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196A -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 Google Patents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196A
KR20150036196A KR20157001995A KR20157001995A KR20150036196A KR 20150036196 A KR20150036196 A KR 20150036196A KR 20157001995 A KR20157001995 A KR 20157001995A KR 20157001995 A KR20157001995 A KR 20157001995A KR 20150036196 A KR20150036196 A KR 20150036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etching
trench
rti
depos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5321B1 (en
Inventor
비제이 파르타사라티
수짓 바네르지
웨인 비 그라보우스키
Original Assignee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558,218 external-priority patent/US876560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572,492 external-priority patent/US20140045318A1/en
Application filed by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filed Critical 파워 인티그레이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3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2Field plates
    • H01L29/407Recessed field plates, e.g. trench field plates, buried fiel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고전압 반도체 장치들을 위한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제조 공정들이 개시된다. 일 예시적 공정은 산화물 박막을 퇴적하는 단계, 폴리실리콘 하드 마스크를 퇴적하는 단계, 레지스트층을 퇴적하는 단계, 및 트렌치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딥 실리콘 트렌치 식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트층을 스트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상기 트렌치 내에 테이퍼진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화물 층의 퇴적 및 상기 산화물의 이방성 식각의 반복된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폴리를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의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 내에 트렌치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에 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마스크층을 퇴적하는 단계, 및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층 및 상기 절연층을 교대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abrication processes for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or high voltage semiconductor devices are disclosed. One exemplary process includes depositing an oxide thin film, depositing a polysilicon hard mask, depositing a resist layer, and etching the trench region, performing a deep silicon trench etch, . 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repeated steps of depositing an oxide layer and anisotropically etching the oxide to form a tapered wall in the trench. 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positing poly and the further step of performing the additional process to form the semiconductor device. Another exemplary process includes etching a trench in a semiconductor wafer, depositing an insulating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to form a gap in the trench, depositing a mask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And alternately etching the mask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to form a plate dielectric region.

Description

테이퍼진 산화물의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고전압 반도체들을 위한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들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고전압 반도체 장치들을 위한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들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generally relates to the fabrication of field plate dielectrics for high voltage semiconductors, and more particularly, this disclosure relates to the fabrication of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s for high voltage semiconductor devices.

본 출원은 2012년 7월 25일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558,218 및 2012년 8월 10일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572,49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들이 아래 개시된 것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그 전문이 참조로서 여기에 원용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U.S. Patent Application No. 13 / 558,218, filed July 25, 2012, and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3 / 572,492, filed August 10, 2012, the entir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전자 장치들은 구동하기 위하여 전력을 사용한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고전압 교류 전원(ac)로서 월 소켓(wall sock)을 통해 전달된다. 전형적으로 전력 변환기(power converter) 또는 전력 공급장치(power supply)로 일컬어지는 장치는 에너지 전달 성분을 통해 고전압 교류 입력을 잘 조절된(regulated) 직류(dc) 출력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력 변환기의 한 가지 종류는 스위치 모드 전력 변환기이며, 이는 고효율, 작은 사이즈 및 낮은 중량에 의해 오늘날 많은 전자장치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 폰들 및 LED 조명들과 같은 전자 장치들에 전기를 제공하는 많은 스위치 모드 전력 변환기들은 고전압들을 다룰 수 있는 전력 반도체 장치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 충전기들 내의 반도체 장치들은 항복(breaking down) 없이 600V까지의 피크 전압들을 다루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장치들 중 일부는 반도체의 더 넓은 면적들 상으로 전계들을 분산시킴(spreading)에 의해 고전압들을 다루며, 이는 전계들이 항복 문턱들(breakdown thresholds)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계들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때때로 필드 플레이트들(field plates)이 사용된다.Electronic devices use electrical power to drive. Power is typically delivered as a 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ac) through a wall sock. Devices, typically referred to as power converters or power supplies, can be used to convert 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inputs into well regulated direct current (dc) outputs through energy transfer components. One type of power converter is a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which is commonly used in many electronic devices today due to its high efficiency, small size and low weight. Many switch mode power converters that provide electricity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tablet computers, smart phones and LED lights rely 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capable of handling high voltages. For example, semiconductor devices in mobile phone chargers may be required to handle peak voltages up to 600V without breaking down. Some of these high voltage devices deal with high voltages by spreading electric fields over larger areas of the semiconductor, which prevents electric fields from exceeding breakdown thresholds. To help disperse the electric fields, field plates are sometimes used.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한 가지 종류는 수직 박형 실리콘(vertical thin silicon, VTS) 고전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high-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HVFET)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웨이퍼(11) 상에 만들어진 예시적 VTS HVFET(10)를 도시한다. VTS HVFET(10)는 실리콘 필라(pillar) 내에 소스 영역들(15a, 15b), 바디 영역(14) 및 드레인 영역들(12, 13)(긴 드레인 연장부(drain extension)를 포함하는)을 포함한다. 게이트들(17a, 17b)에 인가된 포텐셜은 바디 영역(14) 내의 채널을 조절하며, 소스 영역들(15a, 15b) 및 드레인 영역들(12, 13) 사이의 전도(conduction)를 조절할 수 있다. 바디 영역(14)의 포텐셜은 바디 콘택(1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HVFET(10)은 또한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19)에 의해 상기 실리콘 필라로부터 분리되는 필드 플레이트(18)를 구비한다. 필드 플레이트(18)는 상기 연장된 드레인 영역 내의 더 넓은 면적들 상으로 높은 전압 강하들(voltage drops)을 분산시킴(즉, 전계들의 분산)에 의해 항복 전압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One type of high-voltage transistor is a vertical thin silicon (VTS) high-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HVFET). For example, FIG. 1 illustrates an exemplary VTS HVFET 10 made on a wafer 11. The VTS HVFET 10 includes source regions 15a and 15b, body region 14 and drain regions 12 and 13 (including a long drain extension) in a silicon pillar. do.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gates 17a and 17b can regulate the channel in the body region 14 and can control the conduction between the source regions 15a and 15b and the drain regions 12 and 13 . The potential of the body region 14 can be adjusted by the body contact 16. The HVFET 10 also has a field plate 18 that is separated from the silicon pillar by a field plate dielectric 19. The field plate 18 enables the breakdown voltage to be increased by distributing high voltage drops over the wider areas in the extended drain region (i. E., The dispersion of the electric fields).

본 개시는 전술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fabricating field plate dielectric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high voltage transistor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비한정적 및 비전면적 실시예들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다양한 도면들을 통해 유사한 부분들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10은 다양한 단계들에서의 퇴적 및 식각에 의한 테이퍼진 산화물의 형성을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23은 다양한 단계들에서의 두꺼운 산화물의 퇴적에 의한 테이퍼진 산화물의 형성을 나타낸다.
도 1은 필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예시적 HVFET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하드 마스크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트렌치의 식각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절연층 퇴적 및 식각의 제1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절연층 퇴적 및 식각의 제2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절연층 퇴적 및 식각의 제3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 공정에 따른 예시적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도전 물질을 수용하도록 준비된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다른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에 의해 형성된 상기 테이퍼진 영역 내에 퇴적된 도전 물질을 도시한다.
도 10은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을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도 11은 필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다른 예시적 HVFET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및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위한 트렌치 식각을 위한 마스크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13a 및 13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트렌치의 식각을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제1 절연층의 퇴적 및 마스크층으로 상기 절연층 내의 갭을 채우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5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마스크층의 식각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절연층의 등방성 식각을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마스크층의 식각의 제2 반복을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절연층의 등방성 식각의 제2 반복을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마스크층의 식각의 제3 반복을 도시한다.
도 20은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절연층의 식각 및 상기 마스크층의 식각을 수 회 더 반복한 이후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도시한다.
도 21은 덜 이상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도시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 공정에 따른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전 물질의 퇴적을 도시한다.
도 23은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의 형성을 위한 다른 예시적 공정을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Non-limiting and non-area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various vie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Figures 1 to 10 illustrate the formation of tapered oxide by deposition and etching in various steps. 11 to 23 show the formation of a tapered oxide by deposition of a thick oxide in various steps.
Figure 1 shows an exemplary HVFET with a field plate.
Figures 2A-2C illustrate the formation of a hard mask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s 3A and 3B illustrate etching of the trenches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Figures 4A and 4B illustrate a first cycle of insulation layer deposition and etching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5A and 5B illustrate a second cycle of insulation layer deposition and etch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s 6A and 6B illustrate a third cycle of insulation layer deposition and etching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Figure 7 illustrates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prepared to receive a conductive material to form an exemplary tapered field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igure 8 shows a cross section of another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with another profile.
Figure 9 shows a conductive material deposited in the tapered region formed by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to form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 10 shows a flowchart for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 11 shows another exemplary HVFET structure with a field plate.
12A and 12B illustrate the formation of a trench field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and a mask for trench etch for a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s 13A and 13B illustrate etching of the trenches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FIGS. 14A and 14B illustrate depositing a first insulating layer and filling a gap in the insulating layer with a mask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
15 illustrates etching of the mask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16A and 16B illustrate isotropic etching of the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Figures 17A and 17B illustrate a second iteration of etching the mask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s 18A and 18B illustrate a second iteration of the isotropic etching of the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s 19a and 19b illustrate a third iteration of etching the mask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 20 shows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after etching the insulating layer and etching the mask layer several more times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 21 shows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with a less ideal profile.
Figures 22A and 22B illustrate deposition of a conductive material used to form the tapered field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Figure 23 shows a flowchart for another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아래의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그러나, 특정한 세부사항이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채용될 필요는 없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본 발명의 모호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의 물질들 및 방법들은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는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pecific details need not necessarily be employed to practice the invention.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materials and method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를 통하여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하나의 예시", 또는 "일 예시"에 대한 인용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와 연결되어 설명된 특정한 피쳐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다양한 위치들에서 문구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예시", 또는 "일 예시"의 등장은 필수적으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특정한 피쳐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 및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결합들 및/또는 서브결합들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특정한 피쳐들, 구조물 또는 특성들은 집적 회로, 전자 회로, 조합 논리 회로, 또는 상기 설명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부품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도면들은 당업자들에게 설명 목적으로 제공되며 도면들이 필수적으로 비율에 맞춰 그려지지는 않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one embodiment "," one embodiment ", "one example ", or" an example "refers to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or characteristic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r example Quot;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appearances of the phrases "in one embodiment," in one embodiment, "an example," or "an example, " It is not pointing.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structures, or characteristics may be combined within any suitable combinations and / or sub-combinations in one or more embodiments and examples. Certain features, structures, or characteristics may be included within an integrated circuit, an electronic circuit, a combinatorial logic circuit, or other suitable components that provide the functionalit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gure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at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은 필드 플레이트(18)의 깊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인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19)를 구비하는 필드 플레이트(18)를 도시한다. 신뢰성 있는 장치를 최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이는 연장된 드레인 영역(13)을 따라 일정한 전계를 유지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정한 전계 필라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장된 드레인 영역(13)을 위한 경사형(graded) 도핑 프로파일이 필수적일 수 있다. 특히, 드레인 영역(13)의 경사형 도핑은 VTS 장치(10)의 표면에 접근할수록, 상기 깊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VTS 장치(10)가 최대 항복 전압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VTS 장치(10)가 연장된 드레인 영역(13) 및 산화물(19) 사이에서 공핍(deplete)될 수 있다. 그러나, 경사형 도핑 프로파일을 갖는 것의 한 가지 단점은 VTS 장치(10)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더 낮은 도핑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이는 더 높은 고유 저항(specific resistance) 및 감소된 효율을 유발할 수 있다.1 shows a field plate 18 having a field plate dielectric 19 with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long the depth of the field plate 18. As shown in Fig.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device optimally, it may be suitable to maintain a constant electric field along the extended drain region 13.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field filament, a graded doping profile for the extended drain region 13 may be necessary. In particular, the tapered doping of the drain region 13 can be progressively reduced along the depth as it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VTS device 10. [ In this manner, the VTS device 10 can be depleted between the extended drain region 13 and the oxide 19, so that the VTS device 10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maximum breakdown voltage. However, one disadvantage of having a graded doping profile is that it may have a lower doping nearer the surface of the VTS device 10, which may result in higher specific resistance and reduced efficiency.

도면들에 도시되고 아래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두께는 상기 장치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상기 산화물 두께는 상기 표면에서 최소이고, 바닥부에 도달할 때까지 장치(10)의 깊이를 따라 증가하며, 이는 VTS 장치(10)의 표면 근처에서 연장된 드레인 영역(13)의 증가된 도핑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로, VTS 장치(10)의 고유 저항은 3 내지 4 배의 인자(factor)로 감소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고유 온 저항(specific on-resistance)은 VTS 장치(10)의 상기 드레인 및 소스 사이는 실질적으로 0 V일 때의 물질 및 반도체의 설계에 기초한 본질적인 저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유 저항은 감소되어 상기 소자가 전도성일 때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의 달라지는 두께는 테이퍼(taper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핑의 일정한 분포가 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the field plate dielectric thickness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device. In particular, the oxide thickness is minimal at the surface and increases along the depth of the device 10 until it reaches the bottom, which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drain region 13 extending near the surface of the VTS device 10 Thereby enabling doping. As a result, the resistivity of the VTS device 10 can be reduced by a factor of three to four times. In one example, the specific on-resistance can be defined as an intrinsic resistance based on the design of the material and the semiconductor when the drain and source of the VTS device 10 are substantially at 0 V. [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resistivity may be reduc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device is conductive. In one example, the varying thickness of the field plate dielectric may be achieved by tapering. In this way, a constant distribution of doping can be achieved.

반도체 기판 내에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이 아래에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 공정은 쇼트키 다이오드들(Schottky diodes), HVFET들, JFET, IGBT,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bipolar transistors) 및 동류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형성하는 공정들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제조는 상기 예시적 공정의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된다.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 공정은 하나의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제조를 참조로 설명된다. 그러나, 기판의 오직 일부분만이 도면들 내에서 도시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들을 갖는 필드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많은 장치들(예를 들어, HVFET들)이 기판을 가로질러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An exemplary process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within a semiconductor substrate is described below. This exemplary process may be useful in processes that form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Schottky diodes, HVFETs, JFETs, IGBTs, bipolar transistors, and the like.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fabrica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various steps of the exemplary process. For ease of discussion, an exemplary proc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abrication of one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only a portion of the substrate is shown in the figures. In practice, many devices (e.g., HVFETs) having field plates with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may be formed across the substrate in parallel.

도 2a는 웨이퍼(202), 보호층(protective layer)(204) 및 마스크층(206)을 포함하는 기판(200)을 도시한다. 웨이퍼(202)는 예를 들어 실리콘, 실리콘 카바이드, 다이아몬드, 갈륨 비소(gallium arsenide), 알루미늄 갈륨 비소(aluminum gallium arsenide), 인듐 포스파이드(indium phosphide), 갈륨 질화물(gallium nitride) 및 동류물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202)는 또한 헤테로구조(hetero structure)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다른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202)는 또한 베이스 웨이퍼 상측 상에 성장한 다른 층들(예를 들어, 에피택셜 성장한 층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웨이퍼(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웨이퍼(202)는 700 내지 1000 ㎛의 두께일 수 있다.2A shows a substrate 200 that includes a wafer 202, a protective layer 204, The wafer 20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silicon, silicon carbide, diamond, gallium arsenide, aluminum gallium arsenide, indium phosphide, gallium nitride,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e wafer 202 may also be formed of a number of different materials to form a hetero structure. The wafer 202 may also be formed of a base wafer (e.g., a silicon wafer) having other layers (e.g., epitaxially grown layers) grown on top of the base wafer. In one example, the wafer 202 may be 700 to 1000 microns thick.

도시된 것과 같이, 공정 동안의 결함들 및 손상으로부터 웨이퍼(202)의 표면을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층(204)이 웨이퍼(202)의 표면 상에 퇴적된다. 보호층(204) 및 마스크층(206)은 예시적 공정의 다양한 변형예들 내에서 선택적일 수 있다. 더욱 단순한 공정에서, 테이퍼진 산화물은 마스크층(206) 없이 형성될 수 있고, 실리콘 필라 자체가 상기 산화물을 위한 하드 마스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웨이퍼(202)를 위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예시적 공정의 변형예들에서, 보호층(204)은 예를 들어 약 200Å의 두께를 갖는 열적으로 성장한 산화물일 수 있다. As shown, a protective layer 204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202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wafer 202 from defects and damage during processing. The protective layer 204 and the mask layer 206 may be optional within the various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In a simpler process, a tapered oxide may be formed without the mask layer 206, and the silicon pillar itself may be used as a hard mask for the oxide. In an exemplary process variation using a silicon wafer for the wafer 202, the protective layer 204 may be a thermally grown oxide having a thickness of, for example, about 200 angstroms.

마스크층(206)은 하드 마스크(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질화물 및 동류물)일 수 있다. 마스크층(206)은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절연 물질과 다른 식각 특성들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마스크층(206)을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와 다른 식각 특성들을 갖도록 선택함에 의해, 마스크층(206)에 대하여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물질의 높은 선택비를 갖는 식각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마스크층(206)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의 형성 과정 내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이 마스크층(206)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물질이 산화물일 것이라면, 산화물 대 실리콘의 식각 선택비가 10:1 또는 20:1인 식각 레시피(recipe)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일 예시에서, 마스크층(206)은 약 2 내지 5 ㎛ 두께일 수 있으나, 상기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물질의 식각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식각 레시피의 선택비에 따라 다른 두께들도 가능할 수 있다.Mask layer 206 may be a hard mask (e.g., polysilicon, nitride, and the like). Mask layer 206 may be selected to have etch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nsulating material to be used to form the field plate dielectric. By choosing the mask layer 206 to have etch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the field plate dielectric, an etch with a high selectivity of the field plate dielectric material for the mask layer 206 may be used, To be used throughou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For example, polysilicon may be used for the mask layer 206. If the field plate dielectric material would be an oxide, it would be possible to choose an etch recipe with an oxide to silicon etch selectivity ratio of 10: 1 or 20: 1. In one example, the mask layer 206 may be about 2 to 5 占 퐉 thick, but other thicknesses may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selectivity of the etch recipe used for etching the field plate dielectric material.

도 2b는 상기 반도체 장치가 위치할 상기 실리콘 필라에 인접한 상기 트렌치 및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하여 마스크층(208)이 퇴적되고 패터닝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이러한 필라들은 대략 마스크층(208)의 잔류 부분들 아래에 위치할 것이다). 마스크층(208)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이다. 다른 예시에서, 보호층(204) 및 마스크층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포토레지스트층이 실리콘 웨이퍼(202)의 표면 상에 직접 퇴적될 수 있다. Figure 2B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mask layer 208 has been deposited and patterned to define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field plate dielectric adjacent to the silicon pillar where the semiconductor device will be located Will be located below the remaining portions of mask layer 208). Mask layer 208 is a photoresist mask. In another example, a protective layer 204 and a mask layer may not be used, and a photoresist layer may be deposi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silicon wafer 202.

도 2c는 마스크층(208)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상기 트렌치가 식각될 영역 내의 웨이퍼(202)의 표면을 노출하기 위하여 마스크층(206) 및 보호층(204)이 식각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웨이퍼(202)의 노출된 부분은 dEXPOSED이며, 약 10 내지 12 ㎛ 폭일 수 있다.Figure 2c illustrate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mask layer 206 and the protective layer 204 are etched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wafer 202 in the area to be etched, ). In one example, the exposed portion of the wafer 202 is d EXPOSED and may be about 10 to 12 micrometers wide.

도 3a는 트렌치(302)가 형성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딥 반응성 이온 식각(deep reactive ion etch, DRIE) 단계가 사용되고, 이는 트렌치(302)의 측벽들(306) 상에 부채꼴들(scallops)(304)의 형성을 유발한다. 트렌치(302)는 깊이(308)까지 식각될 수 있고, 이는 일 예시에서 약 60 ㎛ 깊이일 수 있다. 트렌치(302)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채꼴들을 형성하지 않는 다른 식각 기술들도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Figure 3A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trenches 302 are formed. In one example, a deep reactive ion etch (DRIE) step is used which causes the formation of scallops 304 on the sidewalls 306 of the trench 302. Trench 302 may be etched to depth 308, which may be about 60 占 퐉 deep in one example.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other etching techniques that do not form the sheds to form the trenches 302 may also be used.

도 3b는 마스크층(208)이 제거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마스크층(208)을 제거하는 것은 다양한 단계들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층(208)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라면, 플라즈마 애싱(plasma ashing)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질화물 또는 산화물이 사용된다면, 각각 인산(phosphoric acid) 또는 플루오르화 수소산(hydrofluoric acid) 식각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절연층(402)가 퇴적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연층들(402)을 포함한다. 대략 절연 물질의 두께 dDEP1이 수직(예를 들어 측벽들(306)) 및 수평 표면들(예를 들어 트렌치(302)의 바닥부 및 마스크층(206)의 상측 상에)인 노출된 표면들 상에 존재하도록 절연층(302) 퇴적을 위한 공정은 컨포말할 수 있다. 절연층(402)은 실리콘 이산화물(silicon dioxide), 실리콘 질화물, 보론 포스파이드 실리케이트 글래스(boron phosphide silicate glass, BPSG) 및 동류물일 수 있다. 저압 화학 기상 퇴적(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고밀도 플라즈마, 플라즈마 향상 화학 기상 퇴적(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동류물과 같은 공정들이 절연층(402)을 퇴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께 dDEP1는 공정들 내에서 온도, 시간 및 광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dDEP1은 대략 0.5 ㎛이다.Figure 3B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mask layer 208 has been removed. Removing mask layer 208 may be accomplished in various steps. For example, if mask layer 208 is a photoresist mask, a plasma ashing step may be used. In another example, if nitrides or oxides are used, a phosphoric acid or hydrofluoric acid etch step may be used, respectively. 4A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insulating layer 402 has been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plate dielectric includes one or more insulating layers 402. ( E. G. , Sidewalls 306) and horizontal surfaces (e. G. , On the bottom of the trench 302 and on top of the mask layer 206) The process for depositing the insulating layer 302 so as to be present on the insulating layer 302 may be conformed. The insulating layer 402 may be silicon dioxide, silicon nitride, boron phosphide silicate glass (BPSG), and the like. Processes such as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high density plasm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posit the insulating layer 402. The thickness d DEP1 can be determined in response to temperature, time and light within the processes. In another example, d DEP1 is approximately 0.5 [mu] m.

도 4b는 고도의 이방성 식각으로 절연층(402)의 두께 dETCH1를 식각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판의 수평 표면들이 수직 표면들보다는 실질적으로 더 식각된다. 예를 들어, 수직 대 수평의 식각비는 100 대 1일 수 있고, 이는 또한 식각의 방향성(directionality)으로도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 dETCH1은 수직 방향으로 4 ㎛의 거리일 수 있다. 절연층(402)의 식각 속도가 마스크층(206) 또는 웨이퍼(202)의 식각 속도보다 훨씬 높도록 절연층(402)을 식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각 레시피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식각 레시피의 선택비가 충분히 높다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내내 동일한 마스크층(206)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반도체 웨이퍼(202) 및 마스크층(206)을 위하여 동일한 물질이 사용된다면(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마스크), 절연층(402)을 식각하기 위한 상기 식각 레시피는 트렌치(302)의 바닥부에서 반도체 웨이퍼(202)의 상기 노출된 부분들 및 반도체 웨이퍼(202)의 상기 표면에서의 마스크층(206)에 대하여 절연층(402)의 물질을 위한 유사한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10:1 또는 20:1의 선택비가 사용될 수 있다.4B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etching the thickness d ETCH1 of the insulating layer 402 with a high degree of anisotropic etching.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surfaces of the substrate are substantially more etched than the vertical surfaces. For example, the vertical to horizontal etch ratio may be 100 to 1, which may also be known as the directionality of the etch. In one example, d ETCH1 may be a distance of 4 占 퐉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tch recipe used to etch the insulating layer 402 so that the etch rate of the insulating layer 402 is much higher than the etch rate of the mask layer 206 or the wafer 202 may be selected. If the etch recipe selection ratio is sufficiently high, the same mask layer 206 may be used throughout the process to form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In addition, if the same material is used for the semiconductor wafer 202 and the mask layer 206 (e.g., silicon wafer and polysilicon mask), the etch recipe for etching the insulating layer 402 may be removed from the trench 302, May have a similar selectivity for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402 relative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202 at the bottom of the semiconductor wafer 202 and the mask layer 206 at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202. For example, a selection ratio of at least 10: 1 or 20: 1 may be used.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표면들(예를 들어, 마스크층(202)의 상부 표면 및 트렌치(302)의 바닥 부분) 상의 절연층(402)의 부분들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dETCH1은 dDEP1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트렌치(302)의 측벽들(306) 상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표면들 상의 절연층(402)의 부분들은 대략 dETCH1까지, 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dETCH1보다 작은 양만큼 아래로 식각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수직 표면들 상의 절연층(402)의 상측 부분만이 제거되며(예를 들어, 트렌치(302) 내의 측벽들(306) 상의 절연층(402) 부분), 이는 dETCH1까지의 깊이에 비례한다.D ETCH1 is d DEP1 so that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402 on the horizontal surfaces (e.g., the top surface of the mask layer 202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trench 302) . However, as shown on the sidewalls 306 of the trench 302,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402 on the vertical surfaces may be etched down to approximately d ETCHl , or in some cases down to an amount less than d ETCHl will be. In other words,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402 on vertical surface is removed (e. G., Side walls 306, insulating layer 402 portion on the inside trench 302), the depth to which d ETCH1 It is proportional.

도 4a에는 부채꼴들(304)이 나타나지 않음에 주목한다. 상기 부채꼴들은 절연층(402)의 퇴적 이전에 트렌치(302)의 측벽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퍼(202)가 실리콘이라면, 상기 부채꼴들을 소모하기 위하여 열산화 단계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열 산화물을 제거하여 더 매끄러운 측벽을 남기기 위하여 산화물 제거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시적 공정의 변형예들에서, 상기 부채꼴들이 잔류할 수도 있다.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상기 부채꼴들은 사용되는 트렌치 식각 기술에 의하여 존재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부채꼴들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부채꼴들이 충분히 작을 수 있다.Note that the sectors 304 are not shown in FIG. 4A. The sectors may be removed from the sidewalls of the trench 302 prior to deposition of the insulating layer 402. For example, if the wafer 202 is silicon, a thermal oxidation step may be used to consume the sectors, and an oxide removal step may be used to remove the thermal oxide and leave a smoother sidewall. Alternatively, in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sectors may remain. In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sectors may not be present by the trench etch technique used, or the sectors may be sufficiently small such that the sectors are not apparent or significant.

도 5a는 기판(202) 상에 절연층(502)이 퇴적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절연층(502)은 절연층(402)이 이전에 제거되지 않았던 트렌치(302)의 측벽들(306) 상의 절연층(402) 상측 상에 퇴적될 수 있다. 대략 절연층(502)의 두께 dDEP2가 수직 및 수평 표면들 모두 상에 퇴적되도록 절연층(502)의 퇴적을 위한 공정은 컨포말할 수 있다. 절연층(502)은 절연층(402)과 동일한 기술로, 동일한 두께까지 퇴적된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하나의 대안예에서, 절연층(402)과는 대조적으로, 절연층(502)은 다른 기술로 퇴적된 다른 물질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거된 절연층(402)을 구비하지 않는 측벽들(306)의 부분들이 이제 대략 절연 물질의 총 두께 dDEP1 + dDEP2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트렌치(302)의 바닥부에서 노출된 웨이퍼(202)의 부분들은 절연 물질의 오직 대략 dDEP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절연층(402)의 두께 dDEP1는 절연층(502)의 두께 dDEP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예시에서, 절연층들(402, 502)의 두께(dDEP1, dDEP2)는 다르다. 5A shows the substrate 200 after the insulating layer 502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202. FIG. The insulating layer 502 may be deposited on top of the insulating layer 402 on the sidewalls 306 of the trench 302 where the insulating layer 402 was not previously removed. The process for depositing the insulating layer 502 such that the thickness d DEP2 of the insulating layer 502 is deposited o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can be conformed . The insulating layer 502 may be the same material deposited to the same thickness, with the same technique as the insulating layer 402. In one alternative, in contrast to the insulating layer 402, the insulating layer 502 may be another material deposited with another technique, or it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Portions of the sidewalls 306 without the removed insulating layer 402 may now have a total thickness d DEP1 + d DEP2 of approximately insulating material. However, portions of the wafer 202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trench 302 may have a thickness of only about d DEP2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 one example, the thickness d DEP1 of the insulating layer 40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d of the insulating layer DEP2 502. In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es d DEP1 , d DEP2 of the insulating layers 402, 502 are different.

도 5b는 이방성 식각으로(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로 논의한 것과 같이 절연층(402)을 식각하기 위하여 사용된 동일한 식각) 절연층(502)의 두께dETCH2 및 절연층(402)의 일부를 식각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특히, 마스크(206)의 측벽 상 및 트렌치(302)의 측벽 상의(절연층(402) 상의) 절연층(502) 상측 부분이 식각되었다. 이제 절연층(402) 필라 상에 절연층(502) 필라가 위치한다.5B shows the thickness d ETCH2 of the insulating layer 502 and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402 in anisotropic etching (e.g., the same etch used to etch the insulating layer 402 a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4B) The substrate 200 is etched. In particular, the upper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502 (on the insulating layer 402) on the sidewalls of the mask 206 and the sidewalls of the trenches 302 were etched. The insulator layer 502 pillars are now located on the insulator layer 402 pillars.

도 6a는 기판(202) 상에 절연층(602)이 퇴적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대략 절연 물질(602)의 두께 dDEP3이 수직 및 수평 표면들 모두 상에 퇴적되도록 절연층(602)을 퇴적하기 위한 공정은 컨포말할 수 있다. 절연층(602)은 절연층(402) 또는 절연층(502)과 동일한 기술로, 동일한 두께까지 퇴적된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대안예에서, 절연층(402) 또는 절연층(502)과 대조적으로, 절연층(602)은 다른 기술로 퇴적된 다른 물질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거된 절연층들(402, 502)을 구비하지 않는 측벽들(306)의 부분들은 이제 대략 절연 물질의 총 두께 dDEP1 + dDEP2 + dDEP3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트렌치(302)의 바닥부에서 노출되는 웨이퍼(202) 부분들은 오직 대략 절연 물질의 두께 dDEP3을 갖는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609)은 절연층(602)의 부분들만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물질은 dDEP3의 두께이다. 제2 영역(611)은 절연층(402, 602)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영역(601) 내의 측벽들(306)을 따른 절연 물질의 총 두께는 dDEP1 + dDEP3이다. 제3 영역(613)은 절연층(402, 502, 602)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영역(613) 내의 측벽들(306)을 따른 절연 물질의 총 두께는 dDEP1 + dDEP2 + dDEP3과 같다.6A shows a substrate 200 after an insulating layer 602 has been deposited on the substrate 202. FIG. A process for depositing the insulating layer 602 such that the thickness d DEP3 of the insulating material 602 is deposited o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may be conformed . The insulating layer 602 may be the same material deposited to the same thickness with the same technique as the insulating layer 402 or the insulating layer 502. [ In alternative embodiments, in contrast to the insulating layer 402 or the insulating layer 502, the insulating layer 602 may be another material deposited with other techniques, or it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The portions of the sidewalls 306 without the removed insulating layers 402 and 502 can now have a total thickness d DEP1 + d DEP2 + d DEP3 of approximately insulating material. However, portions of the wafer 202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trench 302 have only a thickness d DEP3 of approximately insulating material. As shown, the first region 609 includes only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602, and the insulating material is the thickness of d DEP3 . The second region 611 includes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402 and 602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along the sidewalls 306 in the region 601 is d DEP1 + d DEP3 . The third region 613 includes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402, 502 and 602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along the sidewalls 306 in the region 613 is equal to d DEP1 + d DEP2 + d DEP3 .

도 6b는 이방성 식각으로(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로 논의된 것과 같은 절연층(402)을 식각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식각) 절연층(602)의 두께 dETCH3(및 절연층(402) 및 절연층(502)의 일부)을 식각한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이제 절연층(502) 필라 상에 절연층(602) 필라가 위치하며, 절연층(502) 필라는 절연층(402) 필라 상에 위치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615)은 절연층(402)만을 포함하며, 제1 영역(615) 내의 절연 물질은 두께 dDEP1이다. 제2 영역(617)은 측벽(306)을 따라 절연층(402, 502)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영역(617) 내의 절연 물질의 총 두께는 dDEP1 + dDEP2이다. 제3 영역(619)은 절연층들(402, 502, 602)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영역(619) 내의 측벽들(306)을 따른 절연 물질의 총 두께는 dDEP1 + dDEP2 + dDEP3과 같다.6B shows the thickness d ETCH3 (and the insulating layer 402) of the insulating layer 602 in anisotropic etching (e.g., the same etch used to etch the insulating layer 402 a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4B) And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502) are etched. A pillar of insulating layer 602 is now located on the pillar of insulating layer 502 and a pillar of insulating layer 502 is located on the pillar of insulating layer 402. As shown, the first region 615 includes only the insulating layer 402, and the insulating material in the first region 615 has a thickness d DEP1 . The second region 617 includes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402 and 502 along the sidewall 306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 the region 617 is d DEP1 + d DEP2 . The third region 619 includes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s 402, 502 and 602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along the sidewalls 306 in the region 619 is d DEP1 + d DEP2 + d DEP3 same.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의 도면 세트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도시되고, 이들을 참조로 설명된 것과 같이 유전체를 퇴적하고 식각하는 공정은 트렌치(302)를 채우기 위해 필요한 만큼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퇴적 및 식각하는 단계의 9회의 사이클들이 도 7에 도시된 트렌치를 채우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9회의 사이클들은 전술한 절연층들(402, 502, 602) 및 절연층들(701-706)을 생성하는 6회의 추가적인 사이클들과 연관된다. 퇴적 두께들이 모두 대략 동일하고(예를 들어, dDEP1 = dDEP2 = dDEP3 = dDEPX), 식각 양들이 모두 대략 동일한(예를 들어, dETCH1 = dETCH2 = dETCH3 = dETCHX) 경우들에서,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기울기(m OX)가 dETCHX/dDEPX에 의해 근사될 수 있다.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etching the dielectric, as illustrated in any one of the sets of figures of FIGS. 4A and 4B, 5A and 5B and 6A and 6B,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As many times as necessary it can be repe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nine cycles of the deposition and etching steps were used to fill the trench shown in FIG. Specifically, nine cycles are associated with six additional cycles to generate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layers 402, 502, 602 and insulating layers 701-706. If the deposition thicknesses are all approximately equal (e.g., d DEP1 = d DEP2 = d DEP3 = d DEPX ) and the etch quantities are all approximately equal (e.g., d ETCH1 = d ETCH2 = d ETCH3 = d ETCHX ) , The slope ( m OX )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can be approximated by d ETCHX / d DEPX .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상기 프로파일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두께들의 절연층들을 사용하고, 다른 양들의 절연층들을 식각함에 의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프로파일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프로파일은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따라 다수의 다른 기울기들을 가질 것이다. In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profile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by using insulating layer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of different amounts, the profile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can be adjusted. In one example, the profile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will have a number of different slopes along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은 각각의 퇴적/식각 사이클을 표현하는 하나의 단차를 구비하는 잘 정의된 단차들(well-defined steps)을 갖도록 도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잘 정의된 단차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프로파일은 더욱 선형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프로파일과 같이 이상적이지는 않은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를 위한 프로파일의 다른 예시를 갖는 기판(800)을 도시한다.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are shown having well-defined steps with one step representing each deposition / etch cycl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practice, well-defined steps may not exist. For example, the profile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may have a more linear shape. FIG. 8 illustrates a substrate 800 having another example of a profile for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that is not ideal, such as the profile shown in FIG.

도 9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710)에 의해 채워지지 않은 트렌치(302)의 나머지(표시되지 않음)를 채우는 도전 물질(902)의 퇴적 이후의 기판(200)을 도시한다. 도전 물질(902)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금속 및 동류물과 같은 임의의 수의 물질들일 수 있다. 도전 물질(902)을 위하여 반도체를 사용한다면, 도전 물질(902)은 이들이 퇴적될 때 인시츄(in-situ) 도핑될 수 있다. 도전 물질(902)의 상측은 이후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또는 에치백(etch-back) 단계를 사용하여 평탄화될 수 있다. 이후 전기적 콘택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도전 물질(902)의 잔류 부분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9 illustrates substrate 200 after deposition of a conductive material 902 that fills the rest (not shown) of trenches 302 that are not filled by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710. The conductive material 902 can be any number of materials, such as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metal, and the like. If a semiconductor is used for the conductive material 902, the conductive material 902 may be in-situ doped when they are deposited. The top side of the conductive material 902 may then be planarized us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or an etch-back step. Electrical contact may then be forme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902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일단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및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가 형성되면, 반도체 장치 제조 플로우들은 기판(200)의 활성 영역들(예를 들어 실리콘 필라들(904, 906)) 내에 능동 장치들(active devices)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TS HVFET 공정은 실리콘 필라들(904, 906) 내에 HVFET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Once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and the tapered field plate are formed, the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flows may include active devices in the active regions (e.g., silicon pillars 904, 906)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 VTS HVFET process may be used to form HVFETs in the silicon pillars 904, 906.

도 10은 반도체 기판 내에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1000)(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전술한 예시적 공정과 유사한)을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단계(1002)에서, 실리콘 웨이퍼가 얻어진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는 예를 들어 실리콘의 에피택셜하게 성장한 층들로 생성되는 다른 도핑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04)에서, 공정 손상 및 잔해(debris)로부터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화물의 박막이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 상에 성장한다. 단계(1006)에서, 폴리실리콘 하드 마스크가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하드 마스크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과정 내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실리콘에 대하여 산화물(또는 다른 절연 물질들)을 식각하는 데 높은 선택비를 제공하는 식각 레시피들이 이미 가능할 수 있으므로, 폴리실리콘은 상기 하드 마스크를 위하여 선호될 수 있다. 단계(1008)에서, 상기 하드 마스크는 포토리소그래피 단계를 사용하여 이후 패터닝되고 식각된다(예를 들어,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는 이제 경사진 필드 플레이트를 위한 트렌치가 식각될 영역을 정의한다. 단계(1010)에서, DRIE 공정(또는 Bosch 식각)이 상기 경사진 필드 플레이트를 위한 상기 트렌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수행된다(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한다). 예시적 공정(1000)의 일부 변형예들에서, 단계들(1008, 1010)은 하나의 단계로 조합될 수 있다. 단계(1012)에서, 단계들(1008, 1010)로부터 잔류하는 임의의 포토레지스트가 플라즈마 애싱 단계로 제거된다(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한다). 단계(1014)에서, 산화물 층이, 단계(1010)에서 형성된 상기 트렌치의 상기 측벽들 및 바닥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의 수직 및 수평 표면들 상에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4a,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한다). 단계(1016)에서, 단계(1014)에서 퇴적된 상기 산화물의 일정 두께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방성 식각이 수행된다(예를 들어, 도 4b,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한다). 상기 식각이 이방성(즉, 실질적으로 이방성)이기 때문에, 상기 웨이퍼의 수평 표면들 상의 상기 산화물은 완전히 제거되는 한편, 수직 측면들 상의 상기 산화물의 최상부만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트렌치의 상기 측벽들 상에 퇴적된 상기 산화물 대부분이(예를 들어, 상기 최상부를 제외한 상기 측벽들 상의 상기 산화물 모두) 잔류할 것이다. 단계(1018)에서,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상기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트렌치가 산화물로 충분히 채워졌는지 여부가 결정된다(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이는 수행되었던 산화물 퇴적/식각 사이클들의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단계들(1014, 1016)의 사이클들은 상기 산화물 식각 단계(1016) 이후에 상기 트렌치의 중앙 바닥부 내에 산화물의 문턱 두께가 잔류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일단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가 상기 트렌치 내에 형성된다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폴리실리콘이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한다). 상기 필드 플레이트 및 상기 웨이퍼의 상기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coplanar) 위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탄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단계(1022)에서, 상기 경사진 필드 플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트렌치에 인접한 상기 실리콘 필라 내에 HVFET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공정 플로우가 수행된다. FIG. 10 shows a flowchart for an exemplary process 1000 (similar to the exemplary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9)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In step 1002, a silicon wafer is obtained. The silicon wafer may comprise other doped layers, for example, produced with epitaxially grown layers of silicon. At step 1004, a thin film of oxide is grown on the surface of the silicon wafer to form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the silicon wafer from process damage and debris. At step 1006, a polysilicon hard mask is deposited (e.g., see FIG. 2A). The polysilicon hard mask may be used throughout the formation of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surrounding the tapered field plate. Polysilicon may be preferred for the hard mask since etch recipes that provide a high selectivity for etching the oxide (or other insulating materials) against the polysilicon may already be possible. In step 1008, the hard mask is then patterned and etched using a photolithography step (see, e.g., FIGS. 2B and 2C). The hard mask now defines the area to be etched for the trench for the tilted field plate. In step 1010, a DRIE process (or Bosch etch) is performed to define the trench for the tilted field plate (e.g., see FIG. 3A). In some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1000, steps 1008 and 1010 may be combined in one step. At step 1012, any photoresist remaining from steps 1008, 1010 is removed to the plasma ashing step (e.g., see FIG. 3B). In step 1014, an oxide layer is deposited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sidewalls and bottom of the trench formed in step 1010 (e.g., FIGS. 4A, 5A, 6A). At step 1016, an anisotropic etch is performed to remove a constant thickness of the oxide deposited at step 1014 (see, e.g., Figures 4b, 5b, and 6b). Because the etch is anisotropic (i.e., substantially anisotropic), the oxide on the horizontal surfaces of the wafer is completely removed, while only the top of the oxide on the vertical sides is removed. Thus, most of the oxide deposited on the sidewalls of the trench will remain (e. G., All of the oxides on the sidewalls except the top). At step 10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rench is sufficiently filled with oxide to accommodate the material forming the tapered field plate (e.g., see FIG. 7). For example, thi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oxide deposition / etch cycles that have been performed. As another example, the cycles of steps 1014 and 1016 may be repeated after the oxide etch step 1016 until the threshold thickness of the oxide remains within the center bottom of the trench. In step 1020, once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is formed in the trench, polysilicon is deposited in the trench to form the tapered field plate (see, e.g., FIG. 9). A planarization step may be needed to ensure that the field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wafer are coplanar. In step 1022, a semiconductor process flow is performed to form the HVFET in the silicon pillar adjacent to the trench containing the tilted field plate.

예시적 공정(1000)이 특정한 물질들 및 층들을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일부 층들은 선택적일 수 있으며, 상기 웨이퍼 및 층들의 물질들이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process 100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materials and lay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ome layers may be optional and the materials of the wafers and layers may vary.

도 11은 웨이퍼(N+ 기판)(1110) 상에 형성된 예시적 VTS HVFET(1100)을 도시한다. VTS HVFET(1100)은 소스 영역들(1150, N+), 바디 영역(1140, P 바디), 및 실리콘 필라 내의 긴 드레인 연장부를 포함하는 N 연장된 드레인 영역(1130)을 포함한다. 게이트들(1170)에 인가된 포텐셜은 바디 영역(1140) 내의 채널을 조절할 수 있고, 소스 영역들(1150) 및 드레인 영역들 사이의 전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HVFET(1100)는 또한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1190, 산화물)에 의해 상기 실리콘 필라로부터 분리된 필드 플레이트(1180)를 포함한다. 필드 플레이트(1180)는 상기 연장된 드레인 영역 내에서 더 넓은 면적들 상으로 높은 전압 강하들을 분산시킴(즉, 전계들을 분산시킴)에 의해 항복 전압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FIG. 11 illustrates an exemplary VTS HVFET 1100 formed on a wafer (N + substrate) 1110. The VTS HVFET 1100 includes an N extended drain region 1130 that includes source regions 1150, N +, body region 1140, P body, and a long drain extension in the silicon pillar.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gates 1170 can regulate the channel in the body region 1140 and control the conduction between the source regions 1150 and the drain regions. The HVFET 1100 also includes a field plate 1180 separated from the silicon pillar by a field plate dielectric 1190 (oxide). Field plate 1180 enables an increase in breakdown voltage by dispersing high voltage drops (i.e., distributing electric fields) over larger areas within the extended drain area.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1190)는 필드 플레이트(1180)의 깊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이다. 신뢰성 있는 장치를 최적화하여 개발하기 위하여, 연장된 드레인 영역(1130)을 따라 일정한 전계를 유지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일정한 전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장된 드레인 영역(1130)을 위한 경사형 도핑 프로파일이 필수적일 수 있다. 특히, 드레인 영역(1130)의 경사형 도핑은 VTS 장치(1100)의 상기 표면에 접근할수록 상기 깊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VTS 장치(1100)가 최대 항복 전압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VTS 장치(1100)는 상기 연장된 드레인 영역(1130) 및 산화물(1190) 사이에서 공핍될 수 있다. 그러나, 경사형 도핑 프로파일을 갖는 것의 한가지 단점은 VTS 장치(1100)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더 낮은 도핑을 갖는다는 점일 수 있으며, 이는 더 높은 고유 저항 및 감소된 효율을 유발할 수 있다.The field plate dielectric 1190 i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long the depth of the field plate 1180. In order to optimize and develop a reliable device, it may be appropriate to maintain a constant electric field along the extended drain region 1130.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electric field, a graded doping profile for the extended drain region 1130 may be necessary. In particular, the oblique doping of the drain region 1130 may progressively decrease along the depth as it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VTS device 1100. In this way, the VTS device 1100 can be depleted between the extended drain region 1130 and the oxide 1190 to enable the VTS device 1100 to support the maximum breakdown voltage. However, one disadvantage of having a graded doping profile is that it has lower doping nearer the surface of the VTS device 1100, which may result in higher resistivity and reduced efficiency.

도 12a는 웨이퍼(1202)를 포함하는 기판(1200)을 도시한다. 웨이퍼(1202)는 예를 들어 실리콘, 실리콘 카바이드, 다이아몬드, 갈륨 비소, 알루미늄 갈륨 비소, 인듐 포스파이드, 갈륨 질화물 및 동류물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1202)는 또한 헤테로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다른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1202)는 또한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측 상에 성장한 다른 층들(예를 들어, 에피택셜하게 성장한 층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웨이퍼(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12A shows a substrate 1200 that includes a wafer 1202. The wafer 1202 may be formed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silicon, silicon carbide, diamond, gallium arsenide, aluminum gallium arsenide, indium phosphide, gallium nitride, and the like. The wafer 1202 may also be formed of a number of different materials to form a heterostructure. Wafer 1202 may also be formed of a base wafer (e.g., a silicon wafer) having other layers (e.g., epitaxially grown layers) grown on top of the silicon wafer.

도 12b는 상기 반도체 장치가 위치할 상기 실리콘 필라에 인접한 상기 트렌치 및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마스크층(1204)이 퇴적되고 패터닝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하며, 상기 위치는 대략 마스크층(1204)의 잔류 부분들 아래이다. 마스크층(1204)은 하드 마스크 또는 소프트 마스크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소프트 마스크는 포토레지스트층일 수 있다. 예시적 공정의 일부 변형예들에서, 마스크층(1204)의 퇴적 및 패터닝 이전에 웨이퍼(1202)의 표면 상에 보호층이 퇴적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공정 과정에서의 결함들 및 손상으로부터 웨이퍼(1202)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만약 예시적 공정이 보호층을 사용하지 않는다면(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웨이퍼(1202) 표면이 연관되는 다른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웨이퍼(1202)의 표면으로부터 손상을 제거하거나 또는 결함들을 세정하기 위하여 복구 단계(restoration step)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퍼(1202)를 위하여 실리콘 웨이퍼가 사용된다면, 보호층(도시되지 않음)은 예를 들어 약 200 Å의 두께로 열적으로 성장한 산화물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마스크층(1204) 부분은 1 내지 3 ㎛의 길이 dMSEG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2B shows the substrate 1200 after the mask layer 1204 has been deposited and patterned to define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field plate dielectric adjacent to the silicon pillar where the semiconductor device will be located, Is below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mask layer 1204. Mask layer 1204 can be a hard mask or a soft mask. In one example, the soft mask may be a photoresist layer. In some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a protective layer may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1202 prior to deposition and patterning of the mask layer 1204. The protective layer may protect the surface of the wafer 1202 from defects and damage in the process. If the exemplary process does not use a protective layer (as shown in FIG. 12B), it may be desirable to remove the damage from the surface of the wafer 1202 prior to performing another process where the wafer 1202 surface is associated, A restoration step can be used to clean. For example, if a silicon wafer is used for the wafer 1202, the protective layer (not shown) may be a thermally grown oxide, for example, to a thickness of about 200 ANGSTROM. In one example, the portion of mask layer 1204 may have a length d MSEG of 1 to 3 占 퐉.

도 13a는 트렌치(1302)가 형성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딥 반응성 이온 식각(DRIE) 단계가 사용되고, 이는 트렌치(1302)의 측벽들(1306) 상에 부채꼴들(1304)의 형성을 유발한다. 트렌치(1302)는 깊이 dETCH(1308)까지 식각될 수 있고, 이는 일 예시에서 약 60 ㎛ 깊이일 수 있다. 부채꼴들을 형성하지 않는 다른 식각 기술들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13A shows a substrate 1200 after the trenches 1302 are formed. In one example, a deep reactive ion etching (DRIE) step is used,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recesses 1304 on the sidewalls 1306 of the trench 1302. Trench 1302 may be etched to depth d ETCH 1308, which may be about 60 占 퐉 deep in one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tch techniques that do not form sectors may also be used.

도 13b는 마스크층(1204)이 제거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마스크층(1204)을 제거하는 것은 다양한 단계들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층(1204)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라면, 플라즈마 애싱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만약 질화물 또는 산화물이 마스크층(1204)을 위하여 사용된다면, 각각 인산 또는 플루오르화 수소산 식각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13B shows the substrate 1200 after the mask layer 1204 has been removed. Removing the mask layer 1204 can be accomplished in various steps. For example, if mask layer 1204 is a photoresist mask, a plasma ashing step may be used. In another example, if nitrides or oxides are used for the mask layer 1204, a phosphoric acid or hydrofluoric acid etch step may be used, respectively.

도 14a는 절연층(1402)이 퇴적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대략 절연 물질의 두께 d1이 수직 측벽들(1306), 트렌치(1302)의 상기 바닥부 및 실리콘 필라들(1407)의 상측 상에 존재하도록 절연층(1402)의 퇴적을 위한 공정은 컨포말할 수 있다. 절연층(1402)은 또한 갭(1404)을 형성할 것이다. 절연층(1402)은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보론 포스파이드 실리케이트 글래스 및 동류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저압 화학 기상 퇴적, 고밀도 플라즈마,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퇴적 및 동류물과 같은 공정들이 절연층(1402)을 퇴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d1은 0.5 ㎛ 및 10 ㎛ 사이일 수 있고, 갭(1404)은 대략 가로질러 10 ㎛일 수 있다. 14A shows a substrate 1200 after the insulating layer 1402 has been deposited. The process for depositing the insulating layer 1402 such that the thickness d 1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approximately on the vertical sidewalls 1306, the bottom of the trenches 1302 and the top of the silicon pillars 1407, . The insulating layer 1402 will also form a gap 1404. The insulating layer 1402 may include silicon dioxide, silicon nitride, boron phosphide silicate glass, and the like. Processes such as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high density plasm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posit the insulating layer 1402. In one example, d 1 may be between 0.5 μm and 10 μm, and gap 1404 may be approximately 10 μm across.

부채꼴들(1304)이 도 14a에는 나타나지 않음에 주목한다. 부채꼴들은 절연층(1402)의 퇴적 이전에 트렌치(1302)의 측벽들(130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퍼(1202)가 실리콘이라면, 상기 부채꼴들을 소모하기 위하여 열 산화 단계가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매끄러운 측벽을 남기며 상기 열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화물 제거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시적 공정의 변형예들에서, 상기 부채꼴들은 잔류할 수 있다.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사용되는 트렌치 식각 기술에 의해 상기 부채꼴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거나, 상기 부채꼴들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부채꼴들이 충분히 작을 수 있다.Note that the sectors 1304 are not shown in FIG. 14A. The sectors may be removed from the sidewalls 1306 of the trenches 1302 prior to the deposi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For example, if wafer 1202 is silicon, a thermal oxidation step may be used to consume the sectors, and an oxide removal step may be used to remove the thermal oxide leaving smoother sidewalls. Alternatively, in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sectors may remain. In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sectors may not be present due to the trench etch technique used, or the sectors may be sufficiently small such that the sectors are not apparent or significant.

도 14b는 필 마스크층(fill mask layer)(1406)이 기판(1200) 상에 퇴적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필 마스크층(1406)의 두께 d2는 갭(1404)이 완전히 채워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마스크층(1406)은 갭(1404)을 완전히 채우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절연층(1402) 및 필 마스크층(1406)의 허술함(loafing)의 가능성에 의해, 갭(1404)의 부분이 채워지지 않은 채(도시되지 않음) 갭(1404)이 버려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필 마스크층(1406) 물질에 대한 절연층(1402) 물질의 식각에 있어서 상당히 선택적인 식각 레시피가 가능하도록 필 마스크층(1406)의 물질은 절연층(1402) 물질과 비교할 때 다른 식각 특성들을 가져야만 한다. 예를 들어, 절연층(1402)이 산화물이라면, 마스크층(1406)은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14B shows a substrate 1200 after a fill mask layer 1406 has been deposited on the substrate 1200. FIG. The thickness d 2 of the fill mask layer 1406 can be selected to ensure that the gap 1404 is completely filled. In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mask layer 1406 may not fill the gap 1404 completely. In particular, due to the possibility of loafing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the fill mask layer 1406, the gap 1404 may be discarded (not shown) with portions of the gap 1404 unfilled. In one example, the material of the fill mask layer 1406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material to enable a highly selective etch recipe for the etch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material for the fill mask layer 1406 material. It must have etch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f insulating layer 1402 is an oxide, mask layer 1406 may be polysilicon.

도 15는 절연층(1402)의 상면 및 절연층(1406)의 측벽들의 부분으로부터 필 마스크층(1406)을 제거하여 갭(1404)의 부분(영역(1502)에 의해 표현되는)을 재생성하기 위하여 마스크층(1406)이 평탄화된 식각을 겪은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도 15는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절연층(1402)의 식각 및 필 마스크(1406)의 식각의 교대 사이클들이 진행되기 이전의 기판(1200)의 출발점을 도시한다. 15 illustrates a method of removing the fill mask layer 1406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portions of the sidewalls of the insulating layer 1406 to regenerate a portion of the gap 1404 (represented by region 1502) And substrate 1200 after mask layer 1406 underwent a planarized etch. In one example, FIG. 15 illustra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substrate 1200 prior to the alternating cycles of etching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etching of the fill mask 1406 to create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도 16a 및 도 16b는 절연층(1402)의 양(e 1)이 등방성 식각되기 전 및 후의 기판(1200)을 도시하며, 상기 등방성 식각은 상기 식각이 일어나는 상기 표면의 기울기에 무관하게 대략 동일한 양의 물질이 식각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수평 표면들로부터 식각되는 절연층(1402)의 양은 수직 표면들로부터 식각되는 절연층(1402)의 양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식각의 등방성 속성은 상기 식각 동안에 도 16a 및 도 16b로부터 제거된 절연층(1402)의 양을 근사화하는 선(1602)에 의해 도시된다. 선(1602)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듯이, 제거된 절연 물질의 두께(e 1)는 절연층(1402)의 표면을 가로질러 대략 일정하다. 만약 절연층(1402)을 위한 상기 식각이 적절하게 선택되어, 상기 식각이 필 마스크층(1406)에 대하여 절연층(1402)이 높은 선택비를 가지도록 선택된다면, 마스크층(140)의 매우 작은 양이 식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절연층(1402)이 산화물이고, 필 마스크층(1406)이 폴리실리콘이라면, 이러한 등방성 식각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용액 플루오르화 수소산 내에서의 식각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영역(1502)에 인접한 절연층(1402)의 측벽들이 노출되었기 때문에, 영역(1502)의 폭은 대략 2 × e 1만큼 증가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16A and 16B illustrate a substrate 1200 before and after the amount e 1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is isotropically etched, wherein the isotropic etching is carried out in an approximately equal amount Of the material is etched.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etched from the horizontal surfaces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etched from the vertical surfaces. The isotropic property of the etch is shown by line 1602 which approximates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removed from FIGS. 16A and 16B during the etch. As can be observed from line 1602, the thickness e 1 of the removed insulating material is approximately constant across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If the etch for the insulating layer 1402 is appropriately selected such that the insulating layer 1402 is selected to have a high selectivity relative to the etched fill mask layer 1406, The amount should be etched. For example, if the insulating layer 1402 is an oxide and the fill mask layer 1406 is polysilicon, an etching step in aqueous solution hydrofluoric acid may be used to effect this isotropic etching. Note that since the sidewall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djacent to the region 1502 are exposed, the width of the region 1502 h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2 x e 1 .

도 17a 및 도 17b는 필 마스크층(1406)의 두께(e 2)가 식각되기 전 및 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필 마스크층(1406)을 식각함에 의해, 새로 노출된 절연층(1402)의 측벽들에 의해 정의된 영역(1702)은 영역(1502) 아래에 형성된다. 영역(1702)이 영역(1502)보다 더 좁고, 영역(1702) 및 영역(1502)의 최초 폭이 모두 갭(1404)(도 14a)의 폭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처음 형성되었을 때(도 15를 참조) 영역(1502)이 가졌던 것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진다. 17A and 17B show a substrate 1200 before and after the thickness e 2 of the fill mask layer 1406 is etched. By etching the fill mask layer 1406, a region 1702 defined by the sidewalls of the newly exposed insulating layer 1402 is formed below the region 1502. When the region 1702 is initially formed because it is narrower than the region 1502 and the original widths of the region 1702 and the region 1502 are both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gap 1404 (Fig. 14A) (See reference numeral 1502).

도 18a 및 도 18b는 절연층(1402)의 두께(e 3)이 등방성 식각되기 전 및 후의 기판(1200)을 도시하며, 상기 등방성 식각은 상기 식각이 일어나는 상기 표면의 기울기에 무관하게 대략 동일한 양의 물질이 식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수평 표면들로부터 식각되는 절연층(1402)의 양은 수직 표면들로부터 식각되는 절연층(1402)의 양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식각의 등방성 속성은 상기 식각 동안에 도 18a 및 도 18b로부터 제거된 절연층(1402)의 양을 근사화하는 선(1802)에 의해 도시된다. 선(1802)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듯이, 제거된 절연 물질의 양은 절연층(1402)의 표면을 가로질러 대략 일정하다. 만약 절연층(1402)을 위한 상기 식각이 적절하게 선택된다면, 마스크층(140)의 매우 작은 양이 식각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로 논의된 동일한 식각). 영역들(1502, 1702)에 인접한 절연층(1402)의 측벽들이 노출되었기 때문에, 영역(1502)의 폭은 대략 2 × e 3 이상만큼(또는 영역(1502)의 최초 폭으로부터 총 2 × e 3 + 2 × e 1) 성장하였고, 영역(1702)의 폭은 대략 2 × e 3만큼(또는 영역(1702)의 최초 폭으로부터 총 2 × e 3) 성장하였다. 다른 식으로 표현하면, 절연층(1402)의 내부 측벽 및 측벽(1306) 사이에 더 적은 절연층(1402) 두께(e 3)가 존재한다. Figure 18a and 18b,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e 3) a shows the before and after the substrate 1200 is isotropic etching, the isotropic etching is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that the etching takes place Lt; / RTI > material to be etched.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etched from the horizontal surfaces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etched from the vertical surfaces. The isotropic properties of the etch are shown by line 1802 which approximates th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removed from FIGS. 18A and 18B during the etch. As can be seen from line 1802, the amount of insulating material removed is approximately constant across the surface of insulating layer 1402. [ If the etch for insulating layer 1402 is appropriately selected, a very small amount of mask layer 140 should be etched (e.g., the same etch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and 16B). Since the sidewall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djacent to the regions 1502 and 1702 are exposed, the width of the region 150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2 x e 3 (or a total of 2 x e 3 from the original width of the region 1502) + 2 x e 1 ), and the width of region 1702 has grown by about 2 x e 3 (or a total of 2 x e 3 from the initial width of region 1702). In other words, there is less insulating layer 1402 thickness e 3 between the inner sidewall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the sidewalls 1306.

도 19a 및 도 19b는 필 마스크층(1406)의 두께(e 4)를 식각하기 전 및 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필 마스크층(1406)을 식각함에 의해, 절연 물질(1402)의 새로 노출된 측벽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1902)이 영역들(1502, 1702) 아래에 형성된다. 영역(1902)은 영역(1702)보다 더 좁고, 영역들(1902, 1702, 1502)의 최초 폭이 모두 갭(1404)(도 14a)의 폭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영역(1902)은 영역들(1502, 1702)이 처음 형성되었을 때 가졌던 것(각각 도 15 및 도 17을 참조)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다.Figure 19a and Figure 19b illustrates the substrate 1200 before and after etching the thickness (e 4) of the filter mask layer 1406. By etching the fill mask layer 1406 an area 1902 defined by the newly exposed sidewalls of the insulating material 1402 is formed below the areas 1502 and 1702. Region 1902 is narrower than region 1702 and region 1902 is defined by the width of the regions 1902,1702 and 1502 because the initial width of regions 1902,1702 and 1502 is all determined by the width of gap 1404 (See Figs. 15 and 17, respectively)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502 and 1702 are initially formed.

절연층(1402)의 요구되는 테이퍼가 달성될 때까지 절연층(1402) 및 마스크층(1406)의 식각의 반복이 계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식각들(절연층 및 필 마스크층)을 교대로 하는 공정은 요구되는 테이퍼를 생성하기 위하여 알려진 어떤 고정된 반복 횟수만큼 계속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두 개의 식각들의 교대 공정은 마스크층(1406)이 사라지거나 어떤 문턱 아래의 두께를 가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교대의 식각들의 각각의 반복은 존재하는 영역들(예를 들어, 영역들(1502, 1702, 1902))을 일부 양만큼 넓히며, 대략 갭(1404)(도 14a)의 폭인 폭을 갖는 새로운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반복들을 추가함에 의해, 트렌치(1302)(도 13a)의 상측에서의 상기 테이퍼는 넓어지며, 새로운 "단차"가 트렌치(1302) 내에 더 깊이 추가된다. The etching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the mask layer 1406 can be repeated until the required taper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is achieved. For example, the process of alternating two etchings (insulating layer and fill mask layer) may continue for any fixed number of repetitions known to produce the required taper. As another example, the alternating process of the two etchings can continue until the mask layer 1406 disappears or has a thickness below some threshold. Each repetition of alternating etches extends a portion of existing regions (e.g., regions 1502, 1702, 1902) by a certain amount and a new region having a width that is approximately the width of gap 1404 (Figure 14A) . Thus, by adding repetitions, the taper at the top of trench 1302 (FIG. 13A) widens and a new "step" is added further into trench 1302.

도 20은 마스크층(1406) 및 절연층(1402)의 식각을 총 6회 반복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절연층(1402)의 모든 식각들이 절연층(1402)의 대략 동일한 양을 제거하고(즉, e 1 =e 3 =e 2x- 1 이며, x는 식각 반복 횟수), 마스크층(1406)의 모든 식각들이 마스크층(1406)의 대략 동일한 양을 제거한다면(즉, e 2 =e 4 =e 2x 이며, x는 식각 반복 횟수), 절연층(1402)의 상기 테이퍼의 기울기(m TAPER )는 약 e 1 /e 2 일 수 있다. 20 shows a substrate 1200 after mask layer 1406 and insulating layer 1402 are etched six times in total. All the etching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remove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of insulating layer 1402 (i.e., e 1 = e 3 = e 2x- 1 And, x is, if all the etching of etching the number of iterations), the mask layer 1406 are removed to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of the mask layer 1406 (i.e., e 2 = e 4 = and e 2x, x is the number of etching repeated), The slope ( m TAPER ) of the taper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may be about e 1 / e 2 .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절연층(1402)의 프로파일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반복들에서 절연층(1402) 및 마스크층(1406)의 다른 양들을 식각함에 의해, 상기 절연 영역의 프로파일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절연층(1402)의 프로파일은 절연층(1402)의 노출된 측벽을 따라 다수의 다른 기울기들을 가질 것이다.In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the profile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may vary. For example, by etching the insulating layer 1402 and other portions of the mask layer 1406 in different iterations, the profile of the insulating region can be adjusted. In one example, the profile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will have a number of different gradients along the exposed sidewalls of the insulating layer 1402.

상기 절연 물질은 하나의 단차가 각각의 퇴적/식각 사이클을 대표하는, 잘 정의된 단차들을 갖도록 도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잘 정의된 단차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영역의 프로파일은 더욱 선형을 가질 수 있다.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된 프로파일과 같이 이상적이지는 않은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를 위한 프로파일의 다른 예시를 갖는 기판(2100)을 도시한다.The insulating material is shown to have well-defined steps, one step representing each deposition / etch cycl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practice, the well-defined steps may not be present. For example, the profile of the insulating region may have a more linear shape. FIG. 21 illustrates a substrate 2100 having another example of a profile for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that is not ideal, such as the profile shown in FIG.

도 22a는 교대의 식각 단계들의 모든 반복들이 완성되고, 필 마스크층(1406)의 임의의 잔류 부분이 제거된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예시적 공정의 변형예들에서, 필 마스크층(1406) 모두가 상기 교대의 식각 단계들의 반복들 동안 식각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 공정의 다른 변형예들은 또한 필 마스크층(1406)의 임의의 잔류 부분들이 남아, 절연층(1402) 내의 상기 테이퍼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트렌치 내에 도전 물질을 퇴적한 이후에 형성되는 상기 필드 플레이트의 부분이 될 수 있다(도 22b 참조). Figure 22A shows a substrate 1200 after all repetitions of alternate etch steps are completed and any remaining portions of the fill mask layer 1406 have been remov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both the fill mask layer 1406 may be etched during repetitions of the alternate etch steps. Other variations of the exemplary process may also include removing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fill mask layer 1406 from the field plate 1402 formed after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trenches formed by the taper in the insulating layer 1402. [ (See FIG. 22B).

도 22b는 절연층(1402)에 의해 채워지지 않거나 또는 상기 테이퍼의 형성 과정에서 식각된 트렌치(1302)의 나머지(표시되지 않음)를 채우는 도전 물질(2202)의 퇴적 이후의 기판(1200)을 도시한다. 도전 물질(2202)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금속 및 동류물과 같은 임의의 수의 물질들일 수 있다. 도전 물질(2202)을 위하여 반도체를 사용한다면, 도전 물질(2202)은 이들이 퇴적될 때 인시츄 도핑될 수 있다. 도전 물질(2202)의 상측은 이후 화학 기계적 연마(CMP) 또는 에치백 단계를 사용하여 평탄화될 수 있다. 이후 도전 물질(2202)의 잔류 부분에 전기적 콘택이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잔류 부분은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일단 상기 필드 플레이트가 형성되면, 절연층(1402)은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2204)이 된다. 22B shows the substrate 1200 after deposi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2202 that is not filled by the insulating layer 1402 or that fills the rest (not shown) of the trench 1302 etch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taper. do. Conductive material 2202 can be any number of materials, such as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metals, and the like. If a semiconductor is used for the conductive material 2202, the conductive material 2202 may be in situ doped when they are deposited. The top side of the conductive material 2202 may then be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or etchback step. An electrical contact can then be made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2202, and the remaining portion forms the tapered field plate. Once the field plate is formed, the insulating layer 1402 becomes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2204.

일단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2204)가 형성되고, 웨이퍼(1202) 표면이 평탄화되면(만약 요구된다면), 기판(1200)의 활성 영역들(예를 들어, 실리콘 필라들(2206, 2208)) 내에 능동 장치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 제조 플로우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TS HVFET 공정은 실리콘 필라들(2206, 2208) 내에 HVFET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Once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2204 is formed and the surface of the wafer 1202 is planarized (if required), the active regions of the substrate 1200 (e.g., silicon pillars 2206, 2208)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flows can be performed to form active devices. For example, a VTS HVFET process may be used to form HVFETs in the silicon pillars 2206 and 2208. [

도 23은 예시적 공정(2300)을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반도체 공정 내에서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로 전술한 예시적 공정과 유사하다). 단계(2302)에서, 실리콘 웨이퍼가 얻어진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는 예를 들어 실리콘의 에피택셜하게 성장한 층들로 생성된 다른 도핑층들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 단계(2304)에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가 패터닝된다(예를 들어, 도 12b를 참조). 상기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는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및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트렌치의 위치 및 크기를 정의한다. 단계(2306)에서,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위한 상기 트렌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DRIE(또는 Bosch 식각) 단계가 수행되고(예를 들어, 도 13b를 참조), 임의의 잔류 포토레지스트는 스트립된다(예를 들어, 도 13b를 참조). 단계(2308)에서, 산화물 층이 상기 기판의 수직 및 수평 표면들 상에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14a를 참조). 상기 퇴적된 산화물은 상기 트렌치의 실질적인 부분을 채우나, 상기 트렌치 중앙의 갭을 열어둔다. 단계(2310)에서, 폴리실리콘 마스크층이 상기 웨이퍼 상에, 및 단계(2308)의 산화물 퇴적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갭 내에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14b 참조). 단계(2312)에서, 상기 갭 내의 상기 산화물 층의 측벽들 부분을 노출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 마스크의 식각이 수행된다(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 단계(2314)에서, 단계(2308)에서 퇴적된 상기 산화물의 일정 두께를 제거하기 위하여 등방성 산화물 식각이 수행된다(예를 들어, 도 16a 및 도 18a를 참조). 상기 식각이 등방성(즉, 실질적으로 등방성)이기 때문에 상기 산화물 층의 모든 노출된 표면들은 대략 동일한 양만큼 식각되어야 한다. 단계(2316)에서, 상기 갭 내에 단계(2308)로부터의 상기 산화물 층의 상기 측벽의 새로운 부분을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실리콘 마스크가 추가 양만큼 식각된다(예를 들어, 도 17b 및 도 19b를 참조). 단계(2318)에서, 상기 산화물 층의 상기 테이퍼가 완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예를 들어, 도 20을 참조). 예를 들어, 이는 수행된 산화물 식각/폴리 식각의 반복들의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단계들(2314, 2316)의 반복들은 문턱 두께의 폴리(또는 폴리가 없도록)가 잔류할 때까지(또는 폴리가 잔류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단계(2320)에서, 일단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가 상기 트렌치 내에 형성되면, 상기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이 상기 트렌치 내에 퇴적된다(예를 들어, 도 22b를 참조). 상기 필드 플레이트 및 상기 웨이퍼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탄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단계(2322)에서, 경사진 필드 플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트렌치에 인접한 상기 실리콘 필라 내에 HVFET을 형성하기 위하여 MOSFET 공정 플로우가 수행된다.Figure 23 shows a flow chart for an exemplary process 2300 (similar to the exemplary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12-22 for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a semiconductor process). In step 2302, a silicon wafer is obtained. The silicon wafer may have other doped layers formed, for example, with epitaxially grown layers of silicon (see, e.g., FIG. 12A). In step 2304, a photoresist mask is patterned (e.g., see FIG. 12B). The photoresist mask defines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ench including the tapered field plate and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s. In step 2306, a DRIE (or Bosch etch) step is performed to define the trench for the tapered field plate (e.g., see FIG. 13B), and any remaining photoresist is stripped See Fig. 13B). In step 2308, an oxide layer is deposited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of the substrate (e.g., see FIG. 14A). The deposited oxide fills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trench, leaving a gap in the center of the trench. In step 2310, a polysilicon mask layer is deposited on the wafer and in the gap formed by the oxide deposition of step 2308 (see, e.g., FIG. 14B). At step 2312, an etch of the polysilicon mask is performed to expose portions of the sidewalls of the oxide layer within the gap (e.g., see FIG. 15). In step 2314, an isotropic oxide etch is performed to remove a constant thickness of the oxide deposited in step 2308 (see, e.g., FIGS. 16A and 18A). Because the etch is isotropic (i.e., substantially isotropic), all exposed surfaces of the oxide layer must be etched by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In step 2316, the polysilicon mask is etched by a further amount to expose a new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oxide layer from step 2308 in the gap (see, e.g., FIGS. 17B and 19B) ). In step 23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per of the oxide layer is complete (see, e.g., FIG. 20). For example, thi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iterations of the oxide etch / poly etch performed. As another example, the iterations of steps 2314 and 2316 may be repeated until the threshold thickness of poly (or no poly) remains (or the poly does not remain). In step 2320, once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is formed in the trench, polysilicon is deposited in the trench to form the tapered field plate (see, e.g., FIG. 22B). A planarization step may be needed to ensure that the field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wafer are coplanar. In step 2322, a MOSFET process flow is performed to form the HVFET in the silicon pillar adjacent to the trench containing the tilted field plate.

예시적 공정(2300)이 특정한 물질들 및 층들을 참조로 설명된 한편, 일부 층들은 선택적일 수 있으며, 상기 웨이퍼 및 층들의 물질들이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exemplary process 23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materials and lay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ome layers may be optional and the materials of the wafers and layers may vary.

요약에서 설명된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도시된 예시들의 전술한 설명은 전면적이거나, 개시된 간결한 형태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 및 예시들이 도시적인 목적을 위하여 여기서 설명되며, 본 발명의 더 넓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동등한 개선들이 가능하다. 실제로, 특정한 예시의 전압들, 전류들, 주파수들, 전력 범위 값들, 시간들 등이 설명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며, 다른 값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들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 및 예시들 내에서 채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llustrat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ose set forth in the summary, is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concise forms disclosed. Certain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herein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various equivalent improve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roader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deed, certain exemplary voltages, currents, frequencies, power range values, times, etc.,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other values may also be employed within other embodiments and examples consistent with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이러한 개선들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 만들어질 수 있다. 아래의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명세서 및 청구항들 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범위는 전적으로 아래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이는 청구항 해석의 성립된 원칙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들은 따라서 제한적이기보다는 도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These improvements may be made to the examples of the invention in light of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Rather, the scope should be determined entirely by the claims below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established principles of claim interpretatio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accordingly, to be regard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Claims (33)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 내에 측벽을 구비하는 트렌치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1 두께의 제1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의 제1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렌치의 상측(top)에 인접한 상기 제1 절연층의 제1 상측부(upper portion)가 제거되는, 상기 제1 양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2 두께의 제2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절연층이 상기 제1 절연층의 일부분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2 절연층이 상기 제1 상측부와 오버랩되는, 상기 제2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층의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렌치의 상기 측벽 상의 상기 제2 절연층의 제2 상측부가 제거되는, 상기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A method of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a semiconductor wafer,
Etching a trench having a sidewall in the semiconductor wafer;
Depositing a first insulating layer of a first thickness on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sidewall;
Etching said first amount of said first insulating layer such that a first upper portion of said first insulating layer adjacent to the top of said trench is removed; ;
Depositing a second insulating layer of a second thickness on the semiconductor wafer such that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verlaps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verlaps the first upper side portion Deposit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Etching the second amoun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second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n the sidewall of the trench is removed; A method of forming a field-plate dielectric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의 상기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측부에 인접한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tching the second amoun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djacent to the second upper side por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제3 두께의 제3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절연층의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렌치의 상기 측벽 상의 상기 제3 절연층의 상기 제3 상측부가 제거되는, 상기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positing a third insulating layer of a third thickness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Etching the third amount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third upper portion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on the sidewalls of the trench is removed; Wherein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s formed in the tren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층의 상기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상측부에 인접한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제3 상측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tching the third amount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comprises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djacent to the third upper sid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djacent the third upper side portion Wherein the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두께들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hicknesses are approximately the same.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층들은 동일한 물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are the same materials. ≪ Desc / Clms Page number 17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그 상부에 상기 제1 절연층이 퇴적되는 표면의 기울기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hickness is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the slop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nsulating layer is deposited.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식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트렌치의 위치를 정의하는 하드 마스크를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드 마스크를 패터닝하는 단계는 하드 마스크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atterning a hardmask defining the location of the trench prior to etching the trench,
Wherein patterning the hardmask comprises depositing a hard mask material.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ard mask is formed of polysilicon. ≪ RTI ID = 0.0 > 8. < / RTI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를 퇴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 상에 보호층(protection layer)을 퇴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depositing a protec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ior to depositing the hard mask. ≪ RTI ID = 0.0 > 11. < / RTI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s an oxide.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도전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물질은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에 의해 상기 트렌치의 상기 측벽과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is separated from direct contact with the sidewall of the trench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이방성(anisotropic) 식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tch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etch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performed by anisotropic etching. ≪ Desc / Clms Page number 20 >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 내에 트렌치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 상을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절연층이 상기 트렌치의 상측까지 개방된 상기 트렌치 내의 갭(gap)을 형성하는, 상기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마스크층을 퇴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스크층은 상기 갭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는, 상기 마스크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갭 내에 상기 절연층의 제1 측벽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층의 제1 양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1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층의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갭 내에 상기 절연층의 제2 측벽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층의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1 측벽부보다 상기 트렌치 내에서 더 깊이 위치하는, 상기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층의 제4 양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A method of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a semiconductor wafer,
Etching the trench in the semiconductor wafer;
Depositing an insulating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sidewalls of the trench,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forms a gap in the trench opened up to the top of the trench; ;
Depositing a mask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the mask layer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p; depositing the mask layer;
Etching a first amount of the mask layer to expose a first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n the gap;
Etching the second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including the first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Etching the third portion of the mask layer to expose a second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within the gap, the second sidewall portion being located deeper within the trench than the first sidewall portion; Etching the volume; And
And etching the fourth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including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는 플루오르화 수소산(hydrofluoric acid)을 포함하는 용액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etching the first volume and etching the third volume are performed in a solution comprising hydrofluoric acid.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절연층 상에 도전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외부의 상기 도전 물질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And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outside the trench. ≪ RTI ID = 0.0 > 11. < / RTI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외부의 상기 도전 물질의 상기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removing the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outside the trench comprises perform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tep.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갭 내에 상기 절연층의 제3 측벽부를 노출하기 위해 상기 마스크층의 제5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측벽부는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보다 더 깊이 위치하는, 상기 제5 양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1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3 측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층의 제6 양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Etching the fifth amount of the mask layer to expose a third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n the gap, wherein the third sidewall portion has a depth greater tha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in the trench, Etching said fifth quantity, wherein said fifth quantity is located; And
Etching the sixth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including the first sidewall portion, the second sidewall portion, and the third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to form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ask layer comprises silicon. ≪ RTI ID = 0.0 > 11.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an oxide. ≪ RTI ID = 0.0 > 8.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 내에 능동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activ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emiconductor wafer adjacent the trench. ≪ RTI ID = 0.0 > 11.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과 상기 제2 양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amount and the second amount are substantially equal. ≪ RTI ID = 0.0 > 11.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과 상기 제4 양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amount and the fourth amount are substantially equal. ≪ RTI ID = 0.0 > 11. < / RTI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과 상기 제2 양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amount and the second amount are substantially equal. ≪ RTI ID = 0.0 > 11. < / RTI >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으로서,
내부에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퇴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층 내에 갭이 형성되는, 상기 절연층을 퇴적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마스크층을 퇴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스크층은 상기 갭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는, 상기 마스크층을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내에 테이퍼진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갭 내의 상기 마스크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분들을 교대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A method of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a semiconductor wafer,
Etching the semiconductor wafer to form a trench therein;
Depositing an insulating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wherein a gap is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after the depositing step; depositing the insulating layer;
Depositing a mask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the mask layer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p; depositing the mask layer; And
Alternately etching portions of the mask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gap to form a tapered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 Desc / Clms Page number 21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etching the mask layer is performed using a solution comprising hydrofluoric acid. ≪ RTI ID = 0.0 > 8. < / RTI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층 상에 도전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외부의 상기 도전 물질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And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outside the trench. ≪ RTI ID = 0.0 > 11. < / RTI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외부의 상기 도전 물질의 상기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화학 기계적 연마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removing the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outside the trench comprises perform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tep. ≪ RTI ID = 0.0 > 11. < / RTI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mask layer comprises silicon. ≪ RTI ID = 0.0 > 11. < / RTI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an oxide. ≪ RTI ID = 0.0 > 8. < / RTI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 내에 능동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activ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emiconductor wafer adjacent the trench. ≪ RTI ID = 0.0 > 11. < / RTI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분들을 교대로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갭 내에 상기 절연층의 제1 측벽 부분을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층의 제1 양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의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양은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1 측벽 부분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양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갭 내의 상기 절연층의 제2 측벽 부분을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층의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측벽 부분은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제1 측벽 부분보다 더 깊이 위치하는, 상기 제3 양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의 제4 양을 식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4 양은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1 측벽 부분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측벽 부분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4 양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step of alternately etching the mask layer and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
Etching a first amount of the mask layer to expose a first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n the gap;
Etching said second amount of said insulating layer, said second amount comprising a first portion of said first sidewall portion of said insulating layer;
Etching the third portion of the mask layer to expose a second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n the gap, wherein the second sidewall portion is located deeper than the first sidewall portion within the trench; Etching the third volume; And
Etching the fourth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fourth amount comprises a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a first portion of the second sidewall portion, And forming a tapered field plate dielectric region in the semiconductor wafer.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과 상기 제4 양은 대략 동일하며, 상기 제1 양과 상기 제2 양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내의 테이퍼진 필드 플레이트 유전체 영역의 형성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second quantity and the fourth quantity are approximately the same and wherein the first quantity and the second quantity are approximately the same.
KR1020157001995A 2012-07-25 2013-07-11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KR1019553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58,218 2012-07-25
US13/558,218 US8765609B2 (en) 2012-07-25 2012-07-25 Deposit/etch for tapered oxide
US13/572,492 US20140045318A1 (en) 2012-08-10 2012-08-10 Forming a tapered oxide from a thick oxide layer
US13/572,492 2012-08-10
PCT/US2013/050046 WO2014018273A1 (en) 2012-07-25 2013-07-11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196A true KR20150036196A (en) 2015-04-07
KR101955321B1 KR101955321B1 (en) 2019-03-07

Family

ID=4887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995A KR101955321B1 (en) 2012-07-25 2013-07-11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85062B2 (en)
KR (1) KR101955321B1 (en)
CN (1) CN104488084B (en)
WO (1) WO201401827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971A (en) * 2015-09-24 2018-05-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Bottom-up deposition of films in recessed features
KR20180116151A (en) * 2017-04-14 2018-10-2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m form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2029A1 (en) * 2014-02-18 2015-08-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device
JP6203697B2 (en) * 2014-09-30 2017-09-27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709425B2 (en) * 2016-05-31 2020-06-17 北九州市 Semiconductor device
CN105931969A (en) * 2016-05-31 2016-09-07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structure
JP7337767B2 (en) 2020-09-18 2023-09-04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9257A1 (en) * 2005-09-14 2007-03-2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 having a field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is component
JP2010080963A (en) * 2008-09-18 2010-04-08 Power Integrations Inc High-voltage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JP2011040682A (en) * 2009-08-18 2011-02-24 Unisantis Electronics Japan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1447B1 (en) * 1999-05-28 2001-02-20 Micro-Ohm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that utilize tapered trench-based insulating regions to improve electric field profiles in highly doped drift region mesa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JP4073176B2 (en) * 2001-04-02 2008-04-09 新電元工業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64486A1 (en) * 2009-04-20 2010-10-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ield plate trench mosfet transistor with graded dielectric liner thickness
KR101094373B1 (en) * 2009-07-03 2011-12-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manufacturing buried gate using pre landing pl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9257A1 (en) * 2005-09-14 2007-03-2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 having a field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is component
JP2010080963A (en) * 2008-09-18 2010-04-08 Power Integrations Inc High-voltage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JP2011040682A (en) * 2009-08-18 2011-02-24 Unisantis Electronics Japan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971A (en) * 2015-09-24 2018-05-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Bottom-up deposition of films in recessed features
KR20180116151A (en) * 2017-04-14 2018-10-2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m fo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8273A1 (en) 2014-01-30
CN104488084A (en) 2015-04-01
JP6185062B2 (en) 2017-08-23
KR101955321B1 (en) 2019-03-07
CN104488084B (en) 2017-08-04
JP2015529017A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321B1 (en) Method of forming a tapered oxide
US9472630B2 (en) Deposit/etch for tapered oxide
US1002039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I471942B (en) Trench-gate mosfet with capacitively depleted drift region
TW20142400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03258846B (en) Bigrid (Silicon-on-insulator) MOSFET lateral
KR101998716B1 (en) Integrated gate runner and field implant termination for trench devices
KR101961235B1 (en) MOSFET Device with Thick Trench Bottom Oxide
CN10473330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terminated with chamfered edge
CN110326109A (en) Short channel groove power MOSFET
CN104409334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superjunction devices
US20140045318A1 (en) Forming a tapered oxide from a thick oxide layer
JP2013509720A5 (en)
CN112802754B (en) Isolation gate trench type MOSFE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28423B2 (en) Integrated planar-trench gate power MOSFET
US20200357912A1 (en)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with gate stacks
KR20120082441A (en) Improved trench termination structure
US20150325685A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RDSON and High Breakdown Voltage
JP201653872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substrate,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provided with substrate,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provided with substrate, and automobile
CN208507680U (en) Semiconductor devices
Chen et al. Partial SOI superjunction power LDMOS for PIC application
Chen et al. Partial SOI superjunction power LDMOS for power IC applications
CN109216437A (en) The self-aligned fabrication method of field pla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s
CN106298927A (en) Rf-ldmos semiconductor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