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211A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211A
KR20150037211A KR20130116623A KR20130116623A KR20150037211A KR 20150037211 A KR20150037211 A KR 20150037211A KR 20130116623 A KR20130116623 A KR 20130116623A KR 20130116623 A KR20130116623 A KR 20130116623A KR 20150037211 A KR20150037211 A KR 2015003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indow
image
filter
histogram
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7211A/ko
Publication of KR2015003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1Motion blur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블러를 제거하면서 아티팩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고,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션 블러를 제거하면서 아티팩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이러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장치는 해상도, 컬러표시 및 화질 등이 우수하여 텔레비전,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V),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및 모바일용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 속성에 따라 영상 처리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속성에는 콘트라스트(Contrast), 브라이트(Bright), 컬러(Color), 감마(Gamma), 샤프니스(Sharpness)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속성은 제조 공정에서 디펄트(Default)값으로 설정되어 출시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의 속성에 의해 설정된 보정값에 기초하여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스무스(Smooth) 프레임을 넣어주거나, 또는 스무스 프레임과 샤프니스(Sharpness) 프레임을 넣어, 움직임이 빠른 영상에서 물체의 경계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문자를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의 인지적인 특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무스 필터에 의해 원래의 영상보다 스무스한 영상으로 변조된 스무스 프레임과, 샤프니스 필터에 의해 원래의 영상보다 샤프니스한 영상으로 변조된 샤프니스 프레임이 교번적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 움직임이 있는 영상의 경우, 샤프니스 필터 및 스무스 필터를 통해 변조된 영상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영상과 겹치면서 움직이는 물체의 테두리에 옅은 잔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프레임에 따라 필터계수를 조작하면 영상에 따라 아티팩트(artifact) 감쇠를 유도할 수 있지만, 특정 영상에서는 오히려 아티팩트(artifact)가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션 블러를 제거하면서 아티팩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고,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 별로 계조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와;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와; 상기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이득값을 조정하는 이득 제어부와; 상기 이득 제어부로부터의 이득값을 기초로 각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선명도를 조정하는 필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 각각은 인접한 필터 윈도우와 일부 중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는 현재 필터 윈도우와, 그 현재 필터 윈도우와 중첩되는 이전 필터 윈도우가 서로 공유하는 히스토그램을 유지하고, 상기 이전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현재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추가하고,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이전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삭제하여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의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이하이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단순함을 나타내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복잡함을 나타내는 복잡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득 제어부는 상기 복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가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감소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한 프레임 단위로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변조하여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프레임의 영상을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별로 데이터를 변조하므로 모션 블러를 제거함과 아울러 단순 영상에 대한 아티팩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필터 윈도우의 히스토그램을 일부씩 공유하면서 해당 필터 윈도우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샤프니스 프레임과 스무스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구현하는 경우,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변환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로컬 히스토그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잡 영역과 단순 영역을 가지는 표시 영상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복잡 영역과 단순 영역에 대한 로컬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104), 게이트 드라이버(108), 데이터 드라이버(106) 및 액정 패널(10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 및 데이터 변환부(120)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소자로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104), 게이트 드라이버(108), 데이터 드라이버(106) 및 액정 패널(102)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102)은 액정셀(Clc) 매트릭스와,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접속되어 액정셀(Clc) 각각을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102)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게이트 온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신호가 액정셀(Clc)에 공급되어 액정셀(Clc)은 공통 전압(Vcom)과 데이터 신호와의 차만큼의 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 오프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액정셀(Clc)에 인가된 전압이 유지되게 한다. 액정셀(Clc)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액정 패널(102)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부(104)는 시스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드라이버(108)와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04)는 데이터 변환부(1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08)는 타이밍 제어부(10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그 외의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06)는 타이밍 제어부(104)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화된 아날로그 전압을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한 프레임의 데이터(Data)를 동일한 2개의 더블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는 외부로부터 60Hz의 주파수로 공급되는 입력되는 한 프레임의 입력 데이터(Data)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120Hz의 주파수를 가지도록 데이터 변환부(120)에 공급한다.
데이터 변환부(120)는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로부터의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선명도가 높아지도록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여 제1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를 선명도가 낮아지도록 스무스(Smoothness)하게 변조하여 제2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변환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 이득 제어부(126) 및 변환 필터부(128)를 구비한다.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는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즉,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는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W1, W2, W3,..., Wn)로 분할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터 윈도우(W1, W2, W3,..., Wn) 내의 영상 데이터의 계조 또는 휘도 레벨 대비 그 빈도수를 누적하여 적어도 한 필터 윈도우 단위로 로컬 히스토그램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이 때, 인접한 필터 윈도우(W1,W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WO)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현재 필터 윈도우(W2)의 로컬 히스토그램 형성시, 이전 필터 윈도우(W1)와 현재 필터 윈도우(W2)가 공유하는 영역(WO) 내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M-H)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하고, 현재 필터 윈도우(W2)와 공유하지 않는 이전 필터 윈도우(W1) 내에 위치하는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D-H)은 제외하고, 이전 필터 윈도우(W1)와 공유하지 않는 현재 필터 윈도우(W2) 내에 위치하는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A_H)은 추가한다. 이와 같이,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는 각 필터 윈도우마다 새로운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필터 윈도우마다 인접한 필터 윈도우와 공유하지 않는 영역의 영상에 대해서만 히스토그램을 추가로 생성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는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로컬 히스토그램을 통해 각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에 대한 복잡도를 분석한다. 즉,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는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로컬 히스토그램에서 기준 빈도수(Lim)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영상에 대한 필터 윈도우(A)의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히스토그램에서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므로,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는 데이터의 복잡도가 높음을 나타내는 복잡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단순한 영상에 대한 필터 윈도우(B)의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히스토그램에서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 이하이므로,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는 데이터의 복잡도가 낮음을 나타내는 단순 신호를 생성한다.
이득 제어부(126)는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로부터의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기초로 이득을 제어한다. 즉, 이득 제어부(126)는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124)로부터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필터 윈도우 영상에 대한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을 이용하여 이득을 생성한다. 이 때, 이득 제어부에서 생성된 이득은값은 이득제어부에 단순 신호가 입력될 때보다 복잡 신호가 입력될 때 높게 형성된다.
필터 변환부(128)는 이득 제어부(126)를 통해 입력되는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한 프레임 단위로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변조한다. 즉, 필터 변환부(128)는 이득 제어부(126)를 통해 입력되는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여 제1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필터 변환부(128)는 이득 제어부(126)를 통해 입력되는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스무스(Smoothness)하게 변조하여 제2 변조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필터 변환부(128)는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된 제1 변조 데이터와, 스무스(Smoothness)하게 변조된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1 변조 데이터에 포함되는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은 제1 변조 데이터에 포함되는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에 비해 필터 변환부(128)를 통해 더 샤프니스하게 변조된다. 그리고, 제2 변조 데이터에 포함되는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은 제2 변조 데이터에 포함되는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에 비해 필터 변환부(128)를 통해 더 스무스하게 변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더블 프레임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W1, W2, W3,..., Wn)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W1, W2, W3,..., Wn) 내의 영상 데이터의 계조 또는 휘도 레벨 대비 그 빈도수를 누적하여 적어도 한 필터 윈도우 단위로 로컬 히스토그램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1단계). 생성된 로컬 히스토그램에서 기준 빈도수(Lim)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을 계산한다(S2). 계산된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면,데이터의 복잡도가 높음을 나타내는 복잡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로컬 히스토그램에서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 이하이면, 데이터의 복잡도가 낮음을 나타내는 단순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복잡 신호에 응답하여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을 기초로 해당 필터 윈도우 영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득값을 생성하고(S3), 생성된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을 기초로 해당 필터 윈도우 영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득값을 생성한다.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되어 제1 변조 데이터가 생성되고, 높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낮은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스무스(Smoothness)하게 변조되어 제2 변조 데이터가 생성된다(S4). 그런 다음,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된 제1 변조 데이터와, 스무스(Smoothness)하게 변조된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04)로 출력된다(S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더블 프레임 생성부 120 : 데이터 변환부
122: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 124 :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
126 : 이득 제어부 128 : 변환 필터부

Claims (11)

  1.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고,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 필터 윈도우 별로 계조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와;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와;
    상기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이득값을 조정하는 이득 제어부와;
    상기 이득 제어부로부터의 이득값을 기초로 각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을 변조하는 필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 각각은 인접한 필터 윈도우와 일부 중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 생성부는
    현재 필터 윈도우와, 그 현재 필터 윈도우와 중첩되는 이전 필터 윈도우가 서로 공유하는 히스토그램을 유지하고,
    상기 이전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현재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추가하고,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이전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삭제하여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의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이하이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단순함을 나타내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복잡함을 나타내는 복잡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부는 상기 복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변환부는
    상기 증가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감소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한 프레임 단위로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변조하여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의 크기를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단위로 복잡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별로 계조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필터 윈도우 각각은 인접한 필터 윈도우와 일부 중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별로 계조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필터 윈도우와, 그 현재 필터 윈도우와 중첩되는 이전 필터 윈도우가 서로 공유하는 히스토그램을 유지하고,
    상기 이전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현재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추가하고,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와 공유되지 않는 이전 필터 윈도우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삭제하여 상기 현재 필터 윈도우의 로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잡 신호 또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이하이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단순함을 나타내는 단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로컬 히스토그램의 기준 빈도수 이하에 위치하는 각 계조의 빈도수의 총합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이 복잡함을 나타내는 복잡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 윈도우 별로 상기 복잡도에 따라서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빈도수 이하의 계조 수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필터 윈도우 내의 영상의 이득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가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과, 감소된 이득값을 가지는 필터 윈도우 영상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한 프레임 단위로 샤프니스(sharpness)하게 변조하고 스무스(smooth)하게 변조하여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변조 데이터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30116623A 2013-09-30 2013-09-30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37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623A KR20150037211A (ko) 2013-09-30 2013-09-30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623A KR20150037211A (ko) 2013-09-30 2013-09-30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211A true KR20150037211A (ko) 2015-04-08

Family

ID=5303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623A KR20150037211A (ko) 2013-09-30 2013-09-30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72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428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JP4272595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US733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847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7289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JP4203450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US74433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JP4198678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US953038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9018491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mming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8019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with adjustment of backlight brightness and frame rate
JP2007011350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2009075550A (ja) 液晶表示装置の高ダイナミックコントラスト処理装置と処理方法
KR20120038180A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459B1 (ko) 스마트 tv용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054502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2009006005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7382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500372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5519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1747717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3693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2343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1006672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화질 제어방법
CN114267276A (zh) 像素充电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