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995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995A
KR20150032995A KR20130112406A KR20130112406A KR20150032995A KR 20150032995 A KR20150032995 A KR 20150032995A KR 20130112406 A KR20130112406 A KR 20130112406A KR 20130112406 A KR20130112406 A KR 20130112406A KR 20150032995 A KR20150032995 A KR 2015003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nel
panel assembly
gui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욱
김강두
신영선
전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2995A/ko
Publication of KR2015003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흡입구 및 토출구가 승강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패널,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 및 상기 토출 패널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승강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부에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부에 열교환기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배치된다. 송풍팬에 의해 흡입, 송풍된 공기가 실내기의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로 이동한 공기가 열교환기 및 공기 토출구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더욱 세부적으로 실내기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액자형, 벽걸이형, 스탠드형, 천장 덕트형, 덕트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 또는 벽에 삽입 설치되어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장치로서,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 실내 공간을 냉난방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중 하나로써, 하측이 개방된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 내부 외곽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본체 프레임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된 송풍팬과, 중앙에 흡입구가 마련되고 외곽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천장패널을 포함한다.
천장패널에는 흡입구 또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단차 또는 갭이 형성될 수 있고, 천장패널에 형성된 단차 또는 갭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단차 또는 갭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어 관리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 또는 갭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패널,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 및 상기 토출 패널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는 상기 토출 패널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의 외측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토출 패널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토출 패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외측에는 상기 본체 천장에서 상기 흡입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토출 패널과 마주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 패널 및 상기 제 1가이드에 의해 상기 승강실과 격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천장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의 일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향하여 굴곡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굴곡되는 제 2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의 다른 단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흡입 패널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흡입 패널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 패널 내주면에는 격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흡입 패널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 및 상기 제 2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 2가이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승강실 및 공기이동실을 구획하고,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공기 토출구 및 상기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상기 승강실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이동실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이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1유로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외측에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본체 천장에서 상기 본체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함께 상기 승강실 및 상기 공기이동실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제 1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본체 천장을 향하도록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설치되는 격벽부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고, 상기 격벽부 내측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굴곡되는 제 2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 패널을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토출 패널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 또는 갭이 상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토출 패널을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토출 패널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 또는 갭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분리시킴으로써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 및 패널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 및 패널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본체(10), 패널 어셈블리(20) 및 승강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천장(미도시)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미도시) 사이에 배치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형태이고, 천장에 고정되어 저면이 개방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승강실(11) 및 공기이동실(12)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실(11) 및 공기이동실(12)은 승하강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20)에 의해 구획된다. 승강실(11)에는 패널 어셈블리(20)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50)가 설치되고, 공기이동실(12)에는 정화장치(110), 송풍장치(90) 및 열교환기(1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1개의 공기 흡입구(30)와 1개의 공기 토출구(40)를 갖는 1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1개의 공기 흡입구(30)와 4개의 공기 토출구(40)를 갖는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1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송풍장치(90) 및 열교환기(100)는 본체(10) 내부에 좌우 혹은 전후 배치되고,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00)가 송풍장치(90)의 둘레 주변에 송풍장치(90)를 둘러싸듯이 배치된다. 이하,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송풍장치(90)는 공기이동실(12)의 상측에 회전축(91)이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모터(92), 모터(92)의 회전축(91)에 연결되어 공기이동실(12)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팬(93) 및 공기이동실(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팬(93)으로 안내하도록 팬(93) 하부에 설치되는 오피리스(94)를 포함할 수 있다.
팬(93)의 주위에는 팬(9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팬(93)의 둘레를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열교환기(10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00) 하부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15)가 설치된다.
송풍장치(90) 하측에는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정화장치(110)는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가 정화장치(110)를 거쳐 오피리스(94)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30)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저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20)는 흡입 패널(21) 및 토출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패널(21)은 패널 어셈블리(20)의 저면에 배치되고, 토출 패널(22)은 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21)에는 공기가 공기이동실(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고, 토출 패널(22)에는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이동실(12)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토출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가 사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나의 공기 토출구(40)가 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흡입 패널(21) 및 토출 패널(22)은 패널 어셈블리(20)와 일체로 승하강하고, 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는 패널 어셈블리(20)가 하강하면 외부로 노출된다. 즉, 패널 어셈블리(20)가 상승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는 폐쇄된 상태가 되고, 패널 어셈블리(20)가 하강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를 개폐하도록 토출 패널(22)에 결합하는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41)는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다.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41)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40)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공기 토출구(40)에 구비될 수 있다. 토출 블레이드(41)는 회동하여 공기이동실(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41)는 패널 어셈블리(20)가 하강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를 개방하도록 토출 패널(22)의 외측을 향하여 움직이고, 패널 어셈블리(20)가 상승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를 폐쇄하도록 토출 패널(22)의 내측을 향하여 움직인다. 토출 블레이드(41)는 공기 토출구(4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므로, 공기 토출구(40)가 하나인 1way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41)가 설치된다.
승강실(11) 및 공기이동실(12)은 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에 위치하는 토출 패널(2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실(11)은 본체(10)의 내주면 및 토출 패널(2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11) 내부에는 흡입 패널(21) 및 토출 패널(22)이 패널 어셈블리(20)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승강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50)는 랙기어(51), 피니언(52) 및 구동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51)는 토출 패널(2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패널 어셈블리(20)와 일체로 움직이고, 피니언(52)은 랙기어(51)와 맞물리도록 구동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동장치(54)는 구동축(53)에 연결되어 피니언(52)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패널 어셈블리(20)는 랙기어(51)가 구동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52)에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랙기어(51)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피니언(52)은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으로 회전 가능하다. 피니언(52)이 제 1방향(A)으로 회전하면 피니언(52)과 맞물려 움직이는 랙기어(51)는 하강하게 되므로, 랙기어(51)와 일체로 움직이는 패널 어셈블리(20)도 하강한다. 반대로, 피니언(52)이 제 2방향(B)으로 회전하면 피니언(52)과 맞물려 움직이는 랙기어(51)는 상승하게 되므로, 랙기어(51)와 일체로 움직이는 패널 어셈블리(20)도 상승한다. 랙기어(51)의 양 단부에는 랙기어(51)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가이드(60)는 토출 패널(22)과 함께 승강실(11) 및 공기이동실(12)을 구획할 수 있다. 제 1가이드(60)는 열교환기(100) 외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공기가 복수의 공기 토출구(40)를 통해 공기이동실(12)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제 1가이드(60)는 본체(10) 천장에서 흡입 패널(21)을 향하여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 천장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60)의 일 단부는 공기이동실(12) 내부에 위치하는 열교환기(100)를 향하여 굴곡될 수 있고, 제 1가이드(60)의 다른 단부는 토출 패널(22)의 내주면과 마주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20)는 제 1가이드(60)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공기이동실(12) 내부에는 유로(13,14)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13,14)는 제 1유로(13) 및 제 2유로(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로(13)는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00)로 공급되는 통로이고, 제 2유로(14)는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토출구(40)로 토출되는 통로이다. 제 1유로(13) 상에는 정화장치(110) 및 송풍장치(9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는 제 1유로(13)를 따라 정화장치(110) 및 송풍장치(90)를 거쳐 열교환기(100)로 공급된다.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유로(14)를 따라 공기 토출구(40)로 토출된다.
제 1유로(13) 및 제 2유로(14)는 격벽부(8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부(80)를 설치함으로써 제 1유로(13)를 이동하는 공기 및 제 2유로(14)를 이동하는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격벽부(80)는 공기이동실(12) 천장을 향하도록 흡입 패널(2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흡입 패널(21)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유로(13) 상에는 공기 흡입구(30)와 인접하도록 제 2가이드(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가이드(70)는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여 오피리스(94)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가이드(70)의 일 단부는 공기 흡입구(30)를 향하여 굴곡되고, 제 2가이드(70)의 다른 단부는 패널 어셈블리(20)가 상승하면 흡입 패널(21)의 내주면과 접하고, 패널 어셈블리(20)가 하강하면 흡입 패널(21)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 2가이드(70)는 공기이동실(12) 내부에 고정되고, 패널 어셈블리(20)와 일체로 움직이지 않는다. 정화장치(110)는 제 2가이드(70) 및 오피리스(9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부(80)는 패널 어셈블리(20)가 상승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 및 제 2가이드(70) 사이에 위치하고, 패널 어셈블리(20)가 하강하면 복수의 공기 토출구(40)와 마주하도록 제 2가이드(70)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 본체
11 : 승강실 12 : 공기이동실
13 : 제 1유로 14 : 제 2유로
15 : 응축수받이 20 : 패널 어셈블리
21 : 흡입 패널 22 : 토출 패널
30 : 공기 흡입구 40 : 공기 토출구
41 : 토출 블레이드 50 : 승강장치
51 : 랙기어 52 : 피니언
53 : 구동축 54: 구동장치
60 : 제 1가이드 70 : 제 2가이드
80 : 격벽부 90 : 송풍장치
91 : 회전축 92 : 모터
93 : 팬 94 : 오피리스
100 : 열교환기 110 : 정화장치

Claims (20)

  1.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패널;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 및 상기 토출 패널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는 상기 토출 패널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블레이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의 외측을 향하여 움직이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토출 패널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토출 패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외측에는 상기 본체 천장에서 상기 흡입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 1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토출 패널과 마주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 1가이드를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토출 패널 및 상기 제 1가이드에 의해 상기 승강실과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천장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의 일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향하여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굴곡되는 제 2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의 다른 단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흡입 패널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흡입 패널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 패널 내주면에는 격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흡입 패널과 일체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 및 상기 제 2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 2가이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승강실 및 공기이동실을 구획하고,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공기 토출구; 및
    상기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도록 상기 승강실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동실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이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1유로;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외측에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본체 천장에서 상기 본체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함께 상기 승강실 및 상기 공기이동실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제 1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본체 천장을 향하도록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저면에 설치되는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일체로 움직이고,
    상기 격벽부 내측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굴곡되는 제 2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30112406A 2013-09-23 2013-09-23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50032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406A KR20150032995A (ko) 2013-09-23 2013-09-23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406A KR20150032995A (ko) 2013-09-23 2013-09-23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95A true KR20150032995A (ko) 2015-04-01

Family

ID=5303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406A KR20150032995A (ko) 2013-09-23 2013-09-23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29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748A (ko)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25313A (ko)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WO202310659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명 모듈을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748A (ko)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25313A (ko)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WO202310659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명 모듈을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119B1 (ko) 공기조화기
EP3015776B1 (en) Air conditioner
WO2015182461A1 (ja) エアコン室内機
KR101315427B1 (ko) 공기조화기
US9410716B2 (en) Ventilation apparatus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CN104864494B (zh) 空调机室内机
KR20180081777A (ko) 에어컨 실내기
WO2010097883A1 (ja) 同時給排形換気扇および空調装置
KR20100082626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3299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CN1979044A (zh) 空调机
EP2955458A1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2009168323A (ja)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
KR101820377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JP2016070528A (ja) 給気装置
KR2007010740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0513897C (zh) 窗式换气系统
KR10259864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DE202012001340U1 (de) Luftkühleranordnung
JP5567542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