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520A -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 Google Patents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520A
KR20150031520A KR20130110803A KR20130110803A KR20150031520A KR 20150031520 A KR20150031520 A KR 20150031520A KR 20130110803 A KR20130110803 A KR 20130110803A KR 20130110803 A KR20130110803 A KR 20130110803A KR 20150031520 A KR20150031520 A KR 2015003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shade
coupl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풍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안기풍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풍, 정영미 filed Critical 안기풍
Priority to KR2013011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520A/ko
Publication of KR2015003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의 상,하단에 수평부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프레임 유니트의 수직부 중간부를 대각선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BRACKET FOR AN PENTROOF }
본 발명은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부의 상,하단에 수평부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프레임 유니트의 수직부 중간부를 대각선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형성하여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문 또는 창문을 통해 물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차양은 선 등록된 특허 제 1028857 호와 같이 차양 브라켓트와 그 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차양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양 브라켓트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차양막을 결합할 수 있는 수평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부가 결합 된 수직부의 후면에는 설치판을 형성하여 설치판에 앵커볼트가 관통시켜 상기 차양막이 결합 되는 브라켓트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의 수평부에는 차양막이 결합 되는 차양막 끼움홈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차양막을 브라켓트의 상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브라켓트는 차양막이 결합 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며, 후면에는 차양막이 결합 된 브라켓트를 벽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설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브라켓트를 건물 외벽에 앵커볼트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트의 수평부에 형성된 차양막 끼움홈에 차양막을 결합하여 상기 차양막에 의해 건물에 설치된 문 또는 창문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양용 프레임의 문제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브라켓트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수직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수직부의 상단에 차양막이 결합 되는 차양막 끼움홈이 구비된 수평부를 용접 결합하여 상기 차양막이 결합 되는 브라켓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트의 재료가 손실될 뿐만 아니라 수직부의 상단에는 수평부를 용접 결합하여 브라켓트의 제작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브라켓트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브라켓트는 사출 성형으로 인해 제작되기 때문에 한 번의 공정으로 하나의 브라켓트만 생산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의 증가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차양막이 결합 되는 차양막 끼움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부를 수직부의 상단에 형성하여 브라켓트를 생산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차양막을 브라켓트에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건물 전면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사이로 상기 브라켓트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파이프의 결합을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부의 상,하단에 수평부가 구비된 프레임 유니트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프레임 유니트의 수직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생산할 수 있어 차양용 브라켓의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단가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차양용 브라켓의 수직부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 되는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고정 브라켓에 형성하여 차양막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차양막을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의 상부 전면에는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 되는 차양막의 후단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고정판을 형성하여 브라켓에 설치되는 차양막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브라켓의 설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파이프가 결합 되도록 볼트를 결합 구성하여 보강 파이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직부의 상,하단에 수평부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를 구비하고, 그 프레임 유니트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1 단계와;
재단된 프레임 유니트의 수직부 중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획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수직부의 상,하단에 수평부가 구비된 프레임 유니트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프레임 유니트의 수직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생산할 수 있어 차양용 브라켓의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단가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차양용 브라켓의 수직부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 되는 다수의 높이조절홀이 고정 브라켓에 형성하여 차양막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차양막을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의 상부 전면에는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 되는 차양막의 후단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고정판을 형성하여 브라켓에 설치되는 차양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브라켓의 설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파이프가 결합 되도록 볼트를 결합 구성하여 브라켓의 설치 강도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압출 성형 되는 프레임 유니트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차양용 브라켓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양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양 프레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양막의 두께에 따라 차양용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판을 이용하여 차양용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결합판을 이용하여 차양용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이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의 가압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에 보강 파이프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에 보강 파이프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차양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양의 차양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차양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차양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에 차양막이 직접 결합 되는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차양용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문 또는 창문을 통해 빗물이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양막(70)을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는 차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양막(70)이 설치되는 차양용 브라켓(1)의 제작 생산 시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획득할 수 있도록 차양용 브라켓(1)의 제조 방법은,
수직부(10)의 상,하단에 수평부(11)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300)를 구비하고, 그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1 단계와;
재단된 프레임 유니트(300)의 수직부(10) 중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획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프레임 유니트(3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다이캐스팅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제작할 수도 있다.
압출성형된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된 길이(소비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고, 도 1 과 같이 준비된 프레임 유니트(300)의 중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단하여 한번의 절단작업으로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대각선으로 절단된 부위를 유선형으로 정밀 절삭하여 미려함이 향당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유니트(300)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길이의 차양용 브라켓(1)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 획득한 차양용 브라켓(1)의 일측 끝단에 존재하는 수직부(10)를 제거한 후 수직부(10)가 제거된 수평부(11)의 끝단(11a)을 'ㄷ'자 모양으로 밴딩하여 차양막 끼움부(12)를 더 형성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된 차양막 끼움부(12)는 후설하는 바와같이 덮개판의 끝부분이 끼워지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덮개판의 두께에 따라 차양막 끼움부(12)의 밴딩두께를 가변시켜 다양한 두께의 덮개판에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차양막 끼움부(12)의 밴딩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 선작업으로 차양용 브라켓(1)의 끝단에 존재하는 수직부(10)를 제거한 후 수평부(11) 끝단을 밴딩작업한다.
그리고, 차양용 브라켓(1)의 수직부(10) 타측을 가공하여 복수의 고정돌기(14)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돌기(14)의 가공은 수직부(10)의 측면부를 전체적으로 절단하면서 고정돌기(14)들이 돌출되도록 가공하는 것이며, 고정돌기(14) 가공시 수직부(10)의 측면부를 수직으로 가공하거나 아니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가공하는 것에 의해 차양용 브라켓(1)이 수평하거나 아니면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차양용 브라켓(1)을 생산함으로써,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제조 시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유니트(300)의 수직부(11) 중앙을 절단하여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생산함으로서,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차양용 브라켓(1)의 수평부(11)가 도 2의 (a) ~ (c)와 같이 하향 경사지도록 수직부(10)의 측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차양막(7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의 배출용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차양용 브라켓(1)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차양은 도 3과 같이 차양용 브라켓(1)을 건물 외벽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로 고정 결합 되는 고정 브라켓(10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된 차양용 브라켓(1)의 상면에 결합 되는 차양막(70)과, 상기 차양막(70)을 차양용 브라켓(1)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이 결합 되는 고정 브라켓(100)의 상부 전면에는 도 2와 같이 차양용 끼움부(12)에 결합 된 차양막(70)을 후단을 지지하면서 상면에는 가압판(200)의 후단이 결합 되는 고정판(110)을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수직부(10) 타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14)가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높이를 차양막(70)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제1 높이조절홀(101)를 고정 브라켓(10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한다.
즉, 수직부(10)의 타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4)가 내측으로 결합 되며, 차양막(70)의 두께에 따라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되는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높이를 도 5의 (a), (b)와 같이 조절할 수 있는 제1 높이조절홀(101)를 고정 브라켓(10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로 제작되는 차양막(7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직부(10)의 양측면에는 도 6과 같이 다수의 결합돌기(61)가 구비된 결합판(60)을 도 7과 같이 볼트(50)와 너트(53)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결합판(60)에 구비된 결합돌기(61)가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2 높이조절홀(102)를 고정 브라켓(100)에 형성함으로써, 차양용 브라켓(1)과 고정 브라켓(100)의 설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결합돌기(61)가 구비된 한 쌍의 결합판(60)을 고정 브라켓(100)에 형성된 제2 높이조절홀(102)에 결합한 상태에서 수직부(10)가 구비된 차양 브라켓(1)을 상기 결합판(60)의 사이로 끼워지게 설치하여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되는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및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브라켓(100)의 전면에 결합 구성되는 차양용 브라켓(1)의 상면에는 빗물이 문 또는 창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막(70)을 결합하고, 그 차양막(70)을 차양용 브라켓(1)에 밀착시키는 가압판(70)을 차양용 끼움부(12)와 고정판(110)에 볼트(50)와 너트(53)로 고정 결합한다.
상기 볼트(50)와 너트(53)로 가압판(200)을 차양용 브라켓(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차양막 끼움부(12)의 상부에는 도 3과 같이 끼움홈(401)이 구비된 제1 연결부(400)를 형성하고, 제1 연결부(400)에 결합 되도록 볼트홀(411)이 구비된 제2 연결부(410)를 가압판(200)의 전단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보트와 너트만으로고 가압판(200)을 차양용 브라켓(1)에 결합하여 차양막(70)의 설치 시간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판(200)의 후단이 결합 되는 고정판(110)의 상면 양측에는 도 8과 같이 보강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1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가압판(200)을 고정판(110)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판(110)으로부터 가압판(200)이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1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제3 걸림단(122)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가이드레일(120)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제2 레일홈(121)을 형성하고, 제3 걸림단(122)에 걸리도록 볼트(50)의 헤드부(51)를 상기 제2 레일홈(121)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120)의 전면에 도 9의 (b)와 같이 밀착 되도록 도 볼트홀(211)이 구비된 고정부(210)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개구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나사부(52)에 너트(53)를 결합하여 가압판(200)를 고정 결합한다.
상기 고정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120)에 밀착되게 가압판(200)의 후단에 볼트홀(211)이 구비된 고정부(210)를 돌출 형성하여 가압판(200)을 볼트(50)와 너트(53)로 고정 브라켓(100)에 고정 결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은 벽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는 중공형의 보강 파이프(30)가 결합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보강 파이프(30)를 도 10과 같이 건물 외벽에 설치된 한 쌍의 설치된 차양용 브라켓(1)의 사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차양용 브라켓(1)의 양측면에는 제1 걸림단(22)이 개구단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가이드레일(20)을 전,후로 길게 형성하여 제1 레일홈(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걸림단(22)에 볼트(50)의 헤드부(51)가 걸려지도록 제1 레일홈(21)에 헤드부(51)를 끼워 결합한다.
이때, 제1 가이드레일(20)에 결합 되는 볼트(50)는 차양용 브라켓(1)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결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차양용 브라켓(1)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20)은 도 11과 같이 수평부(11)의 저면에 수직단(23)를 형성하고, 수직부(10)에는 수평단(24)을 형성하며, 그 수직단(23)과 수평단(24)에 볼트(50)의 헤드부(51)가 걸려지는 제1 걸림단(2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직단(23)과 수평단(24)으로 인해 수직부(10)와 수평부(11)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레일(20)에 결합 된 볼트(50)이 나사부(52)에 결합 되는 보강 파이프(30)의 양 끝단 내측에는 서로 나사산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차양용 브라켓(1)에 사이로 결합 되는 보강 파이프(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결합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 외벽에 도 3과 같이 고정판(110)이 구비된 고정 브라켓(100)을 앵커볼트로 이격되게 결합한다.
건물에 설치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전면에 도 1과 같이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하여 절단하고, 그 프레임 유니트(300)에 구비된 수직부(10)를 대각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차양용 브라켓(1)을 도 3과 같이 결합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된 차양용 브라켓(1)의 상면에는 도 4의 (a)와 같이 차양막(70)을 결합한 후에 차양막 끼움부(12)와 고정판(110)에 차양막(70)을 가압하는 가압판(200)을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하여 절단하고, 그 절단된 프레임 유니트(300)의 수직부(10)를 절단하여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생산하기 때문에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제작하는 도중에 발생 되는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생산할 수 있어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 유니트(300)는 압출 성형 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차양용 브라켓(1)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10)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4)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100)에는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높이조절홀(10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도 5의 (a), (b)와 같이 다양한 두께로 제작된 차양막(7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10)의 양측면에 도 6과 같이 결합돌기(61)가 구비된 결합판(60)을 결합하고, 그 결합판(60)이 내측에 결합 되며,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높이조절홀(102)를 고정 브라켓(100)에 형성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차양용 브라켓(1)과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마 아니라 결합돌기(61)가 구비된 결합판(60)을 제2 높이조절홀(102)이 구비된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60)의 사이로 차양용 브라켓(1)을 끼워 결합하여 차양 브라켓(1)과 고정 브라켓(100)의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압판(200)이 결합 되는 고정판(110)의 상면에는 도 9의 (a)와 같이 제2 가이드레일(12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120)의 전면에 밀착되게 가압판(200)의 상부에 볼트홀(211)이 구비된 고정부(210)를 돌출 형성하여 볼트(50)와 너트(53)를 이용하여 도 9의 (b)와 같이 결합하여 가압판(200)의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측면에는 제1 가이드레일(2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20)에 볼트(50)를 도 11과 같이 결합 한 상태에서 중공형의 보강 파이프(30)를 결합하여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파이프(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5는 본 발명의 재료 손실을 최소화한 차양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양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작된 차양용 브라켓(1)에 보트(50)와 너트(53)를 이용하여 차양막(70)을 직접 설치하여 차양의 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차양용 브라켓(1)의 수평부(11)에는 볼트(50)의 나사부(42)가 관통되는 볼트홀(4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홀(41)과 연통 되는 고정홈(41)을 상기 수직부(10)에 형성한다.
즉, 차양용 브라켓(1)의 수직부(10)에는 도 13과 같이 너트(53)가 결합 되는 고정홈(4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40)과 연통되게 도 14와 같이 수평부(11)에는 볼트홀(41)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부(10)에 형성된 고정홈(40)에 너트(53)를 결합하고, 상기 너트(53)에 볼트(50)의 나사부(52)가 결합 되도록 상기 볼트(50)를 차양막(70)에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너트(53)는 고정홈(4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걸림단(42)에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차양막(70)을 차양막 브라켓(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결합하기 볼트(50)와 너트(53)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기 때문에 차양막(70)의 조립 시간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차양용 브라켓(1)의 수평부(11)에는 볼트홀(41)를 통해 수평부(11)의 상부로 유입된 빗물을 차양용 브라켓(1)의 전단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배출홈(15)을 도 12와 같이 형성하여 빗물이 차양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홈(15)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차양막 끼움부(12)에는 배출홀(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차양용 브라켓(1)에 차양막(70)이 직접 설치되는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가압판(200)과 차양막(70)이 볼트(50)에 의해 관통되고, 그 관통된 볼트(50)의 나사부(52)에 너트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차양 프레임, 10: 수직부,
11: 수직부, 11: 수평부,
12: 차양막 끼움부, 14: 고정돌기,
15: 배출홈, 16: 배출홀,
20: 제1 가이드레일, 21: 제1 레일홈,
22: 제1 걸림단, 30: 보강 파이프,
40: 고정홈, 41: 볼트홀,
42: 제2 걸림단, 50: 볼트,
51: 헤드부, 52: 나사부,
53: 제2 걸림단, 60: 결합판,
61: 결합돌기, 70: 차양막,
100: 고정 브라켓, 101: 제1 높이조절홀,
102: 제2 높이조절홀, 110: 고정판,
111: 보강부, 200: 가압판,
210: 고정부, 211: 볼트홀,
300: 프레임 유니트, 400: 제1 연결부,
401: 끼움홈, 410: 제2 연결부,
411: 볼트홀,

Claims (12)

  1. 수직부(10)의 상,하단에 수평부(11)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300)를 구비하고, 그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된 길이로 절단하는 제1 단계와;
    재단된 프레임 유니트(300)의 수직부(10) 중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한번에 2개의 차양용 브라켓(1)을 획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프레임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획득한 차양용 브라켓(1)의 일측 끝단에 존재하는 수직부(10)를 제거한 후 수직부(10)가 제거된 수평부(11)의 끝단(11a)을 'ㄷ'자 모양으로 밴딩하여 차양막 끼움부(12)를 더 형성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프레임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1)의 수직부(10) 타측을 가공하여 복수의 고정돌기(14)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프레임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프레임.
  5. 문 또는 창문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양막(70)이 결합 되는 복수의 차양용 브라켓(1)을 건물 외벽에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에 있어서,
    수직부(10)의 상,하단에 수평부(11)가 형성된 프레임 유니트(300)를 재단하여 절단하고, 재단된 상기 프레임 유니트(300)의 수직부(10) 중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2개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의 끝단에는 차양막(70)이 끼워지는 차양막 끼움부(12)가 형성되는 차양용 브라켓(1)과;
    차양용 브라켓(1)을 건물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앵커볼트로 결합 구성되는 고정판(110)이 구비된 고정 브라켓(100)과;
    차양용 브라켓(1)과 고정판(110)에 의해 차양용 브라켓(1)의 상면에 결합 되는 차양막(70)과;
    전,후단이 각각 차양막 끼움부(12)와 고정판(110)에 결합 구성되어 차양막(70)이 차양용 브라켓(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판(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6.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수직부(10)의 끝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4)를 형성하고,
    고정돌기(14)가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차양막(70)의 두께에 따라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높이조절홀(101)를 고정 브라켓(10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7.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1)의 수직부(10) 양측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61)가 돌출 형성된 결합판(60)을 결합하고,
    결합판(60)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61)가 각각 내측으로 결합 되면서 차양막(70)의 두께에 따라 차양 프레임(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높이조절홀(102)를 고정 브라켓(10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8.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차양용 브라켓(1)의 측면에는 제1 걸림단(22)이 개구단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가이드레일(20)을 전,후단으로 길게 형성하여 제1 레일홈(21)을 형성하고,
    제1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헤드부(51)가 상기 제1 걸림단(22)에 걸리도록 제1 레일홈(21)에 볼트(50)를 결합하고,
    볼트(50)의 나사부(52)에 차양용 브라켓(1)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는 중공형의 보강 파이프(30)를 차양용 브라켓(1) 사이로 결합 구성하되,
    상기 보강 파이프(30)의 양 끝단 내측에는 나사산을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9.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수평부(11)의 상부 중앙에는 차양막(70)을 고정시키는 볼트(50)의 나사부(52)가 관통되도록 볼트홀(4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볼트홀(41)에 관통된 나사부(52)가 끼워져 볼트(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홀(41)과 연통되게 고정홈(40)을 수직부(1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10. 청구항 9 항에 있어서,
    수평부(11)의 상면에는 볼트홀(41)을 통해 차양용 브라켓(1) 상면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홈(15)을 상기 수평부(11)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11.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고정판(110)의 상면 양측에는 보강부(111)를 더 형성하고,
    보강부(11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가압판(20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12.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가압판(200)의 후단이 끼워지도록 고정판(110)의 상부로부터 이격 되게 고정 브라켓(100)의 전면에는 제3 걸림단(122)이 개구단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가이드레일(12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제2 레일홈(121)을 형성하고,
    헤드부(51)가 상기 제3 걸림단(122)에 걸리도록 볼트(50)를 제2 레일홈(121)에 결합하며,
    가압판(200)이 제2 레일홈(121)에 결합 된 볼트(50)의 나사부(52)에 너트(53)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판(200)의 상면에는 고정부(210)를 수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KR20130110803A 2013-09-16 2013-09-16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KR20150031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803A KR20150031520A (ko) 2013-09-16 2013-09-16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803A KR20150031520A (ko) 2013-09-16 2013-09-16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520A true KR20150031520A (ko) 2015-03-25

Family

ID=5302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803A KR20150031520A (ko) 2013-09-16 2013-09-16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5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91B1 (ko) * 2015-08-06 2016-08-16 주식회사 캐노픽스 원터치식 차양막 브라켓
KR20210052829A (ko) 2019-11-01 2021-05-11 이미영 Diy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91B1 (ko) * 2015-08-06 2016-08-16 주식회사 캐노픽스 원터치식 차양막 브라켓
KR20210052829A (ko) 2019-11-01 2021-05-11 이미영 Diy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4604A1 (en) Opening portion periphery decorative member, opening portion periphery construction structure, and opening portion periphery construction method
KR20150031520A (ko) 차양용 프레임과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차양용 프레임을 이용한 차양
JP3002955B2 (ja) 一体型端部支持体及びその成形方法
CN205224948U (zh) 一种包覆墙体的装饰墙框与窗框的连接结构
CN108457405B (zh) 大跨度超大铝型材幕墙装饰百叶及其加工工艺
CN201730219U (zh) 一种玻璃幕墙隐框
CN204452283U (zh) 一种汽车前门窗框装饰板固定结构
KR100458264B1 (ko) 차양장치
KR101651112B1 (ko) 차양용 몰딩
CN202595959U (zh) 新型幕墙立柱
CN210858519U (zh) 一种玻璃护栏结构和内平开门或内开内倒落地窗
CN213175291U (zh) 一种用于制作玻璃窗的新型边框铝型材
CN107588591A (zh) 饰条组件
CN215889232U (zh) 一种墙顶接口收边阴角件、一种装配式吊顶
CN214885178U (zh) 一种用于装饰框条无缝拼装的上型内接角
CN211776439U (zh) 预组装pvc上格栅单元及其围栏和门
CN210180266U (zh) 一种挤拉玻璃钢百叶板
CN219732417U (zh) 竖向型材调节固定结构
CN218294083U (zh) 一种便于连接安装的铝型材
CN214220975U (zh) 隔热窗用上下槽装置
CN220268122U (zh) 一种中空超薄壁铝型材
CN218021470U (zh) 车门中饰板快拆结构及车辆
CN211201593U (zh) 一种造型面板组合安装结构
CN220353184U (zh) 一种幕墙竖向装饰条的连接结构
CN211597700U (zh) 一种便于拆卸的铝模板加固背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