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442A -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442A
KR20150033442A KR20130113476A KR20130113476A KR20150033442A KR 20150033442 A KR20150033442 A KR 20150033442A KR 20130113476 A KR20130113476 A KR 20130113476A KR 20130113476 A KR20130113476 A KR 20130113476A KR 20150033442 A KR20150033442 A KR 2015003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nocking
partner
knocking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498B1 (ko
Inventor
양필승
민찬홍
성영아
장세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98B1/ko
Priority to CN201480052633.5A priority patent/CN105579984B/zh
Priority to PCT/KR2014/008562 priority patent/WO2015046789A1/en
Priority to US14/486,376 priority patent/US9483226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객체를 상기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객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OBJECT BASED ON KNOCKING INPUT}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와 상대 디바이스 간에 객체를 공유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술 및 네크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학교나 회사 등에서 프리젠테이션이 진행되는 경우에, 발표자와 청중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발표자는 대화면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청중들은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발표자의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콘텐트를 확인함과 동시에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른 콘텐트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청중들이 자신의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도중에, 발표자는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트를 청중의 디바이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와 상대 디바이스 간에 객체를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객체를 상기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객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상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공유하고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위치에 매칭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상기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베젤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및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소정의 입력 도구에 의해 감지된 노킹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도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상기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트가 상기 디바이스와 공유되고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상기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객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상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공유하고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위치에 매칭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상기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베젤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및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소정의 입력 도구에 의해 감지된 노킹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도구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상기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트가 상기 디바이스와 공유되고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이 수신된 이후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할 객체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가 동기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가 동기화되고, 상대 디바이스에서 알람 음향이 출력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대 디바이스의 그룹 목록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 이후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객체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노킹(knocking) 입력은, 사용자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림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두드림으로 인해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힘, 사용자의 두드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화면 또는 베젤 부분을 두드릴 수 있다. 디바이스의 베젤 부분은, 디바이스의 측면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힘으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경우에, 노킹 입력이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객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일 수 있다. 또한, 객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콘텐트의 실행 결과, 콘텐트의 목록 및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공유 시스템은, 디바이스(1000)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2000)를 포함한다. 또한, 객체 공유 시스템은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가,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객체 공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또는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객체들 중에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객체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되거나, 서버(3000)로부터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객체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및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동기화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디바이스(1000)는 교실 내에서 선생님이 이용하는 전자 칠판일 수 있으며, 상대 디바이스(2000)는 학생들이 이용하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교육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생님은 전자 칠판 또는 전자 칠판의 주변을 노킹함으로써,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교육 콘텐트가 학생들의 태블릿 PC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된 교육 콘텐트 및 태블릿 PC에 디스플레이된 교육 콘텐트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으며, 선생님의 노킹 입력에 따라 태블릿 PC에 대한 학생들의 제어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통신 기능 및 콘텐트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소정의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 및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베젤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또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또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입력 장치(미도시)로부터 노킹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미도시)는, 입력 장치(미도시)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주변의 벽면이 입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미도시)는 디바이스(1000)에게 노킹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미도시)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노킹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입력 장치(미도시)는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세기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노킹 입력의 패턴은, 예를 들어, 노킹 횟수 및 노킹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노킹 입력의 위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의 노킹 위치, 노킹된 베젤의 위치, 및 디바이스(1000)의 주변 영역 중에서 노킹된 지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들 중에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으로 두드리거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모든 객체들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 중에서 노킹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위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그룹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하측 베젤을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그룹 4”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상측 베젤을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그룹 2”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세기로 두드려지면, 상대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두드려지면,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이 꺼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된 상대 디바이스(2000)들 중에서 일부를 객체를 공유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목록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객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한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 및 결정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정보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가, 동일 시각에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인 경우에, 동기화 정보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서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위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가 동영상인 경우에, 동기화 정보는 동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가 문서 파일인 경우에, 동기화 정보는 문서 파일의 현재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가 결정된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를 수신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결정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 내의 메모리 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될 수 있는 상대 디바이스(2000)들 중에서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상대 디바이스(2000)의 비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디바이스(2011), 상대 디바이스(2012), 상대 디바이스(2013) 및 상대 디바이스(2014)가 디바이스(1000)에 연결될 수 있고, 현재 상대 디바이스(2011), 상대 디바이스(2012)가 디바이스(1000)에 연결되었다면, 디바이스(1000)는 “2/4” 또는 “50%”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된 상대 디바이스(2000)들 중에서 디바이스(1000)와 객체를 공유하고 있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비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디바이스(2011), 상대 디바이스(2012), 상대 디바이스(2013) 및 상대 디바이스(2014)가 디바이스(1000)에 연결되어있고, 상대 디바이스(2011) 및 상대 디바이스(2012)가 디바이스(1000)와 객체를 공유하고 있다면, 디바이스(1000)는 “2/4” 또는 “50%”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될 수 있는 상대 디바이스(2000)들 중에서 디바이스(1000)와 객체를 동기화하고 있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비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디바이스(2011), 상대 디바이스(2012), 상대 디바이스(2013) 및 상대 디바이스(2014)가 디바이스(1000)에 연결되어있고, 상대 디바이스(2011) 및 상대 디바이스(2012)가 디바이스(1000)와 객체를 동기화하고 있다면, 디바이스(1000)는 “2/4” 또는 “50%”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복수 회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노킹 횟수 및 노킹 간격을 분석하여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인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을 제 1 패턴과 비교할 수 있으며, 노킹 입력의 패턴과 제 1 패턴과의 유사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이면,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1 패턴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1000)의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이라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320을 수행한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하고, 공유된 객체를 동기화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객체의 식별 값, 및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디바이스(2000)는 획득된 객체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330을 수행한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인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패턴을 제 2 패턴과 비교할 수 있으며, 노킹 입력의 패턴과 제 2 패턴과의 유사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이면,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2 패턴은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1000)의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340에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알람 사운드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1000)는 단계 S32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에 의해 디바이스(1000)의 화면 또는 베젤에 가해진 힘을 측정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된 소리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를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1 임계치는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1000)의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20을 수행한다.
단계 S4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하고, 공유된 객체를 동기화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객체의 식별 값, 및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디바이스(2000)는 획득된 객체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30을 수행한다.
단계 S43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를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2 임계치는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1000)의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40을 수행한다.
단계 S440에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킨다.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를 중단할 것을,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2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50을 수행한다.
단계 S45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세기를 메모리에 저장된 제 3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3 임계치는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1000)의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60을 수행한다.
단계 S460에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알람 사운드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2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50에서의 판단 결과,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470을 수행한다.
단계 S470에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가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을 비활성화할 것을 요청한다.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는 아무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가 상대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블랙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가 상대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상에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이미지는, 예를 들어, “전자 칠판을 쳐다 보세요.”라는 문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또는 베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노킹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어느 위치를 두드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어느 위치를 두드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리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마이크가 디바이스(100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가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의 각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를 이룰 수 있도록 4개의 마이크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마이크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디바이스(10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는, 예를 들어, 지향성 마이크(directional microphone)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들은 각각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들은,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들은, 감지된 소리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노킹 소리가 감지된 시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의 파형 및 세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기 비교 결과 및 복수의 마이크의 위치에 기초하여, 노킹 소리가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디바이스(1000)는 판단된 위치에 매칭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한다. 복수의 상대 디바이스들(2000)이 그룹핑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식별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00)를, 객체를 공유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4개의 영역들을 4개의 디바이스 그룹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분할된 영역들 중에서 제 2 영역을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그룹 2”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의 위치에 따라 디바이스 그룹을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하측 베젤을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그룹 4”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주변 영역을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4개의 영역들을 4개의 디바이스 그룹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주변 영역들 중에서 우측 영역을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그룹 2”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객체의 식별 값, 및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수신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객체의 식별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 내의 메모리 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이 수신된 이후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할 객체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6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을 감지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 및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 및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입력 장치(미도시)로부터 노킹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1초 이내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예를 들어, 탭 입력, 드래그 입력 및 드로잉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터치 입력이 탭 입력이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 중에서 탭 입력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이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 중에서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생성된 영역에 포함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터치 입력이 드로잉 입력이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 중에서 드로잉 입력에 의해 생성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원을 그리면, 원 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객체의 식별 값, 및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수신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가 객체의 식별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객체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 내의 메모리 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릴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진동 센서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림으로 인하여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릴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진동 센서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림으로 인하여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벽면을 두드릴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노킹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의 크기에 기초하여 노킹 입력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노킹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발생된 음향의 크기에 기초하여 노킹 입력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어느 위치를 두드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리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마이크(11, 12, 13, 14)가 디바이스(100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가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의 각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를 이룰 수 있도록 4개의 마이크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마이크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디바이스(10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 장치(400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벽면을 두드릴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4000)가 노킹 입력을 감지하고, 노킹 입력 신호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4000)는, 입력 장치(4000)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주변의 벽면이 입력 장치(4000)에 의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미도시)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노킹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 디바이스(2000)는 노킹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디바이스(1000)에게 공유될 객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장치(4000)는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4000)는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와 소정의 AP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가 동기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빠르게 두번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인 “Q7:7+2*5=”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Q7:7+2*5=”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Q7:7+2*5=”의 글자 크기 및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의 텍스트 “Q7:7+2*5=”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텍스트 “Q7:7+2*5=”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텍스트 “Q7:7+2*5=”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가 동기화되고, 상대 디바이스에서 알람 음향이 출력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빠르게 두번 두드리고 잠시 후에 한번 두드리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인 “Q7:7+2*5=”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수 있으며, 상대 디바이스(2000)는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Q7:7+2*5=”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Q7:7+2*5=”의 글자 크기 및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의 텍스트 “Q7:7+2*5=”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텍스트 “Q7:7+2*5=”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텍스트 “Q7:7+2*5=”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알람 사운드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대 디바이스(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제 1 임계치보다 크고 제 2 임계치보다 작은 세기로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인 “Q7:7+2*5=”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화면 제어 권한의 변경을 요청하거나, 화면 제어 권한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제 2 임계치보다 크고 제 3 임계치보다 작은 세기로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인 “Q7:7+2*5=”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로부터 알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알람 사운드의 출력을 요청하거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제 3 임계치보다 큰 세기로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로부터 알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할 것을 요청하거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디바이스(20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0)는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블랙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4개의 영역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과 각각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좌측 상단 부분은 “그룹 1”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우측 상단 부분은 “그룹 2”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좌측 하단 부분은 “그룹 3”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우측 하단 부분은 “그룹 4”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우측 상단 부분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우측 하단 부분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의 베젤이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과 각각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좌측의 베젤은 “그룹 1”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상측의 베젤은 “그룹 2”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의 우측의 베젤은 “그룹 3”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하측의 베젤은 “그룹 4”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상측의 베젤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하측의 베젤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벽면에 설치된 디바이스(1000)의 주변 영역들이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과 각각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좌측 영역은 “그룹 1”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상측 영역을 “그룹 2”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우측 영역은 “그룹 3”과 매칭되고,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하측 영역은 “그룹 4”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상측 영역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2”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21, 202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하측 영역을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를 을,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콘텐트명, 동영상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동영상 콘텐트 중 하나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의 화면 상에는 각각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트와 동일한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대 디바이스의 그룹 목록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는 디바이스 그룹의 목록(20)이 디스프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목록(20)에 포함된 “그룹 4”를 두드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인 “Q7:7+2*5=”을,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4”에 포함된 상대 디바이스(2041, 2042)의 화면 상에는 각각 “Q7:7+2*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 이후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객체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복수의 객체(텍스트 “Q1:2+3=”, 텍스트 “Q2:2+7=”, 텍스트 “Q3:2*5=”, 텍스트 “Q4:2*3=”, 및 동영상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가 노킹 입력을 감지한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Q3:2*5=”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 및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인 “Q3:2*5=”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통신부(1300), 메모리(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3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디바이스(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센서(1110), 마이크(1120) 및 카메라(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 및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센서(1110), 마이크(1120) 및 카메라(113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베젤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또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또는 디바이스(1000)의 베젤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센서(1110), 마이크(1120) 및 카메라(113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노킹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이 두드려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1110)는, 디바이스(10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5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111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이크(11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11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1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113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4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3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13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및 음향 출력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소정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전자 칠판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210)는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교육에 관련된 객체는, 예를 들어, 소정의 교육 테마를 가르치기 위한 동영상, 이미지 및 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생님의 판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3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디바이스(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0)는, 메모리(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통신부(1300), 메모리(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노킹 입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후술할 통신부(1300)를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객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세기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노킹 입력의 패턴은, 예를 들어, 노킹 횟수 및 노킹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노킹 입력의 위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의 노킹 위치, 노킹된 베젤의 위치, 및 디바이스(1000)의 주변 영역 중에서 노킹된 지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들 중에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으로 두드리거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두드리면, 제어부(15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모든 객체들을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5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 중에서 노킹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상대 디바이스(2000)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노킹 위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그룹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하측 베젤을 두드리면, 제어부(1500)는 “그룹 4”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의 상측 베젤을 두드리면, 제어부(1500)는 “그룹 2”에 속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객체를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0)는 노킹 입력의 패턴, 노킹 입력의 세기, 및 노킹 입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세기로 두드려지면, 상대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한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 제어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두드려지면,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이 꺼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0)는 통신부(1300)를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객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와 공유한다. 제어부(1500)는 결정된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 및 결정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결정된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정보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객체가, 동일 시각에 상대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인 경우에, 동기화 정보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서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위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가 동영상인 경우에, 동기화 정보는 동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500)가 결정된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를 수신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가 결정된 객체를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가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대 디바이스(2000)는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2000) 내의 메모리 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상대 디바이스(2000) 및 서버(30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300)는 이동 통신부(1310), 근거리 통신부(1320), 방송 수신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두드리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입력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노킹 입력 신호를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미도시)는, 입력 장치(미도시)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 주변의 벽면이 입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두드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미도시)는 통신부(1300)에게 노킹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0)는 수신된 노킹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0)는 제어부(15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결정된 객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정보, 결정된 객체의 식별 값, 및 결정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0)는 제어부(15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결정된 객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객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3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3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송 수신부((13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3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메모리(1400)는, 제어부(15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4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1)

  1.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객체를 상기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객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상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공유하고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되는 것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위치에 매칭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상기 객체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베젤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및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것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소정의 입력 도구에 의해 감지된 노킹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도구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상기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트가 상기 디바이스와 공유되고 동기화되는 것인, 방법.
  16.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객체를 상기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객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을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상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공유하고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1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패턴이 제 2 패턴임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노킹 입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 권한이 변경되는 것인,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제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소정의 알람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노킹 입력의 세기가 제 3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킹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위치에 매칭된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노킹 입력이 감지된 이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공유될 상기 객체를 결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베젤에 가해지는 압력,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및 상기 노킹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을 감지하는 것인, 디바이스.
  27. 제 16 항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도구에 의해 감지된 노킹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도구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링크 정보 및 상기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3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트가 상기 디바이스와 공유되고 동기화되는 것인, 디바이스.
  31.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13476A 2013-09-24 2013-09-24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4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476A KR102047498B1 (ko) 2013-09-24 2013-09-24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201480052633.5A CN105579984B (zh) 2013-09-24 2014-09-15 基于敲击输入共享对象的系统和方法
PCT/KR2014/008562 WO2015046789A1 (en) 2013-09-24 2014-09-15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object based on knocking input
US14/486,376 US9483226B2 (en) 2013-09-24 2014-09-15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object based on knocking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476A KR102047498B1 (ko) 2013-09-24 2013-09-24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42A true KR20150033442A (ko) 2015-04-01
KR102047498B1 KR102047498B1 (ko) 2019-11-21

Family

ID=5269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476A KR102047498B1 (ko) 2013-09-24 2013-09-24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3226B2 (ko)
KR (1) KR102047498B1 (ko)
CN (1) CN105579984B (ko)
WO (1) WO2015046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716A (zh) * 2015-10-12 2018-05-1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481B1 (ko) 2014-10-17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US9923939B2 (en) * 2015-04-29 2018-03-20 Optim Corporation Electronic share server, screen sharing method, and program for electronic share server
CN106201384B (zh) * 2015-05-04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电子设备
CN111367356B (zh) * 2018-12-24 2022-01-25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敲击控制电子装置的方法和敲击控制组
CN112596604A (zh) * 2020-12-09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消息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816115B (zh) * 2022-04-13 2023-01-17 安徽宝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教育教学用屏幕辅助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3641A1 (en) * 2008-11-10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20042087A1 (en) * 2008-09-26 2012-02-16 Samantha Berg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US20120272128A1 (en) * 2011-02-24 2012-10-25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1779A1 (en) 2004-04-15 2006-02-09 Citrix Systems, Inc. Selectively sharing screen data
US9311618B2 (en) * 2009-04-07 2016-04-12 Clearslide, Inc. Mixed content type presentation system
US20110271211A1 (en) * 2010-04-30 2011-11-03 Jones Boland 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views in an online conference
US20120235925A1 (en) * 2011-03-14 2012-09-20 Migos Charles J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n Impromptu Network
US8954431B2 (en) 2011-06-09 2015-02-10 Xerox Corporation Smart collaborative brainstorming tool
EP2660680A1 (en) * 2012-05-03 2013-11-06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llaborative gesture-based sharing of ressources between devices
CN103092510B (zh) * 2012-12-28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屏幕共享时应用程序的保护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2087A1 (en) * 2008-09-26 2012-02-16 Samantha Berg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US20110053641A1 (en) * 2008-11-10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20272128A1 (en) * 2011-02-24 2012-10-25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716A (zh) * 2015-10-12 2018-05-1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4894A1 (en) 2015-03-26
US9483226B2 (en) 2016-11-01
KR102047498B1 (ko) 2019-11-21
CN105579984A (zh) 2016-05-11
CN105579984B (zh) 2019-02-22
WO2015046789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498B1 (ko)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9660855B (zh) 贴纸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6543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tch information in live broadcast room, and storage medium
CN109618212B (zh) 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03283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KR102444920B1 (ko)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56843A1 (en) Portable apparatus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3013748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ing direction
US20140033050A1 (en) Method of transmitting inquiry message, display device for the metho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JP201650656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遠隔制御装置及びこれら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
US10789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US104622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US107474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wearable device
CN112423138A (zh) 一种搜索结果展示方法及终端设备
KR20160071783A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134730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the handling of visual virtual reality content
EP2856765B1 (en)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CN110996115B (zh) 直播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1081090B (zh) 一种点读场景下的信息输出方法及学习设备
KR102173727B1 (ko)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CN114816287A (zh) 传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191968B1 (ko) 형용사를 이용한 진동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182344B (zh) 显示界面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614880B1 (ko) 시선유지형 발표를 위한 커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265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