 그 내용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라켓, 코트, 셔틀콕 모두를 배트민턴 보다 작게 형성하여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경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배트민턴 또는 테크민턴용 셔틀콕은 새의 깃털을 사용하지만, 일정한 크기와 중량 및 각도를 갖는 깃털을 고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통상 오리 1마리에 좋은 털은 4~6개밖에 쓸 수가 없어서 우수한 셔틀콕 생산에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이 여러 개의 깃털 중 셔틀콕에 사용가능한 깃털을 고르고 정리하는 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생산된 제품 역시 동일한 질량과 동일한 각도로 휘어진 깃털을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특징이 균일하지 않고 오차를 가지게 되는 등,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천연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조깃털을 사용한 셔틀콕에 대한 기술이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547(선행기술 1), 공개특허 10-2007-0121416(선행기술 2)등에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1은 깃털이 부착되는 깃대를 하나하나 별개로 형성하여 헤드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어서 깃대의 각도와 간격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깃털인 부직포 또는 천재질의 인조시트 혹은 연질합성수지의 인조모를 별도로 제작하여 깃대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깃털 부착을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부착과정에서 부착위치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 회전력이 정밀도 있게 제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선행기술 2는 깃가지와 털 부분을 각 깃대별로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통으로 형성하므로 비행과정에서 공지의 천연 셔틀콕의 깃가지와 털이 받는 공기의 저항을 받지 못하므로 경기 기준에 적합한 비행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등록제 1131307호(선행기술 3)에서는 헤드에서 고정띠까지는 규격품의 셔틀콕 원래 치수대로 성형하고, 고정띠 이후부터는 각 날개가 분리되도록 하면서 깃대가 셔틀콕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사출성형한 후, 금형에 삽입하여 중심축에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을 규격품의 셔틀콕 치수에 맞도록 열풍으로 가공하여 깃대와 날개가 셔특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규격품에서 정한 각도로 모이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 3은 열성형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깃대부분을 내측으로 오므리는 것이므로, 성형과정에서 규격품에 해당하는 각을 갖는 하부는 열성형 금형에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규격품보다 넓게 형성되어 셔틀콕 중심축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깃대를 금형 내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성형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성형된 이후에는 규격품보다 넓게 형성되었다가 내측으로 오므린 깃대부분에 대하여 성형상태를 잡아주는 수단이 없어서 사용중 외측으로 다시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조 셔틀콕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사출성형된 인조 셔틀콕의 깃대가 정확한 치수로 오랫동안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셔틀콕의 품질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반구형의 헤드와, 사출성형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종단에 형성될 날개가 겹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사출 성형된 후 열성형으로 오므려져서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와 대응되는 치수를 갖는 깃대, 상기 깃대의 종단에 깃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서로 분리되는 날개, 상기 깃대의 베이스와 날개 사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각 깃대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깃대와 함께 열성형되어 깃대들을 규격품의 셔틀콕 각도와 대응되게 잡아주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에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띠는 1개 내지 5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는 모두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베이스측 일부는 내측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날개측 고정띠만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띠에 의하여 사용중 깃대가 다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셔틀콕의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성형시 고정띠와 깃대 및 인조 깃털이 일체로 구비된 셔틀콕을 한번에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성형을 위한 금형에 투입시 깃대 전체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므로 금형 투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셔틀콕의 깃대와 날개가 모두 사출성형되어 셔틀콕에서 가장 중요한 무게, 깃대 간격, 원지름, 각도, 탄력조건이 모두 우수한 셔틀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균일한 품질의 셔틀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조 셔틀콕이지만 날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각 날개가 비스듬하게 형성되므로 회전시 바람이 날개 사이로 세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겹쳐지는 부분에 의한 공기저항에 따른 무게감으로 타구감을 개선하며, 수지로 제작되므로 라켓과 충돌시 파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우수한 품질의 셔틀콕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셔틀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셔틀콕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 셔틀콕 제조 과정을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셔틀콕 제조 과정을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셔틀콕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형의 헤드(10), 상기 헤드(10)와 결합되는 베이스(30), 종단에 형성된 날개(40)가 서로 겹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3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각도를 갖도록 열성형 되는 깃대(50), 상기 깃대(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날개(40), 상기 깃대(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깃대(50)와 깃대(50)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 셔틀콕 내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열성형되어 깃대(50)가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띠(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띠(60)는 한 개 이상 형성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개가 형성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며, 상기 고정띠(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띠(60) 중 베이스측 2개는 내측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날개측 3개의 고정띠(60)만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규격품 셔틀콕의 상기 깃대 각도는 깃대의 종단 직경이 배드민턴 셔틀콕의 경우 6~7cm, 테크민턴 셔틀콕의 경우 4.5-6cm가 되도록 하는 각도이다.
그리고, 상기 날개(40)는 깃대(50) 종단을 연결하는 원의 접선에 대하여 0-30°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깃대(50)를 사출성형과정에서 셔틀콕의 원주를 따른 접선으로부터 0~30°비틀어지도록 형성하며, 이는 성형과정에서 결정된 각도로 성형되는 것일 뿐 사용중 변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셔틀콕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30)와 깃대(50)와 날개(40), 고정띠(6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사출성형된 셔틀콕을 규격품 셔틀콕의 치수와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된 열성형금형(70)에 삽입하여 열성형하여, 규격품 셔틀콕의 치수를 갖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열성형금형의 상기 고정띠(6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띠(60)가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으로 돌출부(64)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깃대(50)는 사출성형과정에서 종단에 형성되는 날개(40)가 서로 겹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사출 성형되며, 고정띠(60)는 사출성형품의 깃대(50) 각도에 따라 모두 내부로 오므려지도록 성형하거나 일부는 내부로 오므려지고 일부는 오므려지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예로서, 도 4의 (a) 및 도 5, 6은 도 3의 셔틀콕 성형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고정띠(60) 중 베이스측 2개는 내측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날개측 3개의 고정띠(60)만 내측으로 오므려져서 돌출부(64)를 갖도록 성형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b) 및 도 7,8은 도 2의 셔틀콕을 성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며능로, 고정띠(60) 모두를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열성형금형은 자체로 발열이 되어 열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고, 자체 발열기능은 없으나 별도의 가열로에 투입되어 열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가해지는 열은 30~200℃로 성형재료(예를 들면 PP)의 특성에 따라 조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셔틀콕을 제조함에 있어 사출성형 후 열성형하는 두번의 가공공정을 수행하는 이유는 날개(40)는 일부분이 서로 겹치는데, 이러한 겹쳐진 모양을 사출성형만으로는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날개(40)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서로 분리되도록 깃대(50)를 최대한 외측으로 꺽고, 사출성형 후 이들을 셔틀콕에서 요구하는 각도를 갖도록 다시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깃대가 베이스부터 날개까지 직선상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30)에서 고정띠(62)까지는 규격품의 셔틀콕 깃대와 동일한 각도로 성형되고 고정띠(62)부터 헤드 반대편 종단까지는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각도보다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사출성형하면서 이 부분에 상기 고정띠(60)를 일체로 사출성형한 후, 열성형하여, 고정띠(60)가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규격품의 깃대 각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날개(40)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깃털모를 연결하는 보강부(42)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42)에 의하여 각 깃털모는 제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서로 엉킴이 발생하지않고, 이로 인하여 타격시에 날개에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비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30 : 헤드 40 : 날개
50 : 깃대 60 : 고정띠
64 : 돌출부

Claims (4)

  1. 반구형의 헤드(10),
    상기 헤드(10)와 결합되는 베이스(30),
    종단에 형성된 날개(40)가 서로 겹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3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각도를 갖도록 열성형 되는 깃대(50),
    상기 깃대(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날개(40),
    상기 깃대(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깃대(50)와 깃대(50)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 셔틀콕 내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열성형되어 깃대(50)가 규격품 셔틀콕의 깃대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띠(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셔틀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 셔틀콕에 형성되는 고정띠(60)는 모두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형성하거나, 베이스측 일부는 내측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나머지 날개측 고정띠들만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성형한 것 중에서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셔틀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40)에는 각 깃털모를 연결하는 보강부(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셔틀콕.
  4. 일측 종단에 날개(40)가 구비된 다수개 깃대(50)의 타측 종단이 베이스(30)에 원형으로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30)와 반구형의 헤드(10)를 결합하여 인조 셔틀콕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와 다수의 깃대(50) 및 날개(40), 고정띠(6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깃대(50)는 종단에 형성되는 날개(40)가 서로 겹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띠(60)는 다수개 깃대(50)에 링형으로 일체로 사출성형되ㄷ도록 하는 사출 성형과정과,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제품을 규격품 셔틀콕의 치수와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된 열성형금형(70)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띠(60)의 깃대(50)와 깃대(50) 사이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규격품 셔틀콕의 치수를 갖도록 열성형하는 열성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셔틀콕 제조 방법.
KR1020130118286A 2013-10-04 2013-10-04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KR10155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286A KR101552239B1 (ko) 2013-10-04 2013-10-04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286A KR101552239B1 (ko) 2013-10-04 2013-10-04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12A true KR20150039912A (ko) 2015-04-14
KR101552239B1 KR101552239B1 (ko) 2015-09-10

Family

ID=5303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286A KR101552239B1 (ko) 2013-10-04 2013-10-04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6220A (zh) * 2016-02-23 2016-05-04 南京狮鹏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人造羽毛的羽毛球
EP4186571A1 (en) * 2021-11-25 2023-05-31 Victor Rackets Industrial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 for artificial shuttlecock
WO2024037241A1 (zh) * 2022-08-17 2024-02-22 广州市中昊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整体形人造羽毛球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47B1 (ko) 2011-12-01 2012-08-14 김상웅 셔틀콕용 날개 제조방법 및 셔틀콕
KR101131307B1 (ko) 2011-11-08 2012-03-30 박춘배 인조깃털을 구비한 배드민턴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KR101220582B1 (ko) 2012-07-17 2013-01-10 김상웅 셔틀콕용 날개 제조방법
KR101309330B1 (ko) 2012-07-20 2013-09-16 김상웅 인조깃털을 이용한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6220A (zh) * 2016-02-23 2016-05-04 南京狮鹏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人造羽毛的羽毛球
CN105536220B (zh) * 2016-02-23 2019-01-25 南京狮鹏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人造羽毛的羽毛球
EP4186571A1 (en) * 2021-11-25 2023-05-31 Victor Rackets Industrial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 for artificial shuttlecock
US11890794B2 (en) 2021-11-25 2024-02-06 Victor Rackets Industrial Corp.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 for artificial shuttlecock
WO2024037241A1 (zh) * 2022-08-17 2024-02-22 广州市中昊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整体形人造羽毛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39B1 (ko)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5596A1 (en) Foam dart having a safety cap
KR101552239B1 (ko)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US10065096B2 (en) Shuttlecock and artificial feather thereof
KR200460073Y1 (ko) 셔틀콕
KR100774602B1 (ko) 셔틀콕
WO2017030032A1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
CN101977659B (zh) 羽毛球
GB2519687A (en) Badminton shuttlecock
CN109925686A (zh) 球拍拍框
KR101552237B1 (ko) 셔틀콕의 깃털 제조방법
US2360173A (en) Shuttlecock
KR20140028744A (ko) 날개 체결식 배드민턴 셔틀콕
KR101309330B1 (ko) 인조깃털을 이용한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KR102482347B1 (ko) 배드민턴 셔틀콕용 인조깃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1307B1 (ko) 인조깃털을 구비한 배드민턴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CN201710924U (zh) 羽毛球
KR20140028743A (ko) 배드민턴 셔틀콕
US20080305898A1 (en) Vented shaft for a lacrosse stick
US2666206A (en) Face mask
CN203235205U (zh) 具有球箍的羽毛球
CN117654004A (zh) 一种半羽尼龙羽毛球
CN211435010U (zh) 一种羽毛球的塑胶毛片
US11944885B2 (en) Shuttlec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uttlecock
TWM393337U (en) Badminton structure
KR102055629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용 깃털 및 이를 이용한 배드민턴용 셔틀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