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146A -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146A
KR20100048146A KR1020080107179A KR20080107179A KR20100048146A KR 20100048146 A KR20100048146 A KR 20100048146A KR 1020080107179 A KR1020080107179 A KR 1020080107179A KR 20080107179 A KR20080107179 A KR 20080107179A KR 20100048146 A KR20100048146 A KR 20100048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ignal
clamp
data
smal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268B1 (ko
Inventor
이원교
임윤석
신구용
최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10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Abstract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은,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댐퍼; 클램프에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류 검출부, 관통공에 설치되어 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데이터를 제공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및 검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검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SPACER DAMPER AND SYSTEM FOR MONITORING OVERHEAD TRANSMISSION LIN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스페이서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검출기가 내장된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하여 가공 송전 선로를 감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송전 선로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변전소까지 보내기 위한 것으로 선로, 지지물, 애자, 접지 장치를 포함한다. 가공 송전 선로는 송전 용량의 증대에 따라 승압된 전력을 전송함과 더불어 하나의 도체로 송전 선로를 구성하는 단도체 방식 대신 여러 도체로 송전 선로를 구성하는 다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다도체 방식에서 다도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도체를 소도체라한다. 통상적으로 다도체 방식은 복도체(소도체 2개), 4도체(소도체 4개), 6도체(소도체 6개) 등 2N(N: 자연수)개의 소도체가 하나의 가공 송전 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345kV 이상의 초고압 가공 송전 선로에서는 송전 용량 증대와 코로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로 4도체 또는 6도체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스페이서 댐퍼는, 다도체 가공 송전 선로의 소도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Spacer) 내에 소도체의 진동을 조절하는 진동 댐퍼를 설치한 것으로서, 소도체간 간격 유지와 비틀림 및 슬리트 점핑(Sleet Jumping) 방지를 위해 가공 송전 선로 상에 일정한 구간을 두고 설치된다.
한편, 가공 송전 선로는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해소하기 위해 점점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가공 송전 선로에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력회사의 한정된 인원과 종래의 가공 송전 선로 감지 시스템으로는 전체 전력 계통을 통제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량 전력을 장거리에 있는 지점으로 수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어 공업지역이나 대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초고압 가공 송전 선로에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사고 파급 여파는 매우 심각하다. 그러므로, 전력 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공 송전 선로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전류 검출기가 내장된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하여 가공 송전 선로를 감시하는 기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류 검출기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류 유도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가공 송전 선로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은,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댐퍼;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데이터를 제공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및 상기 검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로고스키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 장치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이격되어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전류 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덮개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부에 회전 결착되어 고정핀으로 결합되는 경첩형 클램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소도체에 접촉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에는 제1홈 및 제2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와 전류 유도부는 상기 제1홈와 제2홈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수지로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은,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댐퍼;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소도체로부터 유도 전압 신호를 유도하는 로고스키 코일,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와 기준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하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적분부, 상기 전류 신호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스페이서 댐퍼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변환부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류 신호와 함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장치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이격되어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며 상기 로고스키 코일로부터 유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유도 전류를 축전하여 상기 적분부, 제1 신호변환부,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전류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과 비 교하여 상기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와 상기 고유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2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전류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고유 식별자가 할당된 스페이서 댐퍼 주위에 있는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클램프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클램프연결부에 연결되어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소도체로부터 유도 전압 신호를 유도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소도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는 전류 검출기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류 유도부를 이용하여 유도 전류를 축전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상시 가공 송전 선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은 가공 송전 선로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스페이서 댐퍼에 가공 송전 선로의 전류를 검출 하는 전류 검출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부가 장치 없이 가공 송전 선로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선로 감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선로 감시 시스템은, 스페이서 댐퍼(100), 전류 검출 장치(200) 및 데이터 수집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 댐퍼(100)는 소도체(12,14,16,18)간 간격을 유지시키고 비틀림이나 슬리트 점핑을 방지하기 위해 4도체 가공 송전 선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4도체용 스페이서 댐퍼일 수 있다. 여기서 4도체 가공 송전 선로는 4개의 소도체(12,14,16,18)를 포함한다. 가공 송전 선로는 354kV 이상의 초고압 가공 송전 선로일 수 있다.
스페이서 댐퍼(100)는, 중앙에 다각형 형상의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관통공(10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네개의 클램프연결부(112,114,116,118)를 가지는 프레임(110), 네개의 클램프연결부(112,114,116,118)에 각각 연결되고 4개의 소 도체(12,14,16,18)를 각각 지지하며 고정하는 네개의 클램프(122,124,126,128)를 포함한다. 클램프(122,124,126,128)는, 덮개부(122")가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부(122')에 회전 결착되어 고정핀(123)으로 결합되는 경첩형 클램프일 수 있다.
스페이서 댐퍼(100)에는 4개의 소도체(12,14,16,18)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장치(200)가 내장되며, 가공 송전 선로 상에서 유일하게 식별되는 고유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전류 검출장치(200)는 전류 검출부(202), 전류 유도부(212), 데이터 신호선(204), 전원 공급선(214) 및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하며, 4개의 소도체(12,14,16,18)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검출하여 검출한 전류값과 고유 식별자를 무선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300)에게 전송한다. 전류 검출부(202)는 클램프(122)에 설치된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일 수 있으며, 데이터 신호선(204)으로 데이터 처리부(220)에 연결된다. 전류 유도부(212)는 전류 검출부(202)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고 전류 검출부(202)에 평형하게 위치되어 클램프에 설치된다. 전류 유도부(212)는 로고스키 코일로부터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 코일일 수 있으며, 전원 공급선(214)으로 데이터 처리부(220)에 연결된다. 데이터 처리부(220)의 외관은 일정한 형상, 예를 들면, 스페이서 댐퍼(1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02)에 삽입될 수 있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300)는 전류 검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전류값과 고유 실별자를 이용하여 스페이서 댐퍼(100)가 설치된 가공 송전 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수집 장치(300)는 가공 송전 선로의 이 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가공 송전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순회 점검 차량(400)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페이서 댐퍼(100)와 전류 검출장치(200)의 관계를 설명한다. 스페이서 댐퍼(100)의 관통공(102)에는 데이터 처리부(220)가 삽입되어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122,124,126,128)가 해당 소도체(12,14,16,18)를 지지하며 고정하는 경우, 클램프(122,124,126,128) 각각에는, 로고스키 코일 및 유도 코일이 해당 소도체(12,14,16,18)를 감싸는 환형 형태가 되도록 클램프(122,124,126,128)에 설치될 수 있다. 로고스키 코일은 소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 단면에 수직방향의 자속을 감쇄시키기 위해 균일하게 감은 코일의 한쪽 끝을 코일 내부로 관통시킨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로고스키 코일은 대전류 측정이 가능하며,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선형성이 우수하고, 내부 철심이 없어 철심 포화에 따른 과전류 손상을 입지 않는다. 유도 코일은 로고스키 코일의 전류 변화에 따른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 댐퍼는 4도체용 스페이서 댐퍼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스페이서 댐퍼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4도체 이하 또는 4도체 이상의 다도체 가공 송전 선로에 설치되는 다도체용 스페이서 댐퍼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 댐퍼는 경첩형 클램프(Nut Cracker Type Clamp)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스페이서 댐퍼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분리형 클램프(Cantilever Type Clamp)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램프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도체에 접촉되는 클램프(122) 안쪽 파지부(130)에는 제1 및 제2 홈(131,132)이 파지부(130)의 반원 형상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홈(131) 속에는 전류 검출부(202)가 위치되고, 제2 홈(132) 속에는 전류 유도부(212)가 위치된다. 전류 검출부(202) 및 전류 유도부(212)가 각각 제1 홈(131) 및 제2 홈(1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홈(131) 및 제2 홈(132)은 수지(resin) 등으로 몰딩될 수 있다.
클램프(122)의 고정부(122')와 덮개부(122")가 서로 결착되는 결착부(121,121') 각각에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관통홀(123',123")이 형성된다. 또한 결착부(121,121') 각각에는 전류 검출부(202)와 전류 유도부(212)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136,137; 138,139)가 설치된다. 클램프(122)의 고정부(122') 외측에는 전류 검출부(202)와 전류 유도부(212)가 데이터 신호선(204), 전원 공급선(2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단(206,216)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클램프(122)의 파지부(130)에 소도체가 위치되도록 한 후, 힌지(134)를 중심으로 덮개부(122")를 회전시켜 고정부(122')에 밀착시키고, 관통홀(123',123")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부(122')에 덮개부(122")를 고정시키면, 덮개부(122")와 고정부(122')의 결착부(121,121') 각각의 접속 커넥터(136,137; 138,139)는 서로 대응하는 접속 커넥터에 상호 접속된다. 접속 커넥터(136,137; 138,139)가 상호 연결되면, 전류 검출부(202)가 소도체를 감싸는 형상이 된다. 도 3은 전류 검출부가 소도체를 감싸는 형상임을 보여주는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전류 검출장치의 데이터 처리부와 데이터 수집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류 검출장치의 데이터 처리부(220)는 증폭부(221), 적분부(222), 메모리(223), 신호변환부(224), 전송부(225), 정류부(226) 및 축전기(227)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외부 기상 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내한성과 내열성을 고려한 회로 설계에 따라 제작되고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방수 외함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장치(300)는 수신부(310), 신호변환부(320), 비교부(330), 출력부(35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먼저, 전류 검출장치의 데이터 처리부(220)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증폭부(221)는 전류 검출부가 검출한 유도 전압 신호를 데이터 신호선(204)를 통하여 인가받아 증폭하고 증폭된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부(222)로 제공한다. 상기 적분부(222)는 증폭부(221)로부터 제공받은 증폭된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하여 전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메모리(223)는 데이터 처리부(220)가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가 저장된다. 고유 식별자는 복수의 스페이서 댐퍼가 설치된 가공 송전 선로 상에서 특정 스페이서 댐퍼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신호변환부(224)는 적분부(222)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신호와 메모리(223)의 고유 식별자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부(225)로 제공한다. 상기 전송부(225)는 신호변환부(22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데이터 수집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류부(226)는 전류 유도부가 유도한 유도 전류를 전원 공급선(214)을 통하여 인가받아 정류하고, 정류된 유도 전류를 축전기(227)에 축전한다. 상기 축전기(227)는 축전된 전기를 증폭부(221), 적분부(222), 메모리(223), 신호변환부(224) 및 전송부(225)로 제공하여 데이터 처리부(220)를 구동한다.
전류 검출장치의 데이터 처리부(220)는 낙뇌 등으로 인한 써지 전압으로부터 데이터 처리부(220)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써지 보호기(Surge Prot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장치(300)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수신부(310)는 데이터 처리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신호변환부(320)로 제공한다. 상기 신호변환부(320)는 수신부(31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류 신호와 고유 식별자로 변환하여 비교부(330)로 제공한다. 상기 비교부(33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과 신호변환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고유 식별자와 함께 출력부(350)를 통하여 출력한다. 비교부(330)는 전류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고유 식별자가 할당된 스페이서 댐퍼 주위의 가공 송전 선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에게 가공 송전 선로에 이상이 발생된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보 발생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350)는 컴퓨터 등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330)는 비교 결과와 고유 식별자를 저장부(3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에 저장된 비교 결과와 고유 식별자는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가공되어 가공 송전 선로 고장 이력 관리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선로 감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류 검출부가 소도체를 감싸는 형상임을 보여주는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전류 검출장치의 데이터 처리부와 데이터 수집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Claims (16)

  1.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댐퍼;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데이터를 제공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및
    상기 검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로고스키 코일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장치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이격되어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전류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 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덮개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부에 회전 결착되어 고정핀으로 결합되는 경첩형 클램프인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소도체에 접촉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에는 제1홈 및 제2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와 전류 유도부는 상기 제1홈와 제2홈에 각각 위치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수지로 몰딩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7.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댐퍼;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소도체로부터 유도 전 압 신호를 유도하는 로고스키 코일,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와 기준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하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적분부,
    상기 전류 신호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스페이서 댐퍼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변환부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류 신호와 함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장치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이격되어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며 상기 로고스키 코일로부터 유도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유도 전류를 축전하여 상기 적분부, 제1 신호변환부,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전류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와 상기 고유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2 신호변환부, 및
    상기 전류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고유 식별자가 할당된 스페이서 댐퍼 주위에 있는 소도체의 송전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13.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클램프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클램프연결부에 연결되어 소도체를 감싸며 지지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소도체로부터 유도 전압 신호를 유도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전압 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소도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기가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
  14. 제13항에서 상기 클램프는,
    덮개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부에 회전 결착되어 고정핀으로 결합되는 경첩형 클램프인 전류 검출기가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
  15. 제13항에서,
    상기 전류 검출장치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이격되어 상기 소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상기 로고스키 코일로부터 유도 전류를 유도하는 전류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유도 전류를 축전하여 축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축전기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류 검출기가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소도체에 접촉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에는 제1홈 및 제2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와 전류 유도부는 상기 제1홈와 제2홈에 각각 위치되는 스페이서 댐퍼.
KR1020080107179A 2008-10-30 2008-10-30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KR100988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79A KR100988268B1 (ko) 2008-10-30 2008-10-30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79A KR100988268B1 (ko) 2008-10-30 2008-10-30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46A true KR20100048146A (ko) 2010-05-11
KR100988268B1 KR100988268B1 (ko) 2010-10-18

Family

ID=4227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179A KR100988268B1 (ko) 2008-10-30 2008-10-30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71A (ko) * 2013-09-30 2015-04-08 한국전력공사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CN110375907A (zh) * 2019-06-13 2019-10-25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监测相间间隔棒的系统
KR20190132778A (ko) 2018-05-21 2019-11-29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위치 측정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
KR102496537B1 (ko) * 2022-07-29 2023-02-06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감지율이 향상된 pcb 로고스키 코일 전류 감지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93B1 (ko) 2009-06-30 2011-09-07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KR101101907B1 (ko) * 2010-07-28 2012-01-02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 선로 온도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418B1 (ko) * 1997-12-11 1999-11-01 유금종 스페이서 댐퍼
KR20000000165U (ko) * 1998-06-03 2000-01-15 김광우 고압선로용 스페이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71A (ko) * 2013-09-30 2015-04-08 한국전력공사 복도체 전선용 전자흡입력 측정장치
KR20190132778A (ko) 2018-05-21 2019-11-29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서 위치 측정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
CN110375907A (zh) * 2019-06-13 2019-10-25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监测相间间隔棒的系统
KR102496537B1 (ko) * 2022-07-29 2023-02-06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감지율이 향상된 pcb 로고스키 코일 전류 감지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268B1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293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JP7252219B2 (ja) 関連する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用いて電力線導体を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003812A1 (en) Overhead power line sensor
KR100988268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CA28072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monitoring device
US9261549B2 (en) Leakage current sensor for suspension type insulator
US20080077336A1 (en) Power line universal monitor
KR101034131B1 (ko) 설치가 간단하고 측정감도가 우수한 지지애자의 표면누설전류 검출장치
KR101101907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 선로 온도 감시 시스템
AU2009253494B2 (en) Faraday optical current sensor arrangement
US20030151412A1 (en) Partial discharge detection test link, partial dischar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on a power cable
JP2001289885A (ja) 送配電線の計測システムにおける電流電圧計測装置および送配電線の計測状態監視方法
US20140312893A1 (en) Intelligent electronic sensors for monitoring electrical circuits
US20220187346A1 (en) Medium voltage sensor using a multi-component resistive voltage divider
KR102238913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의 온도센서 인식방법
WO2014007503A1 (ko)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EP0314849B1 (en) Electrical power line and substa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s
CN107040286A (zh) 一种增强型电力载波信号传感器
CN219123700U (zh) 用于开关柜的漏电监控设备以及开关柜
KR100332839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정전압 발생장치
US202003790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electricity
CN206649072U (zh) 高压直流输电系统的柔性全光纤电流测量装置
WO2010119353A1 (en) Electronic sensor for captur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from a live wire
BR102014001218B1 (pt) Sistema de monitoramento remoto de equipamentos de subestações de energia elétrica através de redes de sensores sem fio
CZ282860B6 (cs) Zařízení pro kontinuální registraci parametrů napětí a přechodných jevů v síti vysokého napět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