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172B1 -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172B1
KR102357172B1 KR1020200177421A KR20200177421A KR102357172B1 KR 102357172 B1 KR102357172 B1 KR 102357172B1 KR 1020200177421 A KR1020200177421 A KR 1020200177421A KR 20200177421 A KR20200177421 A KR 20200177421A KR 102357172 B1 KR102357172 B1 KR 10235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ower
sensor
unit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근
Original Assignee
장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근 filed Critical 장덕근
Priority to KR102020017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구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의 온도, 변형, 침수 및 방전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위해 설치된 센서 및 각종 처리장치 등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을 전력구에 설치하는 온도, 변형, 침수 및 방전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와 모니터링 서버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시적으로 전력 케이블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각종 센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시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송전로의 온도, 변형, 침수를 측정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지중송전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변전소, 변전소에서 다른 변전소로 전송하는 송전선로는 철탑이나 철큰 콘크콘트리트 등의 지지물을 이용하여 공중에 시설한 가공 송전선로와 전력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중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지중송전선로가 있다.
가공송전선로는 공중에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해 400Hz ~ 1000Hz 대역의 풍소음을 발생시키며, 겨울의 경우 송전선로의 결빙을 원인으로 한 처짐에 따른 손상, 철탑 등의 설치로 인하여 산림훼손, 지역주민간 갈등을 조성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점차적으로 가공송전로를 지중화 하고 있다.
그러나 지중송전로는 지중에 전력구를 먼저 건설하고, 전력구내에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므로 가공송전로가 갖고 있는 문제를 상당수 해소할 수 있으나, 지중에 설치되는 특성상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일반적으로 전력구에 점검자가 주기적으로 출입하여 육안 또는 계측장비를 이용한 점검을 하고 있어, 점검자의 안정상의 문제, 점검의 신뢰성의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점검이 되지 않는 기간에 발생되는 전력 케이블의 손상등을 사전에 대체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587호(2012.09.17)
본 발명은 전력구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의 온도, 변형, 침수 및 방전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위해 설치된 센서 및 각종 처리장치 등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력구에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는 동시에 센서등 모니터링과 관련된 장치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구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전력 케이블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하중센서와, 전력 케이블의 표면에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의 침수여부를 센싱하는 침수센서와, 전력구에 높이를 다르게 설치되어 전력구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와,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부분 방전을 검지하는 방전검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센서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와,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와, 센서부, 데이터수집부, 중앙처리부 및 데이터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데이터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수신부에서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원공급부는 상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의 저면에 연장형성되어 상부 베이스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레그와, 지지레그의 하부에서 일 지지레그와 타 지지레그 사이에 연결된 레그보강부재와, 상부 베이스와 레그보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지지장치의 케이블안착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케이블안착부는 양단이 지지레그에 결합되고, 중앙에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제1안착홈이 형성된 케이블 지지베이스와, 케이블 지지베이스에 결합되고, 중앙에 전력 케이블을 가압하는 반원 형상이 제2안착홈이 형성된 케이블 가압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원공급부는 전력 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과, 유도코일에서 발생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와, 정류기에서 정류된 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기와, 전압조정기에서 전압이 조정된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도코일은 케이블 지지베이스의 제1안착홈 상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중센서는 케이블 지지베이스의 제1안착홈에 인접하여 케이블 지지베이스에 배치되고, 수위센서는 지지레그에 설치되며, 온도센서와 침수센서는 케이블 지지베이스의 제1안착홈 상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을 전력구에 설치하는 온도, 변형, 침수 및 방전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와 모니터링 서버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시적으로 전력 케이블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각종 센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시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력구에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는 고정장치에 각종 센서, 모니터링과 관련된 장치를 동시에 구비하여 전력구에 전력 케이블을 설치함과 동시에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로도이다.
도 2는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되는 케이블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안착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원 공급부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함)의 블록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부(100), 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210), 데이터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220), 중앙처리부(2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230) 및 센서부(100), 데이터수집부(24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로 이루어지며, 데이터송신부(230)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320)에 연결된 데이터수신부(310)에서 수신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210), 중앙처리부(220), 데이터송신부(230) 및 데이터수신부(310)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으로 전송받아 처리하는 구성으로 공지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센서부(100)를 구성하는 각 센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온도센서(110)는 전력구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전력 케이블과 함계 포설되는 광케이블의 형태인 분산 변형 및 온도센서(센서(DSTS, Distributed Strain and Temperature Sens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온도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전력 케이블의 전체의 연속적인 온도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중센서(120)는 지진등과 같이 전력 케이블의 흔들림 등 전력 케이블의 하중변화를 센싱하는 것으로 변형센서(strain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침수센서(130)는 전력 케이블의 침수여부를 센싱하는 것으로 전력 케이블의 표면에 부착되며, 수위센서(140)는 전력구의 물이 어느 정도 차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전력구에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어 전력구의 수위를 센싱한다.
방전감지센서(150)는 지중 송전선로에서 부분방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지중 송전선로의 주도체(Conductor) 부위에 설치하고,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시하고자 하는 지중 송전선로 곳곳에 배치한다. 종래에는 부분방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중 송전선로의 접속부에서만 부분방전을 감시하였지만, 방전 감시 센서를 지중 송전선로 전구간에 걸쳐 설치하는 경우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의 전원공급부(240)는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되는 케이블지지장치의 사시도인 도 2와 도 2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 안착부의 요부 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케이블안착부(430)에 배치된다.
케이블지지장치(400)는 전력구 내에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로, 상부에는 각종 장비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데이터수집부(21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등과 같은 데이터 관련 모둘을 배치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의 상부 베이스(41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베이스(410)의 하부에는 상부 베이스(410)를 전력구의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레그(420)가 배치되며, 복수 개의 지지레그(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보강부재(422)로 연결되어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상부 베이스(410)와 레그 보강부재(422) 사이에는 전력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블 안착부(430)가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을 케이블 안착부(43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케이블지지장치(400)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 전력구 벽에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것 보다 훨씬 짧은 시간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케이블 안착부(430)에 안착되는 전력 케이블은 주기적으로 전류 위상이 변경되는 전류가 통전되므로, 전력 케이블 주변에는 전류 위상의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자기장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240)를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센서부(100), 데이터수집부(21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지지장치(400)에 설치된다.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케이블안착부(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전력 케이블의 고정 잡업을 쉽게 하기 위해 양단이 지지레그(410)에 결합되고, 중앙에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제1안착홈(433a)이 형성된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와,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에 결합되고, 중앙에 전력 케이블을 가압하는 반원 형상이 제2안착홈(435a)이 형성된 케이블 가압베이스(435)로 구성되어 케이블 가압베이스(435)만을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가 하부에 고정되고, 케이블 가압베이스(435)가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원 공급부의 블록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240)는 유도코일(241), 정류기(243), 전압조정기(245) 및 배터리(247)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코일(241)은 전력 케이블로부터 변동되는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유도코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가요성 기판에 인쇄되어 있는 형태의 유도코일은 두께가 얇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경우 가요성 기판에 인쇄되어 있는 형태의 유도코일이 사용된다.
유도코일(241)에서 발생된 전류는 교류의 형태로 발생되므로 이러한 전류는 정류기(243)에서 직류 형태로 정류를 하며, 정류기(243)에서 정류된 전류는 전압조정기(245)를 통해 필요한 형태의 전압으로 변경되어 배터리(247)에 저장된다. 아울러 배터리(247)에 저장되기 전에 센서부(100), 데이터수집부(21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배터리(247)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코일은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어떤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전력 케이블에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유도코일(2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하중센서(120)를 직접 전력 케이블에 설치하는 경우,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지장이 노이즈로 작동하여 하중센서(120)가 정확한 하중을 센싱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센서(120)는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에 인접하여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에 배치함으로써 노이즈를 최소하화여, 전력 케이블의 하중 변화를 케이블 지지베이스(433)를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위센서(140)는 지지레그(420)에 높이를 다르게 설치하며, 온도센서(110)를 분산 변형 및 온도센서(센서(DSTS, Distributed Strain and Temperature Sensor)형태의 온도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고 자 하는 경우 침수센서(130)와 같이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 상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센서가 설치된 케이블지지장치(400)를 이용, 전력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경우, 종래와 같이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고, 전력구 내에 각종 센서 등을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각종 센서, 전기적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 배터리를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전력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본 발명은 보다 설치, 보수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수 있다.
100 : 센서부 110 : 온도센서
120 : 하중센서 130 : 침수센서
140 : 수위센서 150 : 방전 검지센서
200 : 데이터수집부 220 : 중앙처리부
230 : 데이터송신부 240 : 전원공급부
241 : 유도코일 243 : 정류기
245 : 전압조정기 247 : 베터리
310 : 데이터수신부 320 : 모니터링 서버
400 : 케이블지지장치 410 : 상부 베이서
420 : 지지레그 422 : 레그보강부재
430 : 케이블안착부 433 : 케이블 지지베이스
433a : 제1안착홈 435 : 케이블 가압베이스
435a : 제2안착홈

Claims (6)

  1. 전력구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0)와, 상기 전력 케이블의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하중센서(120)와, 상기 전력 케이블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침수여부를 센싱하는 침수센서(130)와, 상기 전력구에 높이를 다르게 설치되어 상기 전력구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140)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부분 방전을 검지하는 방전검지센서(150)로 구성된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210);
    상기 데이터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220);
    상기 중앙처리부(2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230); 및
    상기 센서부(100), 데이터수집부(24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를 포함하며,
    상시 데이터송신부(230)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320)에 연결된 데이터수신부(310)에서 수신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상부 베이스(410)와, 상기 상부 베이스(410)의 저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 베이스(4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레그(420)와, 상기 지지레그(420)의 하부에서 일 지지레그와 타 지지레그 사이에 연결된 레그보강부재(422)와, 상기 상부 베이스(410)와 상기 레그보강부재(4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430)를 포함하는 케이블지지장치(400)의 상기 케이블안착부(43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41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데이터수집부(210), 중앙처리부(220) 및 데이터송신부(230)가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안착부(430)는
    양단이 상기 지지레그(420)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제1안착홈(433a)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제1안착홈(433a)의 양측으로 판 형상의 제1날개부가 일체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와,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전력 케이블을 가압하는 반원 형상이 제2안착홈(435a)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제2안착홈(435a)의 양측으로 판 형상의 제2날개부가 일체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가압베이스(435)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상기 전력 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241)과,
    상기 유도코일(241)에서 발생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243);
    상기 정류기(243)에서 정류된 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기(245); 및
    상기 전압조정기(245)에서 전압이 조정된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247)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코일(241)은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중센서(120)는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날개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양측방을 향한 연장 형성 길이는 상기 제2날개부의 양측방을 향한 연장 형성 길이에 비해 길며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가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 가압베이스(435)가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상기 제1안착홈(433a)과 제2안착홈(435a)이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공간을 마련하는 경우 제2날개부에 의해 상부로부터 덮이지 않는 상기 제1날개부의 양측 바깥쪽 상면에 상기 하중센서(120)가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수위센서(140)는 상기 지지레그(420)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110)와 상기 침수센서(130)는 상기 케이블 지지베이스(433)의 제1안착홈(433a)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77421A 2020-12-17 2020-12-17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5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21A KR102357172B1 (ko) 2020-12-17 2020-12-17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21A KR102357172B1 (ko) 2020-12-17 2020-12-17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172B1 true KR102357172B1 (ko) 2022-02-07

Family

ID=8025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421A KR102357172B1 (ko) 2020-12-17 2020-12-17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185B1 (ko) * 2011-12-16 2012-04-12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183587B1 (ko) 2010-12-23 2012-09-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808752B1 (ko) * 2017-09-27 2017-12-14 (주)한빛기술단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KR101991859B1 (ko) * 2018-01-24 2019-09-3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선의 합선 및 누전 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87B1 (ko) 2010-12-23 2012-09-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116185B1 (ko) * 2011-12-16 2012-04-12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808752B1 (ko) * 2017-09-27 2017-12-14 (주)한빛기술단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KR101991859B1 (ko) * 2018-01-24 2019-09-3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선의 합선 및 누전 계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7498B2 (en) Fault prediction in electronic transmission networks
US20090015239A1 (en) Transmission Line Sensor
US9380857B2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ambient temperature
CA2948095C (en) Solar battery wireless load cell
CA2747378C (en) Data collecting connection
US4806855A (en) System for rating electric power transmission lines and equipment
US9952073B2 (en) Solar battery wireless integrated load cell and inclinometer
US9983076B2 (en) Solar battery wireless load cell adapter
US10175273B2 (en) Method of using power grid as large antenna for geophysical imaging
EP3045922A1 (en) Testing device power induced by current transformer
KR101063293B1 (ko) 스페이서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JP2017220983A (ja) 電力線の線路監視装置
JP2020076654A (ja) 送電線の高度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送電線監視システム
KR102357172B1 (ko) 지중송전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EP32497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detecting ice or snow atmospheric accretion on overhead power lines
KR20130057696A (ko)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101991859B1 (ko) 배전선의 합선 및 누전 계측 장치
US10408865B2 (en) Power monitor protective shroud
CN219220697U (zh) 一种井泵装置
KR20210092944A (ko) 지중전선 이상 감지 시스템
JP2007113917A (ja) 送配電線の劣化検出装置
KR102549003B1 (ko) 해저케이블 절연저하 부위의 탐측방법
CN217901892U (zh) 失电感知器
WO2019086932A1 (en) Optical sensor for voltage measurement
RU2771882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провода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