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083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083A
KR20150034083A KR20140098318A KR20140098318A KR20150034083A KR 20150034083 A KR20150034083 A KR 20150034083A KR 20140098318 A KR20140098318 A KR 20140098318A KR 20140098318 A KR20140098318 A KR 20140098318A KR 20150034083 A KR20150034083 A KR 20150034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housing part
discharge
present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강식
Original Assignee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3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 재질을 수용하고, 상기 화장 재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퍼프부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퍼프부에 맞물려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종래에 별도의 퍼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퍼프부를 이용하여, 분말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 재질을 얼굴과 피부에 고르게 도포한 화장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자신을 더욱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화장품을 이용하여 색조화장을 하는데, 색조화장품 중의 하나가 화운데이숀(foundation)이다.
이러한 화운데이숀은 잡티와 같은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거나 미백을 위한 목적으로 피부의 자연스러움과 산뜻함을 느끼게 하는 화장품이다. 이러한 화운데이숀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통 리퀴드 타입으로 적정량을 얼굴에 펴바르기가 불편하고 일정량을 얼굴에 묻히기 위해서는 별도의 퍼프나 주걱 등의 사용도구를 이용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고칠 경우, 화운데이숀이 담겨진 케이스를 평평한 곳에 두고 한쪽 손으로는 거울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별도의 퍼프나 주걱을 사용하여 화장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으며, 부주의한 경우 화운데이숀이 담겨진 케이스가 쓰러져서 화운데이숀이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도구를 갖지 못한 경우에는 손바닥에 케이스에 담긴 내용물을 묻혀 사용하므로, 얼굴에 내용물을 고루 펴 바르기가 불편하고 부분화장을 하지 못하여 화장이 얼룩지어 만족스러운 화장을 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느끼곤 하였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748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퍼프를 사용하지 않고 화장품 용기만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장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 재질을 수용하고, 상기 화장 재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퍼프부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퍼프부에 맞물려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퍼프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퍼프부; 및 상기 제 1 퍼프부의 일측면에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제 2 퍼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는 중간 지지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맞물리고 내부 공간(Ⅰ)에 상기 화장 재질을 수용한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몸체는 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연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퍼프부는 플로킹(flocking)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puff)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 2 퍼프부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일측면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플로킹(flocking)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테두리에 맞물려 둘러싸는 환형 부재이고, 상기 제 1 퍼프부와 상기 하우징부 보다 경도가 높은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의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5 ~ 30 MPa의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의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에 경화제를 추가 함유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맞물리는 내부턱; 및 상측으로 상기 내부턱에 연장되어 상기 퍼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 변형하는 내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내부 지지부는 상기 퍼프부의 내부에서 양측에 대칭하는 프레임 형태로 상기 배출구에 내부 연결된 배출공 부분에 맞물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 재질을 수용하고 상부면 일측에 하부 배출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부; 상기 하부 배출부에 삽입 장착된 중간 결합부; 및 상부에 연장관 형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배출부에 맞물려 탈착되고 원주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상부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부는 하부에 상기 하부 배출부와 중간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맞물리는 상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상부 배출부는 내측에 서로 대응하여 구비된 두 개의 탈착 돌기; 및 내측 상부에 상기 배출구까지 관통 연결된 제 1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중간 결합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부의 하부 배출부에 삽입 장착되는 원형 단면의 중공형 부재이고, 상부가 원형 마개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측에 제 2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하부 배출부는 외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탈착 돌기가 슬라이딩되는 탈착 가이드; 상기 탈착 가이드의 아래에 상기 탈착 돌기가?맞물리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어 외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부는 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상부 하우징부에 맞물려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종래에 별도의 퍼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1 퍼프부와 제 2 퍼프부를 이용하여, 리퀴드 타입의 하운데이숀 또는 크림류의 화장 재질을 얼굴과 피부에 고르게 도포한 화장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중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상부 하우징부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장측 분해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측 분해 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예시도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화장 재질을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맞물려 몸체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110)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커버(110)의 내측에 대응하는 제 1 퍼프부(120), 제 1 퍼프부(120)의 상부 일측면에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135)를 둘러싸는 제 2 퍼프부(130), 제 1 퍼프부(120)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는 중간 지지부(140), 및 중간 지지부(140)의 하측에 맞물리고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한 하우징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퍼프부(120)는 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이용하여 납작한 원형, 타원형 등의 다각형 단면을 갖고 내부 공간을 갖는 부분으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전체에 플로킹(flocking)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puff)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퍼프부(120)의 퍼프면은 굴곡을 갖는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퍼프부(130)는 제 1 퍼프부(120)의 연장 부분으로 제 1 퍼프부(120)의 상부 일측면에 평평한 면으로 구비되고, 하우징부(150)의 내부 공간(Ⅰ)에 수용된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135)를 둘러싸며, 제 1 퍼프부(120)와 마찬가지로 플로킹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퍼프부(120)의 퍼프면과 제 2 퍼프부(130)의 퍼프면은 플로킹(flocking) 처리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수용성 접착제의 상면에 플로킹 재질을 분사하여 플로킹층으로 이루어진 퍼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로킹층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킹 재질에 고압의 정전기를 인가하여 전하를 띄게 함으로써, 플로킹 재질이 제 1 퍼프부(120)와 제 2 퍼프부(130)의 표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정전기 부착방식을 이용하여 플로킹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중간 지지부(140)는 제 1 퍼프부(120)의 하부 테두리와 하우징부(150)의 상측 테두리에 맞물려 둘러싸는 환형 부재로서, 제 1 퍼프부(120)의 하부 테두리와 하우징부(150)의 상측 테두리를 서로 접합 연결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중간 지지부(140)는 제 1 퍼프부(120)와 하우징부(150) 보다 경도가 높은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서, 예를 들어 5 ~ 30 MPa의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50)는 제 1 퍼프부(120)의 재질과 동일하게 연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고, 중간 지지부(140)의 하측에 맞물리는 내부턱을 구비하며, 내부에 예컨대 파운데이션, BB 크림, 선크림, CC 크림 등의 분말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 재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Ⅰ)을 형성하며, 상측으로 내부턱에 연장되어 제 1 퍼프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 변형하는 내부 지지부(155)를 구비한다.
여기서, 내부 지지부(15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퍼프부(120)의 내부에서 양측에 대칭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배출구(135)에 연결된 배출공(135-2) 부분에 맞물려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지지부(155)는 제 1 퍼프부(120)의 내부에서 대칭하는 프레임 형태로 탄성 변형하므로, 내부 공간(Ⅰ)에 수용된 화장 재질이 배출공(135-2)을 거쳐 배출구(135)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퍼프부(120), 제 2 퍼프부(130) 및 하우징부(150)를 구성하는 연성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퍼프부(120), 제 2 퍼프부(130) 및 하우징부(150)를 구성하는 연성 엘라스토머는 원하는 연성을 갖도록 가소제 등의 연화제를 추가 함유할 수 있고, 이때 추가 함유되는 가소제는 섞임성(compatibility)이 우수하면서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 발생이 적은 가소제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주로 고무성분의 연질 세그먼트와 수지성분의 경질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이며, 상온에서는 가황고무와 동일하게 거동하지만 가열하면 수지성분이 연화하여 소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성형성, 접착 특성 및 충격 흡수 특성 측면을 고려하여, SBS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olefin block copolymer)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퍼프부(120), 제 2 퍼프부(130) 및 하우징부(150) 보다 경도가 높은 중간 지지부(140)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경화제를 추가 함유한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가해진 사용자의 인력에 의한 중간 지지부(140)와 하우징부(150)의 탄성 변형을 통해 하우징부(150)의 내부 공간(Ⅰ)에 수용된 분말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 재질을 용이하게 배출구(135)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지지부(140)는 제 1 퍼프부(120)와 하우징부(150) 보다 경도가 높은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구비되므로, 과도한 압력이 하우징부(150)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부(150)의 내부 공간(Ⅰ)에 수용된 화장 재질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된 분말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 재질은 제 1 퍼프부(120)의 퍼프층 또는 제 2 퍼프부(130)의 퍼프층에 고르게 확산 도포되고, 이때 사용자는 제 1 퍼프부(120) 또는 제 2 퍼프부(130)를 피부에 밀착하여 화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의 별도의 퍼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제 1 퍼프부(120)와 제 2 퍼프부(130)를 이용하여 분말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품을 얼굴과 피부에 고르게 도포한 균일한 화장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중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상부 하우징부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장측 분해 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측 분해 투시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재질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부(250), 하부 하우징부(250)의 하부 배출부(254)에 삽입 장착된 중간 결합부(240), 및 하부 하우징부(250)의 하부 배출부(254)에 맞물려 탈착되고 원주방향으로 동작하는 상부 하우징부(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부(220)는 상부에 화장 재질이 배출되는 대롱 형태의 연장관을 갖는 배출구(227)를 구비하고, 하부에 하부 하우징부(250)의 상부에 맞물리는 홈부의 외형을 가지며, 특히 하부 하우징부(250)의 하부 배출부(254)와 중간 결합부(240)를 감싸는 형태로 맞물리는 원통형의 상부 배출부(222)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부(220)의 상부 배출부(222)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탈착 돌기(222-1)를 구비하고, 내측 상부에 배출구(227)까지 관통 연결된 제 1 통공(225)을 형성한다.
제 1 통공(22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상부 배출부(222)의 내측 상부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구(227)까지 관통 연결되고, 특히 상부 배출부(222)의 내측 상부면에서 후술하는 중간 결합부(240)의 제 2 통공(242)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 결합부(240)는 하부 하우징부(250)의 하부 배출부(254)에 삽입 장착되는 원형 단면의 중공형 부재로서, 상부가 원형 마개의 형태를 갖고 상부면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일측에 제 2 통공(2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중간 결합부(240)는 측면 테두리 일측에 걸림턱을 구비하여, 하부 하우징부(250)의 하부 배출부(254)에 걸림턱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25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재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다각형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를 포함하는 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부(250)를 구성하는 연성 엘라스토머는 원하는 연성을 갖도록 가소제 등의 연화제를 추가 함유할 수 있고, 이때 추가 함유되는 가소제는 섞임성(compatibility)이 우수하면서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 발생이 적은 가소제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주로 고무성분의 연질 세그먼트와 수지성분의 경질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이며, 상온에서는 가황고무와 동일하게 거동하지만 가열하면 수지성분이 연화하여 소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성형성, 접착 특성 및 충격 흡수 특성 측면을 고려하여, SBS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olefin block copolymer)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부(250)는 상부면에 원통형의 하부 배출부(254)를 관통 구비하며, 측면 중앙에 각각 손잡이부(255)를 구비한다.
하부 배출부(25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220)의 탈착 돌기(222-1)가 슬라이딩되는 탈착 가이드(254-1)를 외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탈착 가이드(254-1)의 아래에 탈착 돌기(222-1)가?맞물리는 걸림턱(254-2)을 구비하며, 걸림턱(254-2)에 연결되어 외측 테두리를 따라 가이드 홈(254-3)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부(220)의 탈착 돌기(222-1)는 탈착 가이드(254-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걸림턱(254-2)에 맞물리고, 걸림턱(254-2)에 연결된 가이드 홈(254-3)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부(220)은 상부 배출부(222)가 하부 배출부(254)에 맞물려 장착되고 하부 배출부(254)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여,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이 서로 중첩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한 상태를 갖게 되고,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부(220)를 커버하는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220)의 탈착 돌기(222-1)를 하부 하우징부(250)의 탈착 가이드(254-1)를 따라 걸림턱(254-2)에 장착하면,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이 서로 중첩 관통한 상태를 갖는다.
이때, 사용자는 하부 하우징부(250)의 손잡이부(255)를 손쉽게 눌러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을 거쳐 하부 하우징부(250)의 내부 공간에 있는 화장 재질을 배출하고, 배출구(227)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출부(254)를 중심으로 상부 하우징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의 중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구(22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화장 재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220)를 180°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막힘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상부 하우징부(220)를 하부 하우징부(250)에 대해 회전 장착할 수 있어서,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의 개폐를 조정하고, 제 1 통공(225)과 제 2 통공(242)의 중첩 정도를 조절하여 화장 재질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화장품 용기 110: 커버
120: 제 1 퍼프부 130: 제 2 퍼프부
135: 배출구 135-2: 배출공
140: 중간 지지부 150: 하우징부
155: 내부 지지부 Ⅰ: 내부 공간
220: 상부 하우징부 222: 상부 배출부
222-1: 탈착 돌기 225: 제 1 통공
240: 중간 결합부 242: 제 2 통공
250: 하부 하우징부 254: 하부 배출부
254-1: 탈착 가이드 254-2: 걸림턱
254-3: 가이드 홈

Claims (19)

  1. 화장 재질을 수용하고, 상기 화장 재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퍼프부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퍼프부에 맞물려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퍼프부; 및
    상기 제 1 퍼프부의 일측면에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제 2 퍼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는 중간 지지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맞물리고 내부 공간(Ⅰ)에 상기 화장 재질을 수용한 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부는 플로킹(flocking)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puff)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퍼프부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일측면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플로킹(flocking) 처리에 의해 형성된 퍼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제 1 퍼프부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테두리에 맞물려 둘러싸는 환형 부재이고,
    상기 제 1 퍼프부와 상기 하우징부 보다 경도가 높은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의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5 ~ 30 MPa의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의 경성 엘라스토머 재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에 경화제를 추가 함유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맞물리는 내부턱; 및
    상측으로 상기 내부턱에 연장되어 상기 퍼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 변형하는 내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부는 상기 퍼프부의 내부에서 양측에 대칭하는 프레임 형태로 상기 배출구에 내부 연결된 배출공 부분에 맞물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화장 재질을 수용하고 상부면 일측에 하부 배출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부;
    상기 하부 배출부에 삽입 장착된 중간 결합부; 및
    상부에 연장관 형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배출부에 맞물려 탈착되고 원주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상부 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부는 하부에 상기 하부 배출부와 중간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맞물리는 상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출부는
    내측에 서로 대응하여 구비된 두 개의 탈착 돌기; 및
    내측 상부에 상기 배출구까지 관통 연결된 제 1 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부의 하부 배출부에 삽입 장착되는 원형 단면의 중공형 부재이고, 상부가 원형 마개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측에 제 2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출부는
    외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탈착 돌기가 슬라이딩되는 탈착 가이드;
    상기 탈착 가이드의 아래에 상기 탈착 돌기가?맞물리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어 외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부는 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부에 맞물려 상기 상부 하우징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140098318A 2013-09-25 2014-07-31 화장품 용기 KR20150034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643 2013-09-25
KR1020130113643 2013-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083A true KR20150034083A (ko) 2015-04-02

Family

ID=530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8318A KR20150034083A (ko) 2013-09-25 2014-07-31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40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39A1 (ko) * 2017-07-13 2019-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9169571A1 (zh) * 2018-03-07 2019-09-12 戈·森杰 一种化妆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39A1 (ko) * 2017-07-13 2019-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9169571A1 (zh) * 2018-03-07 2019-09-12 戈·森杰 一种化妆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52B1 (ko)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160074982A (ko) 세라믹 재질의 배출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20070000566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0477739Y1 (ko) 리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WO2015126380A1 (en) Applicator
KR20190002119U (ko) 도포 장치의 헤드부 구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11186B1 (ko)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CN205513087U (zh) 化妆品容器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150034083A (ko) 화장품 용기
KR20180127977A (ko) 액체 제품, 특히 크림과 같은 화장용 액체 제품의 압축 가능한 디스펜서
KR200479285Y1 (ko) 회전 탈부착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7008132B1 (en) Surgical scrub appliance
KR20200033182A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CN206453448U (zh) 化妆品容器
KR200477997Y1 (ko) 회전 가능한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108652183B (zh) 一种化妆粉容器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JP2004154557A (ja) 2つの受け器を一体化できる結合部材を備えた包装兼塗布器具
KR101703702B1 (ko)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료 도포용 어플리케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