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71A -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71A
KR20150037171A KR20130116526A KR20130116526A KR20150037171A KR 20150037171 A KR20150037171 A KR 20150037171A KR 20130116526 A KR20130116526 A KR 20130116526A KR 20130116526 A KR20130116526 A KR 20130116526A KR 20150037171 A KR20150037171 A KR 2015003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ensing unit
wires
wir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360B1 (ko
Inventor
노희원
김상범
신구용
임윤석
김영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1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3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는: 양단에 전선파지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전선에 결합되고, 전선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에 구비되어 전선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흡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와 연결되어 감지부의 측정값을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DEVICE MEASURING THE FORCE OF ELECTRONIC ATTRACTION ON TWO-BUNDLE CONDUCTOR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송전선로에서 전선 상호간에 작용하는 전자흡입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도시와 교외 등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포설되어 있는 송전 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송전 선로의 종류에는 땅속의 직접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 송전 선로 및 철탑(또는 콘크리트 장주)와 절연 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소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하는 가공 송전 선로를 포함한다.
지중 송전 선로는 별도의 절연 매개물 없이 땅 속에 매설되어 대지와 직접 접촉되어 전력선 자체적으로 주어진 전압 및 상용주파수 전압에 대한 절연이 가능하도록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공 송전 선로는 송전 용량 증대에 따라 전압의 승압과 더불어 도체 구성 방식이 도체 하나로 선로를 구성하는 단도체 방식 대신 여러 도체를 하나의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다도체 방식이 사용된다. 이때, 다도체를 구성하는 도체를 소도체라고 지칭하고, 일반적으로는 단도체, 복도체, 2도체, 6도체 순으로 2N(여기서 N은 자연수임)개의 소도체가 하나의 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다도체 송전 선로의 소도체 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스페이서라고 지칭하며, 스페이서에 소도체의 진동을 조절하기 위한 진동 댐퍼를 내장한 장치를 스페이서 댐퍼라고 한다.
스페이서 댐퍼는 소도체간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비틀림이나 슬릿 점핑 방지를 위해 다도체 송전 선로 방식을 사용하는 송전 선로에는 일정 구간을 두고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다.
또한, 경제 및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전력의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이에 대응하여 신규로 송전선로들이 건설됨은 물론, 기설 송전선로에서는 ACSR전선보다 전류용량이 큰 STACIR계열 전선으로 교체를 통하여 전력공급용량을 증대시키고 있다. 기설 송전선로에서 전선교체를 통한 용량 증대 시 ACSR전선과 STACIR 계열 전선의 특성이 다름으로 인하여 특히 복도체 STACIR계열 송전선로에서 부하증가에 따른 부하전류가 증가할 경우 전선 상호간에 전자흡입력이 발생, 소도체간 접촉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충돌로 인해 전선의 손상이 일어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880879호(등록일:2009.01.21)에는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송전선로에서 전선 상호간에 작용하는 전자흡입력을 측정하여 스페이서의 압착강도를 산정할 수 있고, 전자흡입력으로 인한 전선 손상 및 스페이스의 고장을 점검할 수 있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는: 양단에 전선파지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전선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흡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파지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된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이탈방지커버에는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선 간의 전자흡입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는 가공송전선로에서 전선 상호간에 작용하는 전자흡입력을 측정하여 전선별 스페이서의 압착강도를 산정할 수 있어 최적화된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취득부에서 얻어진 값에 의해 전자흡입력으로 인한 전선 손상개소, 스페이서에 의한 고장개소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장예방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간에 항시 사용될 경우, 경보부에 의해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어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가 측정하는 전자흡입력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가 측정하는 전자흡입력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100)는 스페이서(110), 감지부(130) 및 데이터취득부(15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10)는 양단에 전선파지부(120)가 구비되어 각각의 전선(10)에 결합되고, 전선(10)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스페이서(110)의 재질은 후술되는 감지부(130)를 고려해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전자계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MC Nylon으로 이루어진다.
전선파지부(1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전선(10)이 안착되는 안착부(122) 및 안착부(122)에 결합되어 안착된 전선(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124)를 포함한다.
안착부(122)와 이탈방지커버(124)에는 전선(10)이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안착홈(112a,124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안착부(122)는 전선(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는 전선(10)에 스페이서(110)를 얻어둔 상태로 이탈방지커버(124)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지부(130)는 스페이서(110)에 구비되어 전선(1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흡입력을 감지한다. 전자흡입력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도체 송선선로의 전선(10)에 전류가 흐르면 전선(10) 상호간에 전자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감지부(130)에서 이를 감지한다.
감지부(130)는 로드셀을 포함한다.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감지부(130)는 스페이서(110)의 중간에 구비되어 전자흡입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30)는 스페이서(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스페이서(110)는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며,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 감지부(130)가 체결되어 구비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스페이서(110)의 마주하면 면에 감지부(130)가 접하고, 별도의 체결부재(135)에 의해 스페이서(110)의 단부는 감지부(130)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페이서(110)에는 체결부재(135)를 체결하기 위해 관통홀(115)이 구비되며, 관통홀(115)을 통해 공구삽입이 가능하여 체결부재(135)의 체결이 용이하다.
감지부(130)는 전선(10) 간의 전자흡입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경보하는 경보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보부(140)를 램프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위험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부저 또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데이터취득부(150)는 감지부(130)와 연결되어 감지부(130)의 측정값을 데이터화하는 것으로서, DAS(Data Acquisition System)를 포함한다. 데이터취득부(150)는 전선(10)에 흐르는 전류용량, 주변상황, 전선종류 등에 따른 전자흡입력을 데이터화하여 취득한다.
데이터취득부(150)와 감지부(130)는 쉴드처리된 와이어(16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감지부(130)에 측정된 전자흡입력을 데이터취득부(150)에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도체 전선(10)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는 전선(10) 상호간 작용하는 전자흡입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전선(10)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10)에서 전선(10)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선(10)간의 전자흡입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스페이서(110)의 결합을 살펴보면,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0)의 양단에는 안착부(122)와 이탈방지커버(124)가 구비되는데, 안착부(122)와 이탈방지커버(124)에 각각 구비되는 반원형상의 안착홈(112a,124a)에 전선(10)을 개재시켜 이탈방지커버(124)의 결합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스페이서(110)의 안착부(122)는 전선(10)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스페이서(110)를 전선(10)에 걸쳐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감지부(130)와 데이터취득부(150)를 쉴드처리된 와이어(160)로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스페이서(110)는 감지부(130)를 고려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후, 데이터취득부(150)에 의해 전선(10)간에 발생되는 전자흡입력을 측정한다. 이는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감지부(130)에 의해 가능하다. 즉, 전자흡입력에 의한 압축력을 로드셀이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값은 데이터취득부(150)에 전송되어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데이터 분석은 전선(10)간의 전자흡입력 크기를 확인할 수 있고, 전선종류에 따른 전압별, 부하별 스페이서(110) 압축강도도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STACIR계열 전선(10) 및 신전선(10)(ACCC, ACMR, HVCRC 등) 적용 시 복도체 선로에서의 전자흡입력을 측정할 수 있어 전선(10)에 맞는 스페이서(110)를 제공할 수 있고, 전자흡입력으로 인한 전선 손상개소, 스페이서(110)에 의한 고장개소에 적극 활용하여 고장예방에 유효하게 활용 가능하다.
감지부(130)에는 전선(10) 간의 전자흡입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경보하는 경보부(140)가 구비되어 이상유무를 경보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가 항시 사용될 경우, 전선(10), 스페이서(110) 등의 이상유무를 즉시 발견할 수 있어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위치한 감지부(130)는 스페이서(110)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감지부(130)의 파손 시 감지부(130)만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110 : 스페이서
115 : 관통홀 120 : 전선파지부
122 : 안착부 122a, 124a : 안착홈
124 : 이탈방지커버 130 : 감지부
135 : 체결부재 140 : 경보부
150 : 데이터취득부 160 : 와이어

Claims (6)

  1. 양단에 전선파지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전선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흡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파지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된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이탈방지커버에는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선 간의 전자흡입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KR1020130116526A 2013-09-30 2013-09-30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KR10207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26A KR102072360B1 (ko) 2013-09-30 2013-09-30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26A KR102072360B1 (ko) 2013-09-30 2013-09-30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71A true KR20150037171A (ko) 2015-04-08
KR102072360B1 KR102072360B1 (ko) 2020-02-03

Family

ID=5303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526A KR102072360B1 (ko) 2013-09-30 2013-09-30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57Y1 (ko) * 2004-05-13 2004-10-01 주식회사 토펙스 전류와 자기장관계 실험기
KR100888624B1 (ko) * 2008-10-24 2009-03-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보수단이 구비된 송전선 처짐방지장치
KR20100048146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57Y1 (ko) * 2004-05-13 2004-10-01 주식회사 토펙스 전류와 자기장관계 실험기
KR100888624B1 (ko) * 2008-10-24 2009-03-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보수단이 구비된 송전선 처짐방지장치
KR20100048146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360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42458A8 (en) Monitoring a supporting and propulsion means of an elevator system
US8912803B2 (en) Electrostatic shielding technique on high voltage diodes
WO2009124230A3 (en) Three-phase faulted circuit indicator
WO2005008443A3 (en) Distributed sensor array for fluid contaminant monitoring
KR101063293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EP2097961A4 (en) POWER SUPPLY MONITORING SYSTEM
US9933460B2 (en) Terminal block having integrated current transformers
KR102238913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의 온도센서 인식방법
KR100916146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CA2343261A1 (en) Measurements using tunnelling current between elongate conductors
US11450191B2 (en) Grounding cable warning device
KR102169705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 및 그 온도감시방법
CN205826792U (zh) 智能型防带接地线合闸检测装置
KR20150037171A (ko)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CN208270622U (zh) 一种配电网避雷器、绝缘子检测支架
KR101617643B1 (ko) 가공배전용 가공전선 설치대
CN104218493B (zh) ±800kV特高压直流线路带电更换耐张硬管母跳线绝缘子工艺
KR101684313B1 (ko)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JP6991649B2 (ja) 絶縁劣化診断センサ
US7525222B2 (en) Sensor assembly and sensing system for sensing human tissue in a protected area of a machine
CN205301365U (zh) 电力检测工具保护装置
KR101304553B1 (ko) 변압기의 부하감시장치
KR101828073B1 (ko)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CN209510313U (zh) 一种适用井下电磁探测的电缆线及电磁探测仪
KR102357172B1 (ko)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