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009A -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009A
KR20090010009A KR1020070130237A KR20070130237A KR20090010009A KR 20090010009 A KR20090010009 A KR 20090010009A KR 1020070130237 A KR1020070130237 A KR 1020070130237A KR 20070130237 A KR20070130237 A KR 20070130237A KR 20090010009 A KR20090010009 A KR 2009001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member
support
fishing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356B1 (ko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대 filed Critical 최종대
Priority to PCT/KR2008/0026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14308A1/en
Publication of KR2009001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상부에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평부재와; 각 수평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방수직부재와; 각 수평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방수직부재와; 수평부재, 전방수직부재, 후방수직부재 중 1 ~ 2 개소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고정하거나 프레임과 분리되는 다수의 프레임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평부재, 수직지지부재들이 쉽게 분리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고정용 기둥을 지면에 박지 않더라도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면의 기울기 및 낚시의 목적에 따라 전후 기울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수평부재로부터 후방수직부재나 전방수직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다른 부재를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최대한 물가에 접근하여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고, 경사도가 심한 낚시터는 물론 얕은 물속까지 다량의 낚싯대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휴대, 조립

Description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FISHING STRU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낚시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된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낚시는 장소나 낚시 채비에 따라서 여러종류로 구분할수 있는데 이들중 릴 낚시대를 받치는 받침대는 하단부에 침부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 영역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일반 낚시대의 경우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받침대와 소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별도의 경사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어 어느 하나의 낚시대만을 받칠경우에는 사용자가 낚시를 간편하게 받침할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릴낚시와 일반낚시를 원할때는 각각 별도의 받침대를 휴대하여야 한다는 번거러움과 더불어 각각의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적정 수준을 초과하므로 사용자에게는 물질적으로 큰 부담을 가지게 되는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릴낚시와 일반 낚시를 함께 지지할 수 있도 록 한 '낚시 받침대'(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324호)가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한편, 한번에 여러 개의 낚시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한 기술로는 '낚시 받침대의 지지다리 상하각도 미세조절구조'(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12247)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낚시 받침대(20)를 지지하는 프레임(10)의 양측에 지지다리(30)를 설치하고, 지지다리(30) 끝단에 홀을 형성하여 고정팩(40)을 홀을 통해 지면에 밖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프레임은 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낚시터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기둥을 뽑고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터의 지면 경사도에 따라 낚시 받침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어 프레임의 하부에 돌을 괴어 설치하는 등의 불편함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낚시 받침대를 거치시킬 수 있는 좌대의 하부에 절첩식 앞다리와 뒷다리와 스토퍼를 통해 절첩 정도를 조절하도록 된 '낚시 받침대용 좌대'(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097호)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여러 개의 낚시 받침대를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앞다리와 뒷다리는 지면에 박아 넣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낚시 장소의 이동시 지면에서 앞다리와 뒷다리를 뽑아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앞다리 및 뒷다리가 좌대와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전체 제품의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마저 있었다.
또한, 좌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안내간이라는 다리가 더 구비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평부재, 수직지지부재들이 쉽게 분리되어 휴대가 간편한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전방수직부재와 후방수직부재는 수평부재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고, 프레임을 쉽게 고정,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용 기둥을 지면에 박지 않더라도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지면의 기울기 및 낚시의 목적에 따라 전후 기울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수평부재로부터 후방수직부재나 전방수직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길이를 길이가 다른 부재를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수평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최대한 물가에 접근하여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경사도가 심한 낚시터는 물론 얕은 물속까지 다량의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에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평부재와; 각 수평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방수직부재와; 각 수평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방수직부재와; 수평부재, 전방수직부재, 후방수직부재 중 1 ~ 2 개소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고정하거나 프레임과 분리되는 다수의 프레임고정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수평부재, 전방수직부재, 후방수직부재 중 선택된 1 ~ 3 개는 크기가 다른 다수 개의 관이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수 개의 관이 삽입됨에 있어서, 삽입되는 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된 관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프레임고정장치는,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수평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의 앞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와; 후방수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뒷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후방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프레임의 앞쪽과 뒷쪽에는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전방고정장치의 상부에는 프레임의 앞쪽 고정홈에 삽입되는 전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후방고정장치의 상부에는 프레임의 뒷쪽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수평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를 수평부재에 고정시키는 보조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전방고정장치의 하부에는 수평부재 측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전방수직부재 또는 후방수직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밀착되어 끼워지는 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수직부재 또는 후방수직부재 중 선택된 1 내지 2개는 하부에 지면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면받침대는 전방수직부재 또는 후방수직부재에 회전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면받침대에는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팩을 끼울 수 있도록 고정팩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평부재, 수직지지부재들이 쉽게 분리되어 휴대가 간편한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전방수직부재와 후방수직부재는 수평부재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고, 프 레임을 쉽게 고정,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고정용 기둥을 지면에 박지 않더라도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또, 지면의 기울기 및 낚시의 목적에 따라 전후 기울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수평부재로부터 후방수직부재나 전방수직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길이를 길이가 다른 부재를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또, 수평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최대한 물가에 접근하여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즉, 경사도가 심한 낚시터는 물론 얕은 물속까지 다량의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수평부재(200), 전방수직부재(300), 후방수직부재(400), 프레임고정장치(5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평부재(200)와; 각 수평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방수직부 재(300)와; 각 수평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방수직부재(400)와; 수평부재(200), 전방수직부재(300), 후방수직부재(400) 중 1 ~ 2 개소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을 고정하거나 프레임(100)과 분리되는 다수의 프레임고정장치(50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100)은 상부에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부에 다수 개의 낚시 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한 프레임(100)의 구성 예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면과 타측면, 구체적으로 도면상 전면과 후면에 고정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홈(110)은 후술하는 프레임고정장치(500)의 일부가 앞뒤로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00)을 본 발명의 지지장치와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수평부재(200)는 다수 개가 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수평부재(200)가 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낚시할 때 잡은 고기를 당기는 등의 활동을 위해서는 이러한 두 개의 수평부재(200)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부재(2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원형 관이나 사각형 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수평부재(200)는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등의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길이를 변화시키게 되면 프레임(100)에 하중이 많이 걸릴 때 보다 안정적으로 프레임(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부재(200)는 두 개의 직경이 서로 다른 관으로 된 제1수평부재(210)와 제2수평부재(220)을 구성하여 제1수평부재(210)을 제2수평부재(220)에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때, 직경이 서로 다른 제1수평부재(210)와 제2수평부재(220)을 임의의 위치에서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된 관고정장치(2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고정장치(230)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임의적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측 관의 끝단에 볼트체결홀을 형성하고, 볼트를 설치한 후 일측 관에 타측 관을 삽입한 후 볼트를 조임으로써 타측 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보다 정확한 고정을 위해 타측 관의 상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볼트의 끝단을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한 후 볼트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이 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두 관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전방수직부재(300)는 각 수평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전방수직부재(300)를 수평부재(200)로부터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부재(200)의 끝단에 회전핀(351)을 설치하고, 이 회전핀(351)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된 힌지장치(350)를 설치하되, 힌지장치(350)에는 전방수직부재(30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방수직부재(300)를 수평부재(200)로부터 절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핀(351)에 의해 회전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전방수직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부재고정장치(352)를 구성할 수 있다.
수직부재고정장치(352)는 수평부재(200) 측의 관고정장치(230)와 같은 방식으로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수직부재(300)의 상단에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이 볼트구멍과 일치되도록 수평부재(200)에 볼트구멍을 형성한 후 두 볼트구멍에 체결되는 볼 트를 설치함으로써 전방수직부재(300)를 수평부재(200)로부터 완전히 핀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전방수직부재(3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방수직부재(300)는 상하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지형에 낚시 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면의 제1전방수직부재(310), 제2전방수직부재(320), 제3전방수직부재(330)와 같이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각기 직경이 다른 관을 삽입시켜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수평부재(200)의 관고정장치(230)와 마찬가지로 전방수직부재(300)에서도 일정한 위치에서 여러 개의 관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수평부재(200)에서의 관고정장치(230)처럼 관고정볼트(341)만으로 여러 관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으나, 전방수직부재(300)의 관고정장치(340)는 도면에서와 같이 관고정장치(340)의 일측에 곡편(34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수직부재(300)를 구성하는 일측의 관에는 곡편(342)이 삽입되는 펀칭홀(332)을 형성되어 있으며, 펀칭홀(332)에는 슬라이드부(331)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곡편(342)이 펀칭홀(332)에 끼워짐으로써 제3전방수직부재(330)와 제2전방수직부재(310)를 상호 고정시키고, 펀칭홀(332)의 슬라이드부(331)에 밀려 밖으로 이완되는 구조로 되어 내삽된 제3전방수직부재(330)가 제2전방수직부재(310)로부터 무단 이탈되지 않도록 된 구조이다.
한편, 전방수직부재(300)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접촉을 위한 돌기를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내삽되는 패킹을 설치하여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관계로 별도의 패킹이 없어도 전방의 지면에 견고히 지지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후방수직부재(400)는 각 수평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후방수직부재(400)를 수평부재(200)로부터 회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방수직부재(300)와 같은 힌지장치(450)를 이용한 회전핀(451)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전방수직부재(300)의 수직부재고정장치(352)와 같은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부재(200)부로부터 후방수직부재(400)가 자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하게 후방수직부재(400)의 상측 모서리에 걸림판(521)을 형성하고, 회전핀(451)의 위치는 전방수직부재(300) 측의 회전핀(351)에 비해 중앙 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후방수직부재(400)의 상부 모서리를 라운드처리하여 라운드처리된 부분이 걸림판(521)에 뻑뻑하게 마찰을 일으키면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볼트와 같은 고정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걸림판(521) 만으로 후방수직부재(400)의 자유 회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 다.
한편, 이러한 후방수직부재(400) 역시 전방수직부재(300)와 마찬가지로 제1후방수직부재(410), 제2후방수직부재(420) 등 다수 개의 관이 서로 내삽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전방수직부재(300)와 마찬가지로 관고정장치(43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관고정장치(430)에 밀착홈(431)을 형성하여 수평부재(200)와 절첩될 때 수평부재가 밀착홈(431)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후방수직부재(400)는 그 성격상 길이의 조절이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서로 연결된 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 이외에도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여분의 관을 준비한 후 하부의 관을 대체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후방수직부재(400)의 하단은 전방수직부재(300)의 하단에 비해 지면과 강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로 낚시터가 하양 경사진 형태를 취하며, 낚시대는 이에 반해 상향 경사진 형태를 취해야 멀리까지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서 가장 많은 하중을 받는 곳이므로 지면과 강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후방수직부재(400)의 하부에는 넓은 면적을 갖는 지면받침대(4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지면받침대(440)는 전방수직부재(300) 또는 후방수직부재(400) 에 회전축(441)에 의해 회전연결됨으로써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지면받침대(440) 하단을 지면과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6에서와 같이 지면받침대(440) 상부에 회전축삽입홀(443)을 갖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제2후방수직부재(420) 하부에는 회전축삽입홀(443)에 대응되는 보조회전축삽입홀(421)을 갖는 브라켓(422)을 설치하여 회전축삽입홀(443)과 보조회전축삽입홀(421)을 회전축(441)이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지면받침대(440)로 하여금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면받침대(440)에 고정팩삽입홀(442)이 형성되어 고정팩을 끼우고, 고정팩을 지면에 박음으로써 지면과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고정장치(500)는 수평부재(200), 전방수직부재(300), 후방수직부재(400) 중 1 ~ 2 개소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을 고정하거나 프레임(100)과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고정장치(500)는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간단한 구조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100)에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이 볼트구멍에 대응되도록 수평부재(200)에 불트구멍을 형성한 후 볼트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수평부재(200)와 프레임(100)끼리만 고정되는 방식으로 수평부재(20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하여 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 네 개의 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량이 늘어나는 문제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부재(200)에 설치되어 수평부재(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앞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와;
상기 후방수직부재(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뒷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조작만으로 프레임(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의 앞쪽과 뒷쪽에는 프레임(100)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상부에는 프레임(100)의 앞쪽 고정홈(110)에 삽입되는 전방돌기(5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의 상부에는 프레임(100)의 뒷쪽 고정홈(110)에 삽입되는 후방돌기가 형성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수직부재(400)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걸림판(521)으로 대체 가능하며, 걸림판(521)의 상단에 후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후방돌기를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걸림판(521)의 후방돌기에 프레임(100)의 뒷쪽 고정홈(110)을 끼운 후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를 프레임(100) 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전방돌기(511)를 프레임(100)의 앞쪽 고정홈(110)에 끼운 후 프레임전 방고정장치(510)를 수평부재(200)에 고정시키면 된다.
아울러,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는 중앙에 수평부재관통홀(51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부재(20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수평부재(200)와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 간의 고정은 보조고정장치(51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고정장치(513)는 다양한 고정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관의 고정방식으로 적용된 볼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하부에는 수평부재(200)에 전방수직부재(300)나 후방수직부재(400)가 절첩되었을 때 전방수직부재(300)는 후방수직부재(400)가 끼워져 밀착되도록 밀착홈(5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밀착홈(512)은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하부로 두 개의 날이 형성되어 두 날 사이로 형성됨으로써 전방수직부재(300)나 후방수직부재(400)가 밀착홈(512)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수평부재(200)에 전방수직부재(300)와 후방수직부재(400)가 절첩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낚시 가방 등에 보관된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 낚시 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동작으로 프레임(100)에 낚시 받침대를 설치한 후 수평부재(200)에 절첩되어 있는 전방수직부재(300)와 후방수직부재(400)를 펼친 다음 프레임고정장치(500)를 이용하여 프레임(100)과 수평부재(200) 또는 후방수직부재(400)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낚시를 위한 지형에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올려놓은 후 지형의 경사도 등에 따라 전방수직부재(300)나 후방수직부재(40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길이가 긴 관을 새로 끼워 높이를 조절한 후 낚시를 낚시 받침대에 거치한다.
낚시를 종료하고 장비를 정리하고자 할 때는 위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는 프레임(100)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커 길이가 긴 릴낚싯대를 지지하기 쉽다.
아울러, 장비를 설치하고 분리하는 과정이 볼트를 조이는 동작으로 해결되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도 1은 종래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전방고정장치에 밀착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전방고정장치에 밀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전방수직부재와 후방수직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방수직부재와 후방수직부재가 수평부재에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후방수직부재를 길이가 긴 부재로 대체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수평부재의 길이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후방수직부재의 지면받침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관고정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관고정장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또다른 관고정장치의 예를 나타낸 측면 부분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전방수직부재의 하부에 고정팩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지면받침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프레임 20 : 받침대
30 : 지지다리 40 : 고정팩
100 : 프레임 110 : 고정홈
200 : 수평부재 210 : 제1수평부재
220 : 제2수평부재 230 : 관고정장치
300 : 전방수직부재 310 : 제1전방수직부재
320 : 제2전방수직부재 330 : 제3전방수직부재
331 : 슬라이드부 332 : 펀칭홀
340 : 관고정장치 341 : 관고정볼트
342 : 곡편 350 : 힌지장치
351 : 회전핀 352 : 수직부재고정장치
400 : 후방수직부재 410 : 제1후방수직부재
420 : 제2후방수직부재 421 : 보조회전축삽입홀
422 : 브라켓 430 : 관고정장치
431 : 밀착홈 440 : 지면받침대
441 : 회전축 442 : 고정팩삽입홀
443 : 회전축삽입홀 450 : 힌지장치
451 : 회전핀 500 : 프레임고정장치
510 : 프레임전방고정장치 511 : 전방돌기
512 : 밀착홈 513 : 보조고정장치
514 : 수평부재관통홀 520 : 프레임후방고정장치
521 : 걸림판

Claims (10)

  1.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낚시 받침대가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평부재(200)와;
    상기 각 수평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방수직부재(300)와;
    상기 각 수평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후방수직부재(400)와;
    상기 수평부재(200), 전방수직부재(300), 후방수직부재(400) 중 1 ~ 2 개소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을 고정하거나 프레임(100)과 분리되는 다수의 프레임고정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0), 전방수직부재(300), 후방수직부재(400) 중 선택된 1 ~ 3 개는 크기가 다른 다수 개의 관이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길이 조절이 가능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관이 삽입됨에 있어서,
    삽입되는 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된 관고정장치(230,340,4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장치(500)는,
    수평부재(200)에 설치되어 수평부재(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앞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와;
    상기 후방수직부재(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뒷쪽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앞쪽과 뒷쪽에는 프레임(100)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상부에는 프레임(100)의 앞쪽 고정홈(110)에 삽입되는 전방돌기(5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후방고정장치(520)의 상부에는 프레임(100)의 뒷쪽 고정홈(110)에 삽입되는 후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0)를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를 수평부재(200)에 고정시키는 보조고정장치(5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전방고정장치(510)의 하부에는 수평부재(200) 측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전방수직부재(300) 또는 후방수직부재(4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밀착되어 끼워지는 밀착홈(5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직부재(300) 또는 후방수직부재(400) 중 선택된 1 내지 2개는 하부에 지면받침대(4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받침대(440)는 전방수직부재(300) 또는 후방수직부재(400)에 회전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받침대(440)에는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팩을 끼울 수 있도록 고정팩삽입홀(4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20070130237A 2007-07-21 2007-12-13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094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620 WO2009014308A1 (en) 2007-07-21 2008-05-09 Supporting apparatus for fishing str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3769 2007-07-21
KR1020070073769 200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09A true KR20090010009A (ko) 2009-01-28
KR100940356B1 KR100940356B1 (ko) 2010-02-05

Family

ID=4048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237A KR100940356B1 (ko) 2007-07-21 2007-12-13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5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9Y1 (ko) * 2009-06-04 2011-06-23 민신복 낚싯대용 받침대의 지지구
KR101048616B1 (ko) * 2009-09-16 2011-07-12 김성운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1147489B1 (ko) * 2011-07-27 2012-05-21 케이엠씨솔루션(주) 절첩식 낚시 받침틀
KR101152847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관고정장치
KR101152846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관고정장치
KR101152845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프레임전방고정장치
KR200465041Y1 (ko) * 2011-04-26 2013-02-07 김무남 낚시대 받침틀
KR20160054311A (ko) * 2014-11-06 2016-05-16 황성원 절첩 및 조립식 낚시대 지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85Y1 (ko) 2013-09-04 2014-07-22 최원아 외다리형 낚시 거치대
KR101961403B1 (ko) 2018-08-01 2019-03-22 김다연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102160174B1 (ko) 2019-02-15 2020-09-25 최재휘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KR102369519B1 (ko) 2019-07-30 2022-03-03 장은규 복수형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52A (ko) 1998-05-30 1998-08-17 이성연 낚시 받침대
KR200282035Y1 (ko) * 2002-03-28 2002-07-19 최규태 낚시대 받침대
KR200381852Y1 (ko) 2005-01-31 2005-04-15 권혁성 낚시용 틀 받침대
KR200387282Y1 (ko) 2005-04-01 2005-06-17 김재공 입질감지장치가 구비된 낚시받침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9Y1 (ko) * 2009-06-04 2011-06-23 민신복 낚싯대용 받침대의 지지구
KR101048616B1 (ko) * 2009-09-16 2011-07-12 김성운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1152847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관고정장치
KR101152846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관고정장치
KR101152845B1 (ko) * 2009-11-10 2012-06-12 최종대 낚시받침대 지지장치의 프레임전방고정장치
KR200465041Y1 (ko) * 2011-04-26 2013-02-07 김무남 낚시대 받침틀
KR101147489B1 (ko) * 2011-07-27 2012-05-21 케이엠씨솔루션(주) 절첩식 낚시 받침틀
KR20160054311A (ko) * 2014-11-06 2016-05-16 황성원 절첩 및 조립식 낚시대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356B1 (ko) 201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35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US6978974B1 (en) Collapsible pinata support assembly
US20150320213A1 (en) Table Having Adjustable Legs
KR101007957B1 (ko) 낚시용 다기능 좌대기구
US20160143437A1 (en) Transportable telescoping fishing rod rack
US6467110B1 (en) Dock post supported hammock
KR20160096558A (ko) 해먹 시스템
KR200464988Y1 (ko) 낚시용 좌대
KR101745768B1 (ko)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KR101266317B1 (ko) 낚시용 좌대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KR10166785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101524366B1 (ko) 채비통 겸용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KR20120055057A (ko) 낚시대 받침장치
US6938870B1 (en) Book support apparatus
US20200261784A1 (en) Pinata holding device
US20100108850A1 (en) Stand for supporting a tree
KR101755666B1 (ko) 파라솔 고정장치
US20140373440A1 (en) Leg Support Adapters having Adjustable Footpads for a Tree Stand and Tree Stands with Adjustable Footpads
KR101149085B1 (ko) 파라솔받침대를 갖는 낚시가방
CA2878768C (en) Combined beverage container stand and tray for use on soft or hard surfaces
KR102542487B1 (ko) 낚시용 좌대
KR102514298B1 (ko) 낚시받침대 지지대
US20150041613A1 (en) Tree Stand Device
KR20120103846A (ko) 원터치 기능을 갖는 낚시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