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69A -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69A
KR20150037169A KR20130116519A KR20130116519A KR20150037169A KR 20150037169 A KR20150037169 A KR 20150037169A KR 20130116519 A KR20130116519 A KR 20130116519A KR 20130116519 A KR20130116519 A KR 20130116519A KR 20150037169 A KR20150037169 A KR 2015003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grated
medical
file
f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83B1 (ko
Inventor
김일곤
송준현
이성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관리방법은 관리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입력받은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검색된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통합 파일로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통합파일은 통합 헤더 및 복수의 파일 각각의 데이터를 통합한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CDA(Clinic Document Architecture:CDA) 문서이다.

Description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료정보교류용 임상문서표준규격인 HL7 CDA 문서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정보는 병원에서 진단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진단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들 및 의료기기들의 의료정보 공유는 의료의 질 향상과 소비자의 편의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의료정보 공유는 크게 병원 내의 시스템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와 의료기관의 시스템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병원 내의 시스템들 간에 의료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병원 내에서는 다양한 의료기기와 검사 정보 시스템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 LIS)과 같은 독립된 시스템이 병원 정보 시스템과 정보를 공유한다. 이러한 의료기기 및 독립된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다양한 검사결과를 제공하므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병원 정보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의료기관들은 HL7(Health Level 7) 표준에 속하는 임상문서의 표준인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문서 형식으로 진료기록부를 생성하여 의료 정보 교류의 상호 운용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교류되는 CDA 문서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서 한 환자에 대해 생성되는 CDA문서의 양도 많아지고 있고, 이러한 CDA 문서들은 각 병원에 흩어져 있음에 따라, 의료인이 진료시 환자의 CDA 문서를 일일이 선택해서 조회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를 명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료정보교류용 임상문서표준규격인 HL7 CDA 문서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은 관리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입력받은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통합 파일로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파일은 통합 헤더 및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의 데이터를 통합한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CDA(Clinic Document Architecture:CDA) 문서이다.
이 경우,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섹션으로 구성된 통합 바디(integrated bod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헤더와 상기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상기 통합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에는 상기 진료정보가 속했던 섹션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통합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의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 바디의 섹션 내에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은 상기 통합파일에 대한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 요청이 인증된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 인증된 요청인 경우, 상기 통합파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료정보는 기밀성 정도에 따라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및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으로 구분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도가 상기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합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도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또는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로 접근하기 위한 링크를 상기 통합 바디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은 상기 통합파일을 상기 기저장된 파일과 구분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은 상기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의 형식이 CDA 문서 형식이 아닌 경우, 상기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을 상기 CDA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의하면, 한 환자에 대한 복수 개의 CDA 문서들이 통합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의료인들의 임상적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장치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통합부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통합 헤더의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바디 생성부의 통합 바디 생성 방식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CDA 문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은 의료정보 통합장치(100) 및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를 포함한다.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는 의료정보가 기록된 파일들을 수신받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단, 복수 개의 의료정보 통합장치는 각각 의료정보 제공장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위 의료정보 통합장치에 연결되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는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로부터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들을 검색, 추출하여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는다. 관리대상정보는 환자의 신상정보, 문서의 작성자 정보, 병원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의료정보 통합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은 후,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는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의료정보 제공장치(200) 내부에 저장된 파일을 검색 추출하여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는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통합 파일로 통합시키고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파일들이 통합되어 관리되는 통합 파일은 외부의 소정의 승인을 받은 사용자(20)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외부의 소정의 승인을 받은 사용자(20)의 접속 경로는 내부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을 망라한다.
도 2는 의료정보 통합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의료정보 통합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정보 관리부(120), 정보 통합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20)와 의료정보 통합장치(100)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으며, 사용자(20)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정보 관리부(120) 및 정보 통합부(130) 에 관리대상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송된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여, 전송된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의료정보 제공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120)는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변환부는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파일이 CDA문서 형식이 아닌 경우, CDA문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변환한 파일을 정보 통합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변환부에 대해선 이하에서 후술하겠다.
환자의 임상기록에 대한 CDA문서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헤더(header)에는 CDA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각종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고, 바디(body)에는 진료 정보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들이 기록될 수 있다. 임상문서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정보는 헤더(Header)에 실리고, 임상문서 고유의 특성에 의해 다르게 가지는 정보를 바디(Body)에 실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더에는 문서자체에 대한 정보와 문서 작성자, 문서의 대상자, 보관자, 법적 인증자 등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바디에는 실제 의료 행위에 의해 생성된 진료정보들이 담길 수 있다. 바디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 요소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엔트리(entry) 요소 및 섹션(section)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를 위해 도 8에 CDA 문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였다.
정보 통합부(130)는 정보 관리부(120)에서 수신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통합할 수 있다. 이후, 통합된 통합 파일을 저장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정보 통합부(130)에서 전송한 통합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이후, 통합 파일을 열람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력부(150)로 통합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통합 파일을 또 다른 파일들과 통합하기 위해서 정보 관리부(1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정보 관리부(120)로 통합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승인 절차를 거친 외부의 사용자(20)는 의료정보 통합장치(100)에 접속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통합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통합 대상이 되는 복수의 파일들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구분되는 다른 저장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합 파일과 통합되지 않은 파일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통합 파일은 정보관리부(120)로 전송될 수 있고, 이 경우, 통합 파일도 통합되지 않은 파일들과 같은 종류로 취급되어, 다시 통합과정을 거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저장부(140)로부터 통합파일을 수신하여, 사용자(20)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사용자(20)이 전송한 출력 요청을 수신하여, 출력 요청이 인증된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인증된 요청인 경우 통합파일을 출력한다. 통합 파일은 환자의 기밀사항이 담겨있는 진료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바, 상술한 것과 같은 인증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정보관리부(120)는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변환부는 수신한 의료정보를 HL7 메시지 또는 HL7 메시지에 첨부되는 전자화된 CDA 문서 형식으로 변환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 수신하는 의료정보의 종류에 따른, 변환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의료기기의 출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의료정보 제공장치(200)가 의료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변환부는 의료기기의 출력 정보가 ISO/IEEE11073 표준 기술에 따라 생성된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에 따라, 의료기기의 출력 정보가 ISO/IEEE11073 표준 기술에 따른 정보가 아닌 경우, 수신된 의료기기의 출력 정보를 ISO/IEEE11073 표준 기술에 부합되도록 정보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 그 후, 변환부는 ISO/IEEE11073 표준 기술에 의해 수신되거나 변환된 의료기기의 출력 정보를 HL7 메시지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2) 검사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 LIS)의 검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의료정보 제공장치(200)가 검사 정보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변환부는 수신된 검사 정보 시스템의 검사 정보가 HL7 메시지 형식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검사 정보 시스템의 검사 정보가 HL7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검사 정보 시스템의 검사 정보를 HL7 메시지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3) 외부 의료기관에서 생성된 환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의료정보 제공장치(200)가 외부 의료기관으로 구현되는 경우, 변환부는 수신된 외부 의료기관의 환자 정보가 HL7 메시지 또는 HL7 메시지에 첨부되는 전자화된 CDA 문서 형식에 부합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외부 의료기관의 환자 정보가 HL7 메시지 또는 HL7 메시지에 첨부되는 전자화된 CDA 문서 형식으로 생성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외부 의료기관의 환자 정보를 HL7 메시지 또는 HL7 메시지에 첨부되는 전자화된 CDA 문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통합장치(100)는, 복수 개의 파일을 통합한 통합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여 사용자(20)로 하여금 한 환자에 대한 누적된 진료기록을 담고 있는 통합 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정보 통합부(13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통합부(130)는 추출부(131), 통합 헤더 생성부(133), 통합 바디 생성부(135) 및 통합파일 생성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131)는 정보 관리부(120)로부터 CDA문서 형식의 복수의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CDA 문서의 바디는 문서의 기밀성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기밀성 정도에 따라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및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출부(131)는 기밀성(confidentiality)정도가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파일에 기밀성 정도가 높은 정보가 포함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통합 헤더 생성부(133)는 통합 파일의 통합 헤더(integrated header) 부분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recordTarget(환자), author(작성자), custodian(병원)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헤더(도 4 참고)를 생성한다.
여기서 recordTarget 항목에는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식별 메커니즘(patient identification mechanisms)으로서 환자의 아이디, 환자 특성(patient characteristics), 환자 이름(patient's name), 주소(address), 전화번호(phone number)를 포함한 환자 정보를 나타낸다.
author 항목에는 문서를 생성한 문서작성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문서를 생성한 시간, assignedAuthor의 id, 처방을 내린 의사 이름 등을 포함한다.
custodian 항목에는 문서가 생성 관리되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처방이 내려진 의료기관, 의료기관의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헤더 생성부(13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부터 수신한 관리대상 정보를 포함하여 헤더를 생성하는데, 관리대상 정보가 헤더의 메타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받은 관리대상 정보가 환자 식별에 이용되는 CDA문서의 환자 아이디가 아닌 경우,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환자 아이디로 변환 후(예를 들어 <id extension="996-756-495" root="2.16.840.1.113883.19.5"/>)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대상 정보가 환자 아이디인 경우 별도의 변환 과정은 요구되지 않고, 환자 아이디가 recordTarget 항목에 포함되고, author 항목엔 통합 파일을 조회하는 사용자(20) 정보가, custodian 항목엔 의료정보 통합장치(100)가 존재하는 병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추출부(131)에서 추출된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섹션으로 구성된 통합 바디(integrated body)를 생성할 수 있다.
추출부(131)에서 추출된 진료정보에는 그 진료정보가 속해 있던 섹션(section)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카테고리 정보는 표 1에서와 같이 섹션 템플릿 아이디(Template ID)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먼저, 추출된 진료정보들에 어떠한 Template ID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Template ID들에 대응되는 섹션을 통합 파일의 바디의 구성요소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진료정보, 제2 진료정보 및 제3 진료정보에 있어서, 각각의 Template ID가 2.16.840.1.11111.2.3(Subsequent Evaluation Note에 해당), 2.16.840.1.11111.2.3 (Subsequent Evaluation Note에 해당) 및 2.16.840.1.11111.2.9 (Surgical Operation Note에 해당)인 경우,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통합 파일의 바디 부분에 Subsequent Evaluation Note 섹션과 Surgical Operation Note 섹션을 형성한다.
이후,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제1 진료정보 및 제2 진료정보를 통합 파일의 바디 부분의 Subsequent Evaluation Note 섹션에 함께 배치하고, 제3 진료정보는 Surgical Operation Note 섹션에 따로 배치한다. 이때 같은 섹션 내로 배치되는 제1 진료정보 및 제2 진료정보는 생성일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먼저 추출된 복수의 진료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파일의 크기 또는 파일의 생성일)에 따라 하나의 진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진료 정보에 나머지 진료 정보들의 Template ID를 대조하여 차례로 병합시켜 통합 바디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진료 정보를 선택하여 위와 같은 작업을 병렬적으로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하나의 통합 바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들은 통합 바디를 생성하는 특정 실시 예에 대한 것일 뿐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같은 카테고리의 섹션들은 생성일 순으로 통합하고, 다른 카테고리의 섹션들은 그대로 삽입하여 통합한다는 기준을 따르는 어떠한 실시 예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술한 실시 예들을 포괄할 수 있는 통합 바디 생성부(135)의 통합 바디 생성 방식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바디 생성 방식은, 동질(同質)의 섹션끼리는 생성일 순으로 통합하고, 이질(異質)의 섹션은 있는 그대로 삽입하여 통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추출부(131)에서 기밀성(confidentiality)정도가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만을 추출한 경우, 통합 바디 생성부(135)는, 기밀성(confidentiality)정도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또는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로 접근하기 위한 링크를 더 포함시켜 바디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를 더 포함시켜 바디를 생성하게 되면, 교류되는 통합문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통합문서에선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도가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만을 요약적으로 제공하고, 기밀성이 높은 상세한 정보에 대해선 링크 및 인증절차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정보를 이중적으로 보안해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합파일 생성부(137)는 통합 헤더 생성부(133)에서 생성된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통합 바디를 합쳐 통합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의료정보 제공장치(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정보 제공장치(200)는 저장부(210) 및 정보 검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의료 정보에 대한 복수의 파일을 저장한다. 파일은 CDA 문서 형식일 수 있다.
정보 검색부(230)은 의료정보 통합 장치(100)의 정보관리부(120)의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에 포함된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들을 검색한다. 이후, 검색된 파일을 정보관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관리대상 정보를 입력받는다(S710). 관리대상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다른 외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입력받은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을 검색한다(S730).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이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정보 통합 장치 자체에 저장된 파일이거나, 의료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정보 제공장치가 의료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다양한 소형 의료기기에서 생성된 파일일 수 있고, 의료정보 제공장치가 검사 정보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은 검사 진행 사항에 대한 정보 및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의료제공 장치가 개별 병원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경우엔, 파일의 검색을 위해서 다른 병원의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검색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검색된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통합 파일로 통합한다(S750).
통합 파일로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선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의료정보 통합장치 200: 의료정보 제공장치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정보 관리부
130: 정보 통합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Claims (7)

  1. 의료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에 있어서,
    관리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입력받은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파일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통합 파일로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파일은 통합 헤더 및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의 데이터를 통합한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CDA(Clinic Document Architecture:CDA) 문서인,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섹션으로 구성된 통합 바디(integrated bod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헤더와 상기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상기 통합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에는 상기 진료정보가 속했던 섹션의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통합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의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 바디의 섹션 내에 상기 추출된 진료정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파일에 대한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 요청이 인증된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
    인증된 요청인 경우, 상기 통합파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는 기밀성 정도에 따라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및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으로 구분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파일로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도가 상기 보통 접근(Normal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도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수준 또는 매우 제한된 접근(Very restricted access)수준인 진료정보로 접근하기 위한 링크를 상기 통합 바디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파일을 상기 기저장된 파일과 구분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의 형식이 CDA 문서 형식이 아닌 경우, 상기 기저장된 복수의 파일을 상기 CDA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KR1020130116519A 2013-09-30 2013-09-30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KR10170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19A KR101706183B1 (ko) 2013-09-30 2013-09-30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19A KR101706183B1 (ko) 2013-09-30 2013-09-30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149A Division KR101996998B1 (ko) 2015-07-13 2015-07-13 고객중심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69A true KR20150037169A (ko) 2015-04-08
KR101706183B1 KR101706183B1 (ko) 2017-02-13

Family

ID=5303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519A KR101706183B1 (ko) 2013-09-30 2013-09-30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536A (ko) 2015-06-22 2016-12-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스 앱 개발을 위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N108028077A (zh) * 2015-09-10 2018-05-11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整合临床护理的信息学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42A (ko) 2022-09-05 2024-03-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데이터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060A (ko) * 2000-06-30 2002-01-16 문병무 데이터 베이스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2006040128A (ja) * 2004-07-29 2006-02-09 Yokoso Health Corporation:Kk 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履歴情報管理方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5339A (ko) * 2009-12-09 2011-06-1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임상의 처방 입력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060A (ko) * 2000-06-30 2002-01-16 문병무 데이터 베이스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2006040128A (ja) * 2004-07-29 2006-02-09 Yokoso Health Corporation:Kk 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履歴情報管理方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5339A (ko) * 2009-12-09 2011-06-1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임상의 처방 입력 변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536A (ko) 2015-06-22 2016-12-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스 앱 개발을 위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N108028077A (zh) * 2015-09-10 2018-05-11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整合临床护理的信息学平台
CN108028077B (zh) * 2015-09-10 2023-04-14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整合临床护理的信息学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83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133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data storage and retrieval
US20140379373A1 (en)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KR101575146B1 (ko) 의료정보 관리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5989333B2 (ja) 医用システム
US102903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50025626A (ko) 스마트 전자문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2762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de-identified medical images from a database
US200900491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variety of medical information
Mahatpure et al. A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powered by speech recognit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CN109074858A (zh) 没有明显准标识符的去识别的健康护理数据库的医院匹配
US200801094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 variety of medical information
KR101706183B1 (ko)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KR20130093837A (ko) 의료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JP3232539U (ja) データ統合システム
KR101587025B1 (ko) 의료정보 저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996998B1 (ko) 고객중심의 의료정보 통합 관리방법
JP2021056641A (ja) 医療情報管理装置及び医療レポートのメタデータ付加方法
CN113764062B (zh) 一种患者数据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201501494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information from different information systems in a local record
US20230197213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lin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KR101703937B1 (ko) 지능형 의료 영상 및 의료 정보 검색 방법
KR101377554B1 (ko) 전자필기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작성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63281B1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US202100658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073745A (zh) 标识信息查询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9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13

Effective date: 20161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