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515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515A
KR20150033515A KR1020140074051A KR20140074051A KR20150033515A KR 20150033515 A KR20150033515 A KR 20150033515A KR 1020140074051 A KR1020140074051 A KR 1020140074051A KR 20140074051 A KR20140074051 A KR 20140074051A KR 20150033515 A KR20150033515 A KR 2015003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user device
peer
hom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640B1 (ko
Inventor
김준형
김세훈
천재익
공동건
배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640B1/ko
Priority to PCT/KR2014/008780 priority patent/WO2015041490A1/ko
Priority to CN201480052369.5A priority patent/CN105580314B/zh
Priority to US15/024,282 priority patent/US10200366B2/en
Priority to EP14845401.0A priority patent/EP3051747B8/en
Publication of KR2015003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15A/ko
Priority to US16/263,651 priority patent/US111781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06F21/335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for accessing specific resources, e.g. using Kerberos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7Managing security policies for mobile devices or for controlling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과,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할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EXPOR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HOME DEVICE OF A USER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발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들을 홈 게이트웨이(HGW: Home Gateway)를 통해 통합하여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례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디바이스가 개별적으로 홈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성(Usability)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 개수와 등록 절차를 수행할 홈 디바이스 개수가 증가할수록 등록 절차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단계들 역시 증가하므로 등록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홈 디바이스들 간의 등록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과,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할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하는 요청 ID(request 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에 복사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토큰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어 그룹에 상기 피어 ID를 추가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할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미리 정해진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하는 요청 ID(request 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에 복사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디바이스 토큰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어 그룹에 상기 피어 ID를 추가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족 구성원들 각각이 보유한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댁 내 존재할 경우 홈 디바이스에 관련한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와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이 관련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전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사용 권한 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서버를 경유하여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고 나머지 접속 권한 정보는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 권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자동 등록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연결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댁 내와 댁 외 간에 연동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일례로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계정 서버(Account server), 연결 서버(Connectivity server), 푸시 서버(Push server), 펌웨어 관리 서버(Firmware management server)들 중 서비스 서버, 계정 서버 및 연결 서버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하는 방법과 상기 서비스 서버, 계정 서버 및 연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과 홈 디바이스가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댁 내(혹은 댁 외) 설치된 피 제어기기(controlled device), 일례로 홈 디바이스들은 제어기기(controller device),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이미 연결된 상태라 가정한다. 즉 신규 구매된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 시에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사전 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는 신규 구매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와 피어 그룹 식별자(ID:Identifier)(peerGroupID) 및 국가 코드(countryCode)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고유 ID인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그 밖에 타입(type), 이름(name),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제조사(manufacturer), 모델 ID, 시리얼 번호(serialNumber), 판매 지역(salesLocation), 버전(versions) 등을 포함한다. 또한 peerGroupID는 특정 사용자 계정을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지시하고, countryCode는 제어기기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101), 사용자 디바이스(103), 연결 서버(105), 계정 서버(107), 서비스 서버(109)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3)는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101)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홈 디바이스(101)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를 의미하며, 일례로 스마트 폰 등의 이동 단말이나 텔레비전(TV: Televison) 등이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101)는 댁 내(혹은 댁 외)에 위치하며 사용자 디바이스(103)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기기를 의미하며, 가전기기(Smart Appliance), 보안기기(security devices), 조명기구(Lighting devices), 에너지기기(Energy devices)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 가전기기는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가습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구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기기는 난방기기,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디바이스(101)는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커튼, 블라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서버(105)는 홈 디바이스(101)와 사용자 디바이스(103) 간에 통신 채널 설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연결 서버(105)는 홈 디바이스(101)와 사용자 디바이스(103)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전스(Presence) 정보와 원격에서도 방화벽(Firewall)을 통과해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NAT-T(Network Address Translation-Traversal) 기능을 제공한다.
계정 서버(107)는 사용자 디바이스(103)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계정 서버(107)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계정 서버(107)에 로그인하면 단일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109)와 연결 서버(10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 서버(105)와 상기 계정 서버(107)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공용 서버이다. 이에 반해 서비스 서버(109)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만을 위해 운용되는 서버로써, 홈 디바이스(101)의 정보 회람을 위한 홈 디바이스 기기 정보와 그 밖에 상기 홈 디바이스(101)의 제어를 위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3)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일례로 스마트 홈 앱(Smart Home App) 등을 통해 서비스 서버(109)에 접속하여 홈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홈 디바이스 정보를 회람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홈 디바이스들의 일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제어 정보를 회람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3)를 통해 홈 디바이스(101)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홈 디바이스(101)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일례로 설명하나, 도 1에서 설명하는 절차는 댁내(또는 댁외) 설치 가능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을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3)는 스마트 홈 앱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앱의 실행과 동시에 홈 디바이스(101)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3)와 홈 디바이스(101) 간에 연결을 설정한다.(112단계)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3)는 계정 서버(107)로부터 발급된 인증 코드(Authentication Code)를 수신하고,(114단계) 상기 인증 코드와 사용자 디바이스(103)의 계정 ID를 홈 디바이스(101)에게 전송한다.(116단계)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101)가 계정 서버(107)로부터 접속 토큰(Access token)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 토큰은 홈 디바이스(101)가 연결 서버(105)에 접속할 때, 연결 서버(105)가 홈 디바이스(1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홈 디바이스(101)는 계정 서버(107)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고,(118단계) 사용자 디바이스(103)는 홈 디바이스(101)와의 사전 절차를 통해 획득한 홈 디바이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109)에 등록한다.(120단계)
이후 홈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디바이스(103)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 및 계정 ID와, 계정 서버(107)로부터 수신한 접속 토큰을 이용하여 연결 서버(105)에 로그인한다.(122단계)
이와 같이 홈 디바이스(101)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는 앞서 설명한 112단계 내지 122단계를 통해 이뤄진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모두가 각각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경우, 단말 간 홈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201),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3), 제2 사용자 디바이스(205)를 포함한다. 제1사용자 디바이스(203)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201)와 이미 연결된 상태이며,(212단계) 도 1에서 설명한 등록 절차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2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정보(214)를 서비스 서버(207)에 등록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사용자 디바이스(203)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영역, 일례로 댁 내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Discovery)하고 상기 발견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홈 디바이스 정보를 함께 공유할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다. 여기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디바이스가 도시된 제2 사용자 디바이스(205)라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5)는 선택된 제2 사용자 디바이스(205)에게 홈 디바이스 정보(214)와 홈 디바이스(201)에 대한 접속 권한 정보를 전달한다.(216단계) 여기서 홈 디바이스 정보(214)는 UUID, 피어 ID(peerID), peerGroup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연결 서버(209)에 대한 접속 권한 정보는 디바이스 토큰(Device token)을 포함한다. 상기 UUID는 홈 디바이스(201)의 고유 ID를 의미하고, 상기 peerID는 연결 서버(211)가 홈 디바이스(20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207)가 할당하는 ID를 의미한다. 상기 peerGroupID는 특정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7)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지시하고, 상기 디바이스 토큰은 홈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발급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나타낸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214)와 상기 홈 디바이스(201)에 대한 접속 권한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 권한 정보라 명명하고, 따라서 상기 사용 권한 정보는 UUID, peerID, peerGroupID, 디바이스 토큰을 포함한다.
제2 사용자 디바이스(205)는 홈 디바이스(201)와 연결을 설정하고, 홈 디바이스(201)를 연결 서버(211)에 등록한다.(218단계)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홈 디바이스(201)가 연결 서버(211)에 등록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와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이 관련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301), 사용자 디바이스(303), 계정 서버(305), 연결 서버(307)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303)는 도 2의 216단계를 통해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홈 디바이스(301)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즉 UUID, peerID, peerGroupID,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즉 상기 홈 디바이스(301)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303)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사용자 디바이스(303)는 계정 서버(305)로부터 발급된 인증 코드를 수신하고,(312단계) 홈 디바이스(301)에게 계정 서버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314단계)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301)가 계정 서버(305)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 토큰은 홈 디바이스(301)가 연결 서버(307)에 접속할 때, 연결 서버(307)가 홈 디바이스(3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계정 서버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계정 서버(305)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디바이스(303)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UUID 및 디바이스 토큰이 포함된다.
한편 홈 디바이스(301)는 계정 서버(305)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고,(316단계) 이후 사용자 디바이스(303)로부터 연결 서버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318단계) 상기 연결 서버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디바이스(303)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peerID 및 peerGroupID가 포함된다.
홈 디바이스(301)는 314단계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과 자신이 발급한 디바이스 토큰의 키 값이 동일하면, 계정 서버(305)로부터 수신한 접속 토큰과 사용자 디바이스(303)로부터 수신한 peerGroupID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307)에 등록한다.(320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전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 제2 사용자 디바이스(403), 홈 디바이스(405), 서비스 서버(407)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는 서비스 서버(407)로부터 댁 내(혹은 댁 외) 설치된 모든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목록을 수신하고,(412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목록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들 각각을 통해 해당 홈 디바이스, 일례로 홈 디바이스(405)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414단계)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는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고,(416단계) 발견된 디바이스들 중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할 사용자 디바이스, 일례로 제2 사용자 디바이스(403)를 선택한다.(418단계) 여기서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댁 내 위치한 모든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403)와 세션을 설정하고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420단계)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홈 디바이스들 중 제2 사용자 디바이스(403)와 정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목록을 선택한다.(423단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는 423단계에서 선택한 홈 디바이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전달하여,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와 관련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한다. 여기서 사용 권한 정보를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가 사용 권한 정보를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직접 전달하는 제1방안,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가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서버(407)를 경유하여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전달하고 나머지 접속 권한 정보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직접 전달하는 제2방안, 제1 사용자 디바이스(401)가 사용 권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407)를 통해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전송하는 제3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사용 권한 정보를 제2사용자 디바이스(403)에게 전달하는 제1 방안 내지 제3방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사용 권한 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 홈 디바이스(505), 서비스 서버(50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는 도 4에서 설명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되는 사전 절차가 완료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에게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512단계)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를 승인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에게 전송한다.(514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관련한 정보, 즉 UUID, peerID, IP 어드레스(address)와,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과, 그 밖에 peerGroupID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TV라 가정한다.
이후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는 서비스 서버(507)에게 홈디바이스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홈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516단계) 서비스 서버(5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5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한다.(518단계) 상기 홈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에는 제 제2 사용자 디바이스(503)의 계정 ID, UUID, peerGroupID가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는 서비스 서버를 경유하여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고 나머지 접속 권한 정보는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 홈 디바이스(605), 서비스 서버(60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는 도 4에서 설명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되는 사전 절차가 완료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는 서비스 서버(607)에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612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인 UUID, peerID 및 peerGroupID와,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의 계정 ID와, 요청(request) ID가 포함된다. 상기 요청 ID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와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에게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614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에는 서비스 서버(607)에 전송한 요청 ID가 포함된다.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는 서비스 서버(607)에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616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의 계정 ID와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로부터 수신한 요청 ID가 포함된다.
서비스 서버(6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로부터 수신한 요청 ID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로부터 수신한 요청 ID와 비교하여 요청 ID 유효성(validation)을 검사한다. 서비스 서버(6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로부터 수신한 요청 ID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로부터 수신한 요청 ID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에게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618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응답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관련한 정보, 즉 UUID, peerID, peerGroupID, I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이후 서비스 서버(6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한다.(620단계)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를 승인하는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에게 전송한다.(622단계) 상기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1)는 사용 권한 정보 중 접속 권한 정보, 즉 디바이스 토큰을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에게 전송한다.(624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 권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주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701),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 홈 디바이스(705), 서비스 서버(70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701)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는 도 4에서 설명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되는 사전 절차가 완료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701)는 서비스 서버(707)에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712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인 UUID와, 상기 사용 권한 정보 중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의 계정 ID가 포함된다.
서비스 서버(7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에게 제1 디바이스(701)가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를 허용함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714단계)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는 서비스 서버(707)에게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716단계)
서비스 서버(7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에게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718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응답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관련한 사용 권한 정보, 즉 UUID, peerID, peerGroupID 및 디바이스 토큰과, I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7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7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한다.(720단계)
이후 서비스 서버는 712단계에서 수신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사용자 디바이스(703)와의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완료 통지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701)에게 전송한다.(722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801), 제1 사용자 디바이스(803), 제2 사용자 디바이스(805)를 포함한다. 제1사용자 디바이스(803)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801)와 이미 연결된 상태이며,(812단계) 도 1에서 설명한 등록 절차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82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정보(814)를 서비스 서버(807)에 등록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사용자 디바이스(803)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영역, 일례로 댁 내 위치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고 상기 발견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홈 디바이스 정보를 함께 공유할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다. 여기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디바이스가 도시된 제2 사용자 디바이스(805)라 가정한다.
제1사용자 디바이스(803)는 서비스 서버(807)에 홈 디바이스(801)에 대한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807)는 홈 디바이스(801)를 연결 서버(809)에 등록한다.(816단계) 연결 서버(809)는 제2사용자 디바이스(805)의 피어 그룹에 홈 디바이스(801)의 peerID를 추가하여, 홈 디바이스(801)는 제2사용자 디바이스(805)에 자동 등록된다.(818단계) 이하에서는 도 9를 통해 홈 디바이스(801)가 제2 사용자 디바이스(805)에 자동 등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자동 등록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 홈 디바이스(905), 서비스 서버(907), 연결 서버(9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는 도 4에서 설명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수행되는 사전 절차가 완료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에게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12단계)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를 승인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에게 전송한다.(914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의 계정 ID가 포함된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는 서비스 서버(907)에 홈 디바이스(905)에 대한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16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인 UUID와, 상기 사용 권한 정보 중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과,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의 계정 ID가 포함된다.
서비스 서버(907)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한다.(918단계) 이후 제1 사용자 디바이스(901)는 914단계에서 수신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 승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확인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에게 전송한다.(920단계) 상기 확인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중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이 포함된다.
한편, 서비스 서버(907)는 연결 서버(909)에 홈 디바이스(905)의 등록을 요청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22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중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인 peerGroupID 및 peerID와 상기 사용 권한 정보 중 접속 권한 정보인 디바이스 토큰이 포함된다. 연결 서버(909)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903)의 피어 그룹에 홈 디바이스(905)의 peerID를 추가하여,(924단계) 홈 디바이스(905)를 연결 서버(909)에 등록한다.(926단계) 이때 연결 서버(909)는 홈 디바이스(905)의 등록을 위해 서비스 서버(907)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토큰을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000)는 송신부(1010), 수신부(1020), 제어부(1030) 및 저장부(10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3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1010)는 상기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01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부는(1020)는 상기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020)가 수신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된 서비스 서버(1100)는 송신부(1110), 수신부(1120), 제어부(1130) 및 저장부(1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30)는 서비스 서버(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1110)는 상기 제어부(11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11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부는(1120)는 상기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120)가 수신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연결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시된 연결 서버(1200)는 송신부(1210), 수신부(1220), 제어부(1230) 및 저장부(1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30)는 서비스 서버(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 정보 공유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1210)는 상기 제어부(12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21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부는(1220)는 상기 제어부(12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220)가 수신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과,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할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 전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하는 요청 ID(request ID)를 이용하여,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및 상기 피어 그룹 ID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 전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UU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 전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한 다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 중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와 정보를 공유할 홈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 전달 방법.
  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하는 요청 ID(request 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요청 ID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 ID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 ID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 ID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 ID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 ID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UU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 관리 방법.
  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에 복사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자동 등록 방법.
  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토큰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자동 등록 방법.
  1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어 그룹에 상기 피어 ID를 추가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자동 등록 방법.
  1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공유할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미리 정해진 공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UUID, 상기 피어 ID, 상기 피어 그룹 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3.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상기 관련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신뢰 키(trust key) 값을 지시하는 요청 ID(request ID)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복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4.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에 복사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디바이스 토큰을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연결 서버에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디바이스 토큰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연결 서버에게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자동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홈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 및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증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토큰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어 그룹에 상기 피어 ID를 추가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결 서버.
KR1020140074051A 2013-09-23 2014-06-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051A KR102213640B1 (ko) 2013-09-23 2014-06-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8780 WO2015041490A1 (ko) 2013-09-23 2014-09-22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CN201480052369.5A CN105580314B (zh) 2013-09-23 2014-09-22 家庭网络系统中用户设备传输与家庭设备有关的信息的装置和方法
US15/024,282 US10200366B2 (en) 2013-09-23 2014-09-22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EP14845401.0A EP3051747B8 (en) 2013-09-23 2014-09-22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US16/263,651 US11178144B2 (en) 2013-09-23 2019-01-31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1114P 2013-09-23 2013-09-23
US61/881,114 2013-09-23
KR1020140074051A KR102213640B1 (ko) 2013-09-23 2014-06-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15A true KR20150033515A (ko) 2015-04-01
KR102213640B1 KR102213640B1 (ko) 2021-02-08

Family

ID=6663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051A KR102213640B1 (ko) 2013-09-23 2014-06-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00366B2 (ko)
EP (1) EP3051747B8 (ko)
KR (1) KR102213640B1 (ko)
CN (1) CN105580314B (ko)
WO (1) WO201504149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63B1 (ko) * 2015-05-29 2016-10-12 주식회사 스마트큐 사물인터넷을 위한 안전한 디바이스 보안과 인증 절차를 처리하는 시스템
WO2017049387A1 (en) 2015-09-25 2017-03-30 Genetec Inc. Secure enrolment of securit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security server
FR3042363A1 (fr) * 2015-10-07 2017-04-14 Groupe Brandt Appareil electromenager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l'appareil electromenager et un serveur
KR20170044963A (ko) * 2015-10-16 201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0091382A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9511B1 (ko)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5641A (ja) * 2014-10-27 2016-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権限移譲システム、権限移譲システムに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TWI611379B (zh) * 2015-03-27 2018-01-11 寶貝安科技股份有限公司 遙控燈具方法
CN105357262B (zh) * 2015-09-29 2019-07-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EP3400700B1 (en) * 2016-01-04 2020-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operating a user device in a user device group and related user devices and control servers
US10440043B2 (en) 2016-02-26 2019-10-0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ecurity protections of network connected devices
CN105978988B (zh) * 2016-06-15 2021-07-30 青岛恒金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任务调度的智能煮饭控制系统
CN106098087B (zh) * 2016-06-15 2021-01-12 青岛恒金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任务调度的智能音响控制系统
JP6319369B2 (ja) * 2016-06-23 2018-05-09 日本電気株式会社 処理制御装置、処理制御方法、及び、処理制御プログラム
US10587616B2 (en) 2016-09-16 2020-03-10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uthentication of user devices to a display device
EP3355141B1 (de) * 2017-01-27 2019-03-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erator-system für ein prozessleitsystem
SG11201907306QA (en) * 2017-02-17 2019-09-27 Connect2Me Pte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rget unit, and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on of instruction from instructing unit
US11038882B2 (en) * 2017-04-03 2021-06-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electrical apparatus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314690B1 (ko) 2017-04-11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7222373B (zh) * 2017-05-05 2020-01-24 深圳市文鼎创软件有限公司 智能家居的控制方法、系统、终端、fido服务器及安全设备
CN107426160B (zh) * 2017-05-05 2020-04-14 深圳市文鼎创软件有限公司 智能家居的控制方法、系统、终端、fido服务器及安全设备
US10432600B2 (en) * 2017-06-27 2019-10-01 Uniken, Inc. Network-based key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659444B2 (en) 2017-06-27 2020-05-19 Uniken, Inc. Network-based key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1095662B2 (en) 2017-08-29 2021-08-17 Amazon Technologies, Inc. Federated messaging
US11349659B2 (en) * 2017-08-29 2022-05-31 Amazon Technologies, Inc. Transmitting an encrypted communication to a user in a second secure communication network
US11368442B2 (en) * 2017-08-29 2022-06-21 Amazon Technologies, Inc. Receiving an encrypted communication from a user in a second secure communication network
CN107770245A (zh) * 2017-09-08 2018-03-06 绵阳西真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气净化器的数据互联及应用方法
CN107872373A (zh) * 2017-09-30 2018-04-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权分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WO2019177636A1 (en) * 2018-03-16 2019-09-19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device to a user of a service
US11810183B1 (en) * 2019-02-19 2023-11-07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sharing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iques
WO2020214701A1 (en) * 2019-04-17 2020-10-22 Prestacom Services Llc Sharing keys for a wireless accessory
CN110191241B (zh) * 2019-06-14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0460585B (zh) * 2019-07-19 2022-02-11 招联消费金融有限公司 设备身份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1031130A1 (zh) * 2019-08-20 2021-02-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组凭证的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0380945A (zh) * 2019-08-23 2019-10-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设备的共享控制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CN113132332B (zh) * 2019-12-31 2023-05-0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组网登录方法、家电设备、家电系统及存储介质
US11438745B2 (en) * 2020-06-25 2022-09-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ousehold appliance provisioning
CN111818079B (zh) * 2020-07-21 2023-04-18 上海鼎格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设备的连接方法及控制系统
CN113824690B (zh) * 2021-08-24 2023-10-27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控制请求的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5277797A (zh) * 2022-06-13 2022-11-01 爱仕达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售餐装置的远程控制方法
KR20240055354A (ko) * 2022-10-20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변경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42A (ko) * 2005-07-20 2005-08-24 (주)스타모바일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63230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의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95757C (en) * 1997-06-25 2003-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d home network, browser based, command and control
KR100474485B1 (ko) * 2002-03-11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독립망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7752329B1 (en) * 2002-10-31 2010-07-06 Aol Inc. Migra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identity information
KR100639939B1 (ko) 2003-10-28 2006-10-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구축 방법
KR100610317B1 (ko) * 2004-01-06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들에 대한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636228B1 (ko) * 2005-02-07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인 노드 토폴로지를 이용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사용자 등록 및 등록해제 방법
WO2006083141A1 (en) * 2005-02-07 2006-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management method using hierarchical node topology, and method of registering and deregistering user using the same
KR100739743B1 (ko) 2005-10-1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를 독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263392B1 (ko) 2006-01-09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원격 제어기의 비밀키를 이용한 소유권 공유방법 및 장치
WO2012060021A1 (en) 2010-11-05 2012-05-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gistration server,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ret value to devices
KR101740440B1 (ko) 2010-12-24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902B1 (ko) 2011-09-30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KR101909487B1 (ko) 2011-09-30 2018-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EP3060026B1 (en) 2011-12-12 2017-11-15 S-Printing Solution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 to 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image forming operation thereof
KR101844211B1 (ko)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20140020081A1 (en) * 2012-07-16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Toke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42A (ko) * 2005-07-20 2005-08-24 (주)스타모바일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63230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의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63B1 (ko) * 2015-05-29 2016-10-12 주식회사 스마트큐 사물인터넷을 위한 안전한 디바이스 보안과 인증 절차를 처리하는 시스템
WO2017049387A1 (en) 2015-09-25 2017-03-30 Genetec Inc. Secure enrolment of securit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security server
EP3353946A4 (en) * 2015-09-25 2019-05-15 Genetec Inc. SAFE REGISTRATION OF A SAFETY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SECURITY SERVER
US10855469B2 (en) 2015-09-25 2020-12-01 Genetec Inc. Secure enrolment of securit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security server
US11398912B2 (en) 2015-09-25 2022-07-26 Genetec Inc. Secure enrolment of securit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security server
US11936786B2 (en) 2015-09-25 2024-03-19 Genetec Inc. Secure enrolment of securit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security server
FR3042363A1 (fr) * 2015-10-07 2017-04-14 Groupe Brandt Appareil electromenager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l'appareil electromenager et un serveur
KR20170044963A (ko) * 2015-10-16 201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0091382A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9511B1 (ko)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WO2022080568A1 (ko) * 2020-10-15 2022-04-21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1747B8 (en) 2020-06-17
US11178144B2 (en) 2021-11-16
CN105580314B (zh) 2018-11-20
EP3051747B1 (en) 2020-04-15
CN105580314A (zh) 2016-05-11
EP3051747A4 (en) 2017-05-31
EP3051747A1 (en) 2016-08-03
US10200366B2 (en) 2019-02-05
KR102213640B1 (ko) 2021-02-08
US20190166124A1 (en) 2019-05-30
US20160234213A1 (en) 2016-08-11
WO2015041490A1 (ko)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351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074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10027643B2 (en) Authenticating home device using device token issued based on identifier of terminal
US9584482B2 (en) Access control lists for private networks of system agnostic connected devices
US925303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configuring and accessing a device on a network
KR1023182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32133A (ko) IoT 단말의 무선랜 AP 자동 접속 방법 및 시스템
US9319412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resource access authorization in M2M communication
JP747430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自動サービス登録
US931941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resource access authorization in M2M communication
US11838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file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69417B1 (ko)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74692A1 (en)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2431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evices
AU2016382189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US10938811B2 (en) Electronic apparatus to process request for having access to hos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JP200622780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管理装置、ホームゲートウェイ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EP1860586A1 (en) Method and managing unit for managing the usage of digital content, rendering device
KR102500080B1 (ko) 공동 주택 단지에서의 앱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11412377B2 (en) Method of configuring a multimedia device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connection device
KR20130082639A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