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596A -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 시공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 Google Patents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 시공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596A
KR20150031596A KR20130110984A KR20130110984A KR20150031596A KR 20150031596 A KR20150031596 A KR 20150031596A KR 20130110984 A KR20130110984 A KR 20130110984A KR 20130110984 A KR20130110984 A KR 20130110984A KR 20150031596 A KR20150031596 A KR 2015003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late
wall
support
ond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699B1 (ko
Inventor
김길영
Original Assignee
김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영 filed Critical 김길영
Priority to KR102013011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6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Abstract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층간소음문제가 사회 국가적인 문제로 까지 대두되어 있음에 따라 이 문제의 해소완화를 위하여 다각도로 대책을 모색 강구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본 발명 제안자는 위의 대책중 하나로서 이중바닥구조 형태의 온돌구조물이 가장 비중이 큰 대책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하고, 과거 경력의 체험적 정보에서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또 하나의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드는 방법과 시공에 관하여 고안한 것이다.
아파트 건축물의 슬래브 바닥면에서 온돌바닥마감 면까지의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마감높이는 120mm 수준이다. 이 높이에서 시멘트모르타르층으로 된 온돌구조물이 차지하는 가장 합리적인 두께는 50mm 정도이다.
나머지 70mm 정도의 공간 층에 20∼30mm 정도의 두께 단열재로 채우고 나면 40∼50mm 정도의 공간 층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배분된 공간 구도에서 온돌구조물이 층간소음 발생 진원지이기도 함에 따라 온돌 바닥면에 충격자극으로 발생한 충격파장의 전도 전파를 차단 억제 최소화 되도록 하부에 공간 층이 있는 이중바닥구조형상을 갖추게 하면서 적절한 흡음성단열재와 방진고무판재를 활용할 수 있는 온돌구조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돌구조물 몸체는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펌핑 주입 충전 양생하여 만들므로 이를 담아 양생할 수 있고 이중바닥형상도 만들 수 있는 거푸집 틀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새로운 방식의 거푸집 틀을 만들기 위한 바닥판재 및 지지대 고안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 시공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Floor sheeting board framework for Raised floor Ondo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국내 주거용 모든 건축물은 실내주거 공간 난방을 위하여 주거장소 인 실내바닥에 우리 고유의 전통난방방식인 온돌을 위한 온수온돌구조물을 설치 시공한다.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시공법을 요약설명하면,
슬래브 바닥면에 20∼30mm 두께의 단열재를 깔고, 단열재들의 연결과 벽면 접속에서 틈새가 없도록 방수 수준정도로 밀봉해야하며 단열재들과 슬래브바닥과의 접착성을 강화하기위해 압핀과 같은 것으로 고정도 해야 한다.
그 다음 그 상부 면에 죽탕수준의 기포콘크리트를 펌핑 충전 40∼50mm 두께 정도 타설한다. 그런데 깔린 단열재들의 시공 상태에 하자가 있게 되면, 타설되는 기포콘크리트가 하부 면과 슬래브바닥 틈새사이로 유입될 수 도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중이 아주 가벼운 단열재들이 들뜨게 되어 시공 자체를 망치게 된다.
충전된 기포콘크리트는 2∼3일정도 양생하면 출입 가능하나 충분히 양생되어 적정수준의 강도가 발현되면 그 표면위에 온수 순환관을 배관 설치 시공한 다음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위와 같이 펌핑 충전 40∼50mm 두께로 타설 마감 양생하여 온돌구조 층이 되게 한다.
위와 같이 시공된 현행 온돌구조물의 일반적인 표준 두께는 120mm 정도이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기포콘크리트 층은 온돌구조물 층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 층은 아니다.
온수순환관이 매설되는 실질적인 온돌구조물 층을 상부 면이 슬래브 바닥에서 120mm 높이로 마감되게 하면서 50mm 두께의 대형 판상의 콘크리트구조물 형태로 만들려면 위에서 언급한 습식시공방식이 최선의 방식이다.
이 경우에 온수순환관을 시공할 수 있는 바닥면과 펌핑 충전 타설되는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담을 수 있는 거푸집기능의 바닥면도 있어야 하는 바, 여기에 두 가지 바닥면의 기능도 함께 마련하면서 20∼30mm 두께에 불과한 단열재 층과의 공간도 동시에 메울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보조구조물 시공법이 기포 콘크리트타설 습식시공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특허는 여기에 언급되고 있는 기포콘크리트 층을 생략하여 이 부위를 공간 층으로 대체 존속시키고, 단열재 층은 온돌구조물 층 하부 면에 부착 처리 시공되게 하면서 온수온돌구조물을 완성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현행의 온수온돌구조물 시공법은 전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 구조물 몸체를 만들기 위하여 죽탕수준의 기포콘크리트와 시멘트모르타르를 시차를 갖고 펌핑 충전 타설하여 시공한다 하였다.
이와 같은 시공법은 두께가 100mm 정도 되는 대형 판상의 구조물을 만듬과 동시에 충전되는 장소에 아주 작은 공간 틈새도 남김없이 꽉 찬 밀실 한 상태로 성형되게 한다.
이러한 형태는 온돌구조물로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바로 그 온돌구조물 표면바닥 위에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충격자극 파장이 사(4)방 벽면과 슬래브바닥에 효율적으로 전도 전파되어 오늘날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된 층간소음 발생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고 판단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온수온돌구조물의 밀실 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포콘크리트 층을 생략함으로 그만큼의 공간 층을 확보함과 동시에 벽면과도 틈새가 있게 함으로서 충격자극으로 인한 파장의 전도 전파 효율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게 하여 층간소음문제 해결에 도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개발된 이중바닥구조온수온돌시공 시스템이 이미 특허 등록되어 있고 (상품명;EO2 System) 시공실적도 1,000세대 이상 가지고 있음도 알고 있다.
온돌구조물의 하부에 공간 층이 만들어지고 온수 순환관을 배관 설치 시공 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몸체를 형성하는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 충전을 담을 수 있는 거푸집기능의 판재 개발과, 여기에서 개발된 판재들이 거푸집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적합한 받침대 개발,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온돌 구조물이 실내난방열 전도매체임과 동시에 층간소음의 발생 진원지임으로 흡음성이 우수한 단열재 확보 적용, 온돌구조물을 통하여 층간소음파장이 건축구조물에 전도 전파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분리판 개발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거푸집판재는 하부에는 50mm 미만 높이의 공간 층이 있게 하기 위하여 적정한 형태의 받침대위에 얹혀 놓여 시공 장소의 슬래브 바닥 전체 면적 위에 바닥거푸집을 만들게 되나 회수 불가능함으로 온돌구조물 구성 층의 일부가 되어야하고, 윗면에는 온수 순환관을 배관 시공하기위하여 다수의 인원이 밟고 다녀도 그 하중에 안전한 휨강도를 보유하고 있어야하며, 아랫면에는 주거실내난방열의 전도매체인 온돌구조물의 난방열 손실을 방지하기위하여 흡음성도 갖춘 단열재가 부착되어야 한다.
바닥거푸집을 만드는데 적용될 수 있는 판재는 다양하다.
그러나 온돌구조물 구성 층의 일부가 되려면 온돌구조물과 동일한 물성의 무기질소재의 판재가 적합할 것이며, 그 판재를 다수의 인원이 밟고 다녀도 안전하려면 50mm 미만의 공간 높이, 즉 20∼50mm 높이의 공간 장소 전체에 판재를 수평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는 마루 틀을 제작 설치하여 받치도록 하면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시공법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위하여 본 발명제안자는 9∼12두께의 무기질소재 판재인 고강도시멘트보드(섬유강화시멘트판;CRC판)를 바닥거푸집용 판재로 선정함과 동시에 동 판재 자체가 위에 언급하고 있는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휨강도를 갖도록 하는 방법과 판재의 윗면이 슬래브 바닥면에서 70mm 높이로 수평 되게 깔릴 수 있는 받침형태를 설명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바닥거푸집용 판재 인 판들이 받는 하중은 상부 면에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들에 하중이 실리면 그 하중부하 지점을 중심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본 휨강도에 따라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판재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는 해당 판재의 아랫면 휨 변곡점에서 부터 시작된다.
이에 본 발명 제안자는 적정규격(600x1200 또는 900x1200mm)으로 설계 재단한 판재의 아랫면 전체에 걸쳐 인장강도가 우수한 소재를 매설 결합 또는 부착하는 방식으로 가공처리 함으로서 판재의 눌림 휨강도를 대폭 강화시켜, 판재가장자리와 중심부의 하부 면 적정위치에 이러한 여건에 적합하도록 고안한 받침으로 받치는 정도에서도 상부표면에 부하되는 하중을 충분히 감당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동시에 온돌구조물에 전도되는 난방열의 단열을 위한 25∼30mm 두께의 흡음성 단열재는 판재의 규격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하여 하부표면 인장강도 보강을 위한 접착제 도포 시에 동시 처리하여 부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흡음성 단열재까지 부착한 판재를 받치는 받침대는 벽면에 표시된 온돌구조물 상부 면 마감 선을 기준하여 수평 되게 부착 고정시키는 벽면 받침대와, 슬래브바닥위에 놓이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받침대로 구분된다. 벽면과 바닥면에 접속되는 모든 받침대들은 그 접속부위에 5∼10mm 두께의 방진용 고무패드가 부착될 것이다.
판재들의 하부면 가장자리와 중심부위를 받치게 하는 바닥받침대는 받침효율과 현장 시공편의성을 고려하여 12∼15mm 두께의 합판 또는 고강도시멘트보드 판재를 200x(400∼500)mm 규격으로 하여 한 쪽 면에 합성수지로 금형 사출한 높이조절용 볼트너트 중 너트가 중심위치에 적정 간격으로 너트머리와 같은 넓이의 방진 고무패드를 사이에 끼고 부착 된다. 이 경우의 볼트너트 머리의 직경은 100mm 몸통은 60mm 정도로 함이 온돌구조물의 부하하중을 감당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닥받침대들을 시공현장의 설계된 layout 위치에 배치하면서 그 윗면이 벽면받침대들의 윗면과 수평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볼트를 조절하여 맞춘 다음 계획되어 있는 판재를 올려놓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거푸집 틀에 충전되는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로 성형된 온돌구조물판 측면이 건축구조물과 분리되도록 하는 높이 50mm 가로방향 두께 5∼7mm 정도의 골판지 형태의 분리판은 벽면받침대 윗면에 얹히면서 벽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시공한다.
첫째.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은 그 윗면에 층간소음의원인인 충격자극이 발생하면 50mm 두께인 판형 구조물의 미세한 떨림 현상이 발생한다. 이 떨림 현상상태는 충격자극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하여 자체 소모하는 현상으로 충격자극에너지 파장의 크기를 감소 분산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도 전파력을 슬래브바닥 층에는 한 번 흡음, 두 번 방진으로 감소시키고, 건물구조물의 수직벽면 및 기둥면과는 한 번 흡음, 한 번 방진, 그리고 또 분리되게 함으로서 층간소음의 크기를 대폭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 공간의 공명 감소 효과로 청감도 양호하게 한다.
둘째. 바닥판재들이 수평상태 되게 깔림으로 거푸집기능의 바닥판 틀의 평활도가 양호하게 된다. 그 윗면에 온수순환관을 배관 고정하게 됨으로 온수순환관의 수평상태도 양호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온수 순환력이 개선되어 난방효율을 제고하여 난방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습식인 기포콘크리트의 양생시간 만큼 공기를 단축 할 수 있게 된다.
넷째. 하부 공간은 배선배관을 위한 공간장소로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효율적인 시공계획수립과 차후 Remodeling을 할 경우에도 이에 대한 공정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고안으로 만들어지는 바닥판(100)의 단면도 및 분해입체도로 도1-1은 완성된 바닥판의 단면도이며 도1-2는 바닥판의 하부 면부터 노출한 분해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닥판(100)을 넓고 안전하게 수평으로 받치기 위하여 또 하나의 견고한 적정규격 판재를 이용하여 고안한 바닥받침대(200)로 도2-1은 단면도이며 도2-2는 분해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판(100)이 수직 벽면에 직각으로 접속되고, 접속부위 가장자리가 수평으로 얹히면서 깔리도록 벽체구조물의 벽면과 방진고무판을 사이에 끼고 수평으로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안한 벽면받침대(300)로서 도3-1은 단면도이며 도3-2는 받침 턱 상부 면을 기준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닥판(100) 가장자리 측면과 그 윗면에 성형되는 온돌구조물 측면이 칸막이 구조물인 벽체 벽면 또는 기둥몸체에 직접 접속되지 않도록 종이 상자 제작용 골판지를 응용하여 고안한 측면 분리판(400)으로 도4-1은 단면도이고 4-2는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1. 2. 3. 4.에서 본 발명을 위하여 고안 개발한 제품 부품들이 조립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로서 도5-1은 도2.3.의 받침대(200,300)들이 설치되는 입체도이고, 도5-2는 위의 받침대들 윗면에 얹히면서 벽면에 부착하는 도 4.의 측면 분리판(400)과 또한 측면이 분리판에 접속하고 받침대들 윗면에 얹히면서 수평으로 조립 깔리는 도 1.의 바닥판(100) 시공 조립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위하여 고안 개발한 바닥판(100), 받침대(200, 300) 및 측면분리판(400)을 도 5와 같은 조립시공 공정으로 완성한 이중바닥 온수온돌구조물 입체도로서 도6-1은 온돌구조물 구성단면을 보여주는 입체도이고, 도6-2는 단면구성의 표준치수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펌핑 충전하여 성형 양생 완성하는 판상의 온수온돌구조물을 이중바닥구조로 만들려면, 위의 시멘트모르타르를 담을 수 있는 판상의 거푸집 틀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이에 적합한 소재의 판재로 고강도시멘트보드(섬유강화시멘트판; CRC판) 판재를 선택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이중바닥구조 형상을 위한 것으로 윗면에는 온수 순환관의 배치 배관하고 아랫면 공간 층을 형성하기기 위하여 적절한 받침으로 수평성이 보장되도록 받쳐져 있어야한다.
이러한 필요조건들을 가장 합리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은 바로 바닥판(100) 자체의 휨강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 보장되어야 함이 절대적인 선결과제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판재의 한쪽 면에 인장강도가 적절한 수준이상의 소재를 부착 매설 결합하여 일체화되도록 하면 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용접철망(102)을 활용하여 휨강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도 1의 1-2 분해 입체도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가로x세로 1200x600 크기에 두께12mm 규격의 판재는 사(4)방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40mm 위치를 기점으로 가로방향으로는 130mm 간격으로 5줄, 세로방향으로는 140mm 간격으로 9줄을 용접철망 선재의 굵기 정도로 요( )홈(104)되게 절삭가공 한다. 선재의 굵기 직경이 3mm 일 경우, 절삭가공깊이는 동일하게 3mm 정도일 것이나, 넓이는 철망의 매립 결합 시공편의성을 고려하여 3∼4mm 정도 가공함이 적절할 것이다. 여기에 적용되는 철망 규격은 130x140mm 크기로 58mm 선재 9개, 118mm 선재 5개로 비교적 정밀하게 용접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철망을 판재에 매립 결합 할 경우 세로방향은 매립되나 가로방향은 노출될 것이므로 가로방향의 것은 압착(pressing)가공하여 용접 점 부위는 노출되어도 나머지 직선부위는 매립될 수 있게 한다.
철망의 매립결합은 판재의 오목 홈(104)에 적정접착제, 즉 에폭시본드 또는 아크릴계 본드 등 기타 접착제중 접착 강도와 비용 면에서 가장 합리적인 것을 선택 주입 도포한 다음 그 곳에 철망을 매립결합하면 오목 홈에 고인 접착제 일부가 넘치면서 판재표면에 넘쳐 도포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의 판재표면 위에 판재와 동일한 규격으로 재단 가공된 흡음성 단열재를 올려놓아 적층형태로 눌려두면 판재와 흡음성단열재의 부착 결합도 동시에 마무리되어 본 발명고안에서 실현하고자하는 바닥판(100)이 완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언급하는 용접철망의 소재인 선재의 일반적인 외형은 원형이나 용접, 접착력과 매설상태를 양호하게 하기위해 압연(rolling)공정으로 직경3mm가 두께1.5mm 타원형이 되도록 가공 할 수 도 있다.
이렇게 휨강도가 보강된 바닥판(100) 판재는 적정한 간격의 위치에 윗면이 수평 되게 맞추어져 자리한 본 발명 고안의 받침대(200, 300) 위에 중심부위와 가장자리위주로 올려놓아도 바닥거푸집 틀의 판재로서 윗면에 부하되는 시공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실제 실현 결과 휨강도가 부족하다고 판단 될 경우에는 사용 선재수량을 증가하고 용접철망규격을 축소하면 그만큼 휨강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조정하여 필요한 휨강도는 확보 할 수 있고 받침대의 사용수량 증가로도 보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닥판의 아랫면에 부착되어 있는 흡음성단열재는 받침대들의 윗면과 바닥판사이에 끼이는 형태로 바닥판의 넓이만큼 눌려지므로 그 부분은 25∼30mm 정도의 두께가 압착되어 5mm 정도로 엷어질 것이나 이 부분이 온돌구조물 판위에서 발생한 충격파장을 1차로 제진 흡수하면서 판재와의 부착상태를 안전하게 보완 할 것이다.
이러한 바닥판의 크기와 형상 및 규격별 소요량 책정은 설계도면에 의하여 사전에 가장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문공장에서의 제작공급이 실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의 가공 및 규격별 치수와 받침대의 배치위치 등도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하여 가장 합리적인 치수설정이 도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거푸집 틀용 바닥판(100)이 완성되어 있어도 이를 65mm 미만의 낮은 공간높이에서 받쳐주는 받침대들은 위의 온돌구조물과 그 위에 실리는 주거하중까지 충분히 감당하면서, 받침부위를 통하여 전파 전도되어 오는 충격파장을 슬래브바닥 층에 전파 전도되는 파장에너지를 최소화 되도록 하는 방진기능도 갖추고, 수평상태가 고르지 못한 슬래브바닥 여건에서도 받침대들의 윗면은 모두 다 동일한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기능 조건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고찰되어야하는 것은 위의 바닥거푸집 틀의 시공 형태이다. 즉 칸막이 구조물로 구획된 실내 주거공간면적 장소 중 현관과 화장실을 제외한 모든 장소 면적 전체에 바닥 난방과 주거생활 장소 구조물인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이므로 그 가장자리는 칸막이구조물의 사(4)방 벽면과 접속 연결되게 되어있다. 이로 인하여 구성되는 그 모서리 부위의 연장길이도 상당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받쳐야 하는 받침부위의 소요량도 그 만큼 비례하여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 고안상의 받침대는 위와 같은 형태의 바닥거푸집 틀을 받치기 위한 것이므로 받침기능을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고안하였다.
즉 받침기능 힘이 실릴 수 있는 지지기반을 기준 구분한 것으로 슬래브바닥면 위에 놓이면서 받쳐주는 바닥 받침대(200), 그리고 칸막이 구조물 벽면에 부착 고정되어 받쳐주는 벽면 받침대(300)로 구분 고안한 것이다.
먼저 도 2의 바닥받침대(200)는 슬래브 바닥면에 놓이는 받침대임으로 65mm 미만의 좁은 공간내의 놓이는 자리의 높낮이 수평상태가 일정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력인 높낮이조절기능이 있는 받침대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도 2-1의 단면도 와 도 2-2의 분해 입체도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높낮이 조절기능이 있으면서 받침능력도 보유할 수 있는 물건은 볼트너트 형상밖에 없다고 본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도 금형으로 사출 성형한 합성수지소재 볼트너트(202&203)를 활용한 받침대를 만들면서 받침능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볼트너트 머리는 직경을 100mm 정도 나사몸통은 그 절반인 50mm 정도로 계획하였다. 여기에서 볼트머리의 받침능력범위를 더욱더 크게 하고 안전성을 보완하기위한 수단으로 적정크기의 판재를 볼트머리 윗면에 얹히는 형태를 갖추면서 그 사이에 방진 고무판(204)이 부착되게 하였다.
너트머리는 슬래브 바닥면에 놓여 사실상의 받침기초이면서 위의몸통을 통하여 전도 전파되어 오는 자극파장을 슬래브 층으로 전달하는 창구이기도 함으로 너트머리 아랫면에도 동일한 크기의 방진고무판(204)을 부착하여 층간소음 파장 전도를 볼트너트머리 받침부위를 이용 2차에 걸쳐 방진하여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기본이 되게 하였다.
또한 위의 볼트머리 판재(201)는 거푸집 바닥판재와 동일한 소재 두께로 크기는 폭은 200mm 정도 길이는 400∼500mm 를 계획하고 있으며 볼트머리는 동 판재(201) 중심의 적정 간격 위치에 부착한다, 방진고무판의 두께는 5mm 정도로 설정하고 있으며 적정 접착제로 볼트너트 머리에 부착하고 노출되는 표면도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205)가 유지되게 보호막을 갖도록 하여 실제 사용 시에 시공 작업 편의성을 갖도록 한다.
도 3의 벽면 받침대는 평활도가 양호한 벽면에 온돌구조물 수평상태 마감을 위한 윗면 기준선(120mm)으로 표시되어 있는 먹줄 선에서 55mm 낮은 위치에 또 하나의 기준선을 표시하고 벽면받침대의 부착 면 모서리가 이 기준선과 일치되도록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벽면에 콘크리트 못 또는 에어-건으로 고정시킨다.
벽면받침대는 칸막이구조물의 수직구조강도를 받침지지기반으로 하여 받침능력을 보유하고 설정 표시된 기준선에 맞추어 설치됨으로 높낮이조절기능이 필요하지 않고 거푸집 틀용 바닥판재의 한 쪽 가장자리만 받쳐주면서 측면분리판(400)이 놓일 자리를 제공한다. 동시에 바닥받침대들의 윗면과는 수평상태를 이루어야 함으로 그 기준 면 기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받침대들 역시 층간소음발생 진원지인 온돌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받치므로 그 파장을 벽면에 전도 전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방진고무판을 벽면받침대의 부착 면에 적정 간격으로 사전 부착 하여 사용한다.
이를 도 3-1의 단면도와 3-2의 입체도로 상세 설명하면 벽면받침대의 부하하중부담은 바닥받침대에 비하면 그 크기가 훨씬 적다 고 본다.
그러므로 이의 제작을 위한 소재로는 12mm 두께의 합판(301) 또는 칩보드 판재를 활용하여 재단 제작한다. 제단규격은 제작부착 면 기준으로 가로600 세로50mm 규격 하나와 가로600 세로30mm 규격을 한 짝으로 하여 세로30규격의 한 면에 목재용 접착제를 바른 후 50규격의 길이방향 측면이 일치되게 결합 타카 핀 못으로 고정 제작하며, 50 규격 다른 면에는 두께 5mm에 가로세로100x50mm 정도의 방진고무판(302)을 양 끝 부위와 가운데에 부착한 형태로 하여만든다. 이 경우의 방진고무판(302)의 노출면에도 벽면과의 부착에 적합한 접착제(303)가 도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호막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제작되어 시공된 벽면받침대 의 받침 턱 위에는 바닥판(100)의 아랫면 흡음단열재(103)가 눌린 상태로 얹혀 질 것이므로 위의 구조물에서 전도 전파되어오는 층간소음 파장은 이곳에서 1차 흡음으로 걸러내고 벽면과의 사이에 있는 방진고무판(302)으로 2차 방진되게 함으로서 칸막이 구조물을 통하여 층간소음이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측면 분리판(400)은 거푸집 틀 바닥판(100) 위에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가 펌핑 주입 38mm 두께로 충전되어 바닥판(100)과 함께 50mm 두께의 견고한 온돌구조물 판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그 사(4)방 측면이 칸막이구조물 벽면에 접속됨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분리판(400) 두께만큼의 간격을 만들어 유지하기위한 것을 목적으로 종이상자를 제작하는 데 원단재료로 사용되는 골판지(401)를 참고하여 고안한 것이다.
이는 견고한 온돌구조물 판위에서 발생한 충격파장이 판의 가장자리 측면을 통하여 칸막이구조물 벽면에 전도 전파됨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적정 간격의 틈새를 확보하고, 난방열의 측면 손실을 단열하며, 충격자극으로 인한 이중바닥 판의 떨림으로 하부공간에서 증폭될 수 있는 공명 현상을 틈새로 분산 약화시킬 수 있는 기능 등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이의 제작에 대하여 상세한 것은 도 4-1의 단면도 와 4-2의 입체도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두께 5∼7mm 정도의 골판지 원단을 제작함에 있어 한 쪽 표면은 방수지(402)로마감하여 세로 높이는 60mm 정도로 가로 길이는 1000mm 정도로 재단하여 세로 50mm 높이 지점을 기준하여 가로길이 방향으로 먹줄 선을 표시하며, 다른 면에는 가로방향 중앙부위 폭 20mm 정도에 양면 접착테이프로 접착제도포(403)를 대신하도록 한다. 여기에 표시된 먹줄 선이 실질적인 온돌구조물 마감 기준선이 되는 것으로 세로 높이를 10mm 정도 더 크게 한 것은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펌핑 주입 충전 과정에서 분리판 윗면으로 넘쳐 분리판(400)의 내부공간을 메우는 현상을 예방하기위한 것으로 추후 바닥 마감공정(장판지 또는 온돌마루)시공 과정에서 절단 제거 한다.
도 5는 이중바닥구조를 형성하려면 필수적인 부품소재로 받침기능 부품과 그 위에 얹히는 판재들이 있어야 하는 바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위하여 고안된 받침대(200,300)와 판재인 바닥판(100)들이 시공현장에서 배치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입체도로서 도5-1은 받침대인 바닥받침대(200)와 벽면 받침대(300)들의 배치상황을 나타낸 것이며,
도5-2는 위의 받침대들 윗면에 바닥판(100)들을 배치 결합한 상황을 나타내면서 본 발명의 특성상 바닥판(100)들의 가장자리 측면과 그 위에 성형되는 온돌구조물 측면이 사(4)방 벽면에 닿지 않고 틈새로 분리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로 고안한 측면분리판(400)들의 배치 부착상황도 예시한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고안의 목적인 이중바닥형상의 거푸집 틀이 완성되면 그 바닥판 위에 온수 순환관을 배치배관하고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죽탕수준의 시멘트모르타르를 펌핑 주입 충전 마감 완성하였을 경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로서 도6-1은 그 단면을 설명하는 입체도이고 도6-2는 온돌구조물 각 구성 층의 표준치수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바닥판 101; 고강도시멘트보드
102; 용접철망 103; 흡음단열재
104; 절삭 가공홈 200; 바닥 받침대
201; CRC 판 202; 받침볼트
203; 받침너트 204; 방진고무판
205; 접착제 도포 300; 벽면받침대
301; 합판 302; 방진고무판
303; 접착제 도포 400; 측면분리판
401; 골판지 402; 방수지
403; 접착제도포 501; 벽체
502; 기둥 503; 슬래브바닥

Claims (6)

  1. 무기질소재 판재로 12mm정도의 두께를 갖는 고강도시멘트보드(섬유강화 시멘트판;CRC판)를 이중바닥구조 온수온돌구조물성형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을 만드는 바닥판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장시공 편의성이 고려된 적정무게의 크기 규격으로 재단 가공된 판재(101), 그 한 쪽 면의 인장강도를 대폭 보강할 수 있는 수단 중 용접철망(102)을 가공된 그 표면(104)에 매립 부착하여 그 면을 아랫면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바닥판재로서 필요한 휨강도를 갖추게 하며, 온돌구조물 구성물로도 됨으로 단열재를 부착하되 개발목적이 층간소음과 연관됨으로 흡음성이 우수한 단열재(103)를 부착한 바닥판(100);
    아랫면에 스펀지 같은 물성의 단열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바닥판을 안전하고 균형 있게 받치기 위하여 넓은 받침판(201)을 가지고, 수평상태 평활도가 고르지 못한 슬래브 바닥면 위에서 지지해야함으로 높낮이 조절기능이 있는 볼트너트지지대(202&203), 이러한 형태가 필요한 목적이 층간소음과 연관됨으로 위의받침판(201) 아랫면에 부착하는 볼트머리와 위 슬래브 바닥면에 놓이는 너트머리에 층간소음 파장전도를 차단하도록 방진고무판(204)을 부착한 상태에서 받침판(201)의 중심부에 적정 간격으로 부착 일체화되어 있는 바닥받침대(200);
    칸막이구조물의 수직벽면에 표기되는 온돌구조물의 윗면마감 기준선에 맞추어 수평 길이 방향으로 거푸집 바닥판의 사(4)방 벽면 쪽 가장자리를 높낮이 조절이 필요 없이 안전하고 일정하게 받치면서 수직 벽면에 고정되고, 거푸집 측면 판이 되면서 그 거푸집으로 만들어지는 구성물과 벽면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분리 판의 시공기점장소도 되며, 바닥받침대(200)들의 높낮이 기준점을 제공하는 기준면 기능을 동시에 해결하는 받침대 몸체(301)를 합판과 같은 소재로 만들면서, 이 또한 층간소음과 연관되므로 벽면 쪽 몸체에 적정규격의 방진고무판(302)을 부착하여 칸막이구조물에 이의 충격파장 전도를 차단하도록 한다. 벽면을 지지기반으로 함으로 슬래브바닥면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바닥받침대(200)와 구분하여 벽면받침대(300);
    층간소음발생에 따른 충격파장이 전도전파 됨을 격리하고, 틈새로 이중바닥 하부공간의 공명파장을 분산되게 하기위하여 골판지(401)형태로 고안한 측면분리판(400);을 포함하여 만든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
  2. 청구 1항에서,
    다른 소재의 판재 한 쪽 면에 다른 형태로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방법; 용접철망 비매설 방식, 특수필름 또는 섬유 부착방식 등으로 적정 휨강도를 확보하고 그 면에 추가로 흡음성단열재를 부착한 적정규격의 판재로 만든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
  3. 청구 1항에서,
    적정 휨강도가 있어 받침기능을 확장 할 수 있는 다른 소재 형태의 판재 받침판과 방진소재를 부착한 볼트너트 형 지지대를 갖춘 바닥받침대로 만든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
  4. 청구 1항에서,
    직삼각형 단면 또는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압출 또는 사출 기타 제작방식으로 만들어지고 강도도 있으며 다른 소재의 몰딩 같은 적정규격제품에 방진소재를 부착하여 만든 벽면받침대로 만든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
  5. 청구 1항에서,
    틈새를 만들 수 있고 바닥 거푸집 측면 판재로 적절하며 단열성과 흡음성도 있는 다른 소재의 측면분리판 으로 만든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
  6. 제1항에서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틀을 시공함에 있어, 본 발명 고안으로 만든 적정규격 크기의 바닥판(100)과 받침대(200,300)들에 대한 배치는 설계도면을 참조로 layout 도면도 만들 수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면서,
    (1). 상기 벽면받침대(300)를 칸막이구조물 수직 벽면에 설정 표시되어 있는 온돌구조물 바닥마감기준선 또는 레이저-레벨러 선에 맞추어 부착 고정단계;
    (2). 상기 측면분리판(400)을 전항 벽면받침대(300)의 윗면에 얹으면서 사(4)방 벽면에 빈틈없이 부착하는 단계;
    (3). 상기 바닥받침대(200)들은 시공 편의성이 고려된 위치 장소에서 부터 layout 도면을 참조한 놓일 자리에 윗면이 전항 벽면받침대(300)의 윗면과 수평상태 되게 높낮이조절을 맞춘 후 부착 고정하는 단계;
    (4). 상기 바닥판(100)을 전항 의 받침대들이 설치 자리한 위치부터 지정된 바닥판을 올려놓고 맞춤상태를 조정하면서 거푸집 틀의 바닥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구조 온수온돌구조물 시공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20130110984A 2013-09-16 2013-09-16 이중바닥시스템의 온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984A KR101653699B1 (ko) 2013-09-16 2013-09-16 이중바닥시스템의 온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984A KR101653699B1 (ko) 2013-09-16 2013-09-16 이중바닥시스템의 온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596A true KR20150031596A (ko) 2015-03-25
KR101653699B1 KR101653699B1 (ko) 2016-09-02

Family

ID=5302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984A KR101653699B1 (ko) 2013-09-16 2013-09-16 이중바닥시스템의 온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421A (zh) * 2022-06-28 2022-09-02 合肥玖福半导体技术有限公司 应用于无尘室支撑腿承重的下过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57B1 (ko) *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53037B1 (ko) * 2006-02-07 2008-08-19 정홍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57B1 (ko) *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53037B1 (ko) * 2006-02-07 2008-08-19 정홍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421A (zh) * 2022-06-28 2022-09-02 合肥玖福半导体技术有限公司 应用于无尘室支撑腿承重的下过桥
CN114991421B (zh) * 2022-06-28 2023-12-08 合肥玖福半导体技术有限公司 应用于无尘室支撑腿承重的下过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699B1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55B1 (ko) 건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바닥 및 천장 패널
KR100490757B1 (ko)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9512621A (ja) 建物のスラブを含まない床システム用の床及び天井パネル
JP2017515029A (ja) 建築物の床施工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衝撃吸収ユニット、並びにこれを含む建築物の床施工構造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101459381B1 (ko) 공동주택의 저주파수대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및 이를 위한 완충용 금속패널
KR101740315B1 (ko) 우수한 난방 효율 및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209907667U (zh) 抗震隔音砖墙结构
KR102253266B1 (ko) 거주 블록 및 단열부 제조 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654486B1 (ko) 우수한 난방 효율 및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150031596A (ko) 이중바닥구조 온돌구조물 시공을 위한 바닥거푸집 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1583433B1 (ko) 층간 소음충격 흡수구의 시공방법
KR101434132B1 (ko) 리모델링시 공동주택의 바닥 시공방법
KR101543585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KR101588669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충격 흡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642289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뜬바닥 어셈블리
KR101485265B1 (ko) 조립식 패널 타입의 층간 소음, 진동, 충격 방지 시스템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101803425B1 (ko) 단열재 일체형 난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543587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KR20130140257A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삼중바닥 난방 시스템
KR20150095462A (ko) 온수 난방 이중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3817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