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557A -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557A
KR20150034557A KR20130114780A KR20130114780A KR20150034557A KR 20150034557 A KR20150034557 A KR 20150034557A KR 20130114780 A KR20130114780 A KR 20130114780A KR 20130114780 A KR20130114780 A KR 20130114780A KR 20150034557 A KR20150034557 A KR 2015003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ragrance
citric acid
persimm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643B1 (ko
Inventor
최연희
이새미
이소영
권삼주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향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향료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향료
Priority to KR102013011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노간주나무의 효능을 활용한 관련 향장제품(향수, 화장품, 바디로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J SMILAX CHINA L.}
본 발명은 백합과 명감나무(Smilax china L.)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명감나무(청미래덩굴)는 중부 이남의 산야 표고 1,600m 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 덩굴성식물이다. 명감나무는 반그늘 혹은 양지바른 곳에 생육한다. 명감나무의 높이는 2~3m이고, 잎은 길이가 3~12㎝, 폭은 2~10㎝이고 광채가 있으며 질기고, 잎자루는 길이가 0.7~2㎝이고, 턱잎은 덩굴손이다. 꽃은 황록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뿌리 길이는 1.5~3㎝, 작은 뿌리는 길이가 1㎝ 정도이다. 열매는 9~10월경에 적색으로 성숙되며, 지름 1㎝ 정도의 원형으로 “명감” 혹은 “망개”라고도 한다. 어린잎과 열매는 식용,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명감나무의 효능으로는 해독작용이 있어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또는 만성피부염)에 효과적이고, 풍습성 관절염, 연주창, 감기,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신장염, 방광염에 효과적이고, 그 밖에 해열, 제습, 해독 작용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2011-0076043호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해 명감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현재까지 명감나무 고유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제2011-00760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명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명감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명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명감나무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 및 아로마 효과를 나타내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명감나무의 효능을 활용한 관련 향장제품(향수, 화장품, 바디로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EEG brain mapping(3차원 뇌 맵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향 흡입 전과 흡입중의 뇌파 변화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Absolute low beta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4는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Absolute theta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5는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beta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6은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high beta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본 발명은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명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명감나무 추출물은 명감나무 뿌리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아세틱 애시드, 헥사노익 애시드, 페닐 에틸 알코올, 바닐린, 에틸 팔미테이트, 팔미틱 애시드, 스테아릭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및 리놀레익 애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주요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의 성분은 명감나무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세틱 애시드 0.1 ~1.0 중량부, 헥사노익 애시드 0.5~1.5 중량부, 페닐 에틸 알코올 0.05~1.0 중량부, 바닐린 0.2~1.0 중량부, 에틸 팔미테이트 0.2~1.0 중량부, 팔미틱 애시드 10.0~30.0 중량부, 스테아릭 애시드 1.0~3.0 중량부, 올레익 애시드 5.0~10.0 중량부 및 리놀레익 애시드 10.0~4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에 천연오일 및 합성원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오일은 합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합성오일이 아닌 자연오일, 천연오일이면 종류를 구별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원료는 자연 원료를 화학적인 방법으로 가공하여 만든 가공 원료이다. 상기 천연오일 및 합성원료는 명감나무 향취와 연관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명감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상기 추출물에 천연오일 또는 합성연료를 포함하거나, 상기 추출물에 천연오일 및 합성연료를 모두 포함(명감나무 조합향)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오일은 이모르뗄 오일, 클로브 오일, 파튜리 오일, 및 캐롯 씨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천연오일을 사용하는경우 아로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로마 효과에 의한 생리적/심리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천연오일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이모르뗄 오일 1.0 ~ 10.0 중량부, 클로브 오일 5.0 ~ 15.0 중량부, 파튜리 오일 1.0 ~ 5.0 중량부 및 캐롯 씨드 오일 1.0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원료는 아세틱 애시드, 헥사노익 애시드, 페닐 에틸 알코올, 4-비닐 구아이아콜, 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메틸 푸르푸랄, 바닐린, 팔미틱 애시드, 스테아릭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리놀레익 애시드 및 미르라 레시노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합성원료는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세틱 애시드 0.1 ~ 1.0 중량부, 헥사노익 애시드 0.1 ~ 1.0 중량부, 페닐 에틸 알코올 0.5 ~ 1.5 중량부, 4-비닐 구아이아콜 1.0 ~ 5.0 중량부, 벤조익 애시드 0.1 ~ 1.0 중량부, 5-하이드록시메틸 푸르푸랄 0.1 ~ 1.0 중량부, 바닐린 0.1 ~ 1.0 중량부, 팔미틱 애시드 4.0 ~ 6.0 중량부, 스테아릭 애시드 1.0 ~ 5.0 중량부, 올레익 애시드 1.0 ~ 5.0 중량부, 리놀레익 애시드 10.0 ~ 20.0 중량부 및 미르라 레시노이드 5.0 ~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는 향수, 화장품, 바디로션 등으로 제형화 될 수있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다른 성분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의 제조
본 연구에 사용된 명감나무 건체시료는 약재상으로부터 국내산을 구입하였다. 명감나무 뿌리 건체 시료를 마쇄한 후, 초임계 추출기(ILSHIN, Korea)의 시료용기에 넣고 CO2를 흘려주면서 초임계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킨 후 1시간 동안 천연정유를 추출하였다. 초임계추출법의 특성상 시료마다 온도조건과 압력조건이 다르므로 최적의 추출조건을 위해 온도조건과 압력조건을 바꾸어 주었다. 식물시료가 가장 많이 추출되는 압력인 400 bar에 고정시켜 70℃ 온도에서 추출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의 분석
2-1. GC - MS 분석 조건
GC-MS의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조건
GC (Agilent 7890) -column: HP innowax column 30m x 0.25um x 250mm
-Oven temperature: 60℃, 0min→3℃/min→250mm
-injector temp: 250℃
MS (Agilent 5975) -ion source temp: 230℃
-Quard temp: 150 ℃
-mode: TIC mold
2-2. GC - MS 분석 결과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성분 함량(%)
acetic acid 0.1 ~ 1.0
hexanoic acid 0.5 ~ 1..5
phenylethyl alcohol 0.05 ~1.0
vanillin 0.2 ~ 1.0
Ethyl palmitate 0.2 ~ 1.0
Palmitic acid 10.0 ~ 30.0
stearic acid 1.0 ~ 3.0
oleic acid 5.0 ~ 10.0
linoleic acid 10.0 ~ 40.0
기타
100.00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에는 리놀레익 애시드(linoleic acid), 팔미틱 애시드(palmitic acid), 바닐린(vanillin), 에틸 팔미테이트(Ethyl palmitate), 페닐에틸 알코올(phenylethyl alcohol) 및 그 외 몇몇 애시드(acid) 등이 주요 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실시예 3.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조합 향료 조성물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의 자연스러운 향취를 얻기 위하여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토대로 하기 표 3의 천연오일 및 합성원료를 사용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aetic acid 0.1 ~ 1.0
hexanoic acid 0.1 ~ 1.0
phenylethyl alcohol 0.5 ~ 1.5
4-vinyl guaiacol 1.0 ~ 5.0
benzoic acid 0.1 ~ 1.0
5-hydroxymethyl furfural 0.1 ~ 1.0
vanilline 0.1 ~ 1.0
palmitic acid 4.0 ~ 6.0
stearic acid 1.0 ~ 5.0
oleic acid 1.0 ~ 5.0
linoleic acid 10.0 ~ 20.0
Immortelle oil 1.0 ~ 10.0
Clove oil 5.0 ~ 15.0
myrrhe resinoid 5.0 ~ 10.0
patchouly oil 1.0 ~ 5.0
Carrot seed oil 1.0 ~ 5.0
기타
100.0
상기 조합 향료 조성물은 명감나무 뿌리 건체추출물 향취에서 느껴지는 건조된 나무뿌리의 따스한 느낌과 풍부함이 어우러진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합성원료 및 천연오일을 더하여 조합한 향료이다. 상기 조합 향료 조성물은 천연 이미지의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 향과 매우 근접하였다.
실시예 4.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 및 조합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측정
명감나무 뿌리 건체 추출물 및 조합 향료 조성물의 흡입이 신경생리학적으로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4-1. 실험환경
남녀 각각 5명씩 총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장소는 일정한 온도(23˚C)와 습도(50%)를 유지한 32.4㎡ 크기의 실험실로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4-2. 뇌파 기기
뇌파측정 시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LXE3208, LAXTHA Inc. Korea)이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4-3. 측정방법
뇌파 전극 부착: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에 뇌파전용 무해 접착 풀을 묻혀 피험자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볼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을 부착하였다.
4-4. 실험방법( 향흡입 )
바이얼(vial)에 담겨진 정유를 시향지(13cm)로 찍어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3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상태(향자극)로 각각 1분씩을 측정하였다(회수율이 적은 시료의 경우 바이얼 내에 담겨진 상태로 향을 흡입하였다).
4-5. 데이터 분석
1분 측정 중 35초 측정된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 처리를 하였고, SPSS 18.0 version의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하였다.
EEG brain mapping(3차원 뇌 맵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향 흡입 전과 흡입중의 뇌파 변화를 도 2로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좌측에 보이는 Value 7색깔 막대기는 향 흡입전과 흡입 상태에서 측정된 뇌파신호의 평균 데이터를 색깔로 나타낸 것으로 뇌파지표(RMB, ALB 등)마다 각각 다른 평균값을 나타낸다. Fp1, Fp2, F3, F4, T3, T4, P3, P4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신호 중 평균값이 높을수록 위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내고 평균값이 낮을수록 아래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3 위치에서 alpha파가 출현하였는데, 향 흡입 전에는 파랑색을 나타내고 향 흡입 중에 보라색으로 나타났다면 alpha파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한다.
실시예 5.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 흡입에 따른 뇌파변화
5-1. AB 지표 측정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AL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2~15Hz의 low beta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low beta파는 sensory motor rhythm (SMR파)이라고 불리며 운동 감각 피질의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비교적 단순한 과제 수행 때 우세하다.
명감나무 초임계 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에서 우측 전전두엽(Fp2)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4). 이러한 결과는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 흡입 시 우측 전두엽(F4) 부위에서 유발된 beta파의 증가로 각성하여 집중력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시 우측 전두엽(F4) 부위에서 유발된 low beta파의 감소로 각성되었던 뇌가 이완되어 집중력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4는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의 흡입 전과 후, low beta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4.6414 2.46396 2.034 .076
during 9 3.9379 1.92625
Fp2 Before 9 4.0848 2.10469 3.266 .011
during 9 3.5759 2.09239
F3 Before 9 5.0823 2.79343 1.387 .203
during 9 4.7585 2.62840
F4 Before 9 4.3852 2.47984 1.500 .172
during 9 4.1006 2.15392
T3 Before 9 4.4917 2.13837 .059 .954
during 9 4.4709 2.15437
T4 Before 9 3.3975 3.07599 -1.282 .236
during 9 3.9500 4.13984
P3 Before 9 9.7432 7.21089 1.498 .172
during 9 8.3376 5.44910
P4 Before 9 7.9916 7.25423 1.589 .151
during 9 6.8076 5.39906
Fp1 : 좌 전전두엽(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의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우측 전두엽 부위에서 푸른색이 보라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 향 흡입 시 우측 전두엽(F4) 부위에서 유발된 low beta파의 감소로 각성되었던 뇌가 이완되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의 뇌파 변화
6-1.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value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4~8Hz의 theta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깊이 내면화되고 조용한 상태의 육체 감정 및 사고활동과 관련되거나 졸릴 때 주로 나타난다.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에서 우측 전두엽(F4)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5). 이러한 결과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시 우측 전두엽(F4) 부위에서 유발된 theta 파의 증가로 뇌의 각성상태가 이완되어 안정됨을 의미한다. 하기 표 5는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Absolute theta 파의 변화이다.
AT(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13.5213 5.7076 -2.233 .056
during 9 17.3501 7.4887
Fp2 Before 9 13.1363 6.7460 -2.198 .059
during 9 17.1491 9.0550
F3 Before 9 16.8298 7.4771 -2.051 .074
during 9 21.6864 10.7413
F4 Before 9 15.9689 7.1229 -2.400 .043
during 9 21.2724 11.4785
T3 Before 9 9.0038 5.0530 -1.632 .141
during 9 11.7534 6.6224
T4 Before 9 5.7161 1.9777 -1.167 .277
during 9 7.2424 5.1925
P3 Before 9 12.7876 6.8294 -2.193 .060
during 9 15.3231 8.6971
P4 Before 9 11.8829 7.0162 -1.282 .236
during 9 13.2608 7.9289
Fp1 : 좌 전전두엽(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우측 전두엽 부위에 색이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시 우측 전두엽(F4) 부위에서 유발된 theta 파의 증가로 뇌의 각성상태가 이완되어 안정됨을 의미한다.
6-2.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R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beta 대역의 절대파워비로서 13~30Hz의 beta파 영역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거나,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에서 좌측 측두엽(T3)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6). 이러한 결과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시 좌측 측두엽(T3) 부위에서 유발된 beta파의 감소로 뇌가 이완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6은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beta 파의 변화이다.
RB(Relative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2381 .0611 1.893 .095
during 9 .2102 .0586
Fp2 Before 9 .2174 .0670 1.248 .247
during 9 .2011 .0659
F3 Before 9 .2239 .0617 1.991 .082
during 9 .2026 .0624
F4 Before 9 .2040 .0586 1.176 .273
during 9 .1893 .0673
T3 Before 9 .3094 .1132 2.403 .043
during 9 .2734 .1025
T4 Before 9 .2966 .1105 .256 .804
during 9 .2926 .1151
P3 Before 9 .2702 .0794 1.106 .301
during 9 .2492 .0554
P4 Before 9 .2437 .0778 .202 .845
during 9 .2407 .0577
Fp1 : 좌 전전두엽(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좌측 측두엽 부위에 색이 붉은색에서 황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시 좌측 측두엽(T3) 부위에서 유발된 beta파의 감소로 뇌가 이완되었음을 의미한다.
6-3.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RH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high beta 대역의 절대파워비로서 20~30Hz의 beta파 영역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high beta파는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 부하가 높은 정보처리 활동, 정서적 긴장, 불안, 흥분 상태에서 우세한 뇌파이다.
명감나무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에서 좌측 두정엽(P3)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7). 이러한 결과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시 좌측 두정엽(P3) 부위에서 유발된 high beta파의 감소로 긴장, 불안, 흥분상태가 진정되어 각성상태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하기 표 7은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후, high beta파의 변화이다.
RHB(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1196 .05607 1.991 .082
during 9 .1018 .04693
Fp2 Before 9 .1115 .05794 1.872 .098
during 9 .0965 .05253
F3 Before 9 .1024 .04779 1.440 .188
during 9 .0922 .04600
F4 Before 9 .0909 .04235 1.332 .220
during 9 .0812 .04270
T3 Before 9 .1523 .09568 1.950 .087
during 9 .1306 .08256
T4 Before 9 .1403 .07252 .715 .495
during 9 .1360 .07576
P3 Before 9 .0934 .02694 3.025 .016
during 9 .0845 .02767
P4 Before 9 .0890 .02765 2.292 .051
during 9 .0837 .03135
Fp1 : 좌 전전두엽(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감나무 뿌리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좌측 두정엽 부위에 색이 푸른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명감나무 조합향료 조성물 향 흡입 시 좌측 두정엽(P3) 부위에서 유발된 high beta파의 감소로 긴장, 불안, 흥분상태가 진정되어 각성상태가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상기에서와 같이 명감나무 뿌리 추출물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조성물을 배합하여 하기 표 8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명감나무 뿌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수
명감나무 뿌리 향취 재현 조합향료 15 중량%
알코올 80 중량%
4 중량%
색소 적량
자외선차단제 적량

Claims (7)

  1. 명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명감나무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아세틱 애시드, 헥사노익 애시드, 페닐 에틸 알코올, 바닐린, 에틸 팔미테이트, 팔미틱 애시드, 스테아릭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및 리놀레익 애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에 천연오일 및 합성원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이모르뗄 오일, 클로브 오일, 파튜리 오일, 및 캐롯 씨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원료는 아세틱 애시드, 헥사노익 애시드, 페닐 에틸 알코올, 4-비닐 구아이아콜, 벤조익 애시드, 5-하이드록시메틸 푸르푸랄, 바닐린, 팔미틱 애시드, 스테아릭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리놀레익 애시드 및 미르라 레시노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30114780A 2013-09-26 2013-09-26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7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80A KR101577643B1 (ko) 2013-09-26 2013-09-26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80A KR101577643B1 (ko) 2013-09-26 2013-09-26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57A true KR20150034557A (ko) 2015-04-03
KR101577643B1 KR101577643B1 (ko) 2015-12-21

Family

ID=5303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780A KR101577643B1 (ko) 2013-09-26 2013-09-26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266A (ko) * 2017-03-27 2018-10-08 (주)아모레퍼시픽 금산 인삼뿌리(Root of Panax Ginseng)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43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669B1 (ko) * 2010-09-15 2011-11-24 (주)선바이오텍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청미래덩굴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43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669B1 (ko) * 2010-09-15 2011-11-24 (주)선바이오텍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청미래덩굴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266A (ko) * 2017-03-27 2018-10-08 (주)아모레퍼시픽 금산 인삼뿌리(Root of Panax Ginseng)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43B1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9322B (zh) 具有缓解压力以及镇静效果的香料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102055499B1 (ko) 감국꽃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파에서 상대적 세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알파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28716A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R101577643B1 (ko)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93383B1 (ko)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365204B1 (ko) 졸음운전 방지용 조성물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6137003A (zh) 通鼻抗菌的复方精油、生活用纸及其制备方法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355307B1 (ko)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4005403A (ja) 香料組成物および化粧料
KR101661120B1 (ko) 신이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성 효과 또는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KR101538417B1 (ko) 천궁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102506624B1 (ko) 두뇌의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프루티 프로랄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1573738B1 (ko) 산조인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성 효과 또는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KR102506628B1 (ko) 두뇌의 쾌적성 및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아쿠아 그린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