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860A - 우산 스탠드 - Google Patents

우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860A
KR20150039860A KR20157007075A KR20157007075A KR20150039860A KR 20150039860 A KR20150039860 A KR 20150039860A KR 20157007075 A KR20157007075 A KR 20157007075A KR 20157007075 A KR20157007075 A KR 20157007075A KR 20150039860 A KR20150039860 A KR 2015003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umbrella
umbrella stand
hook member
stand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타 카와시마
Original Assignee
케이타 카와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타 카와시마 filed Critical 케이타 카와시마
Publication of KR2015003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효율적으로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우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산 스탠드(100)는 연직면 내에 있어서 경사진 경사 바(110)를 가지고 있고, 경사 바(110)는 우산(150)의 손잡이(151)를 걸었을 때에 우산(150)이 지표(130)에 닿지 않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우산 스탠드{UMBRELLA STAND}
본 발명은 우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우산 스탠드의 하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25050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도 21은 동일 공보에 기재된 우산 스탠드의 사시도, 도 22는 우산을 꽂은 상태의 동일 우산 스탠드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우산 스탠드(1)는 우산 스탠드 본체(10)와, 우산 스탠드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부(11)에 부착된 복수개의 유지 블록(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지 블록(2)은 일체 성형된 4개의 유지체(20)를 구비하고 있고, 각 유지체(20)는 우산(P)을 삽입 가능하며, 상부 개구를 우산 삽입 구멍(24)으로서 가지는 통형상부(21)와, 우산 삽입 구멍(24)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지 블록(2)은 우산 스탠드 본체(10)의 상부의 부착부(11)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통형상부(21)와 플랜지부(22)는 서로 경사져 있고, 통형상부(21)는 유지 블록(2)을 우산 스탠드 본체(10)의 부착부(11)에 부착했을 때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25050호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종래의 우산 스탠드(1)에 있어서는, 우산 삽입 구멍(24)에 우산(P)이 삽입되는데, 우산 삽입 구멍(24)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 스탠드 본체(10)의 면적(상방 투영 면적)에 대하여, 적은 수의 우산(P)밖에 수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우산 스탠드(1)는 우산 스탠드 본체(10)의 면적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최소의 면적으로 최대수의 우산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우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연직면 내에 있어서 경사진 적어도 1개의 경사 바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 바는 상기 경사 바에 우산 손잡이를 걸었을 때에 상기 우산이 지표에 닿지 않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우산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경사 바는 적어도 그 상측 절반이 원호형상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에는 적어도 그 하단에 있어서, 상기 우산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막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상기 경사 바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경사 각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2개의 상기 경사 바는 V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하고, 이 경우, 이들 2개의 상기 경사 바는 역V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상기 경사 바의 하방 또는 상기 경사 바의 하방이며 상기 경사 바보다 전측 및 안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가이드 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상기 경사 바에 부착된 후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상단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로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 중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와, 상기 주축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경사 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상단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로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 중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와, 상기 주축의 하단에 형성된 우산 수납용의 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경사 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부착된 우산 수납용의 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축은 상기 빠짐 방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상기 경사 바의 상단에 접속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 부재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 바에는 상기 절결이 통과 가능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사 바의 각각은 그 일단에 있어서 지지 바의 상단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고, 인접하는 상기 지지 바의 사이에는 측벽이 걸쳐져 있고, 상기 측벽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는 그 일단에 있어서 1개의 지지 바의 상단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바는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의 하방에는 당해 경사 바에 걸린 우산으로부터 낙하하는 빗방울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 바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상기 수납 용기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 우산의 손잡이(통상, J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음)를 경사 바의 임의의 위치에 걸면, 우산은 자중에 의해 경사 바를 따라 하방으로 즉 경사 바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와 같이, 경사 바의 임의의 위치에 건 우산은 자연히 경사 바의 하단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우산을 경사 바에 걸면, 그들 우산은 경사 바의 하단을 시점으로 하여, 경사 바의 상단을 향하여 열을 이룬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의하면, 1개의 경사 바에 대하여, 경사 바의 전체 길이에 따른 수의 우산을 수용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다수의 우산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 도 1(B)은 도 1(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복수개의 스토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부분적 정면도이다.
도 3(A)은 2개의 경사 바를 구비하는 우산 스탠드의 측면도이며, 도 3(B)은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경사 바를 1개의 지지 바에서만 지지한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우산 스탠드의 변경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의 지지 바와 경사 바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며, 도 1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바 및 후크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바 및 후크 부재의 변형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바 및 후크 부재의 변형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19(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를 상방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20(A)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20(B)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우산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우산 스탠드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의 정면도, 도 1(B)은 도 1(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연직면 내에 있어서 경사져 있는 경사 바(110)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있어서 경사 바(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바(121, 122)와, 지지 바(121, 122)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바(110)는 우측이 상방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 바(110)의 하단(좌측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형상의 스토퍼(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바(110)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130)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가장자리에는 측벽(131)이 형성되어 있어,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이하와 같이 사용된다.
우산(150)의 손잡이(151)(통상, J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음)를 경사 바(110)의 임의의 위치에 걸면, 우산(150)은 자중에 의해 경사 바(110)를 따라 하방으로 즉 경사 바(110)의 상단(우측단부)으로부터 하단(좌측단부)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문에, 우산(150)이 미끄러져 떨어지고 있는 동안에 우산(150)의 하단이 베이스(1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사 바(110)는 임의의 위치(특히, 하단)에 우산(150)을 걸었을 때에, 우산(150)의 하단이 베이스(130)에 접하지 않을 것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 바(110)의 하단에는 스토퍼(1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바(110)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는 우산(150)은 스토퍼(111)에 닿은 시점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경사 바(110)의 임의의 위치에 건 우산(150)은 자연히 경사 바(110)의 하단의 스토퍼(111)까지 미끄러져 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우산(150)을 경사 바(110)에 걸면, 그들 우산(150)은 경사 바(110)의 하단의 스토퍼(111)를 시점으로하여, 경사 바(110)의 상단을 향하여 열을 이룬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의하면, 1개의 경사 바(110)에 대하여, 경사 바(110)의 전체 길이에 따른 수의 우산(150)을 수용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다수의 우산(150)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상기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개변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1개의 경사 바(110)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경사 바(110)의 개수는 1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2개 이상의 경사 바(110)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 예를 들면, 그들 경사 바(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각 경사 바(110)의 높이를 바꾸어서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경사 바(110)의 종단면은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 바(110)의 종단면은 다각형 이외에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단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경사 바(110)의 상측 절반이 원호형상 단면을 가지는 것이면, 하측 절반의 단면 형상은 임의의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사 바(110)의 종단면의 상측 절반을 반원형상, 하측 절반을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는 경사 바(110)의 하단에 1개의 스토퍼(111)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스토퍼(111)의 수는 1개는 한정되지는 않는다. 우산 스탠드(100)는 2개 이상의 스토퍼(111)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복수개의 스토퍼(111)를 가지는 우산 스탠드(100)의 부분적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산 스탠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스토퍼(11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스토퍼(111)에 끼워진 영역(112)마다 우산(150)을 수납하는 수납 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있어서는, 스토퍼(111)를 볼록형상체로서 형성하고 있지만, 볼록형상체 대신에 스토퍼(111)를 벽형상의 것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사 바(110)의 하단에 지지 바(122)를 따라 경사 바(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벽을 형성함으로써, 경사 바(110)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져 온 우산(150)을 스토퍼(111)로서의 벽으로 멈추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접이식 우산은 J자형의 손잡이(151)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수납할 수 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미리, 경사 바(110)에 S자형 후크를 걸어 두면, 그 S자형 후크에 접이식 우산을 걸어 둘 수 있다.
도 3(A)은 2개의 경사 바(110)를 구비하는 우산 스탠드(100A)의 측면도이며, 도 3(B)은 우산 스탠드(100A)의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2개의 경사 바(110)는 각각 동일 높이의 지지 바(121)에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바(121)의 사이에는 측벽(140)이 걸쳐져 있다. 측벽(140)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개의 후크(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후크(141)에는 접이식 우산을 걸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측벽(140)을 메시형상의 부재로 형성하고, 메시의 각 개구에 S자형 후크를 걸어 두면, 그 S자형 후크에 접이식 우산을 걸어 둘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는 그 양단에 있어서 2개의 지지 바(121, 122)에 지지되어 있는데, 경사 바(110)를 3개 이상의 지지 바에 의해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경사 바(110)를 2개의 지지 바(121, 122)의 어느 일방에 의해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경사 바(110)를 1개의 지지 바(122)로만 지지한 우산 스탠드(100B)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바(110)를 그 일단에 있어서만 지지하는 구조의 외팔보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경사 바(110)를 1개의 지지 바로 지지하는 경우, 경사 바(110)의 일단 뿐만아니라 경사 바(110)의 임의의 점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바(110)의 중앙에 있어서 지지 바(123)(파선으로 나타냄)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우산 스탠드(100B)의 변경예의 정면도이다.
경사 바(110)를 1개의 지지 바(122)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지지 바(122)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바(122)는 하단이 베이스(13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지지 바(122A)와, 상단이 경사 바(11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지지 바(122B)와, 볼트(122C)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바(122B)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지지 바(122A)는 제2 지지 바(122B)의 내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제2 지지 바(122B)의 하단의 부근에는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 구멍에 볼트(122C)를 조여넣음으로써, 제2 지지 바(122B)를 제1 지지 바(122A)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122C)를 느슨하게 한 후, 제2 지지 바(122B)를 원하는 길이로 신축시키고, 그 지점에 있어서, 볼트(122C)를 조여넣음으로써, 제2 지지 바(122B)를 제1 지지 바(122A)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지지 바(122)의 전체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C)에 의하면, 지지 바(122) 나아가서는 경사 바(110)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우산(150)을 걸기 쉬운 높이에 경사 바(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의 상단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바(121)는 신축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 바(121)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경사 바(110)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바(1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베이스(130)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지지 바(121A)와, 하부 지지 바(121A)가 끼워맞춤 가능한 중공의 상부 지지 바(121B)와, 상부 지지 바(121B)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부 지지 바(121B)를 하부 지지 바(121A)에 대하여 고정하는 볼트(121C)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121C)를 느슨하게 한 후, 상부 지지 바(121B)를 원하는 높이로 상하시키고, 그 지점에 있어서, 볼트(121C)를 조여넣음으로써, 상부 지지 바(121B)를 하부 지지 바(121A)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지지 바(121)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경사 바(110)는 그 상단에 있어서 핀(123)을 통하여 상부 지지 바(121B)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그 하단에 있어서 핀(124)을 통하여 지지 바(122)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경사 바(110)의 상단에는 핀(124)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일부로서의 원호형상의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고, 핀(123)은 원호형상의 구멍(114)의 내부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에 의하면, 지지 바(121)의 높이를 임의의 높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지지 바(122)의 높이는 불변하기 때문에, 경사 바(110)의 경사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바(110)의 경사 각도를 바꿈으로써, 우산(150)이 경사 바(110)를 미끄러져 떨어지는 속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A)의 정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200A)에 있어서는, 우산 스탠드(100B)(도 4 참조) 또는 우산 스탠드(100C)(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경사 바(110)는 그 일단에 있어서 1개의 지지 바(122)에 지지되고, 또한 지지 바(12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지지 바(122)와 경사 바(110)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바(122)의 상단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플랜지(12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각 플랜지(125)에는 동일한 중심선을 가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바(110)는 2개의 플랜지(125)의 사이에 끼워지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 경사 바(110)에는 경사 바(110)를 2개의 플랜지(125)의 사이에 끼웠을 때에, 각 플랜지(125)의 관통 구멍에 중심선이 일치하는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바(122)와 경사 바(110)는 이하와 같이 연결된다.
경사 바(110)를 2개의 플랜지(125)의 사이에 끼운 후, 볼트(126)를 일방의 플랜지(125)의 관통 구멍에 통과시키고, 경사 바(110)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타방의 플랜지(125)의 관통 구멍을 통과시킨다. 그 후, 타방의 플랜지(12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볼트(126)의 수나사를 너트(127)로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경사 바(110)는 지지 바(12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 바(122)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경사 바(110)를 1개의 지지 바(122)로 지지하는 경우에도, 경사 바(110)의 경사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는 신축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 바(110)의 전체 길이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우산 스탠드(3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 바(3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추가 바(310)는 경사 바(110)의 내부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경사 바(11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 구멍에 볼트(311)를 조여넣음으로써, 추가 바(310)를 경사 바(11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311)를 느슨하게 한 후, 추가 바(310)를 원하는 길이로 신축시키고, 그 지점에 있어서, 볼트(311)를 조여넣음으로써, 추가 바(310)를 경사 바(11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경사 바(11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에 의하면, 경사 바(11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사 바(110)에 거는 우산(150)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A)의 정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A)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의 전체 길이의 변경에 따라 베이스(13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A)에 있어서는, 우산 스탠드(100B)(도 4 참조) 또는 우산 스탠드(100C)(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경사 바(110)는 그 일단에 있어서 1개의 지지 바(12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30)는 지지 바(122)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1 베이스(132)와, 제1 베이스(13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베이스(13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제1 베이스(132)와 제2 베이스(133)의 연결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베이스(133)의 상단에는 외측에 돌출되는 플랜지(133A)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베이스(132)의 상단에는 플랜지(133A)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33A)가 오목부(132A)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제2 베이스(133)는 제1 베이스(132)에 대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300A)에 의하면, 경사 바(110)의 길이를 늘리면, 그것에 따라, 베이스(13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우산(150)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확실하게 베이스(130)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400)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있어서의 경사 바(110)는 직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400)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경사 바(110, 110A)를 V자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에 있어서는, 우산(150)은 우산 스탠드(100)의 상단(우측단부) 부근에(정확하게는, 이미 우산 스탠드(100)에 걸려 있는 우산(150)보다 높은 위치에) 거는 것이 요구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400)에 의하면, 2개의 경사 바(110, 110A)를 V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우산 스탠드(400)의 좌우 어느 쪽으로부터도 우산(150)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400)에 있어서는, 우산(150)은 V자의 최하점으로 미끄러져 떨어지고, 거기서 멈추므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11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400)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450)의 정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경사 바(110, 110B)를 역V자형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우산 스탠드(450)의 중앙 부근(2개의 경사 바(110, 110B)의 경계 부근)에 우산(150)을 걸면, 우산(150)은 2개의 경사 바(110, 110B)의 어느 하나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게 되고, 우산(150)을 2개의 경사 바(110, 110B)의 어느 하나에 분산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1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500)의 정면도, 도 14(B)는 우산 스탠드(50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5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와 비교하여, 가이드 바(5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바(510)는 2개의 지지 바(121, 122)의 사이에 있어서 경사 바(1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바(510)는 경사 바(110)의 하방으로서, 경사 바(110)보다 안측(도 14(B)에 있어서는 우측)에 부착되어 있다.
우산(150)의 손잡이(151)를 경사 바(110)에 건 경우, 우산(150)이 경사 바(110)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도 14(B)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 우산(150)의 선단(도 14(B)에 있어서는 하단)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빗물이 베이스(130) 밖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가이드 바(510)를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우산(15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우산(150)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빗물을 확실하게 베이스(130) 내에 낙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500)에 있어서는, 가이드 바(510)는 경사 바(110)보다 안측에 부착되어 있지만, 경사 바(110)보다 전측(도 14(B)에 있어서는 좌측)에 부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바(510)를 경사 바(110)의 안측과 전측의 양쪽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가이드 바(510)는 경사 바(110)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60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6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와 비교하여, 경사 바(110)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경사 바(110)에 부착된 후크 부재(61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16은 경사 바(110) 및 후크 부재(610)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 바(110)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 부재(610)는 개구부(113)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부(1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주축(611)과, 주축(611)의 상단에 형성되고, 개구부(113)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개구부(113) 중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612)와, 주축(611)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613)로 형성되어 있다.
주축(611)이 개구부(113)를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후크 부재(610)는 경사 바(110)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문에, 후크 부재(610)의 후크(613)에 우산(150)을 거는 것에 의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크(613)에는 J자형의 손잡이(151)를 가지는 우산(150) 뿐만아니라, J자형의 손잡이(15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접이식의 우산(통상, 손잡이에는 링형상의 끈이 달려 있음)도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600)는 경사 바(110)의 상단에 접속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바(62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후크 부재(610)는 우산(150)을 걸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그 자중에 의해 항상 경사 바(110)의 하단까지 미끄러져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후크 부재(610)에 우산(150)을 거는 경우에는, 후크 부재(610)를 경사 바(110)를 따라 끌어올리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경사 바(110)와 연속되는 수평 바(62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 전의 후크 부재(610)를 수평 바(620)에 고정시켜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후크 부재(610)를 경사 바(110)를 따라 끌어올리는 작업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7은 경사 바(110) 및 후크 부재(610)의 변형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후크 부재(610)에 있어서는, 주축(611)은 빠짐 방지부(61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611)을 빠짐 방지부(61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빠짐 방지부(612)에는 주축(611)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구멍(616)이 형성되어 있고, 주축(611)은 그 관통 구멍(616)에 끼워 넣어져 있고, 주축(611)의 상단에는 관통 구멍(616)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6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축(611)을 빠짐 방지부(61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구성함으로써, 후크(613)도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우산(150)을 후크(613)에 걸기 쉬운 방향까지 후크(613)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경사 바(110) 및 변형예에 따른 후크 부재(610A)의 종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후크 부재(610A)는 경사 바(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부재(614)와, 링 부재(614)에 설치된 후크(61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후크 부재(610A)에 있어서는, 링 부재(614)가 경사 바(110)(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경사 바(110)는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바(110)와는 상이하고, 중공일 필요는 없으며, 중실이어도 됨)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문에, 후크 부재(610A)의 후크(615)에 우산(150)을 거는 것에 의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크(615)에는 J자형의 손잡이(151)를 가지는 우산(150) 뿐만아니라, J자형의 손잡이(15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접이식의 우산도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 후크(615)는 링 부재(6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도 17에 나타낸 후크 부재(61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7 실시형태)
도 19(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710)의 종단면도이며, 도 19(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710)를 상방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710)는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610)(도 16 참조)에 있어서의 후크(613) 대신에 우산 수납용의 백(7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6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백(713)에는 J자형 형상의 손잡이(151)를 가지는 우산(150) 뿐만아니라, J자형 형상의 손잡이(15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우산, 접이식의 우산 그 밖의 모든 형상의 우산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710)에 있어서도, 도 17에 나타낸 후크 부재(610)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주축(611)을 빠짐 방지부(61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후크 부재(610A)의 후크(615) 대신에 우산 수납용의 백(713)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8 실시형태)
도 20(A)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800)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810)의 종단면도이며, 도 20(B)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800)의 정면도이다.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810)는 도 18에 나타낸 후크 부재(610A)와 비교하여, 링 부재(614)에 절결(811)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후크 부재(61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 바(110)에는 그 측가장자리에 있어서, 링 부재(614)의 절결(811)이 통과 가능한 볼록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후크 부재(810)는 볼록부(812)에 걸리고, 볼록부(812)보다 상방에 머물러 있다. 후크 부재(810)에 우산(150)을 거는 경우에는, 링 부재(614)를 회전시키고, 절결(811)을 볼록부(812)의 위치에 맞춘 후, 볼록부(812)보다 하방의 위치에 후크 부재(81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후 후크 부재(810)는 자중에 의해 경사 바(110)를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800)에 의하면, 후크 부재(810)의 비사용시에는 볼록부(812)보다 상방에 머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바(620)를 가지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600)(도 15)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100A…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
100B…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
110…경사 바
121…지지 바
122…지지 바
130…베이스
200…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200A…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
300…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300A…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
310…추가 바
400…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450…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우산 스탠드
500…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510…가이드 바
600…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610…후크 부재
620…수평 바
710…후크 부재
800…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 스탠드
810…후크 부재

Claims (20)

  1. 연직면 내에 있어서 경사진 적어도 1개의 경사 바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 바는 상기 경사 바에 우산 손잡이를 걸었을 때에 상기 우산이 지표에 닿지 않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우산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는 적어도 그 상측 절반이 원호형상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에는 적어도 그 하단에 있어서, 상기 우산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막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경사 각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상기 경사 바는 V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상기 경사 바는 역V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의 하방 또는 상기 경사 바의 하방으로서 상기 경사 바보다 전측 및 안측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가이드 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상기 경사 바에 부착된 후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상단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로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 중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와, 상기 주축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경사 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상단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로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 중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와, 상기 주축의 하단에 형성된 우산 수납용의 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경사 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부착된 우산 수납용의 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4.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상기 빠짐 방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의 상단에 접속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6.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 바에는 상기 절결이 통과 가능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경사 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사 바의 각각은 그 일단에 있어서 지지 바의 상단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고,
    인접하는 상기 지지 바의 사이에는 측벽이 걸쳐져 있고, 상기 측벽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는 그 일단에 있어서 1개의 지지 바의 상단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의 하방에는 당해 경사 바에 걸린 우산으로부터 낙하하는 빗방울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경사 바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상기 수납 용기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스탠드.
KR20157007075A 2012-10-19 2013-10-10 우산 스탠드 KR201500398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1896 2012-10-19
JPJP-P-2012-231896 2012-10-19
PCT/JP2013/077608 WO2014061551A1 (ja) 2012-10-19 2013-10-10 傘立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860A true KR20150039860A (ko) 2015-04-13

Family

ID=5048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7075A KR20150039860A (ko) 2012-10-19 2013-10-10 우산 스탠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28136B2 (ko)
KR (1) KR20150039860A (ko)
CN (1) CN104780813A (ko)
WO (1) WO2014061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076A (zh) * 2015-05-07 2015-08-19 袁静 一种雨伞挂架
CN107456039A (zh) * 2016-06-06 2017-12-12 上海市格致中学 一种晾伞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40916A (fr) * 1904-03-04 1904-07-23 Societe F. Revel Pere Et Fils Système de porte-parapluie tournant
JPS55179586U (ko) * 1979-06-11 1980-12-23
JPH03111007A (ja) * 1989-09-25 1991-05-10 Susumu Nemoto 集合傘立て
JPH08308711A (ja) * 1995-05-15 1996-11-26 Junzaburo Kawasaki 傘の収納スタンド
JPH10108778A (ja) * 1996-10-08 1998-04-28 Satsuki Amaike スライド式吊り下げ傘立て
JPH11332722A (ja) * 1998-05-21 1999-12-07 Hidekazu Yokota 傘係止具
JP2000225050A (ja) * 1999-02-05 2000-08-15 Teramoto Corp 傘立て
JP2001292886A (ja) * 2000-04-13 2001-10-23 Osaka Juki Service Kk 傘立て具
CN201847399U (zh) * 2010-10-29 2011-06-01 大连海事大学 便携式雨伞置放器
CN201948711U (zh) * 2010-12-22 2011-08-31 上海工商信息学校 一种可调节支架
CN202457693U (zh) * 2012-01-12 2012-10-03 陆利群 一种斜杆式雨伞悬挂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551A1 (ja) 2014-04-24
JPWO2014061551A1 (ja) 2016-09-05
CN104780813A (zh) 2015-07-15
JP5728136B2 (ja)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748B1 (en) Paint ca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9539949B2 (en) Hanger assembly
US20160045024A1 (en) Pivoting fishing rod stand
US10791729B1 (en) Tree stand platform assembly
US9399476B1 (en) Carriage assembly
KR20090010009A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US7686134B1 (en) Ladder support and bracing apparatus
US20160262560A1 (en) Head Covering Holding Apparatus
WO2015149150A1 (en) Door painting assembly
US20150336487A1 (en) Foot Rest Assembly
US20160375945A1 (en) Cart Assembly
US7246463B1 (en) Christmas tree support assembly
KR20150039860A (ko) 우산 스탠드
US9585495B2 (en) Built-in mobile arm for a crib
US9689528B2 (en) Multiuse bracket and support device
US9629474B2 (en) Children's table assembly
US20060255217A1 (en) Basket caddy for a step ladder
US5890686A (en) Bottle swing
US20160051951A1 (en) Mixing Bucket Holder Device
US8807278B1 (en) Hunting stand apparatus
US20160208553A1 (en) Ladder stabilization system
US20140203600A1 (en) Fishing accessory support device for a pedestal boat seat
US3625370A (en) Portable receptacle support
US20080230669A1 (en) Tile cutter attachable propane torch tank caddy
US8118281B1 (en) Tire lif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