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640A -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640A
KR20150037640A KR20140130454A KR20140130454A KR20150037640A KR 20150037640 A KR20150037640 A KR 20150037640A KR 20140130454 A KR20140130454 A KR 20140130454A KR 20140130454 A KR20140130454 A KR 20140130454A KR 20150037640 A KR20150037640 A KR 2015003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witch
control mechanism
exercise training
mo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1980B1 (en
Inventor
슈사쿠 요시다
다카유키 가와노
구니히코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5003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1/00Mechanical apparatus for control of a series of operations, i.e. programme control, e.g. involving a set of c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high functional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40) in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0) comprises a switch (200) to perform a first instruction for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and a switch (300) to perform a second instruction for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Description

동작 제어 기구 및 운동 훈련 장치{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0001]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운동 훈련 장치의 동작 제어 기구 및 운동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and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of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환자의 하지 등의 운동 훈련을 실행하는 운동 훈련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운동 훈련 장치에는, 운동 훈련 장치의 동작을 정지 등을 시키기 위한 동작 제어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동작 제어 기구로서 간호사 호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기재되어 있다.There is an exercise training device that exercises exercise such as the lower limb of a patient. Such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button switch for operating a nurse call device as a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6-210175 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10175

이와 같은 동작 제어 기구에는, 여러 가지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층 더 높은 고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Such a motion control mechanism is required to have a higher function so that various controls can be performed.

그래서, 본 발명은 고기능의 동작 제어 기구 및 이 동작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운동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motion control mechanism and a motion training device including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동작 제어 기구는 운동 훈련 장치의 동작 제어 기구이며 운동 훈련 장치에 대하여 제 1 지시를 실행하는 제 1 스위치와 운동 훈련 장치에 대하여 제 2 지시를 실행하는 제 2 스위치를 구비한다.A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of an exercise training device and includes a first switch for executing a first instruction to the exercise training device and a second switch for executing a second instruction for the exercise training device do.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각각 압하 가능한 버튼부를 갖는 압하식의 스위치여도 좋다.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switches of a push-down type having a push-button portion.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면에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며 제 1 스위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통 형상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되며, 제 2 스위치는 케이스 내에 수용됨과 함께 제 2 스위치의 버튼부가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제 1 스위치의 버튼부와 제 2 스위치의 버튼부의 압하 방향이 서로 달라도 좋다.The first switch is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tubular shape in the case, the second switch is housed in the case, and the button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The button portion of the first switch and the button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downward direction.

케이스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벽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A wall portion ris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may be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case.

케이스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case may be formed by one member.

케이스에는, 교축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a throttling portion.

케이스의 내주면과 제 2 스위치와의 사이에 삽입되며 제 2 스위치를 케이스의 내주면에 가압하는 고정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And a fixture inser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the second switch and pressing the second switch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케이스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부와, 후크 고정부로부터 케이스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하며 케이스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부를 갖는 후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A hook fixing portion fixed to one end of the case and a hook having a hoo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ok fix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ase.

후크부에 있어서의 케이스측의 면은 후크부가 연장 방향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스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The surface of the hook portion on the case side may be curv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case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ok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운동 훈련 장치는, 상기의 동작 제어 기구와 운동 훈련을 실행하는 운동 훈련 기구를 구비하는 운동 훈련 장치이며, 운동 훈련 기구에 동작 제어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서 동작 제어 기구가 운동 훈련 기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운동 훈련 기구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motion control mechanism and exercise trai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exercis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n exercise control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when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고기능의 동작 제어 기구 및 이 동작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운동 훈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aspect thereof,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motion control mechanism and a motion train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도 1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지 운동 훈련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작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동작 제어 기구의 세로 방향(길이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동작 제어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케이스의 제 1 개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케이스의 제 2 개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of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of Fig. 2,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of Fig. 2,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opening of the cas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cas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 Fig. 8;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 운동 훈련 장치(운동 훈련 장치, 1)는, 운동 기능의 회복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하지를 훈련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 운동 훈련 장치(1)는, 본체부(운동 훈련 기구, 10), 대차(20), 아암(운동 훈련 기구, 30) 및 동작 제어 기구(40)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본체부(10)의 한쪽의 측면에는 아암(30)이 장착되어 있다. 아암(30)은 환자의 하지를 움직여 운동 기능의 훈련을 실행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a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device (athletic training device, 1) is for training a limb of a patient in need of recovery of a motor function. The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includes a body part (exercise training device 10), a carriage 20, an arm (exercise training device 30), and an operation control device 40. An arm 30 is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arm 30 is to exercise the exercise function by moving the patient's lower limbs.

본체부(10)에는, 아암(30)의 구동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11)(도 8 참조) 및 조작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10)는 대차(20)에 탑재된다. 동작 제어 기구(40)는 훈련을 받는 환자에 의해서 쥐어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동작 제어 기구(40)는 환자의 의사에 의해서 아암(30)의 동작을 정지시킬 때에 사용된다. 동작 제어 기구(40)는 케이블(41)을 거쳐서 본체부(10)에 접속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ection 11 (see Fig. 8) for performing control of driving of the arm 30, an operating section, and the like. The main body 10 is mounted on the truck 20.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is used in a state held by the patient being trained.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us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rm 30 by the patient's intention.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via a cable 41. [

다음에, 동작 제어 기구(4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 기구(40)는, 케이스(100), 일시 정지 스위치(제 2 스위치, 200), 비상 정지 스위치(제 1 스위치, 300), 후크(400), 고정구(500), 커넥터(600) 및 캡(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 to 7,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ncludes a case 100, a temporary stop switch (second switch) 200, an emergency stop switch (first switch) 300, a hook 400, A fixture 500, a connector 600, and a cap 700. As shown in Fig.

케이스(100)에는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 등이 장착된다. 케이스(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축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개구하고 있다. 케이스(100)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0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 중 한쪽의 개구부를 제 1 개구부(110), 다른쪽의 개구부를 제 2 개구부(120)라 한다. 케이스(100)의 주면에는 개구부(130)가 마련되어 있다.The case 100 is equipped with a temporary stop switch 200, an emergency stop switch 300, and the like. The case 10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are respectively opened. The case 100 is formed by one member. Hereinafter, one of the opening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se 100 is referred to as a first opening 110, and the other opening is referred to as a second opening 120. [ On the main surface of the case 100, an opening 130 is provided.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11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부의 내주면에는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112)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6, grooves 111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0 near the end of the first opening 110 side. A notch 112 extending toward the end face of the case 100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case 100 on the first opening 110 side.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단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단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케이스(100)의 원통 형상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볼록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00)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단부 근방의 내주면에 있어서 홈(121)보다 제 1 개구부(110)측의 위치에는 단부(123)(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단부(123)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내경을 제 1 개구부(110)측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7, a groove 121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0 near the end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120 side. A convex portion 122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case 100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near the end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120. An end portion 123 (see FIG. 3)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10 than the groove 121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near the end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120 side. The end portion 123 is formed by mak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00 closer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120 than the first opening portion 110 sid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개구부(130)의 가장자리부에는 케이스(10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벽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벽부(131)는 케이스(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버튼부(210)의 측면을 덮고 있다.2, a wall portion 131 ris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is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opening 130 in the case 100. As shown in Fig. The wall portion 131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10 of the pause switch 200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와 제 2 개구부(120)와의 사이에는 외형이 좁게 교축된 교축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A narrowed portion 100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of the case 100 so as to narrow the outer shape.

후크(400)는 후크 고정부(410) 및 후크부(420)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후크 고정부(410)는 후크 고정부(410)의 일부가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 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부에 장착된다. 후크 고정부(410) 중 제 1 개구부(110) 내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볼록부(411)(도 3 및 도 5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크 고정부(410) 중 제 1 개구부(110) 내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볼록부(412)가 마련되어 있다.The hook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fixing portion 410 and a hook portion 420. The hook fixing portion 41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case 100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by a part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being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10 of the case 100. [ A convex portion 411 (see Figs. 3 and 5)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10. [ A convex portion 412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10.

후크(400)의 후크 고정부(410)를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부에 장착할 때에, 후크 고정부(410)의 볼록부(412)를 케이스(100)의 노치(112)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100)에 대한 후크 고정부(410)의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후크 고정부(410)의 볼록부(411)를 케이스(100)의 홈(111)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나사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후크 고정부(410)를 케이스(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412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notch 400 of the case 100 when the hook fixing portion 410 of the hook 400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case 100 on the first opening 110 side. The direction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with respect to the case 100 can be defined. The hook fixing portion 410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ase 100 without using a screw or the like by fitting the convex portion 411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into the groove 111 of the case 100. [ It can be fixed as much as possible.

후크부(420)는 케이스(100)에 고정된 후크 고정부(410)로부터 케이스(100)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하며 제 2 개구부(120)측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420)에 있어서의 케이스(100)측의 면은, 후크부(4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스(100)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부(420)에 있어서의 케이스(100)측의 면은, 후크부(42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스(100)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부(420)는 스푼 형상(스푼의 우묵한 형상 부분의 형상)으로 만곡되어있다.The hook portion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0 by a hook fixing portion 410 fixed to the case 100 and extends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opening 120 side. 4, the surface of the hook portion 420 on the side of the case 100 is formed into a convex shape toward the case 100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ortion 420 extends It is curved. 3, the surface of the hook portion 420 on the side of the case 100 is curv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case 10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ortion 420 extends . Thus, the hook portion 420 is curved in a spoon shape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poon).

후크부(420)와 케이스(100)의 외주면의 간격은 환자가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420)와 케이스(100)와의 간격은 환자가 손을 삽입했을 때에, 후크부(420)에 의해서 환자의 손이 약간 부세되는 정도의 간격으로 하여도 좋다.The interval between the hook portion 4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0 is an interval at which the patient can insert a hand. The interval between the hook portion 420 and the case 100 may be set to a distance such that the hand of the patient is slightly bent by the hook portion 420 when the patient inserts the hand.

후크부(420)와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버튼부(210)는 케이스(100)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다.The hook portion 420 and the button portion 210 of the pause switch 200 are opposed to each other via the case 100.

일시 정지 스위치(200)는, 환자가 아암(3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등에 압하되는 압하식의 스위치이다. 예를 들면, 아암(30)은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1번째의 압하에 의해서 일시 정지하고, 2번째의 압하에 의해서 지금까지의 동작과 역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한다.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is a push-down switch that is pressed when a patient wants to temporarily stop the operation of the arm 30 or the like. For example, the arm 30 is temporarily stopped by the first depression of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operation is star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operation by the second depression.

일시 정지 스위치(200)는 버튼부(210), 스위치 홀더(220), 스위치 본체(230) 및 고정쇠(240)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일시 정지 스위치(200)는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며, 케이스(100)의 개구부(130)로부터 버튼부(210)가 노출되어 있다.The suspend switch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tton portion 210, a switch holder 220, a switch body 230, and a fastener 240. The stop switch 200 is disposed in the case 100 and the button unit 210 is exposed from the opening 130 of the case 100. [

스위치 홀더(220)와 고정쇠(240)는, 사이에 스위치 본체(230) 및 버튼부(210)를 개재하며 나사(240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튼부(210)는 환자에 의해서 압하되는 부재이다. 버튼부(210)는 스위치 홀더(220)와 고정쇠(240)에 걸쳐서 마련된 회동축(220b)을 축으로 하여 스위치 홀더(220) 및 고정쇠(2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astener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crew 240a with a switch body 230 and a button portion 2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utton unit 210 is a member that is pressed down by the patient. The button unit 2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ixture 240 around a pivotal axis 220b provided across 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ixture 240.

버튼부(210)에 있어서의 스위치 홀더(220)측의 면에는 오목부(210a)가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스위치 홀더(220)에 장착된 핀(220a)이 오목부(210a) 내에 삽입되어 있다. 핀(220a)이 오목부(210a)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동축(220b)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버튼부(210)의 회동 범위가 오목부(210a)의 크기에 의해서 규정된다.A depression 210a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10 on the side of the switch holder 220 (see FIG. 3). The pin 220a mounted on the switch holder 22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210a. Since the pin 220a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10a, the rotation range of the button portion 210 pivoting about the pivotal axis 220b is defined by the size of the concave portion 210a.

스위치 본체(230)는 버튼부(210)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230)는, 버튼부(210)의 압하에 따라 스위치의 전환을 실행한다. 스위치 본체(230)에 접속되는 배선은 커넥터(60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스위치 홀더(220)에는 스프링(250)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250)은 버튼부(210)를 스위치 본체(23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한다.The switch body 2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button portion 210. The switch main body 230 switches the switch accor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button portion 210. [ The wirings connected to the switch body 230 extend toward the connector 600. The switch holder 220 is provided with a spring 250. The spring 250 biases the button portion 210 in a direction that separates the button portion 210 from the switch body 230.

스위치 홀더(220)와 고정쇠(240)가 나사(240a)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 홀더(220) 및 고정쇠(240)의 외형은 케이스(100)에 마련된 개구부(130)보다 크다. 버튼부(210)는, 케이스(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돌출되어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210)의 측면은 케이스(100)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벽부(131)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astener 240 is larger than the opening 130 provided in the case 100 with 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astener 240 connected by the screw 240a. The button portion 210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by a predetermined amoun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10 is surrounded by the wall portion 131 provid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case 100.

고정구(5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정지 스위치(200)와 케이스(10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고정구(500)는,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스위치 홀더(220) 및 고정쇠(240)를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100) 내에서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한다.4, the fixture 500 is inserted between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0. As shown in Fig. The fixture 500 is configured to fix the pause switch 200 in the case 100 by pressing the switch holder 220 and the fixture 240 of the pause switch 200 agains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do.

비상 정지 스위치(300)는, 일시 정지 스위치(200)와는 다른 지시가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면, 환자가 아암(30)의 동작을 긴급하게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등에 압하되는 압하식의 스위치이다. 예를 들면, 아암(30)은 비상 정지 스위치(300)가 압하되는 것에 의해서 아암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며, 구동 모터가 갖는 보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비상 정지 스위치(300)가 압하되었을 때의 상태에서 긴급 정지한다.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can be instructed differently from the stop switch 200. For example, when the patient want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rm 30 urgently,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a push-down switch. 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depressed, the arm 30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drive motor for driving the arm. By operating the hold brake of the drive motor,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pressed down.

비상 정지 스위치(300)는 버튼부(310) 및 스위치 본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상 정지 스위치(300)는 후크 고정부(410)에 장착되며, 버튼부(310)가 노출되어 있다. 버튼부(310)는 환자에 의해서 압하되는 부재이다. 스위치 본체(320)는 버튼부(310)의 압하에 따라 스위치의 전환을 실행한다. 비상 정지 스위치(300)로서, 예를 들면, 버튼부(310)가 압하되었을 때에 버튼부(310)의 압하 상태가 유지되며 버튼부(310)가 회전된 경우에 버튼부(310)의 압하가 해제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좋다.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ncludes a button unit 310 and a switch body 320.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mounted on the hook fixing part 410 and the button part 310 is exposed. The button unit 310 is a member that is pressed down by the patient. The switch main body 320 switches the switch accor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button portion 310. [ As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for example, when the button portion 310 is pressed down, the depressed state of the button portion 310 is maintained, and when the button portion 310 is rotated, A switch to be released may be used.

스위치 본체(320)에 접속되는 배선은 후크 고정부(410)의 중앙부에 마련된 구멍을 거쳐서 커넥터(60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The wiring connected to the switch body 320 extends toward the connector 600 through a hol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ok fixing portion 410. [

커넥터(600)는 커넥터부(610) 및 플랜지부(620)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플랜지부(620)는 원반 형상을 갖고 중앙부에 커넥터부(610)가 고정된다. 커네넥터부(610)에는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620)의 외주연에는 노치(620a)가 마련되어 있다.The connector 600 includes a connector portion 610 and a flange portion 620. The flange portion 620 has a disk shape, and the connector portion 610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The wiring from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610. A notch 620a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620.

커넥터(600)는 플랜지부(620)가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부(123)에 접촉하도록 제 2 개구부(120)측의 케이스(100) 내에 배치된다. 커넥터(600)를 단부(123)에 접촉시킬 때에 플랜지부(620)의 노치(620a) 내에 케이스(100)의 볼록부(122)를 끼우는 것에 의해, 커넥터(600)의 위치가 결정되어, 커넥터(6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부(610)에는 케이블(41)측의 연결기가 접속된다.The connector 600 is disposed in the case 100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120 so that the flange portion 620 contacts the end portion 123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600 is determined by fitting the convex portion 122 of the case 100 into the notch 620a of the flange portion 620 when the connector 6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123, The rotation of the motor 600 can be prevented. A connector on the cable 41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610.

캡(700)은 캡(700)의 일부가 케이스(100)의 제 2 개구부(120) 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100)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단부에 장착된다. 캡(700) 중 제 2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볼록부(701)(도 3 및 도 5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The cap 70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case 100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120 by a part of the cap 700 being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120 of the case 100. [ A convex portion 701 (see Figs. 3 and 5)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cap 70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120. [

캡(700)은 케이스(100)의 제 2 개구부(120)측의 내주면에 마련된 홈(121)에 볼록부(701)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때, 캡(700)의 단부와 케이스(100)의 단부(123)에 의해서 플랜지부(620)의 가장자리부를 끼움으로써, 커넥터(600)가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41)에 단선 등이 생겼을 경우라도, 캡(700)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커넥터(600)를 케이스(100) 외부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어서, 케이블(41)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The cap 700 is detachably fixed to the case 100 by fitting the convex portion 701 into the groove 121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120 side of the case 100. [ At this time, the connector 600 is fixed to the case 100 by fitting the edg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620 by the end portion of the cap 700 and the end portion 123 of the case 100. This enables the connector 600 to be easily taken out of the case 100 only by disconnecting the cap 700 even when the cable 41 is broken or the like, The work becomes easy.

다음에, 아암(30)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검출부(12) 및 구동 제어부(제어부, 13)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본체부(10)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부(12)는 제어부(11)에 동작 제어 기구(40)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동작 제어 기구(40)의 접속의 유무의 검출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통전의 유무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단, 동작 제어 기구(40)의 접속의 유무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Nex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rm 3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section 11 includes a detection section 12 and a drive control section (control section) 13. As shown in Fig. The control section 11 is provided, for example, in the main body section 10. The detection unit 12 detects whether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 or not. As a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for example, it can be judg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However, the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not limited to this.

구동 제어부(13)는 아암(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동 제어부(13)는 검출부(12)에 의해서 동작 제어 기구(40)가 본체부(1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아암(30)을 작동시킨다. 구동 제어부(13)는 동작 제어 기구(40)에 마련된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버튼부(210) 또는 비상 정지 스위치(300)의 버튼부(310)가 압하되었을 경우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아암(3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driv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rm 30. The drive control section 13 operates the arm 30 only when the detection section 12 detects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ection 10. [ When the button portion 210 of the pause switch 200 or the button portion 310 of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provided in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pressed down,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m 30.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동작 제어 기구(40)에는 서로 다른 지시가 가능한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가 마련되며, 고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지 운동 훈련 장치(1)에 의해서 훈련을 받고 있는 환자는, 1개의 동작 제어 기구(40)로부터 서로 다른 2개의 지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아암(30)을 정지 등을 시키고 싶은 경우에 바로 하지 운동 훈련 장치(1)에 대하여 지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훈련 중에는 환자의 수중에 동작 제어 기구(40)를 항상 놓아두거나 혹은 환자가 동작 제어 기구(40)를 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지시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동작 제어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자의 양손이 이미 여유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지시가 가능한 동작 제어 기구(40)를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양손이 여유가 없는 일이 없으며, 훈련을 받는 환자에게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동작 제어 기구(40)가 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provided with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that can give different instructions, and the function can be enhanced. As a result, the patient who is being trained by the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can execute two different instructions from on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in the patient's hand at all times during the training so that the patient can perform the instruction to the training apparatus 1 immediately when the arm 30 wants to stop the arm 30, It is necessary to grip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 In such a case, when a plurality of operation control mechanisms are provided so as to allow a plurality of instructions, both hands of the patient are not available because they are not already available. Therefore, by using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capable of two different instruction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both hands of the patient are free, and a motion control mechanism (for example, 40).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로서, 각각 압하식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환자는 버튼부를 압하하는 간단하고 쉬운 동작에 의해서 하지 운동 훈련 장치(1)의 제어부(11)에 대하여 지시를 실행할 수 있다.As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a push-down switch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patient can perform an instruction to the control section 11 of the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by a simple and easy operation of pressing down the button section.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100)의 제 1 개구부(110)측의 단부에 비상 정지 스위치(300)를 마련하고, 케이스(100)의 주면에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버튼부(210)를 노출시킨다. 즉,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는, 버튼부(210, 310)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 되도록 케이스(100)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버튼부(210, 310)의 압하 방향이 다르게 되어, 예를 들면, 훈련을 받는 환자가 급하게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라도, 일시 정지 스위치(200)와 비상 정지 스위치(300)를 잘못 잡아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se 100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button portion 210 of the stop switch 200 is exposed to the main surface of the case 100 . That is,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are provided in the case 100 such that the directions of the button portions 210 and 3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from being erroneously operated even when the patient undergoing the training is urgently opera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is-operation.

케이스(100)의 개구부(130)의 가장자리부에 벽부(131)를 마련함으로써, 동작 제어 기구(40)를 잡을 때에 케이스(100)를 강하게 꽉 쥐어버렸을 경우라도, 일시 정지 스위치(200)의 버튼부(210)가 잘못되어 압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ll portion 131 is provid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so that even when the case 100 is tightly held when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h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ion 210 from being erroneously pressed down.

케이스(100)를 하나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00)의 주면에 이음매가 노출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환자가 케이스(100)를 쥐었을 경우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 이음매가 없는 것에 의해 케이스(100)에 번잡함이 없어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forming the case 100 by a single member, seams are not exposed to the main surface of the case 100. [ As a result, the grip feeling when the patient holds the case 100 can be improved. Further, since there is no joint in the case 100, there is no complication in the case 100, and designability can be improved.

케이스(100)에 교축부(100a)를 마련함으로써, 환자가 동작 제어 기구(40)을 쥐었을 경우에 동작 제어 기구(40)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vision of the throat portion 100a in the case 100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from slipping down when the patient holds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

케이스(100)의 내주면과 일시 정지 스위치(200)와의 사이에 고정구(500)를 삽입하여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함으로써, 나사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할 수 있다. 케이스(100)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노출 등을 하는 일이 없으므로, 그립감이 악화되는 일이 없다. 또한, 케이스(100)의 개구부로부터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삽입하고 고정구(500)에 의해서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00)를 2개로 분할 등을 하는 일 없이 일시 정지 스위치(200)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ture 50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to fix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so that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can be easily fixed without using screws or the like . Even when the case 100 is formed of a single member, the screw for fixing the pause switch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00, so that the grip feeling is not deteriorated. In addition, since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can be fixed by the fixture 500 by inserting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from the opening of the case 100, The stop switch 200 can be fixed.

동작 제어 기구(40)가 후크(400)를 갖고 있는 것에 의해, 환자가 동작 제어 기구(40)를 가진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환자가 장시간 훈련을 받는 경우라도, 항상 강한 힘으로 케이스(100)를 꽉 쥐는 일이 없이, 후크(400)에 손을 거는 것만으로도 환자는 동작 제어 기구(40)를 용이하게 보지해 둘 수 있다.Since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has the hook 400, it is easy for the patient to maintain the state having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40. For example, even if the patient is trained for a long time, the patient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simply by holding the hook 400 without holding the case 100 tightly with strong force at all times I can keep watching.

후크부(420)의 케이스(100)측의 면은, 케이스(100)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가 케이스(100)와 후크부(420)와의 사이에 손을 삽입할 때 및 삽입한 상태에서 후크부(420)의 코너부가 환자의 손에 닿는 일이 없어서, 환자에게 코너부의 접촉에 의한 위화감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hook portion 420 on the side of the case 100 is curv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case 100 side. Thereby, when the patient inserts the hand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hook portion 420,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420 does not touch the patient's hand in the inserted st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n uncomfortable feeling due to the contact.

구동 제어부(13)는 검출부(12)에 의해서 동작 제어 기구(40)가 제어부(11)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만 아암(30)을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환자에 의해서 아암(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환자가 훈련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동작 제어 기구(40)의 고장이나 케이블(41)에 단선이 생겨 있는 경우에도 동작 제어 기구(4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검출부(12)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환자의 의사에 따라서 아암(30)을 정지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환자가 훈련을 받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The drive control section 13 operates the arm 30 only when the detection section 12 detects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ction 11.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 from being tr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rm 30 can not be stopped by the patient. In the case where the detection unit 12 is detected not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even when a malfun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or disconnection of the cable 41 occurs,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e patient from being tr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rm 30 can not be stopp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동작 제어 기구(40)에 마련하는 2개의 스위치로서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를 이용했지만, 이외의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괜찮다. 또한, 일시 정지 스위치(200) 및 비상 정지 스위치(300)는, 가압 버튼식 스위치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좋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although the temporary stop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are used as the two switches provided in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a switch having other functions may be used. The pause switch 200 and the emergency stop switch 300 are not limited to the push button switch, and other types of switches may be used.

케이스(100)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했지만, 2개의 스위치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하지 운동 훈련 장치(1)는, 환자의 하지의 운동 훈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하지 이외의 부위의 훈련을 실행하는 장치에 동작 제어 기구(40)를 적용하여도 좋다.Although the case 100 has a cylindrical shape, it may have another shape as long as it can provide two switches. Although the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 performs exercise training of the lower limb of the patien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40 may be applied to an apparatus that exercises the limb except for the lower limb.

1 : 하지 운동 훈련 장치(운동 훈련 장치)
10 : 본체부(운동 훈련 기구)
12 : 검출부
13 : 구동 제어부(제어부)
30 : 아암(운동 훈련 기구)
40 : 동작 제어 기구
100 : 케이스
100a : 교축부
130 : 개구부
131 : 벽부
200 : 일시 정지 스위치(제 2 스위치)
300 : 비상 정지 스위치(제 1 스위치)
400 : 후크
410 : 후크 고정부
420 : 후크부
1: Lower limb exercise training device (exercise training device)
10: Body part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2:
13: drive control section (control section)
30: arm (exercise training apparatus)
40: Operation control mechanism
100: Case
100a:
130: opening
131: wall portion
200: Pause switch (second switch)
300: Emergency stop switch (first switch)
400: Hook
410: hook fixing part
420:

Claims (10)

운동 훈련 장치의 동작 제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 훈련 장치에 대하여 제 1 지시를 행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운동 훈련 장치에 대하여 제 2 지시를 행하는 제 2 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작 제어 기구.
A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n exercise training device,
A first switch for performing a first instruction to the exercise training device,
And a second switch for performing a second instruction to the exercise training device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는 각각 압하 가능한 버튼부를 갖는 압하식의 스위치인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switches of a push-down type having a push-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2 항에 있어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면에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통 형상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버튼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의 버튼부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버튼부의 압하 방향이 서로 다른
동작 제어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as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ing in its main surface,
Wherein the first switch is provided at one end of a tubular shape in the case,
The second switch is received in the case and the button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is exposed from the opening of the case,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button portion of the first switch and the button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벽부가 마련되는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A wall portion ris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is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case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case is formed by one member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교축부가 마련되는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throttling portion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스위치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스위치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가압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는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fixture inser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the second switch and pressing the second switch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부와, 상기 후크 고정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하며 상기 케이스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부를 갖는 후크를 더 구비하는
동작 제어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a hook having a hook fixing portion fixed to the one end portion of the case and a hook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ok fixing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ase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케이스측의 면은 상기 후크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케이스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동작 제어 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se-side surface of the hook portion is curved into a convex shape toward the case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ortion extends
Motion control mechanism.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동작 제어 기구와, 운동 훈련을 실행하는 운동 훈련 기구를 구비하는 운동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동 훈련 기구에 상기 동작 제어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상기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운동 훈련 기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운동 훈련 기구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운동 훈련 장치.
6. An exercise training device comprising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n exercise training mechanism for exercising exercise training,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training mechanism;
And a control section that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training mechanism when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ction that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training mechanism
Exercise training device.
KR1020140130454A 2013-09-30 2014-09-29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KR1015719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3636A JP5915612B2 (en) 2013-09-30 2013-09-30 Motion control instrument and exercise training apparatus
JPJP-P-2013-203636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640A true KR20150037640A (en) 2015-04-08
KR101571980B1 KR101571980B1 (en) 2015-11-25

Family

ID=5283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454A KR101571980B1 (en) 2013-09-30 2014-09-29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15612B2 (en)
KR (1) KR101571980B1 (en)
CN (1) CN204293437U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571B2 (en) * 1993-07-19 2001-04-2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Metal halide lamp
JP2002177353A (en) * 2000-12-11 2002-06-25 Hitachi Kiden Kogyo Ltd Training equipment for kinesthetic sense function reeducation
JP2005058455A (en) * 2003-08-12 2005-03-10 Keakomu:Kk Nurse call holder
JP2006006384A (en) * 2004-06-22 2006-01-12 Yaskawa Electric Corp Gait training device
JP5235005B2 (en) * 2009-08-31 2013-07-10 株式会社クボタ g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980B1 (en) 2015-11-25
JP2015066220A (en) 2015-04-13
CN204293437U (en) 2015-04-29
JP5915612B2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157B1 (en) Emergency switch for an exercise apparatus
CN107918452B (en) Computer assembly with tablet portion and base portion
JP5653180B2 (en) Operation knob and input system
US10442088B2 (en) Hand-held robot teaching device
KR101571980B1 (en)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xercise training device
JP2010287194A (en) Mouse device
CN112312717B (en) Push-pull rod module
JP4098667B2 (en) Electric bending endoscope
JP6527658B2 (en) Arm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device
CN111321943A (en) Handle device for preventing cat eye from unlocking and door lock
EP2360555B1 (en) Operation device
JP6627087B2 (en) Input device
CN210728645U (en) Rocker cap, rocker assembly and control device
US20240134455A1 (en) Force sense presentation device
EP2410657A1 (en) Tilting operation type input device
TW201920797A (en) Foot-operated controller of sewing machine
JP6527656B2 (en) Arm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device
JP6884090B2 (en) Shift knob device
JP6527657B2 (en) Arm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device
JP2004302350A (en) Projector
JP3215907U (en) Grip of walking assist pole
KR20170046209A (en) Apparatus for Assisting Finger Gripping Motion
JPH06134685A (en) Hand operation equipment
JP2005309685A (en) Attachment for mouse
JP6527655B2 (en) Arm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