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031A -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031A
KR20150034031A KR20130114088A KR20130114088A KR20150034031A KR 20150034031 A KR20150034031 A KR 20150034031A KR 20130114088 A KR20130114088 A KR 20130114088A KR 20130114088 A KR20130114088 A KR 20130114088A KR 20150034031 A KR20150034031 A KR 2015003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lug
helideck
ti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3974B1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74B1/en
Publication of KR2015003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tie-downs distributed over a helideck; a net stored in a helicopter and dropped to the helideck when the helicopter lands, having a plurality of hooks in one end portion thereof; and a net lifting modul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helicopter, bi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ie-downs by lifting the net to the side of the helicopter, and continuing to lift the net even after the hooks are bound to the tie-downs, thereby a landing position of the helicopter can be controlled by the binding of the hooks and the tie-downs and the continuous net lifting of the net lifting module.

Description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0001]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0002]

본 발명은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Generally, offshore plants such as drill ship,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or vessels that need to stay in the sea for a long time should operate helicopter , Which necessitates the installation of Helideck on the player or stern.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lideck may be comprised of a pancake portion forming a deck floor where the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ing and a pancak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pancake portion. The pancake par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nk to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helicopter. The pancake support may include H-shaped beams capable of supporting the pancake portion.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ncake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lank of aluminum material extending in one direction. Further, the pancak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luminum H beams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anks and disposed below the flanks to support the pancake portion, an aluminum H beam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luminum H beam, And a plurality of steel H beams disposed below the beam to support the aluminum H beam.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의 경우, 헬리콥터가 바람에 의해 받는 영향뿐만 아니라 헬리데크 자체가 수평, 수직 운동을 하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헬리데크에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실질적으로 헬리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의 움직임을 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은 실효성이 적으므로, 현재에는 헬리콥터 조종사의 조종 실력의 의존하고 있다.It is very difficult to safely land a helicopter on a helideck because helideck itself is horizontal and vertical, as well as the effect of helicopter on the wind, in the case of a helideck operating at sea. Actually, it is not effective to fine-tune the movement of a floating structure or ship on which a helideck is installed for a helicopter landing. Therefore, it depends on the helicopter pilot's steering ability nowadays.

그러나 해상 조건은 기본적으로 바람이 강하고, 파도도 거셀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아무리 실력이 뛰어난 조종사라고 하더라도 불의의 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기상조건이 열악한 경우나 야간의 경우에는 위험도가 더욱 증가한다.However, since the sea conditions are basically windy and the waves are not only gassel but also suddenly changing characteristics, it is not easy to cope with unfortunate situation safely even if the pilot is the best. Especially, when weather condition is poor or nighttime, the risk increases more.

따라서, 헬리콥터가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에 착륙할 때에는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when a helicopter lands on a helideck operating on the sea, a device that can assist in safely landing is need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5197(2002.05.22.공개)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45197 (published on May 22, 2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헬리콥터가 헬리데크에 착륙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more reliably land the helicopter when the helicopter lands on the helide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은, 헬리데크에 배치된 다수의 타이다운, 헬리콥터의 착륙 시 헬리콥터로부터 헬리데크로 투하되며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된 그물망 및 헬리콥터에 배치되고 상기 그물망을 헬리콥터 측으로 인양하여 상기 다수의 갈고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수의 타이다운 중 적어도 일부와 결속되도록 하며 상기 갈고리와 상기 타이다운의 결속 후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그물망을 인양하는 그물망 인양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갈고리와 상기 타이다운의 결속 및 상기 그물망 인양 모듈의 지속적인 그물망 인양을 통해 헬리콥터의 착륙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ie downs arranged on a helideck are disposed on a helicopter from a helicopter and landed on a helicopter, And a net lifting module for lifting the net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claws is boun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ie downs and the net continues to be lifted even after binding the claws and the tie down, The tie down binding and the continuous netting of the netting module can control the landing attitude of the helicopter.

이 때, 상기 타이다운은 상기 갈고리와의 결속을 위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는 헬리데크에 매립되어 있다가 헬리콥터의 착륙 시 헬리데크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e down includes a lug for binding with the hook, and the lug is embedded in the helideck and can be projected onto the helideck when the helicopter landing.

예를 들어, 상기 타이다운은,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여 회동 가능한 러그, 상기 러그와 상기 함몰부를 연결하며, 상기 러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피스톤 운동을 통해 상기 러그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러그의 회동을 제한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상기 러그는 회동이 제한되다가, 헬리콥터의 착륙 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러그의 타단부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러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기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e down may include a depression, a lug disposed at the depression, one end of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pression, a lug that connects the lug and the depression, And an actuator capable of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ug by interfer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lug through a member and a piston movement, wherein the rotation of the lug is restricted due to the interference by the actuator, and when the helicopter is landed, So that the lug can be rotated and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헬리콥터의 착륙 후 상기 그물망 인양 모듈의 조작을 통해 상기 그물망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헬리콥터가 상기 그물망에 의해 헬리데크에 고정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helicopter landing, the helicopter can be fixed to the helideck by the mesh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mesh through operation of the mesh lifting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콥터가 헬리데크에 착륙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that can more reliably land the helicopter when the helicopter lands on the helide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타이다운의 러그가 기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방법의 순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ie down lug rises;
6 is a flowchart of a helicopter landing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100)은 다수의 타이다운(tie-down, 110), 다수의 갈고리(125)가 구비된 그물망(120) 및 그물망 인양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network 120 having a plurality of tie-downs 110, a plurality of claws 125, and a mesh lifting module 130, . ≪ / RTI >

우선, 본 발명은 헬리데크(2) 상에 기설치된 다수의 타이다운(110)을 이용할 수 있는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리데크(2)에는 다수의 타이다운(110)이 분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데크(2)가 설치되는 해상은 기본적으로 바람이 강하고, 파도도 거셀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헬리콥터(1)가 헬리데크(2)에 착륙한 후 장시간 머무를 경우에는 헬리콥터(1)를 특정 구조에 결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헬리데크(2)의 상면에 다수의 타이다운(110)을 설치하여 헬리콥터(1)의 착륙 후 헬리콥터(1)와 타이다운(110)을 와이어 등으로 연결하여 헬리콥터(1)를 결박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00 capable of using a plurality of tie-downs 110 previously installed on the helideck 2. Generally, a plurality of tie downs 110 are distributed in the helideck 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 on which the helideck 2 is installed is basically windy and the waves have not only gauss but also sudden change characteristics, when the helicopter 1 lands on the helideck 2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bind the helicopter 1 to a specific structure. Therefore, a plurality of tie downs 11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lideck 2, and the helicopter 1 and the tie down 110 are connected with wires or the like after the helicopter 1 is landed to bind the helicopter 1 .

타이다운(110)은 헬리데크(2) 상에 다수 개로 분포되며, 헬리콥터(1)의 착륙 지점인 서클마크(circle mark, 3)의 내외에 위치할 수 있다. 가장 안정적인 헬리콥터(1)의 결박을 위해 서클마크(3)의 외측에 설치된 타이다운(110)과 헬리콥터(1)를 연결하고, 보조적인 결박을 위해 서클마크(3)의 내측에 설치된 타이다운(110)과 헬리콥터(1)를 연결할 수 있다. 타이다운(110)에는 와이어 결속을 위한 러그(lug)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tie downs 110 are distributed on a plurality of helidecks 2 and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a circle mark 3 as a landing point of the helicopter 1. The helicopter 1 is connected to the tie down 110 provided outside the circle mark 3 for the purpose of strapping the most stable helicopter 1 and the tie down 110) and the helicopter (1). The tie down 110 may be provided with a lug or the like for wire binding.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100)에서는 상기와 같은 타이다운(110)은 평상시에는 헬리데크(2)에 매립되어 있다가 헬리콥터(1)의 착륙 시 헬리데크(2)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below, in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e down 110 is normally embedded in the helideck 2, and when the helidecker 1 is landed, ). ≪ / RTI >

그물망(120)은 헬리콥터(1)에 보관되어 있다가 헬리콥터(1)의 착륙 시 헬리데크(2)로 투하될 수 있다. 헬리콥터(1)에는 그물망(120)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라커(locker)가 구비될 수 있다. The net 120 is stored in the helicopter 1 and can be released to the helideck 2 when the helicopter 1 is landed. The helicopter 1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er for storing the mesh 120.

그물망(120)의 일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갈고리(125)가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갈고리(125)는 타이다운(110)이 기립하고 그물망 인양 모듈(130)에 의해 그물망(120)이 인양되면 타이다운(110)이 포함하는 러그에 걸림으로써 결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hooks 125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sh 1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se hooks 125 can be tied by engaging the lugs included in the tie down 110 when the tie down 110 is raised and the net 120 is pulled up by the net lifting module 130 .

또한, 그물망(1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클마크(3)를 모두 커버하는 크기로 마련되어, 헬리데크(2)에 투하될 경우 서클마크(3)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이는 헬리데크(2)에 분포된 타이다운(110)의 위치를 고려한 것으로, 그물망(120)의 일단부에 구비된 갈고리(125)가 서클마크(3) 외측에 설치된 타이다운(110)에 결속되게 하여 헬리콥터(1)가 그물망(120)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힘(장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또는 갈고리(125)가 서클마크(3) 외측에 설치된 타이다운(110)에 결속되지 않은 경우, 서클마크(3) 내측에 설치된 타이다운(110)에 결속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mesh 120 may be provided to cover all of the circle marks 3 as shown in FIG. 1, and may cover all of the circle marks 3 when dropped on the helideck 2. This is because the hook 1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sh 120 is bound to the tie down 110 provided outside the circle mark 3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ie down 110 distributed in the helideck 2 So that the helicopter 1 can receive the most stable force (tension) through the mesh 120 or the hook 125 is tied to the tie down 110 installed outside the circle mark 3 Down to the tie down 110 provided inside the circle mark 3 in the case where the tie down is not performed.

다음으로, 그물망 인양 모듈(130)은 헬리콥터(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물망 인양 모듈(130)은 헬리데크(2)에 투하된 그물망(120)을 다시 헬리콥터(1) 측으로 인양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투하된 그물망(120)을 헬리콥터(1) 측으로 인양하여, 그물망(120)이 인양되는 과정에서 그물망(120)의 일단부에 구비된 다수의 갈고리(125)가 타이다운(110)에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갈고리(125)가 타이다운(110)에 결속된 후에도 그물망 인양 모듈(130)은 지속적으로 그물망(120)을 인양하여 헬리콥터(1)의 착륙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헬리콥터(1) 자체의 조종을 통한 하강과 더불어 그물망 인양 모듈(130)은 지속적으로 그물망(120)을 인양하여 그물망(120)에 걸리는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헬리콥터(1)가 안정적으로 하강 및 착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Next, the mesh lifting module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licopter 1. [ The net lifting module 130 is for lifting the net 120 dropped on the helideck 2 back to the helicopter 1 side. First, the dropped net 120 is lifted to the helicopter 1, and a plurality of hooks 1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net 120 are tied to the tie down 110 during the lifting of the net 120 . The net lifting module 130 can continuously lift the net 120 and control the landing attitude of the helicopter 1 even after the hook 125 is tied to the tie down 110. [ In other words, along with desc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helicopter 1 itself, the net lifting module 130 continues to lift the net 120 to mainta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net 120 so that the helicopter 1 stably descends and You can make it land.

이를 위해, 그물망 인양 모듈(130)은 윈치 등의 권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물망(120)이 권취될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그물망(120)을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어선의 그물망 인양 과정과 유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net lifting module 130 may include a winding device, such as a winch. The mesh 120 includes a drum on which the mesh 120 can be wound, and the mesh 120 can be reliably lifted by rotating the drum. This configuration can be similar to the process of netting the fishing boat.

본 실시예에서는 헬리콥터(1)의 착륙을 유도하는데 그물망(120)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등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network 120 is used to guide the helicopter 1 to lan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wires made of chains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nd us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200)의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200)은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그물망(220, 221)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헬리콥터(1)의 앞뒤 2개소에서 2개의 그물망(220, 221)이 헬리데크(2)로 각각 투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헬리콥터(1)가 보관되는 그물망의 중량이 대폭적으로 감소하여 헬리콥터(1)의 운행 안전 및 연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물망의 투하 및 회수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헬리데크(2)의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 현상도 줄일 수 있다.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plurality of mesh networks 220 and 221,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wo nettings 220 and 221 at two places in front and rear of the helicopter 1 can be dropped to the helideck 2, respectively.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eight of the mesh network in which the helicopter 1 is stored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afety of the operation of the helicopter 1 and the improvement of the fuel economy, and the delivery and collection of the mesh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he interference phenomenon with other structures of the helideck 2 can be reduced.

투하된 그물망(220, 221)에 구비된 갈고리(225)는 서클마크(3)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된 타이다운(210)에 모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그물망(220, 221)의 일부는 서클마크(3)의 외측 영역에 투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물망(220)의 일측은 서클마크(3) 외측 영역에 투하되고, 그물망(220)의 타측은 서클마크(3) 내측 영역에 투하되어, 서클마크(3)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된 타이다운(210)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hooks 225 provided in the dropped net 220 and 221 can be bound to the tie down 210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circle mark 3. [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mesh 220, 221 can be dropp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circle mark 3. For example, one side of the mesh 220 is dropped on the outer side of the circle mark 3, the other side of the mesh 220 is dropped on the inner side of the circle mark 3, The tie down 210 can be used.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100)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200)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작동 모습은 동일하므로 두 실시예를 일거에 설명하기로 한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헬리콥터(1)의 착륙 시 타이다운(110, 210)에 포함된 러그(115, 215)가 기립할 수 있다. 이어서 헬리콥터(1)로부터 그물망(120, 220, 221)이 헬리데크(2)로 투하될 수 있다. 반대로, 그물망(120, 220, 221)이 투하된 후 러그(115, 215)가 기립할 수도 있다. The lugs 115 and 215 included in the tie downs 110 and 210 can stand up when the helicopter 1 lands. Subsequently, the mesh 120, 220, 221 from the helicopter 1 can be dropped to the helideck 2. Conversely, the lugs 115 and 215 may stand after the mesh 120, 220, and 221 are released.

그물망 인양 모듈(130, 230)은 그물망(120, 220, 221)을 헬리콥터(1) 측으로 인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물망(120, 220, 221)의 일단부에 구비된 갈고리(125, 225)가 타이다운(110, 210)의 러그(115, 215)에 결속될 수 있다. 그물망 인양 모듈(130, 230)은 갈고리(125, 225)와 러그(115, 215)의 결속 후에도 지속적으로 그물망(120, 220, 221)을 인양하여 그물망(120, 220, 221)에 기설정된 장력을 제공 및 유지하여 그물망(120, 220, 221)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그물망(120, 220, 221)이 지속적으로 인양되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헬리데크(2)로부터 소정 거리 공중 부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mesh lifting modules 130 and 230 can lift the mesh networks 120, 220 and 221 toward the helicopter 1. 3 and 4, the hooks 125 and 2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sh 120 are coupled to the lugs 115 and 215 of the tie-downs 110 and 210, . The net lifting modules 130 and 230 may continuously lift the nettings 120, 220 and 221 even after the coupling of the hooks 125 and 225 and the lugs 115 and 215 so that the nettings 120, So that the mesh networks 120, 220, and 221 can be maintained in a tense state. In FIGS. 3 and 4, it can be seen that the nettings 120, 220, and 221 are continuously lifted and maintained in a taut state, thereby being levitated from the helideck 2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물망 인양 모듈(130, 230)에 의해 그물망(120, 220, 221)이 지속적으로 인양되는 것과 동시에 헬리콥터(1) 자체의 조종을 통해 헬리콥터(1)를 하강시켜 헬리데크(2)에의 착륙을 안전하게 완료할 수 있다.The nettings 120, 220 and 221 are continuously lifted by the net lifting modules 130 and 230 and the helicopter 1 is lower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elicopter 1 itself to safely land the helicopter 2 Can be completed.

도 5는 타이다운(110)의 러그(115)가 기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타이다운(110)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에 러그(115)가 배치됨으로써 러그(115)가 헬리데크(2)에 매립될 수 있다. 함몰부에 배치된 러그(115)의 일측은 함몰부의 일측과 힌지부(116)를 통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힌지부(11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힌지부(116)는 구동수단(117)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수단(1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러그(115)는 힌지부(116)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117)은 모터일 수 있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ugs 115 of the tie down 110 stand. The depressed portion is formed in the tie down 110 and the lug 115 is disposed on the depression so that the lug 115 can be embedded in the helideck 2. One side of the lug 115 disposed at the depression can be hinged through one side of the depression and the hinge portion 116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portion 116. Specifically, the hinge portion 116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117, and the driving means 117 drives the lug 115 to rotate around the hinge portion 116. The driving means 117 may be a motor.

다른 예로, 구동수단(117)은 탄성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은 함몰부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러그(115)에 연결되어 러그(11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에서 상방향의 복원력에 의해 러그(115)를 기립시키려고 하는데, 이 때 액추에이터가 제공되어 기립하려고 하는 러그(115)의 타단부(힌지부(116)의 반대편)를 간섭할 수 있다. 헬리콥터가 착륙하여 러그(115)가 기립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후퇴하여 러그(115)의 타단부에 가하던 간섭을 해제할 수 있고, 러그(115)는 온전히 탄성부재의 상방향 탄성력만을 제공 받아 힌지부(116)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헬리데크 상으로 돌출되어 기립할 수 있는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means 117 may be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lug 115 to provid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which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ug 115. 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tries to stand up the lug 115 by the upward restoring force in the compressed state, at which time the actuator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ug 115 (opposite the hinge portion 116) Lt; / RTI > When the helicopter is landing and the lug 115 needs to stand up, the actuator can retract to release the interference on the other end of the lug 115, and the lug 115 is completely resilient So that it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116 and protrude into the helideck to stand up.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착륙 유도 방법은 타이다운의 러그 기립 단계(10), 그물망 투하 단계(20), 그물망을 인양하여 갈고리와 러그가 결속되는 단계(30) 및 그물망을 지속적으로 인양하면서 헬리콥터를 착륙시키는 단계(40)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 flowchart of a helicopter landing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icopter landing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tie-down lug-up step (10), a net network dropping step (20), a step (30) of hooking and lugging by hoisting a net, And landing (step 40).

헬리콥터가 헬리데크의 착륙하려 하는 경우, 헬리데크에 분포된 다수의 타이다운이 각각 포함하는 러그가 기립(10)될 수 있다. 러그의 기립을 위한 구성은 도 5에서 설명한 바 있다. If the helicopter tries to land the heli-deck, the lugs each containing a plurality of tie-downs distributed in the heli-deck may stand upright (10). The configuration for standing up the lug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러그의 기립(10)이 완료된 후, 헬리콥터로부터 그물망이 투하(20)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물망의 일단부에는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이 투하된 후에 러그가 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the standing 10 of the lug is completed, a net can be dropped 20 from the helicopter.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ooks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network.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lug to stand up after the net is dropped.

그물망이 투하(20)되면, 헬리콥터의 일측에 구비된 그물망 인양 모듈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헬리콥터 측으로 인양(30)할 수 있다. 그물망이 인양되는 과정에서 그물망의 일단부에 구비된 갈고리는 기립된 러그에 결속(30)될 수 있다. When the mesh is released (20), the mesh can be lifted to the helicopter side by using a mesh lifting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licopter.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net, the hook provided at one end of the net can be bound 30 to the standing lug.

러그와 갈고리의 결속 후에도 그물망을 지속적으로 인양하면서 헬리콥터를 착륙(40)시킬 수 있다. 헬리콥터의 하강에 의해 그물망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을 지속적으로 인양하여 그물망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헬리콥터의 착륙이 완료되는 순간까지 헬리콥터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tying the rug and the hook, the helicopter can be landed (40) while still lifting the net. As the helicopter descends,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mesh decreases. To prevent this, the mesh can be continuously lifted and the mesh can be maintained in a taut state. Thus, the posture of the helicopter can be stably controlle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landing of the helicopter.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헬리콥터 2: 헬리데크
3: 서클마크 100, 200: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
110, 210: 타이다운 115, 215: 러그
120, 220, 221: 그물망 125, 225: 갈고리
130, 230, 231: 그물망 인양 모듈
1: Helicopter 2: Helideck
3: Circle mark 100, 200: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110, 210: tie down 115, 215: rug
120, 220, 221: mesh 125, 225: hook
130, 230, 231: Mesh lifting module

Claims (4)

헬리데크에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다운;
헬리콥터의 착륙 시 상기 헬리콥터로부터 상기 헬리데크로 투하되며,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된 그물망; 및
상기 헬리콥터에 설치되고, 상기 그물망을 인양하여 상기 다수의 갈고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수의 타이다운 중 적어도 일부에 결속되도록 하며, 상기 갈고리와 상기 타이다운의 결속 후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그물망을 인양하는 그물망 인양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갈고리와 상기 타이다운의 결속 및 상기 그물망 인양 모듈의 지속적인 그물망 인양을 통해 헬리콥터의 착륙 자세가 제어되는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
A plurality of tie downs disposed in the helideck;
A net which is dropped from the helicopter to the helideck when the helicopter lands, and has a plurality of hooks; And
A plurality of tie-down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claws are boun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tie downs, and a plurality of tie-downs are provided on the helicopter, Module,
Wherein the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controls the helicopter landing attitude through binding of the hooks and the tie down and continuous netting of the nett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다운은 상기 갈고리와의 결속을 위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는 헬리데크에 매립되어 있다가 헬리콥터의 착륙 시 헬리데크 상으로 돌출되는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e down includes a lug for binding with the hook, the lug being embedded in the helideck and projecting onto the helideck when the helicopter land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다운은,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여 회동 가능한 러그;
상기 러그와 상기 함몰부를 연결하며, 상기 러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피스톤 운동을 통해 상기 러그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러그의 회동을 제한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상기 러그는 회동이 제한되다가, 헬리콥터의 착륙 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러그의 타단부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러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기립하는 헬리콥터 착륙 유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ie-
Depression;
And one end of the lug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depression to be rotatable;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lug to the depression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ug; And
And an actuator capable of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ug by interfer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lug through a piston movement,
When the helicopter is landed, the interference with the other end of the lug is released, so that the lug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helicopter landing in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헬리콥터의 착륙 후 상기 그물망 인양 모듈의 조작을 통해 상기 그물망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헬리콥터가 상기 그물망에 의해 헬리데크에 고정되는 헬리데크 착륙 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licopter is fixed to the helideck by the mesh after the landing of the helicopter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mesh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esh lifting module.
KR1020130114088A 2013-09-25 2013-09-25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KR101563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88A KR101563974B1 (en) 2013-09-25 2013-09-25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88A KR101563974B1 (en) 2013-09-25 2013-09-25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031A true KR20150034031A (en) 2015-04-02
KR101563974B1 KR101563974B1 (en) 2015-10-28

Family

ID=530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088A KR101563974B1 (en) 2013-09-25 2013-09-25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97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020A (en) 2016-07-26 2018-02-05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Unmaned aerial vehicle accuracy landing system
KR20210079167A (en)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Lighting system for Night Vision Imaging System to guide landing on ship
KR20220069193A (en)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Lighting system for Night Vision Imaging System to guide landing on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997A (en) 2022-02-08 2023-08-16 한화오션 주식회사 Airborne Helicopter Safe Captu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819B2 (en) * 2004-12-20 2006-11-14 A.L. Hansen Manufacturing Co. Tie-down assembly
CN101885374B (en) * 2010-07-07 2012-08-15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Cod-end structure for recovering marine returning capsule in terrible ocean environ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020A (en) 2016-07-26 2018-02-05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Unmaned aerial vehicle accuracy landing system
KR20210079167A (en)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Lighting system for Night Vision Imaging System to guide landing on ship
KR20220069193A (en)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Lighting system for Night Vision Imaging System to guide landing on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974B1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732B2 (en) Lifting systems
US9732726B2 (en) Component handling, in particular wind turbine component handling
KR101563974B1 (en)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EP3580121B1 (en) Upending device for upend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US11325686B2 (en) Auxiliary sail system for ships and safety systems for same
KR101883219B1 (en) Port container crane with improved 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JP5565803B2 (en) Installation method of tension mooring floating structure and ship for installation of tension mooring floating structure
JP2019505716A (en) Wind turbine blade transportation frame
JP6313613B2 (en) Crane equipment and work boat
US20120180714A1 (en) Automatic retractable boat cover
JP4541678B2 (en) Onboard boat lifting device
JP6770448B2 (en) Collection device
CN109937173B (en) Auxiliary sail system for a ship and safety system for an auxiliary sail system
CN105645290A (en) Arrangement to hoist wind turbine component
KR101372278B1 (en)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Lashing Bridge in Containership
JP2024506036A (en) Lash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n cargo ships
KR102552456B1 (en) Chain handling system for pulling mooring line
KR200492623Y1 (en) Adjustable mast that is installed on container ships lashing bridge
CN203095444U (en) Container crane adjusting system with variable transportation height
JP2019098963A (en) Floating body, floating body mooring device and floating body mooring method
JP5854748B2 (en) Seismic isolation support device for traveling crane
KR101973076B1 (en) Vessel
KR20240022037A (en) Floating jig and method for installing support structure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using the same
KR101540379B1 (en) Helideck with maintenance structure
JPH0231999A (en) Tension ball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