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279A -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279A
KR20150039279A KR20130117622A KR20130117622A KR20150039279A KR 20150039279 A KR20150039279 A KR 20150039279A KR 20130117622 A KR20130117622 A KR 20130117622A KR 20130117622 A KR20130117622 A KR 20130117622A KR 20150039279 A KR20150039279 A KR 2015003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apping screw
plastic
bos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익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279A/ko
Publication of KR2015003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using screw-threads being integral at least to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panel fasteners, i.e. permanent attachments allowing for quick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보스가 돌출형성된 부품A와 상기 보스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부품B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A에 형성된 보스 상부를 상기 부품B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B의 통공에 삽입된 부품A의 보스 상단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탭핑스크류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탭핑스크류의 머리 부분을 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injection product cimbining method using plastic tapping screw}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물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보스를 융착하여 체결시 융착공법의 취약성을 보완하여 매칭성과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은 부품(A)와 부품(B)를 융착으로 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A(1)에 형성된 보스(4)를 부품B(2)의 통공으로 삽입한 뒤 가열된 융착팁(3)을 부품B(2)의 통공을 통과하도록 한 부품A(1)의 보스에 접촉함으로써, 열과 압력을 주어 녹인 후 녹은 보스(4)의 용융물이 융착머리(5)를 형성하도록 하여 부품B(2)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부품 체결방식은 부품B(2)가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부품A(1)가 원단 등 소프트재질이 접착된 경우에는 융착팁(3)의 가압력에 의해 보스(4)가 밀리거나, 융착머리(5)가 냉각되기 전에 원단 등의 복원력에 의해 부품A(1)와 부품B(2)의 융착물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A(1)의 융착머리(5)가 부품B(2)와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부품A(1)와 부품B(2)가 각각 유동되는 등 부품A(1)와 부품B(2)를 견고히 고정시키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주행 중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부품들 간의 체결력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주행중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탭핑 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보스가 돌출형성된 부품A와 상기 보스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부품B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A에 형성된 보스 상부를 상기 부품B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B의 통공에 삽입된 부품A의 보스 상단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탭핑스크류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탭핑스크류의 머리 부분을 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과 부품을 융착공법을 이용하여 체결시 플라스틱탭핑스크류를 이용하여 부품과 부품이 상호 끌어당기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주행중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의 체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체결방법의 융착 불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의 탭핑스크류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의 융착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은 부품과 부품을 상호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의 융착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은 우선, 체결하고자 하는 부품들을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체결하고자 하는 부품들을 부품A(110) 및 부품B(1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A(110)는 체결을 위한 보스(1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스(112)의 상부에는 체결하고자 하는 부품B(12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끼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품B(120)는 상기 부품A(110)의 끼움부(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통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A(110)와 부품B(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부품A(110)의 끼움부(113)를 부품B(120)의 통공(122)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부품A(110)와 부품B(120)를 결합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B(120)를 관통한 부품A(110)의 끼움부(113)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탭핑스크류(130)를 체결한다.
상기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는 통상의 금속 스크류와 동일하게 머리부에 십자 또는 일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버나 전동공구로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부품B(120)의 통공(122)으로 끼워진 부품A(110)의 끼움부(113)에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부품B(120)와 부품A(11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탭핑스크류(130)의 머리 부분은 상기 통공(122)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보스(112)에 결합시 상기 탭핑스크류(130)의 머리 부분이 상기 부품B(120)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은 상술한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이용하여 부품A(110)와 부품B(120)를 조립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의 머리 부분을 융착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의 머리 부분은 기존 열융착 머리와 유사한 용적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융착보스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융착과정을 통해 부품A(110)의 보스(112)와 부품B(120)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통상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이용하여 부품들을 조립시 머리 부분과 나사산이 적용된 나사부의 접점부위가 취약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융착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의 머리 부분을 융착함으로써, 상술한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의 머리부와 나사부의 접점부위 취약부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은,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이용하여 두 부품을 당겨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A(110)와 부품B(12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융착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탭핑스크류(130)를 이용하여 부품과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금속 스크류 체결시 문제가 되는 중량의 증가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부품A
112 : 보스
113 : 끼움부
120 : 부품B
122 : 통공
130 : 플라스틱 탭핑스크류

Claims (4)

  1. 체결을 위한 보스가 돌출형성된 부품A와 상기 보스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부품B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부품A에 형성된 보스 상부를 상기 부품B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부품B의 통공에 삽입된 부품A의 보스 상단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탭핑스크류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탭핑스크류의 머리 부분을 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A에 형성된 보스의 최상단에는 상기 부품B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끼움부가 형성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탭핑스크류는 머리 부분이 상기 부품B의 통공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탭핑스크류의 머리 부분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KR20130117622A 2013-10-02 2013-10-02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KR20150039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622A KR20150039279A (ko) 2013-10-02 2013-10-02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622A KR20150039279A (ko) 2013-10-02 2013-10-02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279A true KR20150039279A (ko) 2015-04-10

Family

ID=5302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622A KR20150039279A (ko) 2013-10-02 2013-10-02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2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8598B (zh) 嵌入套組及安裝方法
WO2015035257A3 (en) Method of forming an insert molded component for attachment to an article and the resulting insert molded component; alternative lacing guides for tightening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JP4080492B2 (ja) 接合体および接合方法
JPWO2015151567A1 (ja) ねじ部材、締結構造及び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の連結構造
US20160040706A1 (en) Arc weld stud having a forming thread
US20180304544A1 (en) Vehicular interior member
KR20150039279A (ko) 플라스틱 탭핑스크류를 이용한 사출물 체결방법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JP2018083329A (ja) 熱カシメ構造体
US20130336710A1 (en) Plastic Unit
US20170350433A1 (en) Fasten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injection molding parts
KR20110116363A (ko) 캡티브 스크류
JP6815647B2 (ja) 金属樹脂接合体の製造方法
KR102041086B1 (ko) 셀프 후크를 구비한 보스
JP7099349B2 (ja) 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777113B1 (ko) 금속 프레임 접합을 위한 전자기 접합 장치
JP2016078412A (ja) 樹脂溶着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8114689A (ja) 樹脂部品の製造方法、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JP6379992B2 (ja) 樹脂溶着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482388Y1 (ko)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JP2003181932A (ja) 成形品の接合方法
KR20130001619U (ko) 초음파 용착에 의한 안경의 코받침 접합
KR102008714B1 (ko) 합성수지 부품의 결합구조
KR101552169B1 (ko) 에폭시 절연물 금형의 금구 정 위치 고정장치
KR20150003516A (ko) 하이브리드 모듈 브라켓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